푸잉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푸잉은 중화인민공화국의 외교관이자 정치인으로, 1953년 후허하오터에서 태어났다. 베이징 외국어대학에서 영어를 전공하고 외교부에 들어가 루마니아 주재 중국 대사관, 외교부 통역실 등에서 근무했다. 덩샤오핑 등 중국 공산당 고위층 통역을 담당했으며, 1990년대에는 캄보디아에서 유엔 평화 유지 활동에 참여했다. 이후 필리핀, 호주, 영국 대사를 역임하고 외교부 부부장을 지냈다. 2013년부터 전국인민대표대회 외사위원회 주임위원, 부주임위원을 거쳐 칭화 대학 겸임 교수 및 전략안보연구센터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필리핀 주재 중화인민공화국 대사 - 리진쥔
리진쥔은 상하이외국어학원과 하이델베르크 대학교를 졸업하고 중국 공산당 중앙위원회 대외연락부에서 활동한 중화인민공화국의 외교관으로, 미얀마, 필리핀, 북한 주재 중국 대사를 역임했으며 특히 북한 주재 대사로 최장 기간 근무했다. - 영국 주재 중화인민공화국 대사 - 류샤오밍
류샤오밍은 다롄 외국어 대학교와 터프츠 대학교를 졸업하고 이집트, 북한 대사를 거쳐 주영국 대사를 지냈으며, 현재 한반도 사무 특별대표를 맡고 있는 중화인민공화국 외교관이다. - 오스트레일리아 주재 중화인민공화국 대사 - 마자오쉬
마자오쉬는 1963년 하얼빈 출생으로 베이징대학교 국제관계학과를 졸업하고 중화인민공화국 외교부에 입부하여 주영국 및 주벨기에 대사관 근무, 외교부 정책계획국 국장, 외교부 보도국 국장 겸 대변인, 외교부 부장조리, 유엔 중국정부대표부 특명전권대사를 역임하고 2023년 외교부 상무부장에 임명된 외교관이다. - 오스트레일리아 주재 중화인민공화국 대사 - 저우원중
저우원중은 장쑤성 출신의 중화인민공화국 외교관으로, 영국 유학 후 외교부에서 다양한 직책을 거쳐 미국 주재 중화인민공화국 대사를 지냈으며, 이후 보아오 포럼 사무총장 겸 중미우호협회 부회장으로 활동했다.
푸잉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원어 이름 | 傅莹 |
로마자 표기 | Fù Yíng |
직책 | |
전국인민대표대회 외사위원회 주임 | 2013년 3월 ~ 2018년 3월 |
주임 | 장더장 |
전임 | 리자오싱 |
후임 | 장예쑤이 |
중화인민공화국 외교부 부부장 | 2010년 1월 ~ 2013년 3월 |
총리 | 원자바오 리커창 |
부장 | 양제츠 |
영국 주재 중화인민공화국 대사 | 2007년 3월 ~ 2010년 2월 |
전임 | 자페이신 |
후임 | 류샤오밍 |
오스트레일리아 주재 중화인민공화국 대사 | 2004년 3월 ~ 2007년 3월 |
전임 | 우타오 |
필리핀 주재 중화인민공화국 대사 | 1999년 3월 ~ 2000년 4월 |
개인 정보 | |
이름 | 푸잉 |
출생 연도 | 1953년 1월 |
출생지 | 내몽골 자치구 후허하오터 시 |
소속 정당 | 중국 공산당 |
학력 | 베이징 외국어대학교 켄트 대학교 |
2. 생애
푸잉은 몽골족 출신으로, 1979년 이후 외교부 부부장으로 임명된 최초의 여성이자 유일한 소수민족 여성이다. 중국 역사상 단 두 명뿐인 인물 중 한 명이다.[1]
푸잉의 주요 이력은 다음과 같다.
- 1953년 내몽골 자치구 후허하오터시 출생.
- 베이징 외국어대학에서 영어, 프랑스어, 루마니아어 전공.
- 영국 켄트 대학교에서 국제관계학 석사 학위 취득.
- 중화인민공화국 외교부에서 외교관으로 근무, 여러 직책 역임.
- 전국인민대표대회 외사위원회 주임위원 및 부주임위원 역임.
- 칭화 대학 겸임 교수 및 전략안보연구센터장 역임.
