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하우더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하우다는 코끼리나 낙타 등에 설치하는 좌석을 의미하며, 고대 인도에서부터 군사적, 운송, 의례 등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고대에는 왕들이 원정을 떠날 때 사용되었으며, 전투에서는 지휘관이나 병사들을 위한 이동식 요새로 활용되었다. 페르시아에서는 낙타 하우다가 운송 수단으로, 특히 사막 대상들에게 중요하게 사용되었다. 유럽에서는 '코끼리와 성' 상징으로 힘과 권위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었으며, 런던의 Elephant and Castle 교차로와 덴마크의 코끼리 훈장 등에서 그 흔적을 찾아볼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인도의 문화 - 인도 고전 음악
    인도 고전 음악은 인도 아대륙의 전통 음악으로 베다에서 기원하여 힌두스타니 음악과 카르나틱 음악으로 나뉘어 발전했으며, 라가와 탈라를 기반으로 다양한 악기와 창법을 통해 연주되고 세계 각지에서 보존 및 발전되고 있다.
  • 인도의 문화 - 구루
    구루는 산스크리트어에서 유래하여 삶의 지혜와 영적 깨달음을 이끄는 존재를 뜻하며, 힌두교에서 신성한 존재로 여겨지지만 불교, 자이나교, 시크교 등 다른 종교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며, 서구에서는 영적 지도자로서 관심이 높아졌으나 비판적 시각도 존재한다.
  • 도구 - 목재
    목재는 수목의 목질부로, 오래전부터 연료, 건축 자재, 도구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어 왔으며, 셀룰로오스, 헤미셀룰로오스, 리그닌으로 구성되고 수종에 따라 물성이 다르며, 다양한 형태로 가공되어 여러 분야에 활용되고 지속가능한 산림 관리와 기술 개발이 중요시되는 재료이다.
  • 도구 - 호루라기
    호루라기는 입으로 불어넣는 공기나 증기를 이용하여 소리를 내는 도구로, 스포츠 경기, 경비, 교통 정리 등 다양한 분야에서 신호 전달 및 경고 목적으로 활용되며 악기로도 사용된다.
하우더 - [군대/부대]에 관한 문서
하우다
개요
용도코끼리, 낙타 또는 다른 동물 뒤에 놓인 가마
관련 용어하우다 권총

2. 역사

유럽에서 사용되는 "코끼리와 성"은 코끼리가 등에 을 싣고 있는 모습으로 힘을 상징하는 파생된 상징이다. 이 상징은 고대 유럽에서 사용되었으며, 13세기부터 영국, 17세기부터 덴마크에서 사용되었다.

체스터 대성당의 14세기 합창단 좌석의 "코끼리와 성".


13세기 영국에서는 프랑스 왕 루이 9세가 헨리 3세에게 선물한 코끼리가 런던탑 동물원에 전시되면서 '코끼리와 성' 상징이 널리 퍼지게 되었다.

오늘날 이 상징은 런던 남부의 Elephant and Castle 교차로에서 가장 잘 알려져 있는데, 이는 1765년에 설립된 술집 이름에서 유래했다.[9] Elephant and Castle의 역사가인 스티븐 험프리(Stephen Humphrey)는 다양한 기원 이론을 제시하고, 그 후 이 지역의 이름을 따온 술집의 이름이 무작위로 정해졌음을 보여준다.[9]

2. 1. 고대

쿠르티우스의 기록에 따르면, "제2차 도시화"(기원전 600년 – 기원전 200년경) 시대의 고대 인도 왕들은 원정 시 코끼리에 설치된 하우다를 탄 전차를 이용했다고 한다.[2]

고대 시대에 로마인들은 전투 코끼리를 사용했으며, 망루가 달린 코끼리는 기원전 1세기에 누미디아의 유바 2세의 화폐에 등장했다.[7] 코끼리는 히스파니아에서 켈트 이베리아인을 상대로, 골족을 상대로, 그리고 브리튼인을 상대로 한 로마의 군사 작전에 사용되었다. 고대 역사가 폴리에누스는 "카이사르는 갑옷을 갖추고 탑에 궁수와 투석병을 태운 거대한 코끼리 한 마리를 가지고 있었다. 이 낯선 생물이 강에 들어가자 브리튼인과 그들의 말들이 도망쳤고 로마 군대는 건너갔다."[8]라고 기록했다. 그러나 그는 이 사건을 클라우디우스의 브리튼 정복에서 사용된 유사한 전투 코끼리와 혼동했을 수 있다.

