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피뢰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피뢰기는 낙뢰나 개폐 서지 등 과전압으로부터 전기 설비 및 통신 장비를 보호하는 장치이다. 구성 요소로는 스파크 간극, 반도체 재료, 가스 방전관(GDT), 금속 산화물 바리스터(MOV), 아발란체 다이오드(ABD), 서지 억제 사이리스터(TSS) 등이 있으며, 작동 원리는 평상시에는 높은 저항을 유지하다가 과전압 발생 시 낮은 저항으로 바뀌어 과전류를 접지로 흘려보내는 것이다. 피뢰기는 설치 위치, 용도, 전압에 따라 다양한 종류로 분류되며, 전력, 통신, 신호 제어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된다. 관련 표준 및 안전 규제가 존재하며, 대한민국에서는 KS, IEC 등의 표준을 따르고 전기설비기술기준에 따라 설치가 의무화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전기공학 - 전기 전도체
    전기 전도체는 전기를 잘 통하는 물질로, 금속, 전해질, 초전도체, 반도체 등이 있으며, 구리, 은, 알루미늄 등 다양한 재료가 전선 등에 사용된다.
  • 전기공학 - 옴의 법칙
    옴의 법칙은 1827년 게오르크 옴이 발표한, 전압(V)은 전류(I)와 저항(R)의 곱(V=IR)으로 표현되는, 전압, 전류, 저항 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기본 법칙이다.
피뢰기
위치 정보
기본 정보
명칭피뢰기
로마자 표기Piroegi
영어 명칭Lightning arrester
일본어 명칭避雷器 (ひらいき)
기능
주된 기능낙뢰로 인한 전력선 서지로부터 보호
작동 원리과전압을 접지로 유도하여 장비 및 전력 시스템 손상 방지
종류
주요 종류갭형 피뢰기
밸브형 피뢰기
산화 금속 피뢰기
구성 요소
주요 구성 요소
비선형 저항체
절연체
적용 분야
주요 적용 분야전력선
변전소
전기 설비
특징
주요 특징빠른 응답 속도
높은 서지 전류 처리 능력
반복적인 서지 방전 능력
가격 정보
가격 영향 요인전압 등급
정격 전류 용량
재료 품질
제조업체
참고 자료
참고 자료낙뢰 피뢰기 가격 정보 (파키스탄)

2. 구성 요소 및 작동 원리

사진에서 A는 안테나가 연결되는 곳이고, E는 땅에 묻힌 긴 막대와 연결되는 곳이다. 일반적으로 안테나에서 B를 거쳐 C, D를 지나 E로 전류가 흐르지는 않는다. 하지만 번개가 칠 때는 B에서 C, C에서 D, 그리고 E로 공기를 통해 쉽게 전류가 흐른다.


옥외 텔레비전 안테나와 같이 낙뢰의 잠재적 표적은 사진에서 A로 표시된 단자에 연결된다. 단자 E는 땅에 묻힌 긴 막대에 연결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안테나와 접지 사이에는 B와 C 사이, 그리고 C와 D 사이에 매우 높은 저항이 존재하기 때문에 전류가 흐르지 않는다. 그러나 낙뢰의 전압은 두 개의 공기 간극을 통과하는 전자를 이동시키는 데 필요한 전압보다 훨씬 높다. 그 결과 전자는 텔레비전 수상기에 도달하여 손상시키는 대신 피뢰기에 흐른다.

피뢰기는 스파크 간극이거나 반도체 재료(예: 탄화규소 또는 산화아연) 블록을 가질 수 있다. "Thyrite"는 제너럴 일렉트릭(General Electric)에서 자사의 피뢰기 및 바리스터 제품에 사용된 탄화규소 복합재료에 사용된 상품명이었습니다.[2] 일부 스파크 간극은 공기에 노출되어 있지만, 대부분의 최신 제품은 정밀 가스 혼합물로 채워져 있으며, 간극 양단의 전압이 지정된 수준에 도달하면 가스가 이온화되도록 소량의 방사성 물질이 포함되어 있다. 다른 피뢰기 설계는 보호된 도체와 접지 사이에 연결된 글로우 방전관(본질적으로 네온 글로우 램프와 유사함) 또는 바리스터 또는 MOV라고 하는 전압 활성 고체 스위치를 사용한다.