(하위 섹션에서 상세히 다루고 있는 초기 생애, 교육, 외교 경력, 전국인민대표대회 활동, 학술 활동 등은 중복을 피하기 위해 생략함)
2. 1. 초기 생애 및 교육
푸잉은 1953년 1월에 내몽골 자치구 후허하오터시에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 아민(阿民)은 중국의 몽골족 철학자인 아이쓰치의 제자였고 중국 인민해방군 내몽골 군구 선전부 부부장을 역임했다. 푸잉은 16세 시절에 내몽골 자치구의 농장에서 노동자로 일했고 1970년에는 내몽골 생산 건설 병단 방송국에서 고등학교 교육을 받았다. 1973년에는 베이징 외국어대학에 입학하면서 영어, 프랑스어, 루마니아어를 전공했다.[1]1977년에 대학교를 졸업하고 중화인민공화국 외교부에 합류하여 외교관으로 근무했고 루마니아 주재 중국 대사관, 중국 외교부 통역실에서 근무했다. 1985년에 영국 켄트 대학교에서 국제관계학 석사 학위를 받았고 1986년부터 1990년까지 중국 외교부 통역실에서 3등 비서, 2등 비서, 교육처 부처장, 영문처 부처장 등을 역임했다. 덩샤오핑, 양상쿤, 장쩌민, 리펑 등 중국 공산당 고위층 인사들의 통역을 맡으면서 해외 순방, 주요 회의에 동행했다.[1]
2. 2. 외교 경력
푸잉은 1977년에 대학교를 졸업하고 중화인민공화국 외교부에 합류하면서 외교관으로 근무했다.[1] 루마니아 주재 중국 대사관, 중국 외교부 통역실에서 근무했다. 1985년에는 영국 켄트 대학교에 파견되어 국제관계학 석사 학위를 받았고,[4] 1986년부터 1990년까지 중국 외교부 통역실에서 3등 비서, 2등 비서, 교육처 부처장, 영문처 부처장 등을 역임했다. 덩샤오핑, 양상쿤, 장쩌민, 리펑 등 중국 공산당 고위층 인사들의 통역을 맡으면서 해외 순방, 주요 회의에 동행했다.1992년부터 1993년까지 캄보디아에서 유엔의 평화 유지 활동 임무를 수행했다. 중국으로 귀국한 후 중국 외교부 아주국에서 종합처장, 참사관으로 근무하면서 동남아시아 국가 연합(ASEAN), 아시아 태평양 지역의 안보 부문을 총괄했다. 1997년에는 주인도네시아 중국 대사관에서 수석 참사관으로 근무했다.
1999년 3월부터 2000년 4월까지 주필리핀 중국 대사를 역임하면서 중국 소수 민족 출신 여성 외교관으로는 최초로 대사를 역임했다. 2000년부터 중국 외교부 아주국 국장을 역임하면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핵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회담을 성사시켰다.[1] 2004년 3월부터 2007년 3월까지 주오스트레일리아 중국 대사를, 2007년 4월부터 2010년 1월까지 주영국 중국 대사를 역임했고,[1] 2010년 1월부터 2013년 3월까지 중국 외교부 부부장을 역임했다.
2012년 10월, 푸잉은 남중국해 영유권 분쟁 해결을 위해 필리핀이 양자간 대화를 지속하고 미국을 끌어들이거나 분쟁을 국제 포럼으로 가져가는 것을 피하도록 설득하고자 마닐라를 방문했다.[3] 그러나 필리핀은 중국을 상대로 남중국해 중재를 시작했다.[3]
2016년 8월 8일, 필리핀은 남중국해 중재 결과 이후의 긴장을 완화하기 위해 피델 라모스 전 대통령을 홍콩에 파견했다.[3] 푸잉은 라모스와 우스춘(국가 남중국해 연구원 원장)과 만났다.[3] 라모스는 필리핀이 중국과 공식적인 대화에 참여할 의향이 있음을 전달했고, 세 사람은 개인 자격으로 양국 간의 협력과 대화를 강조하는 성명을 발표했다.[3]
푸잉의 외교 경력은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기간 | 직책 |
---|---|
1978–1982 | 루마니아 주재 대사관 부영사 |
1982–1985 | 외교부 번역통역국 부영사 |
1986–1990 | 외교부 번역통역국 3등 서기관, 2등 서기관, 부국장 |
1990–1992 | 외교부 아시아사 부국장 및 1등 서기관 |
1992–1993 | 캄보디아 임시 행정 기구 직원 |
1993–1997 | 외교부 아시아사 1등 서기관, 국장 및 참사관 |
1997–1998 | 인도네시아 주재 대사관 공사 |
1998–2000 | 필리핀 주재 대사 |
2000–2003 | 외교부 아시아사 국장 |
2003–2007 | 오스트레일리아 주재 대사 |
