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피카츄와 포켓몬 음악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피카츄와 포켓몬 음악대는 2015년에 공개된 극장 단편 애니메이션이다. 이 작품은 피카츄와 다른 포켓몬들이 열매 축제에서 공연을 준비하며 겪는 이야기를 다루고 있다. 소노다 히데키가 각본을 담당하고, 유야마 쿠니히코가 감독을 맡았다. 주제가인 "가오가오 올스타"는 리틀 글리 몬스터가 불렀다. 또한 이 작품과 연계된 스마트폰 리듬 게임이 출시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포켓몬스터 극장판 - 메로엣타의 반짝반짝 음악회
    유야마 쿠니히코 감독의 포켓몬스터 극장판 애니메이션 영화인 메로엣타의 반짝반짝 음악회는 지우와 피카츄, 메로엣타 등이 등장하여 메로엣타의 노래로 사람들의 마음을 치유하는 이야기를 그리며 흥행과 사회문화적으로 큰 영향을 미쳤다.
  • 포켓몬스터 극장판 - 포켓몬스터: 성도지방 이야기, 최종장
    포켓몬스터: 성도지방 이야기, 최종장은 포켓몬스터 시리즈의 특별편으로 성도지방을 배경으로 한 한지우, 피카츄, 최이슬, 웅 등의 이야기를 다루며 포켓몬코리아에서는 2024년 극장판으로 취급, 과거 시청자들의 향수를 자극하여 성인 관람객의 관람 또한 전망된다.
  • 2015년 애니메이션 영화 - 몬스터 호텔 2
    《몬스터 호텔 2》는 드라큘라가 손자 데니스를 몬스터로 만들기 위해 훈련시키고, 마비스는 데니스를 인간 세상에서 키우려 하면서 갈등이 생기지만, 몬스터와 인간이 서로를 이해하고 화합하는 내용을 담은 영화이다.
  • 2015년 애니메이션 영화 - 드래곤볼 Z: 부활의 F
    2015년에 개봉한 드래곤볼 극장판 애니메이션 《드래곤볼 Z: 부활의 F》는 프리저 군 잔당의 침공과 프리저의 부활에 맞서 싸우는 손오공과 베지터의 이야기를 그리며, 토리야마 아키라가 직접 각본을 맡았고 초사이어인 갓 초사이어인과 골든 프리저가 처음 등장한다.
피카츄와 포켓몬 음악대 - [영화]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피카츄와 포켓몬 음악대 포스터
피카츄와 포켓몬 음악대 포스터
원제ピカチュウと ポケモン おんがくだい
감독유야마 쿠니히코
각본소노다 히데키
원안다지리 사토시
마스다 준이치
스기모리 겐
제작피카츄 프로젝트
해설야마모토 미즈키
출연오타니 이쿠에
주제가Little Glee Monster 「가오가오 올스타」
배급사도호
개봉일2015년 7월 18일
상영 시간15분
언어일본어
전작피카츄, 이건 무슨 열쇠야?

2. TV 애니메이션 시리즈

2. 1. 오리지널 시리즈 (1997-2002)

1997년부터 2002년까지 방영된 오리지널 시리즈는 지우가 포켓몬 마스터가 되기 위한 여정을 시작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이 여정은 관동 지방을 시작으로, 오렌지 제도를 거쳐 성도 지방까지 이어진다. 주요 등장인물로는 피카츄, 나옹, 데덴네, 마자용 등이 있다.

2. 2. AG 시리즈 (2002-2006)

2. 3. DP 시리즈 (2006-2010)

2. 4. 베스트위시 시리즈 (2010-2013)

2. 5. XY 시리즈 (2013-2016)

2. 6. 썬&문 시리즈 (2016-2019)

2. 7. W 시리즈 (2019-2022)

2. 8. W: 내 꿈은 포켓몬마스터 (2023)

2. 9. 포켓몬스터 (2023년 애니메이션) (2023~)

3. 극장판 애니메이션

소노다 히데키가 2000년의 『피츄와 피카츄』 이후 15년 만에 극장 단편 제10탄의 각본을 담당하였다.[1] 전작에는 미등장했던 불화살빈, 음뱃, 파르빗, 렌트라 , 액슨이 단편 영화에 처음 등장하며, 호바귀가 애니메이션 본편에 앞서 펌킨인으로 진화하는 형태로 역시 처음 등장한다. 본작의 주제가인 "가오가오 올스타"의 TV판 영상에서는 이브이도 등장했지만, 본편에는 등장하지 않는다.