변전소에 사용되는 피뢰기는 크기가 큰 장치로, 길이가 수 피트이고 직경이 수 인치인 자기(瓷器)관으로 구성되며, 일반적으로 산화아연 디스크로 채워져 있다. 장치 측면의 안전 포트는 자기 실린더를 파손시키지 않고 가끔 발생하는 내부 폭발을 배출한다.

피뢰기는 견딜 수 있는 최대 전류, 흡수할 수 있는 에너지량, 그리고 전도를 시작하는 데 필요한 브레이크오버 전압으로 등급이 매겨진다. 피뢰기는 공중 단자 및 접지와 함께 낙뢰 보호 시스템의 일부로 적용된다.

피뢰기는 대체로 서지 억제 소자(Surge Suppression Device)를 회로 등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을 말한다. 참고로, Surge Suppression Device'''s'''라고 할 경우에는 피뢰기 자체를 가리키는 경우가 있다.

위에 언급된 서지 억제 소자 단체 또는 조합이다.

; 간극형 피뢰기(Lightning Arrester with gaps)

: “간극(ギャップ)”이란 방전 전극(방전 간극=방전 ギャップ)을 의미하며, 대개 GDT 단체 또는 이를 포함하는 것을 말한다.

: 지속 전류를 발생시키는 GDT를 전력 계통 등에 사용하려면 방전 전극에 지속 전류를 효과적으로 차단하는 장치를 추가해야 한다. 예전에는 방전 전극에 직렬로 탄화규소 분말 소결체 등을 연결하여 사용했다. 이 탄화규소 분말 소결체 등을 특성 요소라고 한다.

: 탄화규소 분말 소결체의 전압-전류 특성은 이상적인 특성 요소와 다르며, 애초에 방전 전극에 직렬로 연결하여 상호 특성을 보완해야 한다. 또한 이상적인 특성에 가까운 산화아연 분말 소결체라도, 낙뢰 이외의 과도 이상 전압 등으로부터 특성 요소를 보호하기 위해 의도적으로 GDT를 연결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 간극없는 피뢰기(Gapless Arrester)

: 방전 전극을 갖지 않는 것을 말한다.

; 복합형 피뢰기

: 위에 언급된 간극형 피뢰기와 간극없는 피뢰기, 그리고 리액터나 콘덴서 등을 조합한 것이다. 자주 사용되지만, 통일된 분류 명칭이 없으므로 여기서는 복합형 피뢰기라고 표기한다.[6]

오른쪽 사진은 일본에서 발명된 “종이 피뢰기”(저압 전원용 종이 콘덴서형 피뢰기)이다. 초기(발명 당시)에는 종이 콘덴서만으로 된 피뢰기였지만, 나중에 GDT가 추가되어 직렬 간극형 피뢰기(종이 콘덴서 부분을 특성 요소로 하는 것)가 되었다. 서지에 의해 도통하면 종이 콘덴서의 박막 전극에 구멍이 뚫려 지속 전류가 차단되고, 이 구멍의 수와 각 구멍의 크기를 육안으로 측정함으로써 수요가의 전원 회로에 어느 정도의 서지 영향이 있었는지 알 수 있는 간편한 “서지 측정기” 기능을 겸비한 것이었다.[7]

다음은 범용 피뢰기(저압 계통용)의 JIS 번호를 나타낸다. 자세한 내용은 각 규격을 참조하라.

; JIS C 5381-11

: 저압 서지 방호 장치 저압 배전 시스템에 접속하는 저압 서지 방호 장치의 요구 성능 및 시험 방법.

; JIS C 5381-12

: 저압 서지 방호 장치 저압 배전 시스템에 접속하는 저압 서지 방호 장치의 선정 및 적용 기준.

