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비 J. 올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하비 J. 올터는 1935년 미국 뉴욕에서 태어난 미국의 의사이자 바이러스학자이다. 로체스터 대학교에서 의학 학위를 취득하고 국립 보건원(NIH)에서 근무했으며, C형 간염 바이러스 발견에 기여한 공로로 2020년 노벨 생리학·의학상을 수상했다. 그는 B형 간염 연구에도 참여했으며, 수혈 관련 간염의 위험을 줄이는 데 기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국의 바이러스학자 - 조너스 소크
조너스 소크는 불활성화된 소아마비 백신을 개발하여 소아마비 퇴치에 기여한 미국의 의학 연구자이자 바이러스학자이며, 솔크 연구소를 설립하여 의학 과학 연구를 지속했다. - 미국의 바이러스학자 - 프랜시스 페이턴 라우스
미국의 병리학자 프랜시스 페이턴 라우스는 바이러스가 암을 유발할 수 있다는 것을 최초로 밝혀내 노벨 생리학·의학상을 수상했으며, 라우스 육종 바이러스 발견과 혈액 보존 기술 개발로 암 연구 및 수혈 의학 발전에 기여했다. - 래스커-드베키 임상 의학 연구상 수상자 - 찰스 브렌턴 허긴스
찰스 브렌턴 허긴스는 캐나다 출신의 생화학자이자 외과의사로, 호르몬 요법을 통해 전립선암과 유방암 치료에 기여한 공로로 1966년 노벨 생리학·의학상을 수상했으며, 시카고 대학교에서 암 치료 분야에 획기적인 연구를 수행하여 의학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다. - 래스커-드베키 임상 의학 연구상 수상자 - 카를 란트슈타이너
오스트리아 출신의 병리학자이자 면역학자인 카를 란트슈타이너는 ABO식 혈액형 발견으로 노벨 생리학·의학상을 수상하였으며, 수혈 의학 발전과 폴리오 바이러스 분리, M, N, P 혈액형 및 Rh 인자 발견 등 면역학 및 바이러스학 분야에 크게 기여하여 '수혈 의학의 아버지'로 불린다. - 미국의 의학자 - 조지 리처드 마이넛
조지 리처드 마이넛은 간 추출물을 이용한 악성빈혈 치료법을 윌리엄 P. 머피와 함께 개발하여 1934년 노벨 생리학 또는 의학상을 수상한 미국의 의사이자 의학 연구자이다. - 미국의 의학자 - 오즈월드 에이버리
오즈월드 에이버리는 DNA가 유전 물질임을 밝혀내 현대 유전학과 분자생물학 발전에 기여한 캐나다 태생의 미국 세균학자이자 의학 연구자이다.
하비 J. 올터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하비 제임스 올터 |
원어 이름 | Harvey James Alter |
![]() | |
출생 | 1935년 9월 12일 |
출생지 | 미국 뉴욕 |
국적 | 미국 |
학력 | |
출신 대학 | 로체스터 대학교 (문학사, 의학박사) |
경력 | |
직업 | 바이러스학 연구자 |
근무지 | 미국 국립 보건원 |
업적 | |
주요 업적 | C형 간염 바이러스 발견 |
수상 | |
수상 내역 | 칼 란트슈타이너 기념상 (1992년) 래스커상 (2000년) 캐나다 가드너 국제상 (2013년) 노벨 생리학·의학상 (2020년) |
2. 생애
올터는 1935년 미국 뉴욕의 유대인 가정에서 태어났다.[24][25] 로체스터 대학교에서 의학을 전공하여 1960년에 의학 학사 학위를 취득했다.[26][27] 대학원 이후 국립 보건원, 워싱턴 대학교 의과대학, 조지타운 대학교 병원에서 연수 과정을 거쳤다.
