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프노이피가속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프노이피가속은 조류의 한 속으로, 2009년 DNA 연구를 통해 꼬리치레과나 흰턱딱새과와 연관 관계가 없는 것으로 밝혀져 별도의 과로 분류되었다. 비늘가슴 컵윙, 대만 컵윙, 네팔 컵윙, 피그미 컵윙 등 4종이 속해 있으며, 흰턱딱새소목에 속하고 제비과와 자매군 관계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프노이피가속 - [생물]에 관한 문서
속 정보
비늘가슴꼬리치레
비늘가슴꼬리치레 (Pnoepyga albiventer)
학명Pnoepyga
명명자Hodgson, 1844
상위 분류프노이피가과
모식종Tesia albiventer
모식종 명명자Hodgson, 1837

2. 분류학

2009년 DNA 연구를 통한 분석 결과, 꼬리치레과흰턱딱새과와 연관 관계가 발견되지 않아 별도의 과로 분류하고 있다.[5]

3. 하위 종

다음은 프노이피가속에 속하는 하위 종들이다.[4]

그림일반명칭학명분포
비늘가슴 컵윙 (비늘가슴 굴뚝새)Pnoepyga albiventer (브라이언 호지슨, 1837)히말라야 산맥에서 인도차이나에 이르는 동남아시아
대만 컵윙 (대만 굴뚝새)Pnoepyga formosana (W. Ingram, 1909)대만
네팔 컵윙 (네팔 굴뚝새)Pnoepyga immaculata (J. Martens & Eck, 1991)우타라칸드와 네팔
피그미 컵윙 (피그미 굴뚝새)Pnoepyga pusilla (브라이언 호지슨, 1845)히말라야 산맥에서 소순다 열도까지


4. 계통 분류

2009년 DNA 연구를 통한 분석 결과, 꼬리치레과흰턱딱새과와는 연관 관계가 없는 것으로 밝혀져 별도의 과로 분류하고 있다.[5]

다음은 2019년 올리버로스(Oliveros) 등의 연구에 의한 흰턱딱새소목의 계통 분류이다.[6]

{| class="wikitable"

|-

! colspan="2" | 흰턱딱새소목의 계통 분류

|-

| colspan="2" |

{| class="wikitable"

|-

|

힐리오타과
요정솔딱새과



|-

|

{| class="wikitable"

|-

|

박새과
스윈호오목눈이과



|-

|

{| class="wikitable"

|-

|

수염오목눈이과
종다리과



|-

|

{| class="wikitable"

|-

| 니카토르과

|-

|

{| class="wikitable"

|-

| 아프리카솔새과

|-

|

{| class="wikitable"

|-

| 개개비사촌과

|-

|

{| class="wikitable"

|-

! 섬개개비상과

|-

|

{| class="wikitable"

|-

|

그라우어솔새과
개개비과



|-

|

{| class="wikitable"

|-

| 섬개개비과

|-

|

도나코비우스과
마다가스카르솔새과



|}

|}

|}

|-

|

{| class="wikitable"

|-

|

프노이피가과
제비과



|-

|

{| class="wikitable"

|-

! 흰턱딱새상과

|-

|

{| class="wikitable"

|-

| 직박구리과

|-

|

{| class="wikitable"

|-

|



|-

|

{| class="wikitable"

|-

| 동박새과

|-

|

{| class="wikitable"

|-

| 꼬리치레과

|-

|

{| class="wikitable"

|-

|

상사조과
알키페과



|-

| 땅꼬리치레과

|}

|}

|}

|}

|}

|}

|}

|}

|}

|}

|}

|}

|-

! 오목눈이상과

|-

|

{| class="wikitable"

|-

| 솔새과

|-

|

{| class="wikitable"

|-

| 힐리아과

|-

|

{| class="wikitable"

|-

| 오목눈이과

|-

|

{| class="wikitable"

|-

| Erythrocercidae

|-

|

Scotocercidae
휘파람새과



|}

|}

|}

|}

|}

|}

|}

참조

[1] 웹사이트 Pnoepygidae https://www.aviansys[...] The Trust for Avian Systematics 2023-07-15
[2] 논문 Phylogeny of babblers (Aves, Passeriformes): major lineages, family limits and classification 2009
[3] 서적 Family Timaliidae (Babblers) Lynx Edicions, Barcelona 2007
[4] 웹사이트 Cupwings, crombecs, cettiid bush warblers, Streaked Scrub Warbler, yellow flycatchers, hylias https://www.worldbir[...] International Ornithologists' Union 2021-07
[5] 논문 Phylogeny of babblers (Aves, Passeriformes): major lineages, family limits and classification 2009
[6] 저널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