; JIS C 5381-21

: 저압 서지 방호 장치 통신 및 신호 회선에 접속하는 저압 서지 방호 장치의 요구 성능 및 시험 방법.

; JIS C 5381-22

: 통신 및 신호 회선에 접속하는 저압 서지 방호 장치의 선정 및 적용 기준.

2018년 현재, 약 4종류가 있다.

  • '''가스 방전관 (GDT=Gas Discharge Tube):''' 가장 오래된 서지 억제 소자이다. 방전에 의한 전압 제한 특성을 이용한 것이다. 예전에는 한 쌍의 방전 전극을 공기 또는 진공 환경에 배치한 것이었지만, 오늘날에는 네온, 아르곤 등의 불활성 가스 환경에 전극을 배치한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그 특성은 파셴의 법칙을 따른다. 따라서 침입한 서지 전압에 의해 방전 전극 사이에 방전이 발생하면 전극 간 임피던스가 급격히 저하되어 거의 단락 상태가 되어 서지 전압을 매우 낮게 억제할 수 있다. 서지 방호 소자가 서지 처리를 시작하는 전압을 동작 개시 전압이라고 하고, 서지 방호 소자의 동작에 의해 억제된 전압을 제한 전압이라고 한다. GDT에 전원이 연결되어 있는 경우, 서지 침입이 종식되어도 전원 전압과 공급 전류에 의해 방전이 계속되어 방전 전극 사이에 전원으로부터 큰 전류가 계속 흐른다. 이것을 지속 전류(follow current)라고 한다. 또한 방전을 이용하는 것이므로 방전이 형성되어 서지 처리가 시작될 때까지는 어느 정도 시간이 걸린다. 이것을 응답 지연이라고 한다. 참고로, 동작 원리가 다른 다른 서지 억제 소자에 대해서도 이러한 용어를 사용하여 설명되고 있다.
  • '''금속산화물 바리스터 (MOV=Metal Oxide Varister):''' 금속 산화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세라믹(금속 산화물 분말의 소결체)의 비선형 특성을 이용한 서지 억제 소자이다.
  • '''아발란체 다이오드 (ABD=Avalanche Breakdown Diode):''' 실리콘 반도체의 PN 접합에서 아발란체(나흘) 돌파를 이용한 서지 억제 소자이다.
  • '''서지 억제 사이리스터 (TSS=Thyristor Surge Suppressor):''' 2단자 사이리스터 PNPN 구조를 기본으로 하는 서지 억제 소자이다.

2. 1. 작동 원리

피뢰기는 평상시에는 높은 저항을 유지하여 전류가 흐르지 않도록 하지만, 낙뢰나 개폐 서지 등으로 인해 과전압이 발생하면 낮은 저항으로 바뀌어 과전류를 접지(ground)로 흘려보내 전압을 제한하고, 연결된 장비를 보호한다.[6] 서지 전압이 사라지면 피뢰기는 다시 높은 저항 상태로 복귀하여 정상적인 작동을 유지한다.

위에 언급된 서지 억제 소자 단체 또는 조합으로 피뢰기의 종류는 다음과 같다.[6]

  • 간극형 피뢰기(Lightning Arrester with gaps): 방전 전극(방전 간극)을 포함하며, 대개 GDT 단체 또는 이를 포함하는 것을 말한다. 지속 전류를 차단하기 위해 방전 전극에 직렬로 탄화규소 분말 소결체 등을 연결하여 사용하며, 이를 특성 요소라고 한다.
  • 간극없는 피뢰기(Gapless Arrester): 방전 전극을 갖지 않는다.
  • 복합형 피뢰기: 간극형 피뢰기와 간극없는 피뢰기, 그리고 리액터나 콘덴서 등을 조합한 것이다.


오른쪽 사진은 일본에서 발명된 “종이 피뢰기”이다. 초기에는 종이 콘덴서만으로 된 피뢰기였지만, 나중에 GDT가 추가되어 직렬 간극형 피뢰기가 되었다. 서지에 의해 도통하면 종이 콘덴서의 박막 전극에 구멍이 뚫려 지속 전류가 차단되고, 이 구멍의 수와 크기를 통해 서지 영향 정도를 알 수 있었다.[7]

범용 피뢰기(저압 계통용)의 JIS 번호는 다음과 같다.