1964년, 바루흐 블럼버그와 함께 호주 항원을 공동 발견하여 B형 간염 바이러스 분리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14] 이후 수혈 관련 간염의 원인을 밝히고 위험을 줄이는 연구를 주도하여, 미국의 혈액 및 기증자 검사 프로그램 도입에 기여, 간염 발생률을 크게 낮췄다.[15]
1970년대 중반에는 A형 간염과 B형 간염 바이러스가 아닌 다른 원인으로 발생하는 수혈 후 간염 사례를 발견, 이를 '비-A, 비-B형 간염'으로 명명했다. 이 연구는 C형 간염 바이러스 발견으로 이어졌다.[17] 1988년에는 연구팀과 함께 새로운 간염 바이러스의 존재를 확인했으며,[17] 1989년에는 ''사이언스''지에 관련 논문을 발표했다.[18][19][20]
이러한 연구 업적을 인정받아 2000년 앨버트 래스커 임상 의학 연구상을 수상했으며,[4] 공중 보건 서비스 공로 훈장 등 다양한 상을 받았다.[5] 미국 국립 과학원과 의학 연구소 회원이기도 하다.[12] 2020년에는 마이클 호튼, 찰스 M. 라이스와 함께 노벨 생리학·의학상을 수상했다.[2]
바바라 베일리와 결혼하여 두 자녀를 두었으며, 현재는 다이앤 다울링과 결혼 생활을 하고 있다.[7]
2. 1. 초기 생애 및 교육
올터는 뉴욕 시에서 유대인 가정에서 태어났다.[6][7] 그는 로체스터 대학교 (로체스터, 뉴욕)에 다녔으며, 1956년에 문학사 학위를 받았다. 1960년, 올터는 로체스터 대학교에서 의학 학위를 취득[8][9]하고 스트롱 메모리얼에서 레지던트 과정을 시작했다. 올터의 대학원 이후 훈련 과정은 다음과 같다.- 1961년 12월~1964년 6월: 메릴랜드주 베데스다에 있는 국립 보건원 임상 연구원[5][7][10]
- 1964년 7월~1965년 6월: 워싱턴 대학교 의과대학 (시애틀, 워싱턴) 내과 레지던트[11]
- 1965년 7월~1966년 6월: 조지타운 대학교 병원 (워싱턴 D.C.) 혈액학 펠로우[5]
2. 2. 경력
올터는 컬럼비아 특별구에서 발급한 의사 면허를 가지고 있다. 또한, 미국 병리학회 수혈 분과 전문의 자격을 보유하고 있으며, 미국 내과 의사 학회 회원이다.[5] 1961년부터 1964년까지 국립 보건원(NIH)에서 근무한 후, 워싱턴 대학교 (워싱턴주)와 조지타운 대학교 병원에서 각각 근무했다. 1969년에는 다시 NIH로 돌아와[31] 현재는 명예 연구원을 맡고 있다.올터의 임상 직책은 다음과 같다.[5]
직책 | 기간 | 기관 |
---|---|---|
혈액학 연구소장 | 1966년 7월 ~ 1969년 6월 | 조지타운 대학교 병원 |
수혈 의학부 선임 연구원 | 1969년 7월 ~ 현재 | 국립보건원(NIH) |
수혈 의학부 감염 질환 과장 | 1972년 12월 ~ 현재 | 국립보건원 임상 센터 |
수혈 의학부 연구 부소장 | 1987년 1월 ~ 현재 | 국립보건원 임상 센터 |
올터는 바루흐 블럼버그와 함께 호주 항원을 공동 발견하여 B형 간염 바이러스 연구에 기여했다.[14] 또한, 혈액 샘플 보관 프로젝트를 통해 수혈 관련 간염의 원인을 밝히고, 미국에서 혈액 및 기증자 검사 프로그램을 시작하여 간염 발생률을 크게 낮추는 데 기여했다.[15]
3. 연구 업적
1970년대 중반에는 A형 간염과 B형 간염 바이러스가 아닌 새로운 형태의 간염(비-A, 비-B형 간염)을 발견했고, 이는 C형 간염 바이러스 발견으로 이어졌다.[16][17][18][19][20]
