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게임문화재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한국게임문화재단은 건강한 게임 문화를 조성하고 게임 과몰입을 예방하기 위해 설립된 재단이다. 2008년 설립 이후 게임 관련 캠페인, 게임여가문화체험관 구축 지원 사업 등을 시작했다. 2010년부터는 게임 관련 학술대회 후원, 게임이용정보확인 포털사이트 개설, 놀이터 지원 사업 등을 진행했다. 2011년에는 게임 과몰입 상담치료센터를 개소하고, 게임문화아카데미 운영, 게임행동 진단 조사 등을 실시했다. 2012년에는 게임 문화 인식 개선 및 저변 확대를 위해 다양한 활동을 펼쳤으며, 2013년에는 게임 과몰입 대안활동 진흥을 위한 지원 사업을 진행했다. 2014년에는 게임 과몰입 전문 상담 시스템 구축에 힘썼으며, 현재는 건강한 게임 문화 조성, 게임 이용 교육 및 지원, 게임 관련 조사 연구, 게임 과몰입 예방 및 상담 지원, 사회공헌사업 등을 주요 사업으로 추진하고 있다. 재단은 서울특별시 서초구에 위치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비디오 게임 관련 단체 - 독일연방인터랙티브엔터테인먼트소프트웨어협회
독일연방인터랙티브엔터테인먼트소프트웨어협회(BIU)는 독일 게임 산업 발전을 위해 게임 행사 주최, 미성년자 및 저작권 보호, 교육, 통계 제공, 국제 협력 등 다양한 사업을 전개하는 단체이다. - 비디오 게임 관련 단체 - 인터랙티브 예술 과학 협회
인터랙티브 예술 과학 협회(AIAS)는 비디오 게임 산업 발전을 목표로 설립된 비영리 단체로서, D.I.C.E. 서밋을 통해 업계 전문가들이 모여 아이디어를 교환하고 게임의 예술성과 과학적 측면을 논의하며, 액티비전 블리자드, 넷마블, 닌텐도, 유비소프트 등이 주요 회원사로 활동한다. - 2008년 설립된 단체 - 대한민국 금융위원회
대한민국 금융위원회는 금융 정책, 금융기관 감독, 자본시장 관리, 금융소비자 보호 등을 담당하는 국무총리 소속 중앙행정기관으로, 위원회를 통해 금융 관련 주요 의사결정을 하며 금융정보분석원을 소속기관으로 두고 있다. - 2008년 설립된 단체 - 제65의무여단
제65의무여단은 1927년 창설되어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유럽 전구에서 활약한 미 육군 의무 부대로, 한국에서 주둔하며 주한미군 의료 지원을 제공한 후 현재는 캠프 험프리스에서 브라이언 올굿 육군 지역병원을 중심으로 주한미군 및 한국군 장병들에게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 재단법인 (문화체육관광부 소관) - 국악방송
국악방송은 2001년 개국한 국악 전문 방송으로, 국악 FM과 국악 TV를 운영하며 국악 프로그램 제작, 한국 전통 문화 예술 보급, 지역 문화 활성화를 주요 사업으로 추진한다. - 재단법인 (문화체육관광부 소관) - 광주국악방송
광주국악방송은 광주광역시를 중심으로 2014년 개국한 국악 전문 방송국으로, FM 99.3MHz 주파수로 호남 지역에 방송을 송출하며, 국악 프로그램 제작 및 보급, 국악 대중화 사업 등을 진행하고 대전국악방송도 운영한다.
