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하팔리디움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하팔리디움과(Hapalidiaceae)는 홍조식물문의 한 과로, 3개의 아과와 여러 속으로 분류된다. Austrolithoideae, Choreonematoideae, Melobesioideae 아과로 나뉘며, 각 아과에는 여러 속이 포함된다. 멜로베시아아과는 하팔리디움과에서 가장 다양한 속을 포함하며 전 세계 해역에 널리 분포한다. 하팔리디움과에 대한 연구는 19세기부터 시작되었으며, 형태학적 특징을 기반으로 분류가 이루어지다가, 20세기 후반부터 분자생물학적 방법이 도입되면서 계통 분류 체계가 변화하였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진정홍조강 - 우뭇가사리
    우뭇가사리는 피코빌리단백질 색소를 가진 연골질 해조류로, 동아시아에서 식량으로 이용되며 우무, 샐러드, 푸딩, 잼 등으로 섭취하거나 한천의 원료, 바이오 연료로도 연구되는 수배우체, 암배우체, 포자체의 세 몸체를 가진 해조류이다.
  • 진정홍조강 - 분홍국수말과
    분홍국수말과는 불규칙적이고 원추형 형태를 가지며 전 세계적으로 분포하는 홍조류의 한 과이다.
하팔리디움과 - [생물]에 관한 문서
하팔리디움과
''[[Mesophyllum expansum]]''
Mesophyllum expansum
분류학적 정보
학명Hapalidiaceae
명명자J.E. Gray
이명해당 사항 없음

2. 하위 분류

하팔리디움과(Hapalidiaceae)는 3개의 아과와 여러 속으로 분류된다.


  • 아우스트롤리톤아과 (Austrolithoideae)
  • * ''Austrolithon''
  • * ''Boreolithon''
  • * ''Epulo''
  • 코레오네마아과 (Choreonematoideae)
  • * ''Choreonema''
  • 멜로베시아아과 (Melobesioideae)
  • * ''Crustaphytum''
  • * ''Epilithon''
  • * ''Exilicrusta''
  • * ''Mastophoropsis''
  • * ''Melobesia''
  • * ''Neopolyporolithon''
  • * ''Sphaeranthera''
  • * ''Synarthrophyton''
  • 기타
  • * ''Aethesolithon''
  • * ''Callilithophytum''
  • * ''Nullipora'' (현재 ''Phymatolithon''의 동의어로 간주)
  • * ''Tectolithon''

2. 1. Austrolithoideae 아과

아우스트롤리톤아과(Austrolithoideae)는 주로 남반구의 한랭한 해역에 분포한다. 이 아과에는 ''Austrolithon'', ''Boreolithon'', ''Epulo'' 속이 있다.

2. 2. Choreonematoideae 아과

Choreonematoideae 아과는 단일 속인 ''Choreonema''으로 구성된다. ''Choreonema'' 속은 다른 Hapalidiaceae 종들과 달리 석회화 정도가 낮고, 유연한 몸체를 가진다.

2. 3. Melobesioideae 아과

멜로베시아아과(Melobesioideae)는 하팔리디움과에서 가장 다양한 속을 포함하며, 전 세계 해역에 널리 분포한다. 속으로는 ''Crustaphytum'', ''Epilithon'', ''Exilicrusta'', ''Mastophoropsis'', ''Melobesia'', ''Neopolyporolithon'', ''Sphaeranthera'', ''Synarthrophyton'' 등이 있다.

2. 4. 기타

하팔리디움과에는 상기 3개 아과에 속하지 않는 여러 속이 있다. ''Aethesolithon''속, ''Callilithophytum''속, ''Nullipora''속, ''Tectolithon'' 속 등이 있다. ''Nullipora'' 속은 현재 Phymatolithon 속의 이명(동의어)으로 간주된다.

3. 연구사 및 주요 문헌

하팔리디움과(Hapalidiaceae)에 대한 연구는 19세기부터 시작되었다. 초기에는 형태학적 특징을 기반으로 분류가 이루어졌으며, J.E. Gray는 1864년 영국 해조류에 대한 연구를 발표하였다.

20세기 후반부터 분자생물학적 방법이 도입되면서 하팔리디움과의 계통 분류 체계가 크게 변화하였다. 2003년 A.S. Harvey 등은 18S rDNA 계통발생 연구를 통해 Choreonematoideae, Austrolithoideae, Melobesioideae 아과를 재분류하였다. 2006년 H.S. Yoon 등은 홍조류 전체의 계통 관계를 규명하는 연구를 발표하였다.

최근에는 한국 해역에 분포하는 하팔리디움과 종에 대한 연구도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Algaebase http://www.algaebase[...]
[2] 웹사이트 WoRMS http://www.marinespe[...]
[3] 웹사이트 NCBI https://www.ncbi.nlm[...]
[4] 웹사이트 Encyclopedia of Life http://www.eol.org/p[...]
[5] 웹사이트 Biolib https://www.biolib.c[...]
[6] 웹사이트 AlgaeBase, Nullipora https://www.algaebas[...] 2020-09-30
[7] 웹사이트 AlgaeBase, Tectolithon https://www.algaebas[...] 2020-09-30
[8] 웹사이트 AlgaeBase, Melobesioideae https://www.algaebas[...] 2020-09-30
[9] 웹인용 Family: Hapalidiaceae http://www.algaebase[...] AlgaeBase 2019-10-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