이러한 공로로 2000년 앨버트 래스커 임상 의학 연구상을 수상했고,[4] 공중 보건 서비스 공로 훈장, 미국 국립 과학원 및 의학 연구소 회원[12], 국제 수혈 학회 회장상[5], 미국 의사 협회 상, Inserm 국제상 등을 수상했다.[21] 2020년에는 마이클 호튼, 찰스 M. 라이스와 함께 노벨 생리학·의학상을 수상했다.[2]
3. 1. B형 간염 연구
올터는 1964년 젊은 연구원으로 바루흐 블럼버그와 함께 호주 항원을 공동 발견했다.[14] 이 연구는 B형 간염 바이러스를 분리하는 데 중요한 요인이 되었다. 이후 올터는 혈액 샘플을 보관하는 임상 센터 프로젝트를 이끌어 수혈 관련 간염의 원인을 밝히고 위험을 줄이는 데 기여했다. 그의 연구를 바탕으로 미국은 혈액 및 기증자 검사 프로그램을 시작하여 이 위험으로 인한 간염 발생률을 1970년 30%에서 거의 0%로 낮췄다.[15]
1970년대 중반, 올터와 그의 연구팀은 수혈 후 발생한 대부분의 간염 사례가 A형 간염과 B형 간염 바이러스에 의한 것이 아님을 입증했다. 올터는 밥 퍼셀(Bob Purcell)과 협력하여, 다른 연구소에서 동시에 연구를 진행한 에드워드 테이버(Edward Tabor)[16]의 연구를 통해, 침팬지에게 바이러스를 주입하는 연구를 통해 새로운 형태의 간염이 감염을 일으킨다는 것을 증명했으며, 이를 처음에는 "비-A, 비-B형 간염"이라고 불렀다. 이 연구는 결국 C형 간염 바이러스의 발견으로 이어졌다. 1988년, 올터의 연구팀은 NANBH 표본 보관소에서 이 바이러스의 존재를 확인함으로써 새로운 간염 바이러스를 최종 확인했다.[17] 1989년 4월, 비-A, 비-B형 바이러스의 발견(C형 간염 바이러스로 재명명)은 ''사이언스''지에 두 편의 논문으로 발표되었다.[18][19][20]
3. 2. C형 간염 발견
올터는 1964년 젊은 연구원으로 바루흐 블럼버그와 함께 호주 항원을 공동 발견했다.[14] 이 연구는 B형 간염 바이러스를 분리하는 데 중요한 요인이 되었다. 이후 올터는 혈액 샘플을 보관하는 임상 센터 프로젝트를 이끌어 수혈 관련 간염의 원인을 밝히고 위험을 줄이는 데 기여했다. 그의 연구를 바탕으로 미국은 혈액 및 기증자 검사 프로그램을 시작하여 이 위험으로 인한 간염 발생률을 1970년 30%에서 거의 0%로 낮췄다.[15]
1970년대 중반, 올터와 그의 연구팀은 수혈 후 발생한 대부분의 간염 사례가 A형 간염과 B형 간염 바이러스에 의한 것이 아님을 입증했다. 올터는 밥 퍼셀(Bob Purcell)과 협력하여, 다른 연구소에서 동시에 연구를 진행한 에드워드 테이버(Edward Tabor)[16]의 연구를 통해, 침팬지에게 바이러스를 주입하는 연구를 통해 새로운 형태의 간염이 감염을 일으킨다는 것을 증명했으며, 이를 처음에는 "비-A, 비-B형 간염"이라고 불렀다. 이 연구는 결국 C형 간염 바이러스의 발견으로 이어졌다. 1988년, 올터의 연구팀은 NANBH 표본 보관소에서 이 바이러스의 존재를 확인함으로써 새로운 간염 바이러스를 최종 확인했다.[17] 1989년 4월, 비-A, 비-B형 바이러스의 발견(C형 간염 바이러스로 재명명)은 ''사이언스''지에 두 편의 논문으로 발표되었다.[18][19][20]
3. 3. 수혈 관련 간염 예방
올터는 1964년 젊은 연구원으로 바루흐 블럼버그와 함께 호주 항원을 공동 발견했다.[14] 이 연구는 B형 간염 바이러스를 분리하는 데 중요한 요인이 되었다. 이후 올터는 혈액 샘플을 보관하는 임상 센터 프로젝트를 이끌어 수혈 관련 간염의 원인을 밝히고 위험을 줄이는 데 기여했다. 그의 연구를 바탕으로 미국은 혈액 및 기증자 검사 프로그램을 시작하여 이 위험으로 인한 간염 발생률을 1970년 30%에서 거의 0%로 낮췄다.[15]