한국게임문화재단 | |
---|---|
기본 정보 | |
![]() | |
설립 | 2007년 12월 |
유형 | 비영리 재단법인 |
목적 | 게임 문화 진흥 및 건전한 게임 문화 조성 |
본부 | 대한민국 |
위치 | 서울특별시 마포구 상암산로 |
웹사이트 | 한국게임문화재단 공식 웹사이트 |
조직 및 운영 | |
주요 사업 | 게임 과몰입 상담 및 치료 지원 게임 문화 교육 및 연구 게임 관련 정책 개발 지원 게임 관련 행사 개최 및 후원 |
운영 방식 | 정부 지원금, 기업 기부금, 자체 수익금 등으로 운영 |
기타 정보 | |
관련 기관 | 문화체육관광부, 한국콘텐츠진흥원 |
연락처 | (전화번호 정보 없음) |
2. 연혁
시기 | 주요 활동 |
---|---|
2008년 2월 ~ 2010년 12월 | 한국게임문화재단 설립 (초대 이사장 최규남), <건강한 게임, 나누는 행복> 캠페인, 게임여가문화체험관 구축 지원, 제2기 이사회 출범 (김종민 이사장), 한국게임학회 학술대회 후원, 2010 대한민국게임대상 이사장상 신설, <게임이용정보확인> 포털사이트 개설, 놀이터 및 바둑대회 지원사업 시행 |
2011년 1월 ~ 12월 | 서울시 초등학교 교육만화도서 보급, <게임과몰입 상담치료센터> 사업 발표회, <NGO협력사업> 공모, 한국콘텐츠진흥원(KOCCA) 및 서울시강서교육지원청 협약, <게임문화아카데미> 운영, 수도권 센터 개소 및 심포지엄 개최, 전국 규모 게임행동 진단 조사, 청소년게임워크숍, 서울통상산업진흥원(SBA) 협약, 게임사 CSR 담당자 교육, F.L.Y 캠프 개최, 스마트기기 음악 콘테스트 후원, <커리어 퀘스트> 진행, 한국교육개발원 협약, <게임과몰입 상담치료센터> 2차 공모, G-Star 참가, 경기도 광명시 협약,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협약, <게임문화리포트> 및 칼럼 발행 |
2012년 1월 ~ 12월 | 수도권 및 영남권 게임과몰입 상담치료센터 관련 활동, 토론회 및 심포지엄 개최, 매거진 <게임컬처> 창간, <Game Brain Forum> 발족, <게임문화리포트> 발간, <NGO협력사업> 시행, 문화사회연구소 MOU, <게임문화아카데미> 개최, 사회공헌백서 발간, 캠페인 진행, 국제 심포지엄 개최, 국회 토론회, 제3기 이사회 출범 (이사장 신현택), e스포츠 문화축제, 세계지식포럼 게임세션 운영, 컴퓨터 기증, 청소년 게임기획 창작워크숍 후원 |
2013년 1월 ~ 2014년 12월 | 2012 게임문화재단 활동보고서한국어 발간, 서울시 희망 배움 교실 컴퓨터 기증, 김제시 및 전라북도 행사 참여, 호남권 학부모 교실, 2013 게임과몰입 가족힐링캠프한국어 진행, 2012 게임업계 사회공헌백서한국어 발간, 홍대 공연정보 통합안내센터 후원, 청소년이용가 온라인게임물 민간등급분류기관 선정, Wee센터 상담사 배치 및 연수, 게임의 이해 지역 연수, 제4기 이사회 출범 (이사장 정경석), 게임과몰입힐링센터 협약 및 운영 |
2. 1. 2008년 ~ 2010년: 재단 설립 및 초기 활동
- 2008년 2월: 한국게임문화재단이 설립되었으며, 초대 이사장은 최규남이었다.
- 2008년 4월: <건강한 게임, 나누는 행복> 캠페인을 시작했다.
- 2008년 7월: 게임여가문화체험관 구축 지원 사업을 시작했다.
- 2010년 8월: 제2기 이사회가 출범하였으며, 이사장은 김종민이었다.
- 2010년 10월: 한국게임학회 학술대회를 후원했다.
- 2010년 11월: '2010 대한민국게임대상'에 이사장상을 신설하고, <게임이용정보확인> 포털사이트를 개설하여 서비스 운영을 시작했다.
- 2010년 12월: 놀이터 지원사업과 바둑대회 지원사업을 시행했다.
2. 2. 2011년: 게임 과몰입 상담 및 교육 강화
- 2011년 1월 : 서울시 587개 초등학교에 게임이용정보를 담은 교육만화도서를 보급하는 사업을 시행하였다.