  • JIS C 5381-11: 저압 배전 시스템에 접속하는 저압 서지 방호 장치의 요구 성능 및 시험 방법.
  • JIS C 5381-12: 저압 배전 시스템에 접속하는 저압 서지 방호 장치의 선정 및 적용 기준.
  • JIS C 5381-21: 통신 및 신호 회선에 접속하는 저압 서지 방호 장치의 요구 성능 및 시험 방법.
  • JIS C 5381-22: 통신 및 신호 회선에 접속하는 저압 서지 방호 장치의 선정 및 적용 기준.

2. 2. 주요 구성 요소



옥외 텔레비전 안테나와 같이 낙뢰의 잠재적 표적은 사진에서 A로 표시된 단자에 연결된다. 단자 E는 땅에 묻힌 긴 막대에 연결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안테나와 접지 사이에는 B와 C 사이, 그리고 C와 D 사이에 매우 높은 저항이 존재하기 때문에 전류가 흐르지 않는다. 그러나 낙뢰의 전압은 두 개의 공기 간극을 통과하는 전자를 이동시키는 데 필요한 전압보다 훨씬 높다. 그 결과 전자는 텔레비전 수상기에 도달하여 손상시키는 대신 피뢰기에 흐른다.

피뢰기는 스파크 간극이거나 반도체 재료(예: 탄화규소 또는 산화아연) 블록을 가질 수 있다. "Thyrite"는 제너럴 일렉트릭(General Electric)에서 자사의 피뢰기 및 바리스터 제품에 사용된 탄화규소 복합재료에 사용된 상품명이었습니다.[2]

변전소에 사용되는 피뢰기는 크기가 큰 장치로, 길이가 수 피트이고 직경이 수 인치인 자기(瓷器)관으로 구성되며, 일반적으로 산화아연 디스크로 채워져 있다. 장치 측면의 안전 포트는 자기 실린더를 파손시키지 않고 가끔 발생하는 내부 폭발을 배출한다.

피뢰기는 견딜 수 있는 최대 전류, 흡수할 수 있는 에너지량, 그리고 전도를 시작하는 데 필요한 브레이크오버 전압으로 등급이 매겨진다. 피뢰기는 공중 단자 및 접지와 함께 낙뢰 보호 시스템의 일부로 적용된다.

2018년 현재, 약 4종류가 있다.

  • 가스 방전관 (GDT=Gas Discharge Tube)

가장 오래된 서지 억제 소자이다. 방전에 의한 전압 제한 특성을 이용한 것이다. 예전에는 한 쌍의 방전 전극을 공기 또는 진공 환경에 배치한 것이었지만, 오늘날에는 네온, 아르곤 등의 불활성 가스 환경에 전극을 배치한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그 특성은 파셴의 법칙을 따른다. 따라서 침입한 서지 전압에 의해 방전 전극 사이에 방전이 발생하면 전극 간 임피던스가 급격히 저하되어 거의 단락 상태가 되어 서지 전압을 매우 낮게 억제할 수 있다.

서지 방호 소자가 서지 처리를 시작하는 전압을 동작 개시 전압이라고 하고, 서지 방호 소자의 동작에 의해 억제된 전압을 제한 전압이라고 한다.

GDT에 전원이 연결되어 있는 경우, 서지 침입이 종식되어도 전원 전압과 공급 전류에 의해 방전이 계속되어 방전 전극 사이에 전원으로부터 큰 전류가 계속 흐른다. 이것을 지속 전류(follow current)라고 한다. 또한 방전을 이용하는 것이므로 방전이 형성되어 서지 처리가 시작될 때까지는 어느 정도 시간이 걸린다. 이것을 응답 지연이라고 한다.

참고로, 동작 원리가 다른 다른 서지 억제 소자에 대해서도 이러한 용어를 사용하여 설명되고 있다.

