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비군 (중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하비군은 중국 역사상 여러 시기에 존재했던 행정 구역으로, 주로 현재의 장쑤성 일대에 위치했다. 후한 시대에는 하비혜왕이 봉해지면서 하비국으로 시작되었으며, 이후 조조의 세력권으로 편입되어 하비군으로 격하되었다. 위진 시대에는 하비국과 하비군으로 명칭이 바뀌는 과정을 거쳤으며, 서진대에는 회수 이남 지역이 임회군으로 분리되었다. 남북조 시대에는 유송, 북위, 동위 등 여러 왕조의 지배를 받았으며, 수나라 때 사주가 하비군으로 개칭되기도 했다. 당나라에 의해 사주로 개명되면서 하비군의 명칭은 사라졌다. 또한, 동진과 남조 시대에는 교치 하비군이 설치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국의 군 - 우부풍
우부풍은 전한 시대 수도권을 관할한 직책으로 수도 삼보 중 하나였으나, 후한 말 황폐화되었고 위진 시대 풍익군으로 강등되기도 했으며, 이후 북위 시대 시평군을 통폐합하여 유지되다 수나라 때 기주, 당나라 때 봉상부로 바뀌었다. - 중국의 군 - 좌풍익
좌풍익은 전한 시대에 수도 장안을 관할하는 행정 구역으로 시작하여 후한, 위진, 북위, 수, 당, 송 시대까지 명칭과 관할 구역이 변화하며 존속했고, 수도권의 행정, 군사적 요충지 역할을 수행했다. - 장쑤성의 군 - 회계군
회계군은 중국 고대 월나라의 중요 지역으로, 우와 관련이 깊으며 진시황에 의해 설치되어 여러 왕조를 거치며 경제, 군사, 문화적으로 번영을 누렸던 행정 구역이다. - 장쑤성의 군 - 오군
오군은 129년 후한 순제 시대에 설치되어 여러 왕조의 통치를 받았으며, 손책이 장악하여 오나라의 기반이 되었고, 경제적 번영과 군사적 중요성을 지녔으나, 당나라 때 소주로 개명되면서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 안후이성의 군 - 패군
패군은 중국의 옛 행정 구역으로, 진나라 시기 사수군에서 유래하여 한나라, 왕망 시대, 후한, 삼국 시대를 거치며 명칭과 관할 구역이 변경되다가 남북조 시대 북주에 의해 펑청군에 통합되어 소멸되었다. - 안후이성의 군 - 양군 (행정 구역)
양군은 기원전 225년 진나라가 위나라를 멸망시키고 설치한 탕군에서 유래한 중국의 옛 행정 구역으로, 전한 시대에는 양효왕의 아들 유매가 봉해지면서 양군 또는 양국으로 불렸으며, 왕조의 변화에 따라 명칭과 범위가 달라졌고 한국사와도 다양한 연관을 맺었다.
하비군 (중국) | |
---|---|
하비군 | |
위치 | 중국 |
시대 | 진나라 ~ 남조 |
폐지 시기 | 남조 시대 |
주요 통치 가문 | 조씨 (동성) |
역사 | |
설치 | 진나라 시기 |
관할 구역 | 쉬저우 화이안 지역 일부 리수이 지역 |
분할 | 남조 시대, 여러 군으로 분할 |
주요 인물 | |
알려진 태수 | 기영 왕랑 조표 도겸 차주 진규 여포 조조 장패 하후란 |
기타 인물 | 염상 진등 감부인 미축 미방 조우 진군 여범 장굉 장소 한숭 진교 제갈근 |
2. 후한
72년(후한 명제 영평 15년), 명제의 여섯 번째 아들 유연이 하비혜왕으로 봉해지면서 임회군이 하비국으로 승격되었다.[11] 140년(후한 순제 영화 5년) 기준 하비국은 17개 현, 136,389호, 611,083명을 거느렸다.[12] 후한말 연주 공방전 이후 유비가 원술을 공격할 무렵, 연주를 떠나 서주를 점령한 여포가 하비에 수도를 두면서 서주의 중심지가 되었다.[13] 198년(후한 헌제 건안 3년), 하비 전투에서 조조가 승리하면서 조조의 세력권으로 편입되었다. 206년(후한 헌제 건안 11년) 하비국이 폐지되면서 하비군으로 격하되었다.[11]
2. 1. 관할 현황
