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피터, 폴 앤 메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피터, 폴 앤 메리는 1961년 결성된 미국의 포크 음악 트리오로, 피터 야로우, 노엘 폴 스토키, 메리 트래버스로 구성되었다. 1962년 데뷔 앨범을 발표하며 "레몬 트리", "500 마일", "퍼프" 등의 히트곡으로 인기를 얻었다. 이들은 시민권 운동과 사회 정의를 위한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했으며, 1970년 해체 후 1978년 재결합하여 활동을 이어갔다. 1999년 보컬 그룹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으며, 2009년 메리 트래버스의 사망으로 활동을 중단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61년 결성된 음악 그룹 - 비치 보이스
    비치 보이스는 1958년 결성된 미국의 록 밴드로, 서핑 문화를 주제로 한 음악으로 시작하여 실험적인 작품을 통해 음악적 성장을 이루었으며, 브라이언 윌슨의 건강 문제 등 어려움 속에서도 활동을 이어갔다.
  • 1961년 결성된 음악 그룹 - 쿠로사와 아키라와 로스 프리모스
    1965년 결성된 일본 남성 그룹 쿠로사와 아키라와 로스 프리모스는 "눈물과 함께"와 "러브 유 도쿄"로 데뷔하여 "러브 유 도쿄"의 오리콘 차트 1위, '긴자 시리즈' 발표, NHK 홍백가합전 첫 출전 등 다양한 활동을 펼쳤다.
  • 1970년 해체된 음악 그룹 - 비틀즈
    1960년대 영국에서 결성되어 혁신적인 음악과 문화적 현상을 일으키며 세계적인 인기를 얻었지만 멤버 간의 갈등으로 1970년 해산한 존 레논, 폴 매카트니, 조지 해리슨, 링고 스타로 구성된 록 밴드가 비틀즈이다.
  • 1970년 해체된 음악 그룹 - 사이먼 & 가펑클
    사이먼 & 가펑클은 폴 사이먼과 아트 가펑클로 이루어진 미국의 남성 듀오로, 1960년대에 "The Sound of Silence", "Mrs. Robinson", "Bridge over Troubled Water" 등의 히트곡으로 큰 성공을 거두었으며, 포크 록 기반의 실험적인 음악 스타일로 1990년 로큰롤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피터, 폴 앤 메리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피터, 폴 앤 메리 홍보 사진. 왼쪽부터 폴 스투키, 피터 야로, 메리 트래버스 (1968년경)
왼쪽부터 폴 스투키, 피터 야로, 메리 트래버스 (1968년경)
장르포크 음악
팝 음악
활동 기간1961년 - 1970년
1978년 - 2009년
레이블워너 브라더스 레코드
웹사이트피터, 폴 앤 메리 공식 웹사이트
이전 멤버폴 스투키
메리 트래버스
피터 야로
멤버 정보
현재 멤버피터 야로 (보컬, 기타)
노엘 폴 스투키 (보컬, 기타)
메리 트래버스 (보컬)

2. 역사

1961년 매니저 앨버트 그로스먼에 의해 결성되었다. 그로스먼은 멤버들의 이미지를 고려하여 그룹을 구성했으며, 결성 직후 뉴욕 그리니치 빌리지의 유명 클럽 '비터 엔드'에서 활동을 시작했다.

1962년 "레몬 트리"로 데뷔했으며[17], 같은 해 발매한 첫 앨범 『피터, 폴 앤 메리』는 "500 마일", "꽃은 어디로 갔나", 피트 시거의 "천사의 망치" 등을 포함하며 빌보드 차트에서 오랫동안 큰 성공을 거두었다. 1963년에는 "퍼프"[18]밥 딜런의 곡을 커버한 "바람에 실려"가 연이어 히트하며 큰 인기를 얻었다.

같은 해 8월 28일, 마틴 루터 킹 주니어 목사의 "나에게는 꿈이 있습니다" 연설로 유명한 워싱턴 대행진에 참여하여 "천사의 망치"를 불렀다. 이를 계기로 그룹은 미국의 시민권 운동을 비롯한 여러 사회 정의 운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며 활동의 중요한 축으로 삼았다.