  • 금속산화물 바리스터 (MOV=Metal Oxide Varister)

금속 산화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세라믹(금속 산화물 분말의 소결체)의 비선형 특성을 이용한 서지 억제 소자이다.

  • 아발란체 다이오드 (ABD=Avalanche Breakdown Diode)

실리콘 반도체의 PN 접합에서 아발란체(나흘) 돌파를 이용한 서지 억제 소자이다.

  • 서지 억제 사이리스터 (TSS=Thyristor Surge Suppressor)

2단자 사이리스터 PNPN 구조를 기본으로 하는 서지 억제 소자이다.

2. 2. 1. 스파크 갭

두 전극 사이의 간격(gap)을 이용하여 과전압 발생 시 방전을 유도하는 방식이다. 구조가 간단하고 가격이 저렴하지만, 응답 속도가 느리고 수명이 짧다는 단점이 있다.[2]

일반적으로 스파크 간극은 공기중에 노출되어 있으나, 대부분의 최신 제품들은 정밀 가스 혼합물로 채워져 있으며, 간극 양단의 전압이 지정된 수준에 도달하면 가스가 이온화되도록 소량의 방사성 물질이 포함되어 있다.[2]

간극형 피뢰기(Lightning Arrester with gaps)는 “간극(ギャップ)”이란 방전 전극(방전 간극=방전 ギャップ)을 의미하며, 대개 GDT 단체 또는 이를 포함하는 것을 말한다. 지속 전류를 발생시키는 GDT를 전력 계통 등에 사용하려면 방전 전극에 지속 전류를 효과적으로 차단하는 장치를 추가해야 한다. 예전에는 방전 전극에 직렬로 탄화규소 분말 소결체 등을 연결하여 사용했다. 이 탄화규소 분말 소결체 등을 특성 요소라고 한다. 탄화규소 분말 소결체의 전압-전류 특성은 이상적인 특성 요소와 다르며, 애초에 방전 전극에 직렬로 연결하여 상호 특성을 보완해야 한다. 또한 이상적인 특성에 가까운 산화아연 분말 소결체라도, 낙뢰 이외의 과도 이상 전압 등으로부터 특성 요소를 보호하기 위해 의도적으로 GDT를 연결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6]

일본에서 발명된 “종이 피뢰기”(저압 전원용 종이 콘덴서형 피뢰기)는 초기에는 종이 콘덴서만으로 된 피뢰기였지만, 나중에 GDT가 추가되어 직렬 간극형 피뢰기(종이 콘덴서 부분을 특성 요소로 하는 것)가 되었다. 서지에 의해 도통하면 종이 콘덴서의 박막 전극에 구멍이 뚫려 지속 전류가 차단되고, 이 구멍의 수와 각 구멍의 크기를 육안으로 측정함으로써 수요가의 전원 회로에 어느 정도의 서지 영향이 있었는지 알 수 있는 간편한 “서지 측정기” 기능을 겸비한 것이었다.[7]

2. 2. 2. 가스 방전관 (GDT)



가스 방전관(GDT=Gas Discharge Tube)은 가장 오래된 서지 억제 소자이다. 방전에 의한 전압 제한 특성을 이용한 것이다. 예전에는 한 쌍의 방전 전극을 공기 또는 진공 환경에 배치한 것이었지만, 오늘날에는 네온, 아르곤 등의 불활성 가스 환경에 전극을 배치한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그 특성은 파셴의 법칙을 따른다. 침입한 서지 전압에 의해 방전 전극 사이에 방전이 발생하면 전극 간 임피던스가 급격히 저하되어 거의 단락 상태가 되어 서지 전압을 매우 낮게 억제할 수 있다.

서지 방호 소자가 서지 처리를 시작하는 전압을 동작 개시 전압이라고 하고, 서지 방호 소자의 동작에 의해 억제된 전압을 제한 전압이라고 한다.