- 2011년 3월 : <게임과몰입 상담치료센터> 사업 발표회를 개최하였다.
- 2011년 5월 : 건강한 게임문화 환경 조성을 위한 <NGO협력사업> 공모를 시행하고, 한국콘텐츠진흥원(KOCCA), 서울시강서교육지원청과 업무협약을 체결하였다. 또한 인문학 교양강좌 <게임문화아카데미>를 운영하였다.
- 2011년 6월 : 수도권 <게임과몰입 상담치료센터>를 개소하고, '게임과몰입 대처방안과 상담치료센터의 발전방향'을 주제로 <심포지엄>을 개최하였다. 전국 10만 명 규모의 아동 및 청소년 게임행동 진단 조사를 시행하고, 청소년게임워크숍 '게임으로 영화찍자'를 개최하였다. 서울통상산업진흥원(SBA)과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게임사 CSR 담당자를 대상으로 사회공헌 전문교육을 실시하였다.
- 2011년 7월 : '아동 및 청소년 게임행동 진단조사'를 시행하였다.
- 2011년 8월 : 서울, 인천 지역 중학생을 대상으로 'F.L.Y 캠프'(Fun & Leadership for Youth Camp)를 개최하고, 스마트기기 음악 콘테스트 '스마트밴드 경연대회'를 후원하였다. 또한 청소년 직업 체험 프로그램 <커리어 퀘스트>를 진행하였다.
- 2011년 9월 : 한국교육개발원 위(wee) 프로젝트 연구특임센터와 건강한 게임문화 확산을 위한 MOU를 체결하고, <게임과몰입 상담치료센터> 2차 공모를 통해 영남, 호남 지역 각 1개소를 선정하였다.
- 2011년 11월 : '2011 G-Star'에 참가하여 게임과몰입 예방 관련 홍보 활동을 하고, G-Star 특강 <게임문화아카데미>를 개최하였다. 고3 수험생을 위한 게임직업 체험프로그램 <커리어 퀘스트>를 개최하고, 경기도 광명시와 '게임이용 및 게임과몰입 예방 업무 협약'을 체결하였다.
- 2011년 12월 : 경기도 광명시 학부모 대상 <게임문화아카데미>를 개최하고, 호남권 <게임과몰입 상담치료센터>를 개소하였다.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과 '청소년의 건강한 게임문화 형성을 위한 학술 연구 교류 협약'을 체결하고, <게임문화리포트> vol.1 'Brains On Video Games'와 <2011년 게임문화칼럼>을 발행하였다.
2. 3. 2012년: 게임 문화 인식 개선 및 저변 확대
2012년 한국게임문화재단은 게임 문화에 대한 인식을 개선하고 저변을 확대하기 위해 다양한 활동을 펼쳤다.월 | 주요 활동 |
---|---|
1월 | 수도권 게임과몰입 상담치료센터 성과 발표, <2011년 NGO협력사업> 성과 보고회 개최 |
2월 | 영남권 게임과몰입 상담치료센터 개소, 토론회 청소년과 게임문화 어떻게 볼 것인가 개최, <제1회 게임의 사회적/문화적 위상제고를 위한 심포지엄> 나는 게임이다 개최 |
3월 | 매거진 <게임컬처> 창간, <Game Brain Forum> 발족 |
4월 | <게임문화리포트> vol.2 게임선용척도 개발 및 타당화 발간, <2012년 NGO협력사업> 공모 시행, 문화로 행복한 학교 만들기 사업 후원, (사)문화사회연구소와 MOU 체결, <제2회 게임의 사회적/문화적 위상제고를 위한 심포지엄> 새로운 게임문화 정책 제안 개최 |
5월 | 2012 세이프서울 한마당 내 건강한 게임이용문화 캠페인, 광명시 청소년 대상 <게임문화아카데미> 개최 |