1964년 6월 처음으로 일본을 방문한[19] 이후, 1960년대에 여러 차례 일본 공연을 가졌고, 1967년 1월 방문 시에는 라이브 앨범 『''In Japan''』을 제작하기도 했다.[20][21] 같은 해 발표한 앨범 『Album 1700』에 수록된 존 덴버 작곡의 "슬픈 제트기"는 1969년 싱글로 발매되어[22] 빌보드 차트 1위에 오르는 큰 성공을 거두었다.[23][24]

1970년 멤버들은 각자의 솔로 활동을 위해 그룹을 해산했다. 솔로 활동 중에는 스토키가 1971년 발표한 "웨딩 송"이 야로우의 결혼을 위해 작곡되어 인기를 얻은 것을 제외하고는 그룹 시절만큼의 큰 성공을 거두지는 못했다.

1978년 원전 반대 운동을 지지하는 콘서트를 계기로 재결합하였고, 이후 함께 앨범을 내고 꾸준히 투어 활동을 이어갔다. 1999년에는 보컬 그룹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2005년 메리 트래버스가 백혈병 진단을 받으면서 투어가 취소되는 등 어려움을 겪었다. 2007년에는 노엘 폴 스토키가 솔로 활동으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 의한 일본인 납치 문제 해결을 기원하는 곡 "Song for Megumi"를 발표하고 일본에서 관련 콘서트에 참여하기도 했다.

2009년 9월 16일, 메리 트래버스가 백혈병 투병 끝에 72세의 나이로 사망하면서 그룹 활동은 사실상 막을 내렸다.

2. 1. 결성과 초기 활동 (1961-1969)

1963년 워싱턴 D.C. 시민권 운동 행진에서 공연하는 트리오


1961년, 매니저 앨버트 그로스먼은 뉴욕 포크 음악계에서 여러 가수를 오디션한 끝에 피터 야로우, 노엘 폴 스토키, 메리 트래버스로 구성된 트리오를 결성했다. 그로스먼은 "키가 큰 금발(트래버스), 쾌활한 녀석(스토키), 그리고 보기 좋은 착한 녀석(야로우)"이라는 이미지를 구상하며 이들을 조합했다. 그는 데이브 반 론크나 캐롤린 헤스터 같은 가수들도 고려했으나, 개성이 너무 강하거나 상업성이 부족하다는 이유로 최종 선택하지 않았다. 그로스먼은 결성된 트리오를 보스턴과 마이애미에서 연습시킨 후, 뉴욕 그리니치 빌리지의 유명한 포크 음악 공연장인 The Bitter End 무대에 세웠다.

1962년, 그룹은 워너 브라더스를 통해 데뷔 앨범 ''Peter, Paul and Mary''를 발매했다. 이 앨범에는 "레몬 트리", "500 마일", 그리고 피트 시거의 곡인 "If I Had a Hammer"와 "Where Have All the Flowers Gone?" 등이 수록되었다. 앨범은 큰 성공을 거두어 빌보드 앨범 차트 톱 10에 10개월간 머물렀으며, 그중 7주 동안 1위를 차지했다. 이 앨범은 미국에서만 더블 플래티넘(200만 장 이상 판매) 인증을 받으며 오랫동안 사랑받았다.

1963년에는 "Puff, the Magic Dragon"을 발표하여 큰 인기를 얻었다. 이 곡은 야로우가 코넬 대학교 동료 학생이었던 레너드 립턴이 쓴 시를 바탕으로 작곡한 것으로, 어린 시절의 순수함 상실을 노래한 곡이다.[4] 일부에서는 마약에 관한 노래라는 소문이 돌기도 했으나, 이는 사실이 아니다. 같은 해, 이들은 밥 딜런의 곡 "Blowin' in the Wind"를 커버하여 발표했는데, 이 곡 역시 빌보드 싱글 차트 2위에 오르는 등 큰 성공을 거두며 포크 음악의 대중화에 기여했다.[6] 이들의 성공은 딜런의 앨범 ''The Freewheelin' Bob Dylan'' 판매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7] 피터, 폴 앤 메리는 "The Times They Are a-Changin'", "Don't Think Twice, It's All Right",[6] "When the Ship Comes In" 등 딜런의 다른 곡들도 꾸준히 불렀다.