2. 2. 중세 및 근세

12세기 스페인에서는 등에 정교한 을 얹은 전투 코끼리 그림이 등장하는데, 이는 하우다의 형태가 유럽에 전해져 다양한 방식으로 변용되었음을 보여주는 사례이다.[7] 13세기 영국에서는 프랑스 왕 루이 9세가 헨리 3세에게 선물한 코끼리가 런던탑 동물원에 전시되면서, '코끼리와 성'이라는 상징이 널리 퍼지게 되었다. 이 코끼리는 클라우디우스 이후 영국에서 처음으로 등장한 코끼리였다. 이 상징은 이후 여러 귀족 가문의 문장, 화폐, 훈장 등에 사용되었다. 코번트리시의 문장에 사용되었고, 로열 아프리카 컴퍼니에서 사용되어 기니 금화에 사용되기도 하였다. 1693년부터는 덴마크 최고 훈장인 코끼리 훈장에도 사용되었다.[9]

인도 조드푸르의 메랑가르 요새 박물관에는 메와르의 마하라자가 의례 행사 때 사용했던 다양한 하티 호다(코끼리 하우다)가 전시되어 있다.

페르시아 제국에서는 낙타 하우다가 일반적인 운송 수단이었다.[10] 특히 사막을 건너는 대상에게 낙타 하우다는 필수적인 존재였다. 투르크멘족은 전통적으로 낙타에 케제베(kejebe)라는 하우다를 얹어 장거리 여행이나 결혼식 때 여성들을 수송하는 데 사용했다.

2. 3. 근대 이후

허먼 멜빌은 1851년작 ''모비 딕''에서 하우다를 언급했고, 쥘 베른의 ''80일간의 세계 일주''(1873)에도 하우다가 등장한다. 벤허 첫머리에도 하우다가 언급된다.[6] 톨킨은 ''반지의 제왕''에서 하라드무마킬에 하우다가 실려 있다고 썼다.

런던 Elephant and Castle 교차로의 조각상.


유럽에서는 코끼리 등에 을 싣는 "코끼리와 성" 상징이 사용되기도 한다. 이 상징은 고대 유럽에서 사용되었으며, 13세기부터 영국, 17세기부터 덴마크에서 사용되었다.

오늘날 '코끼리와 성' 상징은 영국 런던 남부의 Elephant and Castle 교차로에서 가장 잘 알려져 있는데, 이는 1765년에 설립된 술집 이름에서 유래했다.[9] 코끼리와 성 상징은 13세기부터 코번트리 시의 문장에 사용되었으며, 17세기 로열 아프리카 컴퍼니의 문장에도 사용되어 기니 금화에 사용되기도 했다.

코끼리 훈장의 칼라.


덴마크 최고 훈장인 코끼리 훈장에도 코끼리와 성 상징이 사용된다.

3. 용도

하우다는 고대부터 군사적 목적으로 활용되었다. 전투 코끼리에 설치된 하우다는 적에게 위압감을 주었고, 병사들에게는 안전한 공간을 제공했다. 에르미타주 박물관에 소장중인 기원전 2세기 박트리아 팔레라에는 군용 코끼리가 하우다 요새를 운반하고 있으며, 마케도니아 투구를 쓴 병사가 탑승하고 있는 모습이 묘사되어 있다.[3][4][5]

3. 1. 운송 수단

페르시아에서는 낙타 하우다가 중요한 운반 수단으로 쓰였다.[10] 사막을 다니는 대상에게도 중요한 운반 수단이었다.

낙타 호다를 갖춘 낙타 행렬(1855).


1905년경 시말라 부왕 관저에 있는 부왕의 호다


미국 작가 허먼 멜빌은 1851년작 ''모비 딕''의 42장("고래의 흰색")에서 "페루 원주민에게 눈 덮인 하우더가 있는 안데스 산맥의 지속적인 모습은, 아마도 광대한 고도에서 지배하는 영원한 서리의 황량함에 대한 상상력과, 그러한 비인간적인 고독 속에서 길을 잃는 것이 얼마나 무서울지에 대한 자연스러운 자만심을 제외하고는 어떤 두려움도 전달하지 않는다"라고 적었다. 또한 쥘 베른의 고전 모험 소설 ''80일간의 세계 일주''(1873)의 11장에도 등장하는데, "코끼리 운전에 능숙한 파르시는 그의 등에 일종의 안장을 덮고 그의 양 옆구리에 기묘하게 불편한 하우다를 부착했다"고 묘사되어 있다. 벤허의 첫 번째 장에서는 다음과 같이 언급된다. “정확히 정오에 낙타는 스스로 멈춰서 특유의 애처로운 울음소리를 냈는데, 이는 과적에 대한 불만을 나타내는 것이었고, 때로는 주의와 휴식을 요구하기도 했다. 그러자 주인은 잠에서 깨어난 듯이 분주하게 움직였다. 그는 하우다의 커튼을 걷어 올리고, 해를 바라보고, 약속된 장소를 확인하려는 듯 오랫동안 주의 깊게 사방을 둘러보았다."