下邳國중국어은 후한 시대에 설치된 제후국으로, 72년(후한 명제 영평 15년) 명제의 여섯 번째 아들인 유연이 하비혜왕(下邳惠王)으로 봉해지면서 임회군이 하비국으로 승격되었다.[11] 140년(후한 순제 영화 5년) 기준 하비국은 17개 현, 136,389호, 611,083명을 거느렸다.[12]현명 | 한자 | 대략적 위치 | 비고 |
---|---|---|---|
하비현 | 下邳縣 | 쉬저우시 쑤이닝현 고비진(古邳鎭) | 본래 동해군의 속현. 현 경내에 갈봉산(葛峰山), 봉양산(峰陽山)이 있었음. |
서현 | 徐縣 | 쑤첸시 쓰훙현 호태촌(胡台村) 일대 | 본래 서나라였음. 현 경내에 누정(樓亭)이 있었음. |
동후국 | 僮候國 | 쑤저우시 쓰현 북동 송우촌(宋圩村) 일대 | |
수릉현 | 睢陵縣 | 쑤첸시 쓰훙현 동남 훙쩌호 안? → 쉬저우시 쑤이닝현 | 193년(후한 헌제 초평 4년) 치소가 지금의 쑤이닝현 일대로 옮겨짐. |
하상현 | 下相縣 | 쑤첸시 쑤청구 고성가도(古城街道) | |
회음현 | 淮陰縣 | 화이안시 화이인구 마두진(馬頭鎭) 동 1리 | |
회포현 | 淮浦縣 | 화이안시 롄수이현 | |
우태현 | 盱台縣 | 화이안시 쉬이현 관탄진(官灘鎭) 일대 | |
고산현 | 高山縣 | 미상 | |
반정현 | 潘旌縣 | 미상 | |
회릉현 | 淮陵縣 | 벙부시 밍광시 산동촌(山東村) 일대 | |
취려현 | 取慮縣 | 쉬저우시 쑤이닝현 위와촌(魏洼村) 남부 일대 | |
동성현 | 東成縣 | 추저우시 딩위안현 하마촌(下馬村) 일대 | |
곡양후국 | 曲陽候國 | 쑤첸시 수양현 동 | 본래 동해군의 속현. |
사오후국 | 司吾候國 | 쉬저우시 신이시 남 마릉산진(馬陵山鎭) 일대 | 본래 동해군의 속현. |
양성현 | 良成縣 | 쉬저우시 피저우시 동남 범장촌(范庄村) 일대 | 본래 동해군의 속현. 춘추시대 양나라(良)가 있었음. |
하구현 | 夏丘縣 | 쑤저우시 쓰현 | 본래 패군의 속현. |
222년(삼국 시대 위나라 황초 3년), 조우가 하비왕이 되면서 하비군이 하비국으로 개명되었다. 232년(태화 6년), 조우가 연왕으로 봉해지자 하비국은 다시 하비군으로 개명되었다.[5] 265년(서진 태시 원년), 사마황이 하비왕이 되면서 하비군이 다시 하비국으로 개명되었다.
3. 위진 시대
280년(서진 무제 태강 원년), 하비군의 회수 이남 지방이 임회군으로 분리되며, 군역이 회수 이북 지방으로 축소되었다.[14] 영가의 난 이후 진나라의 통치권에서 벗어났지만, 회하 유역에 조적과 같은 많은 유랑민들이 이동하면서 후조에 저항했기 때문에 후조가 완전히 점령하기까지 꽤 오랜 시간이 걸렸다.[15]
3. 1. 관할 현황
하비군(下邳國중국어)의 관할 현황은 다음과 같다. 서진 시대에는 10현 10,000호를 거느렸다.[14]
현명 | 한자 | 대략적 위치 | 비고 |
---|---|---|---|
하비현 | 下邳縣 | 쉬저우 시 쑤이닝 현 고비진(古邳鎭) | |
능현 | 凌縣 | 쑤첸 시 쓰양 현 중흥진(众興鎭) 능현고성 | 280년 광릉군에서 본군의 속현으로 편입되었다. |
양성후상 | 良城候相 | 쉬저우 시 피저우 시 동남 범장촌(范庄村) 일대 | |
수릉현 | 睢陵縣 | 쉬저우 시 쑤이닝 현 | |
하구현 | 夏丘縣 | 쑤저우 시 쓰 현 | |
취려현 | 取慮縣 | 쉬저우 시 쑤이닝 현 위와촌(魏洼村) 남부 일대 | |
동현 | 僮縣 | 쑤저우 시 쓰 현 북동 송우촌(宋圩村) 일대 |
4. 남북조 시대
265년(서진 태시 원년), 사마황이 하비왕이 되어 하비군은 하비국으로 개명되었다. 서진의 하비국은 하비, 릉, 양성, 수릉, 하구, 취려, 동의 7개 현을 관할했다[6]。
525년(북위 효창 원년), 하비군은 동서주로 전속되었다.[7] 533년(중대통 5년), 남조 양이 하비군을 빼앗아 무주로 전속시켰다.[7] 550년(동위 무정 8년), 동위가 다시 하비군을 차지하여 동서주로 전속시켰다.[7]
북주 시대에 하비군은 비주로 전속되었다.