본작을 마지막으로 극장 단편 제작은 다시 휴지되었다. 다음 해에 공개된 『볼케니온과 기교의 마기아나』에서 총괄 프로듀서를 맡은 오카모토 준야에 따르면, 본작은 꽤 실험적이고 도전적인 작품이었기에 유야마 쿠니히코를 비롯한 스태프도 다 해냈다는 느낌이 들었기 때문이라고 한다.[2]

3. 1. 오리지널 시리즈 극장판

3. 2. AG 시리즈 극장판

3. 3. DP 시리즈 극장판

3. 4. 베스트위시 시리즈 극장판

3. 5. XY 시리즈 극장판

3. 6. 리메이크 및 리부트 극장판

4. 기타 작품

5. 제작진


  • 원안 - 타지리 사토시, 마스다 준이치, 스기모리 켄
  • 슈퍼바이저 - 이시하라 츠네카즈, 쿠보 마사카즈
  • 애니메이션 감수 - 오다베 요이치
  • 이그제큐티브 프로듀서 - 아사이 미토무, 미야하라 토시오
  • 제작 - 쿠보 마사카즈, 이토 켄지로, 해롤드 조지 메이, 엔도 코이치, 엔도 마사사토, 츠즈키 신이치로
  • 애니메이션 프로듀서 - 카메이 야스히데
  • 애니메이션 코디네이터 - 노모토 타케시, 요시카와 쵸지
  • 각본 - 소노다 히데키
  • 콘티・연출 - 미우라 요우
  • 캐릭터 디자인・총 작화 감독 - 이시즈키 사유리
  • 작화 감독 - 타지마 미즈호, 타케우치 쿄코, 요시노 신이치, 오와시 히데토시
  • 동화 체크 - 에노모토 후지카 / 엔다 토모요, 스즈키 세나, 와카우미 에리카
  • 색채 설계・색 지정・마무리 체크 - 사토 나오
  • 특수 효과 - OLM, 오오타 노리유키
  • 미술 감독 - 카토 켄지
  • 배경 - 스튜디오 파인우드
  • 촬영 감독 - 야마코시 코지
  • 촬영 - 트라이패드
  • 편집 - 헨미 토시오
  • 편집 조수 - 제이 필름, 노가와 히토시, 코모리 마유미
  • CGI - OLM Digital
  • CGI 프로듀서 - 사카 미사코
  • CGI 슈퍼바이저 - 콘도 준
  • CGI 디렉터 - 이토 료타
  • 음향 감독 - 미마 마사후미
  • 음악 프로듀서 - 사이토 유지, 타니자와 요시노부, 사노 히로아키
  • 음악 - 마루야 마나부, 타다 아키후미
  • 음향 프로듀서 - 미나미자와 미치요시, 니시나 타케시
  • 음향 효과 - 진보 다이스케
  • 제작 데스크 - 사사키 타카유키
  • 설정 제작 - 스즈모리 류
  • 제작 진행 - 우에노 사토시
  • 제작 협력 - 사와다 고
  • 애니메이션 제작 - OLM Team Kamei
  • 랩 - IMAGICA
  • 어시스턴트 프로듀서 - 치쿠 아츠시, 무라츠바키 타쿠로, 사카모토 코타로, 오리카타 타카시, 우미노 치하루, 이시모토 쥰야, 야마우치 미라이
  • 데스크 - 하타베 마리코, 미야시타 미즈호, 사사키 마이코
  • 프로듀서 - 시모다이라 사토시, 마츠야마 스스무, 아라이 켄이치, 오카모토 준야
  • 제작 - 피카츄 프로젝트 (The Pokémon Company, 쇼가쿠칸, TV 도쿄, 타카라토미, JR 동일본 기획, OLM, 쇼가쿠칸 슈에이샤 프로덕션)
  • 감독 - 유야마 쿠니히코

5. 1. 피카츄 프로젝트 (제작 위원회)

The Pokémon Company, 쇼가쿠칸, TV 도쿄, 타카라토미, JR 동일본 기획, OLM, 쇼가쿠칸 슈에이샤 프로덕션이 피카츄 프로젝트를 구성하였다. 원안은 타지리 사토시, 마스다 준이치, 스기모리 켄이 담당했다. 슈퍼바이저로는 이시하라 츠네카즈와 쿠보 마사카즈가 참여했다. 애니메이션 감수는 오다베 요이치가 맡았다. 이그제큐티브 프로듀서는 아사이 미토무와 미야하라 토시오이다. 제작에는 쿠보 마사카즈, 이토 켄지로, 해롤드 조지 메이, 엔도 코이치, 엔도 마사사토, 츠즈키 신이치로가 참여했다. 애니메이션 프로듀서는 카메이 야스히데이다. 애니메이션 코디네이터는 노모토 타케시와 요시카와 쵸지가 담당했다. 각본은 소노다 히데키가 맡았고, 콘티와 연출은 미우라 요우가 담당했다. 캐릭터 디자인 및 총 작화 감독은 이시즈키 사유리가 담당했다. 작화 감독은 타지마 미즈호, 타케우치 쿄코, 요시노 신이치, 오와시 히데토시가 맡았다.

