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플라잉 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플라잉 핀(Flying Finn)은 핀란드 출신 운동선수들에게 붙여진 별칭으로, 육상, 모터스포츠, 동계 스포츠 등 다양한 분야에서 뛰어난 기량을 선보인 선수들을 지칭한다. 이 별칭은 1912년 스톡홀름 올림픽에서 3관왕을 차지한 한네스 콜레흐마이넨에게 처음 사용되었으며, 이후 파보 누르미, 빌레 리톨라 등 핀란드 육상 선수들이 장거리 달리기를 지배하면서 널리 알려졌다. 모터스포츠에서는 랠리 드라이버 티모 매키넨, 라우노 아알토넨 등이 플라잉 핀으로 불렸으며, 포뮬러 원에서는 케케 로즈버그, 미카 하키넨, 키미 래이쾨넨 등이 이 칭호를 얻었다. 또한, 스키 점프의 얀네 아호넨, 마티 뉘캐넨, 아이스하키의 야리 쿠리, 테무 셀랜네 등도 플라잉 핀으로 불리며, 조정, 테니스, 종합격투기, 영화, 축구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이 별칭을 사용하는 선수들이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플라잉 핀
개요
별칭플라잉 핀
언어별 명칭한국어: 플라잉 핀
영어: Flying Finn
핀란드어: Lentävä suomalainen
스웨덴어: Flygande finländaren
설명핀란드 운동선수들에게 붙여진 별명이다.

2. 육상

핀란드는 전통적으로 육상 강국으로, 특히 장거리 달리기에서 뛰어난 선수들을 많이 배출했다. "플라잉 핀"이라는 별명은 한네스 콜레흐마이넨에게서 처음 사용되었으며,[17] 핀란드 선수들이 장거리 달리기를 장악하기 시작하면서 파보 누르미, 빌레 리톨라 등 올림픽 금메달리스트들에게 이 별명이 붙여졌다. 1930년대에는 볼마리 이소홀로가, 1940년대에는 타이스토 매키가 이 별명으로 불렸다.[18]

2. 1. 20세기 초, 중반

1912년 스톡홀름 올림픽에서 3관왕을 차지한 한네스 콜레흐마이넨이 "플라잉 핀"이라는 별명을 얻은 최초의 선수이다.[1] 그는 5000m, 10000m, 마라톤에서 금메달을 획득했다.[15] 1920년 안트베르펜 올림픽과 1924년 파리 올림픽에서 여러 개의 금메달을 획득한 파보 누르미빌레 리톨라는 핀란드를 육상 강국으로 이끌었다.[1] 볼마리 이소홀로는 1932년 로스앤젤레스 올림픽과 1936년 베를린 올림픽 3000미터 장애물 경주에서 2연패를 달성했다.[1] 타이스토 매키는 1940년대 미국 투어에서 5개의 세계 기록을 보유하며 플라잉 핀으로 불렸다.[18]

2. 2. 20세기 후반

라세 비렌은 1972년 뮌헨 올림픽과 1976년 몬트리올 올림픽 5000m와 10,000m에서 2연패를 달성하며,[15] 마지막 "플라잉 핀" 육상 선수로 불린다.

3. 모터스포츠

티모 매키넨과 라우노 아알토넨의 1965년 1000 레이크 랠리 모습


2000년 미국 그랑프리에서 미카 하키넨


2020년 알파로메오 포뮬러 원 경주차를 운전하는 키미 래이쾨넨


1960년대부터 핀란드 랠리 드라이버들이 국제 무대에서 뛰어난 성적을 거두면서, "플라잉 핀"이라는 별명이 모터스포츠 분야로 확대되었다.

랠리에서는 티모 매키넨, 라우노 아알토넨 등이 초창기 플라잉 핀으로 불렸으며, 포뮬러 원(F1)에서는 레오 키누넨이 처음으로 이 별명을 사용했다. 이후 케케 로즈버그가 F1 월드 챔피언에 오르며 플라잉 핀의 명성을 높였다. 미카 하키넨, 키미 래이쾨넨 등도 F1 챔피언에 등극하며 플라잉 핀의 계보를 이었다.

모터사이클 분야에서는 야르노 사아리넨이 가장 유명한 플라잉 핀으로 꼽히며, 헤이키 미콜라, 미카 칼리오 등도 플라잉 핀으로 불렸다.

3. 1. 랠리

티모 매키넨, 라우노 아알토넨, 시모 람피넨은 1960년대 핀란드 랠리 드라이버들의 활약을 묘사하기 위해 사용된 "플라잉 핀"으로 불린 초기 드라이버들이다.[16] 1968년 캐스트롤은 1968년 1000 레이크 랠리에서 매키넨과 한누 미콜라의 경쟁을 다룬 "플라잉 핀"이라는 영화를 제작했다. 이후 이 용어는 다음 세대 핀란드 랠리 드라이버들에게 이어졌고, 월드 랠리 챔피언십(WRC)에서 4회 우승한 유하 캉쿠넨과 1996년부터 1999년까지 WRC 4연패를 달성한 토미 매키넨 등이 대표적인 예시이다.