1970년대 중반, 올터와 그의 연구팀은 수혈 후 발생한 대부분의 간염 사례가 A형 간염과 B형 간염 바이러스에 의한 것이 아님을 입증했다. 올터는 밥 퍼셀(Bob Purcell)과 협력하여, 다른 연구소에서 동시에 연구를 진행한 에드워드 테이버(Edward Tabor)[16]의 연구를 통해, 침팬지에게 바이러스를 주입하는 연구를 통해 새로운 형태의 간염이 감염을 일으킨다는 것을 증명했으며, 이를 처음에는 "비-A, 비-B형 간염"이라고 불렀다. 이 연구는 결국 C형 간염 바이러스의 발견으로 이어졌다. 1988년, 올터의 연구팀은 NANBH 표본 보관소에서 이 바이러스의 존재를 확인함으로써 새로운 간염 바이러스를 최종 확인했다.[17] 1989년 4월, 비-A, 비-B형 바이러스의 발견(C형 간염 바이러스로 재명명)은 ''사이언스''지에 두 편의 논문으로 발표되었다.[18][19][20]
4. 수상 경력
연도 | 수상 내역 |
---|---|
1992년 | 카를 란트슈타이너 기념상 |
2000년 | 앨버트 래스커 의학 연구상, 래스커-드베이키 임상 의학 연구상 |
2013년 | 가드너 국제상 |
2020년 | 노벨 생리학·의학상 |
올터는 C형 간염을 유발하는 바이러스 발견에 기여한 연구로 2000년 앨버트 래스커 임상 의학 연구상을 수상하는 등 연구 업적을 인정받았다. 올터와 공동 수상자인 마이클 호튼은 미국에서 수혈 관련 간염의 위험을 근본적으로 제거하는 데 기여한 혈액 선별 방법 개발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았다.[4] 그의 의학 연구에 대한 다른 수상으로는 미국 정부 공중 보건 서비스에서 민간인에게 수여하는 최고 훈장인 공중 보건 서비스 공로 훈장이 있다.[5] 올터는 미국 국립 과학원과 의학 연구소의 회원이기도 하다.[12] 2002년에는 국제 수혈 학회 회장상을 수상했다.[5] 2005년에는 미국 의사 협회로부터 의학 관련 과학 분야의 뛰어난 업적에 대한 상과 프랑스 국립 보건원(NIH)에 해당하는 Inserm의 첫 번째 국제상을 받았다. 그리고 2019년에는 T. 워싱턴 펠로우로 지명되었다.[21]
2000년 래스커상 수상 당시 올터의 오랜 연구 경력에 대해 임상센터 수혈 의학부 책임자 하비 클라인은 "어린 연구 펠로우 시절, 올터 박사는 B형 간염 바이러스 탐지의 핵심인 오스트레일리아 항원을 공동 발견했습니다. 많은 연구자들에게 이는 경력의 하이라이트가 될 것입니다. 하지만 올터 박사에게는 그저 시작에 불과했습니다."라고 언급했다.[22]
올터는 2016년 함단 의학상으로부터 [http://www.hmaward.org.ae/profile.php?id=1849 그랜드 함단 국제상 - 위장병학]을 수상했다.
올터는 마이클 호튼, 찰스 M. 라이스와 함께 "C형 간염 바이러스의 발견을 이끈 공로"로 2020년 노벨 생리학·의학상을 수상했다.[2]
5. 사생활
하비 J. 올터는 바바라 베일리와 결혼하여 두 자녀를 두었다. 아들 마크는 의사이며, 딸 스테이시는 교사이다.[7] 현재는 다이앤 다울링과 결혼하여 의붓자녀 리디아 로딘과 에린 토레스 두 명과 아홉 명의 손주가 있다.[7]
참조
[1]
서적
Epidemiology of Chronic Disease
https://books.google[...]
Jones & Bartlett Publishers
[2]
웹사이트
Press release: The Nobel Prize in Physiology or Medicine 2020
https://www.nobelpri[...]