2007년 3월–2010 | 영국 주재 대사 |
2009–2013 | 중화인민공화국 외교부 부부장 |
2. 3. 전국인민대표대회 활동
푸잉은 2013년 3월부터 제12대 전국인민대표대회 외사위원회 주임위원 겸 대변인을 역임했고 2018년 3월부터 제13대 전국인민대표대회 외사위원회 부주임위원을 역임했다. 2019년 4월에는 칭화 대학 겸임 교수, 칭화 대학 전략안보연구센터장으로 임명되었다.2. 4. 학술 활동
푸잉은 베이징 외국어대학에서 영어, 프랑스어, 루마니아어를 전공했다. 1985년에는 영국 켄트 대학교에서 국제 관계 석사 학위를 받았다. 2008년에는 켄트 대학교로부터 명예 시민법 박사 학위를 받았다.[4]2019년 4월에는 칭화 대학 겸임 교수, 칭화 대학 전략안보연구센터장으로 임명되었다.[5] 스탠포드 대학교 후버 연구소의 2019년 보고서에 따르면 푸잉은 특히 미국의 싱크탱크와 관련하여 "점점 증가하는 미국-중국 상호 작용의 핵심 인물"이라고 한다.[6]
3. 주요 외교 활동
푸잉은 1976년 외교부 공식 통역관이 되었다. 북한과의 회담에서 중국 대표단을 이끌었으며, 이 회담을 통해 북한은 핵무기 포기를 결정했다가 이후 번복했다.[1] 2004년부터 2007년까지 오스트레일리아 대사를, 2007년 3월부터 2009년까지 영국 주재 중국 대사를 역임했다. 2010년 2월 중국으로 돌아와 류샤오밍으로 교체되었으며, 2010년 1월부터 2013년 3월까지 외교부 부부장을 역임했다. 2013년에는 전국인민대표대회 외사위원회 주석이 되었다.[2]
3. 1. 남중국해 문제
2012년 10월, 푸잉은 남중국해 영유권 분쟁 해결을 위해 필리핀에 양자 간 대화를 지속하고 미국을 끌어들이거나 분쟁을 국제 포럼으로 가져가지 말 것을 설득하고자 마닐라를 방문했다.[3] 그러나 필리핀은 중국을 상대로 중재를 시작했다.[3]2016년 8월 8일, 필리핀은 남중국해 중재 결과 이후 긴장 완화를 위해 피델 라모스 전 대통령을 홍콩에 파견했다.[3] 푸잉은 라모스 및 우스춘(국가 남중국해 연구원 원장)과 만났다.[3] 라모스는 필리핀이 중국과 공식적인 대화에 참여할 의향이 있음을 전달했고, 세 사람은 개인 자격으로 양국 간 협력과 대화를 강조하는 성명을 발표했다.[3]
4. 개인사
푸잉은 1953년 중국 내몽골 자치구 후허하오터에서 태어났다. 몽골족 출신으로, 아버지는 아이쓰치의 제자였다.
개인적인 삶에서 푸잉은 전통적인 내몽골 문화를 따르려고 노력한다. 주말에는 수테 차이(奶茶중국어, 후허하오터 스타일 밀크티)를 마시고, 전통 몽골 장가를 들으며, 내몽골 음식을 먹는다.[7] 민족학자 하오스위안(郝时远중국어)과 결혼하여 딸 하나를 두고 있다.[8]
참조
[1]
간행물
Daily Press Briefing April 21, 2003
https://2001-2009.st[...]
State Department
[2]
서적
China's Rising Foreign Ministry: Practices and Representations of Assertive Diplomacy
Stanford University Press
[3]
서적
The Art of State Persuasion: China's Strategic Use of Media in Interstate Disputes
Oxford University Press
[4]
뉴스
Lunch with the FT: Madam Fu Ying
http://www.ft.com/cm[...]
Financial Times
2010-01-29
[5]
웹사이트
FU Ying-Speakers-Boao Forum for Asia
http://english.boaof[...]
[6]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s://www.hoover.o[...]
2019-07-03
[7]
뉴스
Fu Ying: From Film Projectionist to Diplomat
http://history.peopl[...]
People's Daily Online
2013-03-08
[8]
웹사이트
Fu Ying Appointed Vice-Foreign Minister
http://www.womenofch[...]
All-China Women's Federation
2010-01-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