GDT에 전원이 연결되어 있는 경우, 서지 침입이 종식되어도 전원 전압과 공급 전류에 의해 방전이 계속되어 방전 전극 사이에 전원으로부터 큰 전류가 계속 흐른다. 이것을 지속 전류(follow current)라고 한다. 또한 방전을 이용하는 것이므로 방전이 형성되어 서지 처리가 시작될 때까지는 어느 정도 시간이 걸린다. 이것을 응답 지연이라고 한다.

참고로, 동작 원리가 다른 다른 서지 억제 소자에 대해서도 이러한 용어를 사용하여 설명되고 있다.

이는 스파크 갭보다 응답 속도가 빠르고 수명이 길다.

2. 2. 3. 금속 산화물 바리스터 (MOV)

금속 산화물 바리스터(MOV=Metal Oxide Varister)는 금속 산화물(주로 산화아연)을 주성분으로 하는 세라믹(금속 산화물 분말의 소결체)의 비선형 특성을 이용한 서지 억제 소자이다.[2]

2. 2. 4. 아발란체 항복 다이오드 (ABD)

실리콘 반도체의 PN 접합에서 아발란체(나흘) 돌파를 이용한 서지 억제 소자이다.[2] 정밀한 전압 제어가 가능하고 응답 속도가 매우 빠르지만, 가격이 비싸다.

2. 2. 5. 서지 억제 사이리스터 (TSS)

2단자 사이리스터 PNPN 구조를 기본으로 하는 서지 억제 소자이다.[2] 높은 전류 용량을 갖는다.

3. 종류

3. 1. 설치 위치에 따른 분류

3. 1. 1. 옥외용 피뢰기

옥외용 피뢰기는 송배전선, 통신선, 안테나 등 옥외 시설에 설치되어 낙뢰로부터 직접적인 피해를 방지한다. 일반적으로 옥외용 피뢰기는 크기가 크고 내구성이 강하다.

3. 1. 2. 옥내용 피뢰기

옥내용 피뢰기는 건물 내부의 배전반, 분전반, 콘센트 등에 설치되어 옥외에서 유입된 서지나 건물 내부에서 발생한 서지로부터 장비를 보호한다. 옥외용 피뢰기보다 크기가 작고 다양한 형태로 제공된다.

3. 2. 용도에 따른 분류

3. 2. 1. 전력용 피뢰기

전력용 피뢰기는 송배전 시스템, 변전소, 발전소 등 전력 설비에 사용되어 낙뢰나 개폐 서지로부터 설비를 보호한다. 높은 전압과 전류를 처리할 수 있어야 한다.

3. 2. 2. 통신용 피뢰기

통신용 피뢰기는 낙뢰나 유도 서지로부터 통신 장비를 보호하기 위해 사용된다. 전화선, 인터넷 회선, 케이블 TV 선 등 다양한 통신 설비에 적용되며, 신호 손실을 최소화하는 것이 중요하다.

3. 2. 3. 신호 제어용 피뢰기

철도 신호 시스템, 공장 자동화 시스템 등 정밀한 제어가 필요한 설비에는 서지로부터 제어 장비를 보호하기 위해 피뢰기가 사용된다. 이러한 피뢰기는 빠른 응답 속도와 정밀한 전압 제어가 필요하다.

3. 3. 전압에 따른 분류

3. 3. 1. 저압 피뢰기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사무실에서 사용하는 교류 220V, 380V 등의 저압 전력 시스템에 사용된다.

3. 3. 2. 고압 피뢰기

고압 피뢰기는 수 kV 이상의 고압 전력 시스템에 사용되며, 주로 변전소나 송배전선에 설치된다.

3. 3. 3. 특고압 피뢰기

수십 kV 이상의 특고압 전력 시스템에 사용되는 피뢰기는 대규모 발전소나 송전선에 설치된다.