사회 참여에도 적극적이어서, 1963년 8월 28일 워싱턴 D.C. 시민권 운동 행진에 참여하여 "If I Had a Hammer"와 "Blowin' in the Wind"를 공연했다. 이 행진은 마틴 루터 킹 주니어 목사의 유명한 "I Have a Dream" 연설이 있었던 역사적인 날로 기록된다. 이 공연을 계기로 피터, 폴 앤 메리는 미국의 시민권 운동을 비롯한 여러 사회 정의 운동의 상징적인 목소리로 자리매김했다.

1967년 1월의 일본 방문 공연


국제적으로도 활동하여, 1964년 6월 처음으로 일본을 방문했으며[19], 1960년대 동안 여러 차례 일본 방문 공연을 가졌다. 1967년 1월 일본 방문 중에는 라이브 앨범 ''In Japan''을 녹음하여 발매하기도 했다.[20][21]

1967년에는 앨범 ''앨범 1700''을 발표했다. 이 앨범에는 그룹의 히트곡 "I Dig Rock and Roll Music"(빌보드 9위)과 함께, 당시 무명이었던 존 덴버가 작곡한 "Leaving on a Jet Plane"이 수록되었다. "Leaving on a Jet Plane"은 2년 뒤인 1969년 9월 싱글로 발매되어[22] 빌보드 핫 100 차트 1위를 차지하며[23] 그룹의 유일한 1위 싱글이자 마지막 톱 40 히트곡이 되었다. 이 곡은 그룹의 여섯 번째 밀리언셀러 골드 싱글이기도 했다.

1968년에는 베트남 전쟁 반대 운동을 지지하며 민주당 대선 경선 후보였던 유진 매카시를 위해 "Eugene McCarthy For President (If You Love Your Country)"라는 곡을 녹음하여 음반사 없이 자체적으로 발표하기도 했다.[8] 1969년에는 "Day Is Done"을 발표하여 빌보드 핫 100 차트 21위에 올랐는데, 이 곡은 트리오가 핫 100 차트에 올린 마지막 히트곡이 되었다. 이 곡은 그래미상을 수상한 어린이 앨범 ''Peter, Paul and Mommy''에 수록되었다.

2. 2. 해체와 솔로 활동 (1970-1978)

세 사람은 1970년에 각자 솔로 활동을 시작하기 위해 해체했다. 같은 해 피터 야로우는 14세 소녀를 성적으로 학대한 혐의로 유죄 판결을 받았으나, 수년 후 지미 카터로부터 대통령 사면을 받았다.[9][10][11]

1971년과 1972년에 걸쳐 워너는 그룹 각 멤버의 데뷔 솔로 앨범을 발매했다. 메리 트래버스는 미국 전역에서 콘서트와 강연 활동을 펼쳤으며, BBC-TV 시리즈를 제작, 집필하고 직접 출연하기도 했다. 노엘 폴 스토키는 기독교 음악 그룹인 보디 워크스 밴드(Body Works Band)를 결성했으며, 피터 야로우가 유진 매카시의 조카 메리베스 매카시와 결혼하는 것을 축하하기 위해 "Wedding Song (There Is Love)"를 작곡했다. 이 곡은 1971년에 발표되어 빌보드 팝 차트 24위, 이지 리스닝 차트 3위를 기록하며 결혼식 축가의 대표곡이 되었다. 영국의 가수 페툴라 클라크도 이 곡을 녹음하여 1973년 영국, 호주 등지에서 인기를 얻었다. 피터 야로우는 메리 맥그리거의 히트곡 "Torn Between Two Lovers" (1977년 빌보드 1위)를 공동 작곡하고 프로듀싱했으며, 자신들의 대표곡 "Puff, the Magic Dragon"을 기반으로 한 3개의 애니메이션 TV 스페셜 제작에 참여하여 에미상을 수상했다.[12]

