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리핀숲둥근잎박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필리핀숲둥근잎박쥐는 작은 박쥐의 일종이다. 1861년 빌헬름 페터스가 처음 기재했으며, 몸길이는 71~79mm, 전완장은 42~48mm이다. 동굴, 광산 터널, 나무 구멍 등에 은신하며 곤충을 먹고, 필리핀 제도에 널리 분포하며 해발 1,100m 이하의 숲에서 서식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61년 기재된 포유류 - 귀신고래
귀신고래는 수염고래과에 속하며 회색빛을 띠는 해양 포유류로, 해저 무척추동물을 먹고 얕은 바다에서 생활하며, 북태평양에 두 개의 개체군이 존재하고 인간과의 관계는 고래 관광 및 문화적 상징으로 나타난다. - 1861년 기재된 포유류 - 망치머리박쥐
망치머리박쥐는 아프리카에 서식하며 수컷의 독특한 머리 형태로 이름 붙여진 과일박쥐로, 렉 시스템을 통해 번식하고 과일을 섭취하며 에볼라 바이러스의 잠재적 매개체로 연구되기도 하는 종이다. - 잎코박쥐과 - 마다가스카르잎코박쥐
마다가스카르잎코박쥐는 정보가 부족하여 추가적인 연구와 보존 노력이 필요한 생물종이다. - 잎코박쥐과 - 매기테일러둥근잎박쥐
매기테일러둥근잎박쥐는 2018년에 처음 기술된 둥근잎박쥐과 박쥐의 일종으로, 호주 퀸즐랜드 북부에서 발견되며, 짙은 갈색과 회색 털, 짧고 둥근 귀, 30개의 이빨을 가진 것이 특징이며, 곤충을 주식으로 하고 동굴 등에서 무리 생활을 하며 IUCN 적색 목록에서 관심 대상으로 분류된다. - 빌헬름 페테르스가 명명한 분류군 - 바다사자
한국바다사자는 과거 동해와 일본 열도에 서식했으나 무분별한 남획으로 20세기 중반 멸종된 암갈색 또는 회색 털색을 띈 멸종위기 바다사자 종으로, 독도가 주요 번식지였다. - 빌헬름 페테르스가 명명한 분류군 - 파카라나
파카라나는 콜롬비아, 브라질 등 남아메리카 서부에 분포하며, 야행성 초식 동물로 최대 13kg까지 자라며, 식용으로 남획되어 개체 수가 감소하는 설치류이다.
필리핀숲둥근잎박쥐 - [생물]에 관한 문서 | |
---|---|
일반 정보 | |
![]() | |
속 | 잎코박쥐속 |
학명 | Hipposideros obscurus |
명명자 | (Peters, 1861) |
이명 | Phyllorhina obscura Peters, 1861 |
보전 상태 | |
IUCN | LC |
학문적 분류 | |
계 | 동물계 |
문 | 척삭동물문 |
강 | 포유강 |
하강 | 진수하강 |
상목 | 로라시아상목 |
목 | 박쥐목 |
아목 | 음박쥐아목 |
과 | 잎코박쥐과 |
2. 분류 및 어원
1861년 독일의 박물학자 빌헬름 페터스가 새로운 종으로 기재했다. 페터스는 처음에 이 종을 현재는 폐지된 속인 ''Phyllorhina''로 분류했으며, 당시 학명은 ''Phyllorhina obscura''였다.[2] 종명 "''obscurus''"는 라틴어로 "어두운"을 뜻한다.[3]
작은 박쥐로 전체 몸길이는 71~79mm이고 전완장은 42~48mm, 꼬리 길이는 18~24mm이다. 발 길이는 10~12mm, 귀 길이는 18~22mm, 몸무게는 최대 12g이다.[6] 털이 부드럽고 무성하다.
필리핀 제도의 보홀섬, 카탄두아네스주, 세부, 디나가트 제도, 레이테, 루손섬, 마리피피, 민다나오섬, 민도로섬, 네그로스섬, 파나이섬, 사마르섬, 시부얀섬, 시키호르주, 테블라스섬에 널리 분포한다. 해발 1,100m 이하의 일차림과 이차림에서 서식한다.
[1]
간행물
Hipposideros obscurus
2019
3. 특징
4. 생태
5. 분포 및 서식지
참조
[2]
학술지
Berichtet über die von Hrn. F. Jagor bisher auf Malacca, Borneo, Java und den Philippinen gesammelten Säugethiere aus den Ordnungen der Halbaffen, Pelzflatterer und Flederthiere
https://biodiversity[...]
[3]
웹사이트
obscure (adj.)
https://www.etymonli[...]
2019-10-09
[4]
문서
Alviola, P.A., Sedlock, J., Alvarez, J., Fidelino, J., Pedregosa, M., Jakosalem, P.G. & Tanalgo, K. 2019. Hipposideros obscurus. The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2019: e.T10153A22101961. https://dx.doi.org/10.2305/IUCN.UK.2019-3.RLTS.T10153A22101961.en. Downloaded on 06 October 2020.
[5]
문서
MSW3 Chiroptera
[6]
문서
Nina R. Ingle & Lawrence R. Heaney, A Key to the Bats of the Philippine Islands, in Fielidiana, Zoology new series, vol. 69, 199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