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한국바이오협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한국바이오협회는 바이오산업 발전을 목표로 하는 산업통상자원부 산하의 단체이다. 바이오산업계의 기술 개발과 산업화를 촉진하고, 국내 바이오 기업의 해외 진출을 지원하며 국제 협력을 강화하는 것을 비전으로 한다. 1982년 한국유전공학연구조합으로 시작하여, 한국생물산업협회, 한국바이오벤처협회 등의 통합을 거쳐 2008년 현재의 한국바이오협회로 출범했다. 해외 진출 지원, 인력 양성, 정책 기반 사업, 스타트업 지원, 지역 발전 프로그램, 업계 동향 제공 및 정보 서비스, 회원사 서비스, 홍보 활동 등 다양한 사업을 수행하며, 2024년 2월 기준 634개의 회원사를 보유하고 있다.

2. 설립 목적 및 비전

한국바이오협회는 Bioindustry영어 발전을 위한 유기적인 협력 체계를 구축하고, 바이오산업의 건전한 성장과 국제 경쟁력 강화를 도모하며, 세계화를 추구하여 국민 경제에 기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2. 1. 설립 목적

산업통상자원부 산업발전법 제38조에 의거, 바이오산업계의 대표 단체로서 바이오산업계의 유대를 공고히 하고 기술 개발 및 산업화 촉진을 위한 구심체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통해 관련 기업 활성화와 국제 경쟁력 강화를 도모하고, 궁극적으로 국가 경제 발전에 공헌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2. 2. 비전

바이오산업의 세계화를 목표로 하고 있다.

3. 연혁

연도내용
1982년 3월한국유전공학연구조합 출범 (초대 이사장: 정주영)
1991년 11월한국생물산업협회 출범 (초대 회장: 조완규, 이사장: 허영섭)
1995년 5월한국유전공학연구조합, “한국생명공학연구조합”으로 명칭 변경
2000년 7월한국바이오벤처협회 출범 (초대 회장: 한문희)
2005년 2월한국생물산업협회, “한국바이오산업협회”로 명칭 변경
2008년 11월한국바이오협회 통합 출범
2009년 4월역삼동 사무실 개소 및 정기총회 개최
2009년 12월바이오경제연구센터 설립
2011년 1월체외진단기업협의회 설립
2011년 5월판교 코리아바이오파크로 사옥 이전
2015년 7월유전체기업협의회 설립
2015년 7월제1회 코리아바이오플러스 개최
2019년한국바이오협회 유튜브 채널 BioTV 개설
2020년 6월한국바이오협회 보스톤 지부 설립
2020년 9월바이오플러스-인터펙스 코리아 2020 개최
2021년 1월국내 기업 해외 진출 지원 프로그램 ‘Global Mingle’ 프로그램 출범
2021년 4월화이트바이오 연대협력 협의체 발족


4. 조직 구성

한국바이오협회는 회장단, 이사회, 사무국 및 여러 위원회로 구성되어 있다.

4. 1. 회장단

회장: 제7대 고한승 (2021년 1월 ~ 현재)


이사장: 제6·7대 임종윤 (2019년 1월 ~ 현재)

5. 주요 사업

한국바이오협회는 해외 진출 지원, 인력 양성, 정책 기반 사업, 스타트업 지원, 지역 발전 프로그램, 업계 동향 제공 및 정보 서비스, 회원사 서비스, 홍보 활동 등 다양한 사업을 수행한다.

해외 진출 지원 사업으로는 다국적 제약사와의 협력, 주한 대사관 및 투자청 네트워크 구축, 해외 정보 제공, 역량 강화 프로그램 운영, 네트워킹 지원 등이 있다. 인력 양성 사업으로는 대학(원)생, 취업준비생, 재직자를 위한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고등학생 대상 프로그램도 운영한다.

정책 기반 사업 내용은 다음과 같다.

사업 내용
나고야 의정서 대응 기업 지원 (기업 컨설팅, 세미나, 자료집 발간 등)
바이오 민간투자 애로지원단 운영 (규제 관련 애로사항 접수, 대정부 개선 건의 활동 등)
생물무기금지협약(BWC) 국내이행사업
화이트바이오 협의체 및 체외진단기업협의회/유전체기업협의회 운영



스타트업 지원을 위해 성장단계별 IR 지원 프로그램과 멘토링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바이오 벤처 성장단계별 IR 지원 프로그램
프로그램명설명
BIO Blaze영어BT-IT 중소·벤처기업 대상
Golden Seed Challenge영어우수 초기 스타트업 대상
Smart Start영어시리즈 B, C 및 IPO를 앞둔 기업 대상



멘토링 지원 프로그램
프로그램명설명
바이오 엑셀러레이터 멘토링 프로그램초기 바이오 스타트업 대상
바이오 창업스쿨 바이오큐브실습 및 집체식 교육 프로그램
창업경진대회시리즈 B, C 및 IPO를 앞둔 기업 대상



지역 발전을 위해 지자체 정책 및 특화센터 세미나, 권역별 기업 BT 세미나(‘찾아가는 지역 카라반‘), 지역 순회 전시회 등을 개최한다.

업계 동향 제공 및 정보 서비스로는 한국바이오산업정보서비스(KBIOIS영어) 운영, 리포트 및 브리프 발간, 연 1회 국내 바이오산업 실태조사 보고서 발간 등이 있다.

회원사에게는 '찾아가는 서비스', '주간 교류회' 등을 통해 애로사항 파악, 의견 수렴 및 네트워킹을 지원하고, 세미나 및 컨퍼런스 참가비 할인 등의 혜택을 제공한다.