그룹은 해체 후에도 몇 차례 재결합 공연을 가졌다. 1972년에는 조지 맥거번의 대통령 선거 운동을 지원하기 위해 뉴욕 매디슨 스퀘어 가든에서 열린 '맥거번을 위해 함께(Together for McGovern)' 콘서트에서 재회했다. 1978년에는 핵에너지에 반대하는 콘서트를 위해 다시 모였으며, 이 공연을 계기로 같은 해 여름 재결합 투어를 진행했다. 이 투어에는 9월 3일 콜로라도주의 레드 록스 원형 극장 공연 등이 포함되었다. 워너는 1978년 이들의 재결합 앨범 ''Reunion''을 발매했다.[13]

2. 3. 재결합과 이후 활동 (1978-2009)

2006년 피터, 폴 앤 메리


1978년, 그룹은 원전 반대 운동을 지원하기 위한 콘서트를 계기로 재결합했다.[14] 같은 해 여름에 진행된 재결합 투어가 큰 성공을 거두자, 이들은 1981년에 거의 영구적으로 재결합하기로 결정했다. 이후 꾸준히 앨범을 녹음하고 투어를 진행했으며, 매년 약 45회의 공연을 소화했다.[14] 재결합 후에는 1960년대 투어와 스튜디오 녹음에서 함께했던 더블 베이시스트 딕 니스(Dick Kniss)가 다시 합류했으며, 1990년부터는 멀티 악기 연주자 폴 프레스토피노도 그룹 활동에 참여했다.

시간이 흐름에 따라 이들은 기존 곡의 가사를 일부 수정하기도 했다. 예를 들어, "Puff, the Magic Dragon"의 가사 중 "boys"를 "girls and boys"로 바꾸었고, "Don't Think Twice, It's All Right"에서는 "dark side"를 "black side"로 변경했다. 또한, "Don't Go Down To The Quarry"와 같은 새로운 노래를 통해 저항 가요의 전통을 이어갔다. 이러한 활동을 인정받아 트리오는 1990년 9월 1일, 평화 수도원 양심 용기상(Peace Abbey Courage of Conscience Award)을 수상했다.[15] 1999년에는 보컬 그룹 명예의 전당(Vocal Group Hall of Fame)에 헌액되었다.

2004년, 메리 트래버스는 백혈병 진단을 받아 그 해 남은 투어 일정이 모두 취소되었다. 그녀는 골수 이식을 받았고, 건강을 회복하여 2005년 12월 9일 카네기 홀에서 열린 휴일 공연을 시작으로 투어를 재개했다. 하지만 2007년 여름, 트래버스가 두 번째 수술을 받게 되면서 다시 투어의 여러 일정이 취소되었다.[14]

2007년 2월, 멤버 노엘 폴 스토키는 개인 활동으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 의한 일본인 납치 문제 해결(특히 요코타 메구미 구출과 북한의 입장 변화)을 기원하는 노래 "Song for Megumi"를 발표했다. 같은 해 5월에는 일본을 방문하여 납치 피해자 지원 콘서트에 참여하기도 했다.

2009년 중반, 트래버스는 백혈병의 영향으로 더 이상 트리오 투어에 참여할 수 없게 되었다. 피터 야로우와 노엘 폴 스토키는 듀오로서 예정된 일정을 소화했으며, 공연 이름을 "피터 & 폴, 메리와 50년의 우정을 기념하다(Peter & Paul Celebrate Mary and 50 Years of Friendship)"로 바꾸어 진행했다.