마르쿠스 그뢴홀름은 2000년대 초반 WRC 챔피언에 올랐고, 미코 히르보넨, 야리-마티 라트발라 등도 꾸준히 좋은 성적을 거두었다. 2002년 마르쿠스 그뢴홀름 이후 챔피언은 없었지만, 미코 히르보넨이나 야리-마티 라트발라 등이 매년 타이틀 경쟁에 참여하는 활약을 이어가고 있다. 2006년과 2007년에는 BP 포드의 그뢴홀름, 히르보넨 핀란드인 콤비로 제조사 타이틀을 2연패했다.

칼레 로반페라는 현재 WRC에서 활동하는 젊은 플라잉 핀으로, 2022년 WRC 최연소 챔피언에 등극하며 새로운 역사를 썼다.[28]

3. 2. 포뮬러 원 (F1)

레오 키누넨은 핀란드 최초의 F1 드라이버였지만, F1에서는 큰 성공을 거두지 못했다.[3] 케케 로즈버그는 1982년 F1 월드 챔피언에 오르며 F1에서 플라잉 핀의 시대를 열었다.[4]

미카 하키넨은 1998년과 1999년 F1 월드 챔피언십 2연패를 달성하며 핀란드의 F1 전성기를 이끌었다.[5] 키미 래이쾨넨2007년 F1 월드 챔피언에 올랐으며, 오랜 기간 F1에서 활동하며 많은 팬들의 사랑을 받았다.[7] 헤이키 코발라이넨[8]발테리 보타스[9]도 F1에서 우승 경험이 있는 플라잉 핀이다.

3. 3. 모터사이클

야르노 사리넨은 1972년 로드 레이싱 월드 챔피언십 250cc 부문에서 우승하며 모터사이클 분야에서 가장 유명한 플라잉 핀으로 꼽힌다.[10] 그는 무릎을 땅에 가깝게 하고 몸을 오토바이 밖으로 내미는 새로운 라이딩 스타일을 개발하여 오토바이 스포츠 역사에 남았다.[10] 헤이키 미콜라는 1970년대 모토크로스 세계 챔피언십에서 4회 우승을 차지했다.[11] 미카 칼리오는 2000년대 로드 레이스 세계 선수권 125cc 클래스에서 2위를 차지하며 플라잉 핀으로 불렸다. 마우노 헤르무넨도 월드 슈퍼모토 시리즈에서 상위권에 오르며 플라잉 핀으로 불렸다.

4. 동계 스포츠

핀란드는 동계 스포츠에서도 강세를 보이며, 여러 분야에서 뛰어난 선수들을 배출했다. 이들을 흔히 '플라잉 핀'이라고 부른다.

종목선수
스키 점프얀네 아호넨, 마티 뉘캐넨
아이스하키야리 쿠리, 테무 셀랜네
기타칼레 팔란데르(알파인 스키), 카이사 먀캐라이넨(바이애슬론), 칼레비 해키넨(스피드 스키)[29][14]



스키 점프와 아이스하키 선수들은 하위 섹션을 참조하고, 기타 동계 스포츠 선수들은 표에 간략하게 언급하였다.

4. 1. 스키 점프

얀네 아호넨과 마티 뉘캐넨은 스키 점프에서 세계적인 명성을 얻은 플라잉 핀이다.[29]

4. 2. 아이스하키

야리 쿠리테무 셀랜네는 아이스하키 명예의 전당에 헌액된 플라잉 핀이다.[29]

4. 3. 기타 동계 스포츠

칼레 팔란데르는 알파인 스키 선수로, 카이사 먀캐라이넨은 바이애슬론 선수로 월드컵에서 3회 우승했으며, 칼레비 해키넨은 스피드 스키 선수로 활약했다.[29][14]

5. 기타 분야

조정 선수 페르티 카르피넨[1], 테니스 선수 야르코 니에미넨[1], MMA 파이터 막완 아미르카니[1], 영화 감독 유호 쿠오스마넨[1] 등이 플라잉 핀으로 불린다.

5. 1. 조정

페르티 카르피넨은 올림픽 조정 3회 챔피언을 차지한 플라잉 핀이다.[1]

5. 2. 테니스

야르코 니에미넨은 빠른 속도로 유명한 테니스 선수였다. 그는 '플라잉 핀'으로 불렸다.