홍보 활동으로는 유튜브 채널 BioTV영어 운영,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링크드인 등 SNS 운영, 주 5회 데일리 뉴스레터 발행, 브로슈어 및 사사(社史) 발간 등이 있다.

5. 1. 해외 진출 지원

한국바이오협회는 다음과 같은 해외 진출 지원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 다국적 제약사와의 오픈 이노베이션 지원
  • 주한 대사관/투자청 네트워크 구축
  • 각국 바이오산업 최신 정보/동향 제공
  • 해외 진출 역량 강화 프로그램 운영
  • 네트워크 구축 (IR 피칭 지원, 한국관 운영, 파트너링 지원 등)

5. 2. 인력 양성

한국바이오협회는 대학 및 대학원 지원 사업으로 디지털헬스케어 및 바이오 분야 대학지원센터사업과 바이오융복합기술 분야 석박사 지원 인력양성 사업을 운영하고 있다.

취업준비생(구직자) 대상 교육 프로그램은 다음과 같다.

  • 바이오(의약 및 건강기능식품) GMP 분야 인력양성
  • 이공계전문기술연수(바이오 전공자 취업연수 프로그램)
  • 체외진단 현장맞춤형 인력양성
  • 유전체 빅데이터 분석(BI) 인력양성
  • 데이터엔지니어 인력양성


재직자 대상 교육 프로그램은 다음과 같다.

  • 바이오전문인력양성(바이오분야 재직자 대상 재교육 과정)
  • 디지털헬스케어 인력양성
  • 유전체데이터 분석(BI) 인력양성


기타 교육 프로그램은 다음과 같다.

  • 바이오스쿨캠프(고교생 대상 체험학습형 교육 프로그램)
  • 바이오 전공 우수 고교생 해외 소재 LAB 투어 프로그램(고등학교 운영 사업 연계 프로그램)

5. 3. 정책 기반 사업

나고야 의정서 대응 기업 지원, 바이오 민간투자 애로지원단 운영, 생물무기금지협약(BWC) 국내이행사업, 화이트바이오 협의체 운영, 체외진단기업협의회/유전체기업협의회 운영을 지원한다.

구체적인 사업 내용은 다음과 같다.

사업 내용
나고야 의정서 대응 기업 지원: 기업 컨설팅, 세미나, 자료집 발간 등 지원활동 수행
바이오 민간투자 애로지원단 운영: 규제 관련 애로사항 접수, 대정부 개선 건의 활동 등
생물무기금지협약(BWC) 국내이행사업
화이트바이오 협의체 운영
체외진단기업협의회/유전체기업협의회 운영


5. 4. 스타트업 지원

BIO Blaze영어, Golden Seed Challenge영어, Smart Start영어와 같은 바이오 벤처 성장단계별 IR 지원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또한, 초기 바이오 스타트업을 위한 '바이오 엑셀러레이터 멘토링 프로그램', 실습 및 집체식 교육 프로그램 '바이오 창업스쿨 바이오큐브', 시리즈 B, C 및 IPO를 앞둔 기업을 위한 '창업경진대회' 등 멘토링도 지원한다.

바이오 벤처 성장단계별 IR 지원 프로그램
프로그램명설명
BIO Blaze영어BT-IT 중소·벤처기업 대상
Golden Seed Challenge영어우수 초기 스타트업 대상
Smart Start영어시리즈 B, C 및 IPO를 앞둔 기업 대상



멘토링 지원 프로그램
프로그램명설명
바이오 엑셀러레이터 멘토링 프로그램초기 바이오 스타트업 대상
바이오 창업스쿨 바이오큐브실습 및 집체식 교육 프로그램
창업경진대회시리즈 B, C 및 IPO를 앞둔 기업 대상


5. 5. 지역 발전 프로그램


  • 지자체 정책 및 특화센터 세미나를 개최한다.
  • 권역별 기업 BT 세미나인 ‘찾아가는 지역 카라반‘을 개최한다.
  • 지역 순회 전시회를 개최한다.

5. 6. 업계 동향 제공 및 정보 서비스

한국바이오산업정보서비스(KBIOIS영어) 운영 및 리포트, 브리프 발간 등을 통해 바이오산업 관련 최신 통계 및 정책 자료를 제공한다. 연 1회 국내 바이오산업 실태조사 보고서를 수행한다.

5. 7. 회원사 서비스

한국바이오협회는 회원사에게 다음과 같은 서비스를 제공한다.

  • '찾아가는 서비스'를 통해 회원사의 애로사항을 파악하고 의견을 수렴한다.
  • 매주 '주간 교류회'를 개최한다.
  • 바이오산업계의 의견을 수렴하는 등 회원사 간 네트워크 활성화를 지원한다.
  • 세미나 및 컨퍼런스 참가비, 광고 배너 상품 할인 혜택을 제공한다.

5. 8. 홍보 활동

BioTV영어라는 유튜브 채널을 운영하고 있으며, Bio NEWS, BIO INSIDER, KoreaBIO Events 등의 컨텐츠가 있다. 페이스북([https://www.facebook.com/koreabio.org/?ref=pages_you_manage]), 인스타그램([https://www.instagram.com/koreabioorg/]), 링크드인([https://www.linkedin.com/in/korea-bio/]) 등 SNS를 운영하고 있다. 평일 주 5회 데일리 뉴스레터를 발행하며, 브로슈어 및 사사(社史)도 발간한다.

6. 회원사

2024년 2월 기준 총 634개의 회원사가 있다.

회원사 현황 보러 가기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