톨킨은 ''반지의 제왕''에서 하라드무마킬(코끼리)에 하우다가 실려 있다고 썼다.[6]

투르크멘족은 전통적으로 낙타에 케제베|کجوهtkm를 사용했는데, 주로 장거리 여행이나 결혼식에서 여성들을 수송하는 데 사용되었으며, 현재는 결혼식에만 대여된다.

3. 2. 군사적 목적

고대부터 근세까지 하우다는 전투에서 지휘관의 탑승 공간이나 이동식 요새로 활용되기도 했다. 특히, 전투 코끼리에 설치된 하우다는 적에게 위압감을 주고, 병사들에게는 안전한 공간을 제공했다. 박트리아 팔레라에는 군용 코끼리가 하우다 요새를 운반하고 있으며, 마케도니아 투구를 쓴 병사가 탑승하고 있는 모습이 묘사되어 있다. 이는 에르미타주 박물관에 소장중인 기원전 2세기의 유물이다.[3][4][5]

3. 3. 의례 및 상징

유럽에서는 '코끼리와 성'이라는 파생된 상징이 사용되는데, 이는 코끼리가 등에 을 싣고 있는 모습으로 특히 힘을 상징한다. 이 상징은 고대 유럽에서 사용되었으며, 최근에는 13세기부터 영국에서, 적어도 17세기부터 덴마크에서 사용되었다.

고대 시대에 로마인들은 전투 코끼리를 사용했으며, 망루가 달린 코끼리는 기원전 1세기에 누미디아의 유바 2세의 화폐에 등장했다.[7] 코끼리는 히스파니아에서 켈트 이베리아인을 상대로, 골족을 상대로, 그리고 브리튼인을 상대로 한 로마의 군사 작전에 사용되었다. 고대 역사가 폴리에누스는 "카이사르는 갑옷을 갖추고 탑에 궁수와 투석병을 태운 거대한 코끼리 한 마리를 가지고 있었다. 이 낯선 생물이 강에 들어가자 브리튼인과 그들의 말들이 도망쳤고 로마 군대는 건너갔다."[8]라고 기록했다. 그러나 그는 이 사건을 클라우디우스의 브리튼 정복에서 사용된 유사한 전투 코끼리와 혼동했을 수 있다.

12세기 스페인 전쟁 코끼리 그림.


현대적인 사용은 하우다와의 후기 접촉에서 유래했을 수 있다. 등에 정교한 성을 지닌 전투 코끼리의 기발한 이미지는 12세기 스페인에서 시작되었다.

13세기 영국에서의 사용은 루이 9세 (프랑스)가 1254년 헨리 3세 (잉글랜드)에게 런던 타워의 동물원에 선물한 코끼리에서 유래했을 수 있다. 이 코끼리는 클라우디우스 이후 영국에서 처음으로 등장한 코끼리였다.

오늘날 이 상징은 런던 남부의 Elephant and Castle 교차로에서 가장 잘 알려져 있다.

코끼리와 성 상징은 13세기부터 코번트리시의 문장에 사용되었으며, 17세기에 로열 아프리카 컴퍼니에서 사용되었으며, 이는 기니 금화에 사용되는 결과를 낳았다.

코끼리와 성 상징은 1693년부터 덴마크 최고 훈장인 코끼리 훈장에도 사용되었다.

4. 갤러리

조드푸르의 메랑가르 요새 박물관에는 메와르의 마하라자가 주로 의례적인 행사에 사용했던 다양한 하티 호다(Hathi Howdah) 전시관이 있다.[1]

4. 1. 중동

1905년경 시말라 부왕 관저에 전시된 부왕의 하우더이다.

참조

[1] 웹사이트 n.Howdah not to do it- MEF Lift the Covers! http://www.millenniu[...] Millennium Elephant Foundation 2018-06-26
[2] 서적 The. Classical. Accounts.of. India Firma K.L. Mukhopadhvay
[3] 서적 Metalwork from the Hellenized East : catalogue of the collections https://www.getty.ed[...] J. Paul Getty Museum 1993
[4] 서적 The Greeks in Asia https://archive.org/[...] Thames & Hudson 2015
[5] 간행물 Monsters of Military Might: Elephants in Hellenistic History and Art https://www.research[...] Hermitage Museum
[6] 서적 The Keys of Middle-earth: Discovering Medieval Literature Through the Fiction of J. R. R. Tolkien Palgrave 2005
[7] 문서 Corpus Nummorum Numidiae Mauretaniaeque Paris
[8] 문서 Polyaenus
[9] 웹사이트 World Wide Words: Elephant and Castle http://www.worldwide[...] 2018-06-26
[10] 간행물 Travels in the Mogul Empire, AD 1656-1668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