6월 | <2012년 NGO협력사업> 최종 선정, <2011 게임업계 사회공헌백서> 발간, 튼튼쑥쑥 어린이건강박람회 내 게임과몰입 예방 캠페인 진행, <게임문화리포트> vol.3 게임과몰입 인지행동 집단 치료 프로그램 발간, <국제 심포지엄> Seoul International Internet and On-line Game Symposium 개최 |
7월 | 대구 e-Fun 2012 학부모 및 청소년 대상 게임과몰입 예방 캠페인 |
8월 | 전국 3개 지역 어린이청소년 대상 <게임문화캠프> 개최 |
9월 | 국회 토론회 19禁과 청소년 문화 개최, 제3기 이사회 출범 (이사장 신현택) |
10월 | 천안시 e-Sports 문화축제 내 건전한 게임문화상담관 운영, 세계지식포럼 게임세션 게임세대, 그리고 그들이 만들어 낼 미래 신설 및 운영, 부산 실버세대 게임정보화 교육 교육용 컴퓨터 기증 |
11월 | 청소년 게임기획 창작워크숍 후원, <제3회 게임의 사회적/문화적 위상제고를 위한 심포지엄> 게임의 미래: 인문, 예술,교육 개최 |
12월 | 부산 학부모, 교사, 학생 대상 <게임문화아카데미> 개최, <게임문화리포트> vol.4 미국 제9연방순회항소법원에 대한 사건이송 명령에 관한 건 발간, 1080 우린 한가족 e스포츠 한마당 후원 |
2. 4. 2013년 ~ 2014년: 게임 과몰입 전문 상담 시스템 구축
2012 게임문화재단 활동보고서한국어 발간, 서울시 '희망 배움 교실' 컴퓨터 기증, 김제시 어린이날 행사 E-클린 캠페인, 전라북도 청소년포럼연극 및 스마트기기 체험마당 부스 운영 등 다양한 활동을 통해 게임 과몰입 예방에 힘썼다.2013년 7월에는 호남권에서 게임과몰입 예방을 위한 학부모 교실을 진행하고, 8월에는 부산에서 게임 과몰입 자녀를 둔 가족을 위한 2013 게임과몰입 가족힐링캠프한국어를 진행했다. 9월에는 2012 게임업계 사회공헌백서한국어를 발간하고, 홍대 공연정보 통합안내센터 '씬디 티켓라운지'를 후원하여 게임 과몰입 대안활동 진흥에도 기여했다.
2013년 12월, 게임문화재단은 '청소년이용가 온라인게임물 민간등급분류기관'으로 선정되었다.
2014년에는 Wee센터 게임 과몰입 전문상담사를 배치하고 연수를 실시했으며, 게임의 이해 지역 연수를 진행했다. 10월에는 제4기 이사회가 출범하고(이사장 정경석), 게임과몰입힐링센터 업무협약을 체결하여 권역별 4개소를 운영하기 시작했다.
날짜 | 활동 내용 |
---|---|
2013년 1월 | 2012 게임문화재단 활동보고서한국어 발간 |
2013년 4월 | 서울시 희망 배움 교실 컴퓨터 기증 |
2013년 5월 | 김제시 어린이날 행사 E-클린 캠페인 진행 |
2013년 6월 | 전라북도 청소년포럼연극 및 스마트기기 체험마당 부스 운영 |
2013년 7월 | 호남권 게임과몰입 예방을 위한 학부모 교실 진행 |
2013년 8월 | 2013 게임과몰입 가족힐링캠프한국어 진행 |
2013년 9월 | 2012 게임업계 사회공헌백서한국어 발간, 홍대 공연정보 통합안내센터 후원 |
2013년 12월 | 청소년이용가 온라인게임물 민간등급분류기관 선정 |
2014년 2월 ~ 2014년 11월 | Wee센터 게임 과몰입 전문상담사 배치 및 연수 |
2014년 4월 ~ 2014년 9월 | 게임의 이해 지역 연수 |
2014년 10월 | 제4기 이사회 출범 (이사장 정경석), 게임과몰입힐링센터 업무협약 체결 및 운영 |
3. 주요 사업
4. 소재지
서울특별시 서초구 방배로 114 다이치빌딩 2층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