5. 2. 주요 제작진

원안은 타지리 사토시, 마스다 준이치, 스기모리 켄이 담당했다. 슈퍼바이저로는 이시하라 츠네카즈와 쿠보 마사카즈가 참여했다. 애니메이션 감수는 오다베 요이치가 맡았다. 이그제큐티브 프로듀서로는 아사이 미토무와 미야하라 토시오가 참여했다. 제작에는 쿠보 마사카즈, 이토 켄지로, 해롤드 조지 메이, 엔도 코이치, 엔도 마사사토, 츠즈키 신이치로가 참여했다.

애니메이션 프로듀서는 카메이 야스히데가 담당했고, 애니메이션 코디네이터는 노모토 타케시와 요시카와 쵸지가 담당했다. 각본은 소노다 히데키가 맡았고, 콘티와 연출은 미우라 요우가 담당했다. 캐릭터 디자인과 총 작화 감독은 이시즈키 사유리가 담당했다. 작화 감독은 타지마 미즈호, 타케우치 쿄코, 요시노 신이치, 오와시 히데토시가 담당했다.

동화 체크는 에노모토 후지카, 엔다 토모요, 스즈키 세나, 와카우미 에리카가 담당했다. 색채 설계, 색 지정, 마무리 체크는 사토 나오가 담당했다. 특수 효과는 OLM과 오오타 노리유키가 담당했다. 미술 감독은 카토 켄지, 배경은 스튜디오 파인우드가 담당했다. 촬영 감독은 야마코시 코지, 촬영은 트라이패드가 담당했다.

편집은 헨미 토시오가 담당했고, 편집 조수는 제이 필름, 노가와 히토시, 코모리 마유미가 담당했다. CGI는 OLM Digital이 담당했고, CGI 프로듀서는 사카 미사코, CGI 슈퍼바이저는 콘도 준, CGI 디렉터는 이토 료타가 담당했다. 음향 감독은 미마 마사후미가 담당했다.

음악 프로듀서는 사이토 유지, 타니자와 요시노부, 사노 히로아키가 담당했고, 음악은 마루야 마나부와 타다 아키후미가 담당했다. 음향 프로듀서는 미나미자와 미치요시, 니시나 타케시가 담당했고, 음향 효과는 진보 다이스케가 담당했다. 제작 데스크는 사사키 타카유키, 설정 제작은 스즈모리 류가 담당했다. 제작 진행은 우에노 사토시, 제작 협력은 사와다 고가 담당했다.

애니메이션 제작은 OLM Team Kamei가 담당했고, 랩은 IMAGICA가 담당했다. 어시스턴트 프로듀서는 치쿠 아츠시, 무라츠바키 타쿠로, 사카모토 코타로, 오리카타 타카시, 우미노 치하루, 이시모토 쥰야, 야마우치 미라이가 담당했다. 데스크는 하타베 마리코, 미야시타 미즈호, 사사키 마이코가 담당했다.

프로듀서는 시모다이라 사토시, 마츠야마 스스무, 아라이 켄이치, 오카모토 준야가 담당했다. 제작은 피카츄 프로젝트 (The Pokémon Company, 쇼가쿠칸, TV 도쿄, 타카라토미, JR 동일본 기획, OLM, 쇼가쿠칸 슈에이샤 프로덕션)가 담당했다. 감독은 유야마 쿠니히코가 담당했다.

6. '피카츄, 이건 무슨 열쇠야?' 상세 정보

6. 1. 개요

6. 2. 줄거리

오늘은 포켓몬들이 고대하던 "열매 축제" 날이다. 피카츄들은 그 "열매 축제"에서 발표할 노래 연습 중이다. 하지만 그런 와중에 피카츄들에게 여러 가지 해프닝이 닥친다.

포켓몬들은 무사히 "열매 축제"를 맞이할 수 있을까.

6. 3. 등장 포켓몬

피카츄, 나옹, 데덴네, 마자용이(가) 등장한다.

6. 4. 주제가

엔딩 테마는 "가오가오・올스타"이다. 노래는 리틀 글리 몬스터가 불렀으며, 작사·작곡·편곡은 마루야 마나부가 맡았다. 음악 협력은 타니자와 요시노부(소니 뮤직 레코즈)가 담당했다.

6. 5. 관련 게임

iOS 및 안드로이드용으로 배포된 스마트폰 게임으로, 2015년 6월 30일부터 같은 해 9월 30일까지 한정 배포되었다. 10월 31일까지 플레이가 가능했다. 영화의 세계를 재현한 리듬 게임이다. 초기 플레이 가능 곡은 "가오가오 올스타"뿐이었지만, 업데이트를 통해 "겟타 뱅뱅", "전투! 야생 포켓몬"도 플레이 가능하게 되었다.

참조

[1] 문서 前作に登場した物と声優は同じだが、別固体である。
[2] 뉴스 ポケモン短編映画が今年「おやすみ」の理由 https://www.cinemato[...] シネマトゥデイ 2016-06-2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