5. 3. 종합격투기

막완 아미르카니는 플라잉 니 기술로 유명한 MMA 파이터이다.[1]

5. 4. 영화

유호 쿠오스마넨은 핀란드 영화 감독이자 시나리오 작가이다.[1]

5. 5. 축구

셰프키 쿠치Hibernian FC에서 선수 생활을 했으며, 팔을 벌리고 가슴으로 착지하는 독특한 골 세리머니 때문에 "플라잉 핀"이라는 별명을 얻었다.[27][12]

6. 플라잉 핀 목록


  • 육상
  • * 한네스 콜레마이넨
  • * 파보 누르미
  • * 비레 리트라
  • 축구
  • * 야리 리트마넨
  • 아이스하키
  • * 야리 쿠리
  • 스키 점프
  • * 마티 니캐넨
  • * 얀네 아호넨
  • 모터 스포츠
  • * WRC / ERC
  • ** 라우노 알토넨
  • ** 티모 매키넨
  • ** 파울리 토이보넨
  • ** 한누 미콜라
  • ** 시모 란피넨
  • ** 펜티 아이리칼라
  • ** 쿄스티 하마라이넨
  • ** 마르쿠 알렌
  • ** 티모 살로넨
  • ** 아리 바타넨
  • ** 유하 칸쿠넨
  • ** 헨리 토이보넨 (파울리의 아들)
  • ** 하리 토이보넨 (헨리 토이보넨과 동일)
  • ** 토미 매키넨
  • ** 마르쿠스 그론홀름
  • ** 하리 로반페라
  • ** 미코 히르보넨
  • ** 야리-마티 라트바라
  • ** 에사페카 라피
  • ** 칼레 로반페라 (하리의 아들)
  • * F1
  • ** 케케 로즈버그
  • ** 미카 하키넨
  • ** 미카 사로
  • ** J.J. 레토
  • ** 키미 라이코넨
  • ** 헤이키 코발라이넨
  • ** 발테리 보타스
  • * WGP
  • ** 야르노 사아리넨

참조

[1] 뉴스 1912 Stockholm https://web.archive.[...] 2006-12-29
[2] 간행물 Pony Express https://web.archive.[...] 1940-04-08
[3] 웹사이트 Flying Finns – 50 vuotta autourheilun historiaa https://web.archive.[...] 2006-12-29
[4] 웹사이트 Keke Rosberg http://www.formula1.[...] 2013-10-18
[5] 웹사이트 Flying Finn waits for an answer http://news.bbc.co.u[...] BBC Sport 2001-09-14
[6] 뉴스 Motor racing: Signs of hope for the forgotten Mika https://www.independ[...] 1998-05-31
[7] 뉴스 Ferrari president Luca Di Montezemolo confirms decision over Kimi Raikkonen return will be made in 'the next few days' https://www.independ[...] 2013-09-10
[8] 뉴스 Flying Finn crashes Renault http://www.heraldsun[...] 2007-03-01
[9] 웹사이트 Valtteri Bottas roars into Formula One with iron will to succeed https://www.theguard[...] 2013-03-11
[10] 웹사이트 The Flying Finn http://www.bikesport[...] 2006-12-29
[11] 웹사이트 Heikki Mikkola http://www.motorcycl[...] motorcyclemuseum.org 2013-01-08
[12] 웹사이트 Kuqi: The Flying Finn http://www.walesonli[...] 2009-03-22
[13] 웹사이트 Flying Finn wins Rally NZ to become youngest ever WRC champion https://www.1news.co[...] 2022-10-02
[14] 웹사이트 Olympics not just for the young https://news.google.[...] 2016-10-07
[15] 웹사이트 1912 Stockholm http://www.cbc.ca/ol[...] 2007-06-04
[16] 서적 WRC Plus 2007 Vol.2 이데아 2007
[17] 뉴스 1912 Stockholm https://web.archive.[...] 2006-12-29
[18] 잡지
[19] 웹인용 Flying Finns – 50 vuotta autourheilun historiaa https://web.archive.[...] 2006-12-29
[20] 웹인용 Keke Rosberg http://www.formula1.[...] 2013-10-18
[21] 웹인용 Flying Finn waits for an answer http://news.bbc.co.u[...] BBC Sport 2013-10-18
[22] 뉴스 Motor racing: Signs of hope for the forgotten Mika https://www.independ[...] 2013-10-18
[23] 뉴스 Ferrari president Luca Di Montezemolo confirms decision over Kimi Raikkonen return will be made in 'the next few days' https://www.independ[...] 2013-10-18
[24] 뉴스 Flying Finn crashes Renault http://www.heraldsun[...] 2013-10-18
[25] 웹인용 Valtteri Bottas roars into Formula One with iron will to succeed https://www.theguard[...] 2013-10-18
[26] 웹인용 Heikki Mikkola http://www.motorcycl[...] motorcyclemuseum.org 2013-01-08
[27] 웹인용 Kuqi: The Flying Finn http://www.walesonli[...] 2009-04-24
[28] 웹인용 Flying Finn wins Rally NZ to become youngest ever WRC champion https://www.1news.co[...] 2023-03-16
[29] 웹인용 Olympics not just for the young https://news.google.[...] 2016-10-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