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라스틱 페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플라스틱 페니는 1960년대 후반 활동한 영국의 사이키델릭 팝 밴드이다. 브라이언 키스, 폴 레이몬드, 믹 그레이엄, 나이젤 올슨, 토니 머레이로 구성되었으며, 〈Everything I Am〉이 영국 싱글 차트 6위를 기록하며 가장 큰 성공을 거두었다. 1968년 아일오브와이트 페스티벌에 참여했으며, 1970년 밴드 해체와 함께 컴필레이션 앨범 《Heads I Win, Tails You Lose》를 발매했다.
밴드가 주로 연주한 음악은 사이키델릭 팝이었으며, 일부 노래에서는 프로그레시브 록 사운드를 가미했다.[7] 노래 대부분은 밴드 멤버인 브라이언 키스, 폴 레이먼드, 토니 머레이가 작곡했다. 키스가 밴드를 떠난 후, 레이먼드가 리드 보컬을 맡았다. 플라스틱 페니의 작품은 페이지 원 레코드를 통해 발매되었다. 1968년 8월 31일, 아일오브와이트 페스티벌에 참가했다.[8]
플라스틱 페니는 싱글과 음반을 발매했다.
2. 경력
밴드의 히트곡 〈Everything I Am〉은 영국 싱글 차트에서 6위를 기록했다.[9] 이 곡은 원래 스푸너 올덤과 댄 펜이 쓰고 박스 탑스가 노래한 것을 느린 발라드 버전으로 바꾸고 스트링 편곡을 추가한 것이다.[10] 빌 마틴과 필 쿨터가 작곡한 다음 싱글 〈Nobody Knows It〉은 이전과 비슷한 반응을 얻지 못했다.[10][11]
믹 그래브햄(당시에는 믹 그레이엄)은 이후 코키즈를 거쳐 프로콜 하럼에서 연주했다. 키스는 더 컨그리게이션의 리드 보컬리스트가 되어 플라스틱 페니와 마찬가지로 원 히트 원더를 기록했다. 레이먼드는 크리스틴 퍼펙트를 대신하여 치킨 섁에 합류한 뒤, 사보이 브라운, UFO 등에서 연주하였다. 나이절 올슨은 유명한 세션 드러머가 되었으며, 엘튼 존의 초기 작품과 더불어, 스펜서 데이비스 그룹, 유라이어 힙, 키키 디, 닐 세다카, 로드 스튜어트, 리오 세이어 등과 함께했다. 토니 머레이는 엘튼 존의 《Empty Sky》에 참여하고 트로그스에 합류했다.[5]
그룹의 세 번째이자 마지막 음반인 《Heads I Win, Tails You Lose》는 밴드가 해체된 1970년에 발매된 컴필레이션 음반이다.[11]
3. 밴드 멤버
4. 디스코그래피
4. 1. 싱글
발매일 | A면 | B면 | 레이블, 국가, 카탈로그 번호 |
---|---|---|---|
1967년 12월 1일 | "Everything I Am" | "No Pleasure Without Pain My Love" | 페이지 원 POF 051, 영국 |
1968년 3월 29일 | "Nobody Knows It" | "Happy Just to Be with You" | 페이지 원 POF 062, 영국 |
1968년 7월 26일 | "Your Way to Tell Me Go" | "Baby You're Not to Blame" | 페이지 원 POF 079, 영국 |
1968년 11월 22일 | "Hound Dog" | "Currency" | 페이지 원 POF 107, 영국 |
1969년 7월 11일 | "She Does" | "Genevieve" | 페이지 원 POF 146, 영국 |
1975년 2월 21일 | "Everything I Am" | "No Pleasure Without Pain" | DJM DJS 353, 영국 |
4. 2. 음반
{| class="wikitable"|+ 플라스틱 페니 음반 목록
|-
! 발매일
! 음반명
! 레이블
! 비고
|-
| 1968년 4월
| ''Two Sides of a Penny''
| Page One POL 005 (모노)/POLS 005 (스테레오)
|
|-
| colspan="4" |
Side One (Heads) | Side Two (Tails) |
---|---|
|-
| 1969년 2월
| ''Currency''
| Page One POLS 014 (스테레오)
|
|-
| colspan="4" |
Side One | Side Two |
---|---|
|-
| 1970년 4월
| ''Heads I Win, Tails You Lose''
| Page One POS 611 (스테레오)
| 컴필레이션 음반
|-
| colspan="4" |
Side One | Side Two |
---|---|
|}
참조
[1]
웹사이트
Plastic Penny at the Isle of Wight Festival 1968
http://www.ukrockfes[...]
2017-07-06
[2]
서적
British Hit Singles & Albums
Guinness World Records Limited
[3]
웹사이트
Plastic Penny | Biography
http://www.allmusic.[...]
AllMusic
2014-01-28
[4]
웹사이트
Everything I Am - The Box Tops | Listen, Appearances, Song Review
http://www.allmusic.[...]
AllMusic
2014-01-28
[5]
서적
The Virgin Encyclopedia of Popular Music
Virgin Books
1997
[6]
웹사이트
Oshea-keith.com
http://www.oshea-kei[...]
Oshea-keith.com
2011-10-23
[7]
웹인용
Plastic Penny | Biography
http://www.allmusic.[...]
AllMusic
2014-01-28
[8]
웹인용
Plastic Penny at the Isle of Wight Festival 1968
http://www.ukrockfes[...]
2017-07-06
[9]
서적
British Hit Singles & Albums
Guinness World Records Limited
[10]
웹인용
Everything I Am - The Box Tops | Listen, Appearances, Song Review
http://www.allmusic.[...]
AllMusic
2014-01-28
[11]
서적
The Virgin Encyclopedia of Popular Music
Virgin Books
1997
[12]
웹인용
Oshea-keith.com
http://www.oshea-kei[...]
Oshea-keith.com
2011-10-23
[13]
웹인용
Plastic Penny | Biography
http://www.allmusic.[...]
AllMusic
2014-01-2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