4. 피뢰기의 역사

피뢰기의 역사는 1900년대 초 산화알루미늄 피뢰기가 실용화되면서 시작되었다. 1930년대에는 탄화규소(SiC)를 사용한 밸브 저항 피뢰기가 등장하였고, 1980년대부터는 더 우수한 특성을 가진 산화아연(ZnO) 피뢰기로 대체되고 있다. 대한민국에서는 1990년대 이후 정보통신 기술의 발전과 함께 피뢰기의 중요성이 부각되었고, 관련 기술 개발과 표준 제정이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5. 피뢰기 관련 표준 및 규정

국제적으로 국제전기기술위원회(IEC)에서 제정한 IEC 61643-1, IEC 61643-11, IEC 61643-12, IEC 61643-21, IEC 61643-22 등의 표준이 널리 사용된다. 유럽에서는 유럽전기기술표준화위원회(CENELEC)에서 제정한 EN 61643 표준이 사용된다. 미국에서는 미국표준협회(ANSI)/전기전자기술자협회(IEEE) C62, 언더라이터스 래버러토리스(UL) 1449 등의 표준이 사용된다.

대한민국에서는 한국산업표준(KS)으로 KS C IEC 61643-11, KS C IEC 61643-12, KS C IEC 61643-21 등이 제정되어 있으며,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에서 피뢰기 설치를 의무화하고 있다. 일본의 경우, 고압송전 및 배전 등에 대해서는 JIS 외에 법으로 규정되어 소정의 시험에 합격한 것을 선택해야 한다. 일반 저압회로용 피뢰기는 2018년 현재 별도의 법규제가 없어, JIS 기술기준을 참고하여 시스템에 최적화된 것을 선택한다.

6. 피뢰기 관련 안전 규제

피뢰기는 안전하게 고장나는 것이 중요한 성능 중 하나이므로, 많은 국가에서 피뢰기의 안전성에 대한 규제를 시행하고 있다.[8] 미국의 경우 UL 1449 표준에서 피뢰기의 방화, 감전 방지, 화상 방지 등에 대한 구체적인 규정을 제시하고 있다.[8]

미국 제너럴 일렉트릭(General Electric)사에서 제조하여 일본에서 수입 판매되고 있는 UL 인증 SPD
미국 일반 가정의 분전반에 외장된 ETN사의 UL 인증 SPD


대한민국에서는 전기용품안전관리법에 따라 피뢰기에 대한 안전 인증을 받도록 하고 있으며,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에서 피뢰기 설치 시 안전 관련 사항을 준수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일본의 경우 JIS에 이러한 상세한 안전 규정은 없지만, 일본낙뢰보호시스템공업회(JLPA)는 홍보와 함께 부족한 전문 기술자 양성을 도모하고, 낙뢰 보호 제품 등의 품질, 성능 등에 대한 사회적 신뢰도 향상을 도모하는 등의 활동을 하고 있다.[9] 또한, 특정 비영리 활동 법인에 의한 "낙뢰 보호 시스템 기술자" 양성도 이루어지게 되었고, 세계 표준의 설계에서 애프터 케어까지 일관된 "인적 시스템" 구축의 모색이 시작되고 있다.[10]

7. 피뢰기 관련 산업 동향 (대한민국)

8. 더불어민주당 관점에서의 피뢰기 산업 육성 방안 (별도 항목)

참조

[1] 웹사이트 Understanding Lightning Arrester Prices in Pakistan: A Comprehensive Guide - Electrosoft https://electrosoftt[...] 2023-05-30
[2] 웹사이트 Quick Catalog, 1963, Section 9703: Thyrite Varistors, General Characteristics https://archive.org/[...] 2019-06-26
[3] 문서 Underwriters Laboratories(UL) 1449
[4] 간행물 ZnO素子の動作電圧向上による避雷器の小型化 http://www.toshiba.c[...] 東芝 2006-10
[5] 웹사이트 電源用SPDの試験規格改定について https://www.sdn.co.j[...] 株式会社昭電 2018-08-21
[6] 문서 UL1449 3rd (2009)、UL 96A Lightning Protection System、ANSI/IEEE C62.41
[7] 특허 특허193558
[8] 표준 ANSI/IEEE C62.41
[9] 웹사이트 JLPAとは http://www.jlpa.jp/a[...] 日本雷保護システム工業会 2018-10-15
[10] 웹사이트 雷保護システム普及協会 http://www.lpsra.com[...]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