2009년 9월 16일, 메리 트래버스는 코네티컷주 댄버리 병원에서 백혈병 치료 후 화학 요법 합병증으로 인해 72세의 나이로 사망했다.[16] 그녀의 사망으로 그룹 활동은 사실상 중단되었다. 같은 해 피터, 폴 앤 메리는 히트 퍼레이드 명예의 전당(Hit Parade Hall of Fame)에 헌액되었다.

3. 사회 참여와 한국과의 관계



피터, 폴 앤 메리는 음악 활동을 통해 사회 정의와 평화를 추구하는 데 적극적으로 참여했다. 특히 시민권 운동에 깊이 관여했으며, 1963년 8월 28일 워싱턴 대행진에 참여하여 공연한 것은 그들의 사회 참여를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이다. 이 행진은 마틴 루터 킹 주니어 목사의 유명한 "나에게는 꿈이 있습니다" 연설이 있었던 역사적인 자리였으며, 피터, 폴 앤 메리는 이곳에서 피트 시거의 곡 "If I Had a Hammer"와 밥 딜런의 곡 "Blowin' in the Wind"를 불렀다.[6] 이들의 공연은 시민권 운동에 대한 강력한 지지를 표현하는 동시에 많은 참가자에게 큰 감동과 영감을 주었다. 이후로도 그룹은 오랫동안 미국의 시민권 운동을 비롯한 다양한 사회 정의 운동의 선두에 서서 목소리를 냈다.

1968년에는 베트남 전쟁 반대 입장을 표명하며 민주당 대통령 후보 경선에 나선 유진 매카시 상원 의원을 지지하는 "Eugene McCarthy For President (If You Love Your Country)"라는 곡을 녹음하여 발표하기도 했다.[8] 이는 당시 사회적 이슈에 대한 그룹의 적극적인 참여 의지를 보여준다. 1970년 해산 이후 각자 활동하던 멤버들은 1978년 원전 반대 운동을 지지하는 콘서트를 계기로 재결합했으며, 이후로도 꾸준히 함께 공연 활동을 이어갔다.

피터, 폴 앤 메리는 일본을 방문하여 활동하기도 했다. 1964년 6월 처음으로 일본을 방문하여 공연했으며[19], 1960년대에 여러 차례 일본을 찾아 공연했다. 1967년 1월 일본 방문 시에는 라이브 앨범 『''In Japan''』을 제작하기도 했다.[20][21]

멤버 중 노엘 폴 스토키는 개인적으로 북한의 인권 문제, 특히 일본인 납치 문제에 깊은 관심을 보였다. 2007년 2월, 그는 납북 피해자인 요코타 메구미의 구출과 북한의 태도 변화를 기원하는 노래 "Song for Megumi"를 발표했다. 같은 해 5월에는 일본을 방문하여 납치 피해자 지원 콘서트에 참여하는 등, 문제 해결을 위한 활동에 동참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는 북핵 문제와 더불어 일본인 납북자 문제에 대한 국제 사회의 관심을 촉구하고, 인권 문제 해결을 위한 연대의 중요성을 보여주는 활동이었다.

4. 음반 목록


  • 1962년: ''피터, 폴 앤 메리''
  • 1963년: ''무빙''
  • 1963년: ''인 더 윈드''
  • 1964년: ''인 콘서트''
  • 1965년: ''어 송 윌 라이즈''
  • 1965년: ''씨 왓 투모로우 브링스''
  • 1966년: ''더 피터, 폴 앤 메리 앨범''
  • 1967년: ''앨범 1700''
  • 1967년: ''인 재팬''
  • 1968년: ''레이트 어게인''
  • 1969년: ''피터, 폴 앤 마미''
  • 1970년: ''베스트 오브 피터, 폴 앤 메리: 텐 이어스 투게더''
  • 1978년: ''리유니언''
  • 1983년: ''서치 이즈 러브''
  • 1986년: ''노 이지 워크 투 프리덤''
  • 1988년: ''어 홀리데이 셀레브레이션''
  • 1990년: ''플라워스 앤 스톤스''
  • 1993년: ''피터, 폴 & 마미, 투''
  • 1995년: ''원스 어폰 더 타임''
  • 1995년: ''라이프라인스''
  • 1996년: ''라이프라인스 라이브''
  • 1998년: ''어라운드 더 캠프파이어''
  • 1998년: ''더 컬렉션''
  • 1999년: ''송스 오브 컨센스 앤 컨선''
  • 2000년: ''돈트 래프 앳 미''
  • 2003년: ''인 디즈 타임스''
  • 2004년: ''캐리 잇 온'' [4-CD, 1-DVD 박스 세트]
  • 2005년: ''더 베리 베스트 오브 피터, 폴 & 메리''
  • 2005년: ''플래티넘 컬렉션''
  • 2006년: ''위브 미 더 선샤인''
  • 2008년: ''더 솔로 레코딩스 (1971-1972)''