Nobel Foundation
2020-10-05
[3]
뉴스
Nobel Prize in Medicine Awarded to Scientists Who Discovered Hepatitis C Virus - Harvey J. Alter, Michael Houghton and Charles M. Rice were jointly honored for their decisive contribution to the fight against blood-borne hepatitis, a major global health problem.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2020-10-05
[4]
웹사이트
The Lasker Foundation
http://www.laskerfou[...]
[5]
웹사이트
Harvey J. Alter Curriculum Vitae
http://www.laskerfou[...]
2006-04-21
[6]
웹사이트
NIH Clinical Center scientist a Lasker Award recipient
http://www.cc.nih.go[...]
NIH
2000-09-21
[7]
간행물
The road not taken or how I learned to love the liver: A personal perspective on hepatitis history
2014
[8]
웹사이트
Rochester graduate awarded 2020 Nobel Prize for 'landmark achievement' against hepatitis
http://www.rochester[...]
2020-10-05
[9]
웹사이트
UR graduate Harvey Alter awarded Nobel Prize in fight against Hepatitis
https://www.democrat[...]
2020-10-06
[10]
서적
Report of program activities: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Clinical Center
https://archive.org/[...]
Bethesda, Md. : The Center
1958
[11]
간행물
The hazards of blood transfusion in historical perspective
2008-10-01
[12]
웹사이트
Principal Investigators
https://irp.nih.gov/[...]
2020-10-05
[13]
웹사이트
Jewish Physician Among Winners Of Nobel Prize For Medicine
https://vosizneias.c[...]
2020-10-05
[14]
웹사이트
The NIH Almanac
http://www.nih.gov/a[...]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2009-06-04
[15]
웹사이트
2005 NIH profile
http://www.cc.nih.go[...]
2006-04-21
[16]
간행물
Transmission of non A, non B hepatitis from man to chimpanzees
[17]
웹사이트
Alter.pdf
http://www.laskerfou[...]
[18]
간행물
Hepatitis C genotype 4: The past, present, and future
2015-12-08
[19]
간행물
An assay for circulating antibodies to a major etiologic virus of human non-A, non-B hepatitis
https://pubmed.ncbi.[...]
[20]
간행물
Isolation of a cDNA clone derived from a blood-borne non-A, non-B viral hepatitis genome
https://pubmed.ncbi.[...]
[21]
웹사이트
Prof. Harvey J Alter
http://www.hmaward.o[...]
[22]
웹사이트
Clinical Center News October 2000
http://clinicalcente[...]
2006-04-21
[23]
웹사이트
ノーベル医学・生理学賞にアメリカなどの研究者3人
https://web.archive.[...]
2020-10-05
[24]
웹사이트
M. D. Anderson Scientist Wins NIH New Innovator Award
https://doi.org/10.4[...]
2009-12-30
[25]
간행물
The road not taken or how I learned to love the liver: A personal perspective on hepatitis history
https://doi.org/10.1[...]
2013-11-22
[26]
웹사이트
Rochester graduate awarded 2020 Nobel Prize for ‘landmark achievement’ against hepatitis
http://www.rochester[...]
2020-10-05
[27]
웹사이트
UR graduate Harvey Alter awarded Nobel Prize in fight against Hepatitis
https://www.democrat[...]
[28]
웹사이트
The Lasker Foundation {{!}} Former Award Winners, Dr. Alter Poem
https://web.archive.[...]
2005-09-04
[29]
간행물
The road not taken or how I learned to love the liver: A personal perspective on hepatitis history
https://aasldpubs.on[...]
2014
[30]
서적
Report of program activities :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Clinical Center
https://archive.org/[...]
Bethesda, Md. : The Center
1958
[31]
웹사이트
Principal Investigators
https://irp.nih.gov/[...]
[32]
웹사이트
Clinical Center (CC)
https://www.nih.gov/[...]
2015-07-10
[33]
웹사이트
Clinical Center Profile 2005
https://web.archive.[...]
2006-03-29
[34]
웹인용
Press release: The Nobel Prize in Physiology or Medicine 2020
https://www.nobelpri[...]
Nobel Foundation
2020-10-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