4. 1. 유송
비수대전 이후 동진이 북벌을 실시하면서 본래의 하비군이 남조의 영역으로 편입되었다. 유송 무제 시기 회수 이북에 서주가 다시 설치되자 서주의 속군으로 편제되었다. 그러나 송 명제 태시 연간에 서주자사 설안도가 북위에 투항하면서 북위의 땅으로 편입되었다.[16] 설안도의 투항 이전까지 하비군은 3현 3,099호 16,088명을 거느렸다.[16]현명 | 한자 | 대략적 위치 | 비고 |
---|---|---|---|
하비현 | 下邳縣 | 쉬저우시 쑤이닝현 고비진(古邳鎭) | 령(令) |
양성현 | 良成縣 | 쉬저우시 피저우시 동남 범장촌(范庄村) 일대 | |
동현 | 僮縣 | 쑤저우시 쓰현 북동 송우촌(宋圩村) 일대 |
4. 2. 북위 ~ 동위
525년(북위 효명제 효창 원년), 하비군은 서주에서 분리된 동서주의 속군으로 편제되었다.[17] 533년(북위 효무제 영희 2년) 양나라가 이 지역을 점령했다가,[17] 550년(동위 효정제 무정 8년) 양나라가 동서주 지방을 다시 점령하면서 동위의 땅으로 편입되었다.[17] 동위 때 하비군은 1,148호 3,739명을 거느렸다.[17]현명 | 한자 | 대략적 위치 | 비고 |
---|---|---|---|
하비현 | 下邳縣 | 쉬저우시 쑤이닝현 고비진(古邳鎭) | 동서주자사의 치소가 있었다. 양나라 통치 시기에는 귀정현(歸政縣)으로 불렸다. 현 경내에 기수(沂水), 거천신사(巨川神祠)가 있었다. |
양성현 | 良成縣 | 쉬저우시 피저우시 동남 범장촌(范庄村) 일대 | 556년(북제 문선제 천보 7년) 폐지되었다. 현내에 백산(栢山)이 있었다. |
동현 | 僮縣 | 쑤저우시 쓰현 북동 송우촌(宋圩村) 일대 | |
방정현 | 坊亭縣 | 미상 | 550년 진녕현(晉寧縣)이 방정현으로 개명되었다. |
책연현 | 柵淵縣 | 쑤첸시 | 550년 숙예현(宿豫縣)에서 분리 신설되었다. |
귀정현 | 歸正縣 | 549년(동위 효정제 무정 7년) 신설되었다. 현 경내에 진규의 무덤(陳珪墓)이 있었다. |
4. 3. 관할 현황
비수대전 이후 동진이 북벌을 실시하면서 본래의 하비군이 남조의 영역으로 편입되었다. 유송 무제 시기 회수 이북에 서주가 다시 설치되자 서주의 속군으로 편제되었다. 그러나 송 명제 태시 연간에 서주자사 설안도가 북위에 투항하면서 북위의 땅으로 편입되었다. 설안도의 투항 이전까지 하비군은 3현 3,099호 16,088명을 거느렸다.[16]현명 | 한자 | 대략적 위치 | 민정 | 비고 |
---|---|---|---|---|
하비현 | 下邳縣 | 쉬저우시 쑤이닝현 고비진(古邳鎭) | 령(令) | |
양성현 | 良成縣 | 쉬저우시 피저우시 동남 범장촌(范庄村) 일대 | ||
동현 | 僮縣 | 쑤저우시 쓰현 북동 송우촌(宋圩村) 일대 |
525년(북위 효명제 효창 원년), 서주에서 동서주가 분리되자 동서주의 속군으로 편제되었다. 533년(북위 효무제 영희 2년) 양나라가 점령하면서 양나라의 땅으로 편입되었다. 그러나 550년(동위 효정제 무정 8년) 양나라가 동서주 지방을 다시 점령하자 동위의 땅으로 편입되었다. 동위 때 하비군은 1,148호 3,739명을 거느렸다.[17]