5. 비디오그래피

연도제목
1986년피터, 폴 앤 메리 25주년 기념 콘서트
1988년피터, 폴 앤 메리 홀리데이 콘서트
1993년피터, 폴 앤 메리: 엄마도 함께
1996년피터, 폴 앤 메리: 라이프라인 라이브
2004년피터, 폴 앤 메리: 캐리 잇 온 - 뮤지컬 레거시


참조

[1] 뉴스 Pop: Peter, Paul and Mary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1986-03-20
[2] 웹사이트 Peter, Paul & Mary's Peter Yarrow & Noel Paul Stookey - Interviews - Tavis Smiley - PBS https://www.pbs.org/[...]
[3] 웹사이트 Beginnings http://www.peterpaul[...] Goldmine 2009-12-13
[4] 뉴스 Just A Minute With: Peter Yarrow https://www.reuters.[...] 2008-03-06
[5] 웹사이트 What's My Line? https://www.youtube.[...] 2020-12-28
[6] 간행물 Peter Yarrow
[7] obituary Mary Travers 2009-09-18
[8] 웹사이트 1968 45-RPM Eugene McCarthy Campaign Recording: Peter, Paul, & Mary https://www.youtube.[...] YouTube
[9] 뉴스 Folk Singer Peter Yarrow Pardoned by Carter https://www.washingt[...] 1981-02-07
[10] 뉴스 Peter Yarrow, Folk Singer, Gets 3-Month Jail Sentence https://www.nytimes.[...] 1970-09-15
[11] 뉴스 Yarrow pardoned for morals offense https://www.upi.com/[...] 1981-02-06
[12] 웹사이트 Hall of Fame Foundation http://www.vocalgrou[...]
[13] 서적 Christgau's Record Guide: Rock Albums of the Seventies Ticknor & Fields 2019-03-10
[14] 웹사이트 Tour Schedule http://www.peterpaul[...]
[15] 웹사이트 The Peace Abbey Courage of Conscience Recipients List http://www.peaceabbe[...]
[16] 뉴스 Mary Travers of Peter, Paul and Mary Dies https://artsbeat.blo[...] 2019-03-25
[17] 웹사이트 Cover versions of Lemon Tree by Peter, Paul & Mary https://secondhandso[...]
[18] 웹사이트 45cat - Peter, Paul And Mary - Puff / Pretty Mary - Warner Bros. - USA - 5348 http://www.45cat.com[...]
[19] 웹사이트 Peter, Paul & Mary Concert Setlist at New Latin Quarter, Tokyo on June 13, 1964 http://www.setlist.f[...]
[20] 웹사이트 Peter, Paul & Mary - Deluxe / Peter, Paul & Mary In Japan (Vinyl, LP, Album) at Discogs https://www.discogs.[...]
[21] 웹사이트 Peter, Paul & Mary in Japan https://web.archive.[...]
[22] 웹사이트 45cat - Peter, Paul And Mary - Leaving On A Jet Plane / The House Song - Warner Bros. - USA - 7340 http://www.45cat.com[...]
[23] 웹사이트 The Hot 100 - 1969 Archive http://www.billboard[...]
[24] 서적 Top Adult Contemporary: 1961-2001 Record Research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