현명 | 한자 | 대략적 위치 | 비고 |
---|---|---|---|
하비현 | 下邳縣 | 쉬저우시 쑤이닝현 고비진(古邳鎭) | 동서주자사의 치소가 있었다. 양나라가 통치하던 시절에는 귀정현(歸政縣)이라는 이름으로 불렸다. 현 경내에 기수(沂水), 거천신사(巨川神祠)가 있었다. |
양성현 | 良成縣 | 쉬저우시 피저우시 동남 범장촌(范庄村) 일대 | 556년(북제 문선제 천보 7년) 폐지되었다. 현내에 백산(栢山)이 있었다. |
동현 | 僮縣 | 쑤저우시 쓰현 북동 송우촌(宋圩村) 일대 | |
방정현 | 坊亭縣 | 미상 | 550년 진녕현(晉寧縣)이 지금의 이름으로 개명되었다. |
책연현 | 柵淵縣 | 쑤첸시 | 550년 숙예현(宿豫縣)에서 분리신설되었다. |
귀정현 | 歸正縣 | 549년(동위 효정제 무정 7년) 신설되었다. 현경내에 진규의 무덤(陳珪墓)이 있었다. |
5. 수당 시대
북주 시대에 하비군은 비주로 전속되었다.
581년(수 문제 개황 원년), 비주가 폐지되면서 하비군은 사주로 전속되었다. 583년(개황 3년), 수나라가 군제를 폐지하면서 하비군은 폐지되어 사주에 편입되었다. 607년(수 양제 대업 3년), 주가 폐지되고 군이 설치되면서 사주가 하비군으로 개칭되었다. 하비군은 숙예, 하구, 서성, 회양, 하비, 양성, 담의 7개 현을 관할했다[8]。
621년(당 고조 무덕 4년), 당에 의해 하비군은 사주로 개명되면서 하비군의 명칭은 사라졌다[9]。
6. 교치 하비군
동진 명제 때 '''남하비군'''이 설치되었다. 남하비군은 하비, 북릉, 동 3개 현을 관할했다. 460년 (유송 대명 4년) 남하비군은 남팽성군에 병합되었다.[10] 남조 송 시대에 하비군 본토를 상실하자 '''북하비군'''이 설치되었다. 북하비군은 동현, 하비현, 영성현 3개 현을 관할했다.[10]
7. 역대 장관
착융은 후한 말 하비상(下邳相)을 역임했다.
참조
[1]
서적
後漢書 顕宗紀
[2]
서적
後漢書 孝明八王列伝
[3]
서적
後漢書 郡国志三
[4]
서적
後漢書 孝霊帝紀
[5]
서적
三国志 魏書武文世王公伝
[6]
서적
晋書 地理志下
[7]
서적
魏書 地形志二中
[8]
서적
隋書 地理志下
[9]
서적
旧唐書 地理志一
[10]
서적
宋書 州郡志一
[11]
서적
후한서 50권 열전 제40 효명팔왕열전 하비혜왕 연
https://zh.wikisourc[...]
[12]
서적
후한서 111권 지 제21 군국지 3 서주 하비국
https://zh.wikisourc[...]
[13]
서적
삼국지 7권 위서 제7 여포장홍전 여포
https://zh.wikisourc[...]
[14]
서적
진서 15권 지 제5 지리지 下 서주 하비국
https://zh.wikisourc[...]
[15]
서적
진서 62권 열전 제32 유곤조적열전 조적
https://zh.wikisourc[...]
[16]
서적
송서 35권 지 제25 주군지 1 서주 하비태수
https://zh.wikisourc[...]
[17]
서적
위서 106권 中 지 제2 中 지형지 中 동서주 하비군
https://zh.wikisour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