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한국소설문학상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한국소설문학상은 문예지에 실린 중·단편 소설 및 장편, 소설집 가운데 우수한 작품을 선정하여 작가에게 수여하는 상이다. 한국소설문학상, 한국소설작가상, 만우 박영준 문학상, 한국소설신인상, 해외한국소설문학상, 아름다운 소설가상 등이 있으며, 각 상의 역대 수상자 목록을 제공한다.

2. 한국소설문학상

한국소설문학상은 문예지에 실린 중·단편 소설, 한국소설작가상은 장편 또는 소설집 가운데 우수한 작품을 골라 작가에게 주는 상이다.

연도회차단편 소설중편 소설장편 소설연작 소설소설집
1975년1회이정호, 백시종
1976년2회정을병, 송상옥
1977년3회이동하
1978년4회김원일 - 노을
1979년5회최일남, 정연희
1980년6회한승원 - 그 바다 끓며 넘치며
1981년7회오찬식
1982년8회김주영
1983년9회신석상, 《아파트공화국》
1984년10회박양호김지연, 《야생의 숲》
1985년11회안장환, 《겨울새》
1986년12회김홍신 - 풍객, 오영석 - 종합병동
1987년13회구인환, 《촛불 결혼식》구혜영 - 보리수 피리, 김녕희 - 오진시대
1988년14회곽학송 - 모란봉에서 한라산 까지, 박순녀 - 비단 비행기
1989년15회홍석영 - 풍진에 지다, 최미나 - 세번째 만남
1990년16회최해군노순자, 《진달래 산천》민병삼 - 그 여름 날개 내리다
1991년17회김광식 - 상상하는 여인, 김용운 - 가득한 애정
1993년 1월18회이석봉, 《여정(旅程)》한남규 - 바닷가의 소년
1993년 12월19회천금성, 《하선》 / 오성찬, 《어두운 시대의 초상화》
1994년20회이광복, 《바람잡기》박광서 - 재회를 위하여
1995년21회故 김병총, 《사라지는 것은 아름답다》 / 염재만, 《반노》
1997년22회홍성암김민숙, 《파리의 앵무새는 말을 배우지 않는다》
1998년23회김용철, 《폭목》강승원 - 대하소설: 남한강(전3권)
1999년 1월24회곽의진, 《꿈이로다 화연일세》유금호 - 여자에 관한 몇가지 이설 혹은 편견
1999년 12월25회한강손영목, 《얼음꽃》 / 최일옥, 《꽃은 혼자 피고 혼자 웃는다》
2000년26회은희경김관숙, 《아주 특별한 날의 이별》
2001년27회공지영이기윤, 《영혼의 춤》
2002년28회김성금노수민, 《광대들의 들판에 비가 오지 않는다》
2003년29회김정례채정운, 《상수리 수풀에 이르러》
2004년30회이선
2005년31회구자명, 오을식
2006년32회호영송, 김선주
2007년33회정건영, 한상윤
2008년34회김상렬, 박명희
2009년35회김현진
2010년36회이상문, 《네 안의 내 얼굴》
2011년37회박충훈, 김경
2012년38회정동수, 이영철
2013년39회이강숙, 박종윤
2014년40회민봉기, 최성배, 정승재
2015년41회강병석우한용, 《도도니의 참나무》
2016년42회이정은, 김건중, 김호운채문수, 《하숙생》
2017년43회정수남, 박영래
2018년44회서동훈, 성지혜, 이충호
2019년45회장재연, 공애린


2. 1. 역대 수상자 (한국소설문학상)

wikitext

연도회차단편 소설중편 소설장편 소설연작 소설소설집
1975년1회이정호, 백시종
1976년2회정을병, 송상옥
1977년3회이동하
1978년4회김원일 - 노을
1979년5회최일남, 정연희
1980년6회한승원 - 그 바다 끓며 넘치며
1981년7회오찬식
1982년8회김주영
1983년9회신석상, 《아파트공화국》
1984년10회박양호김지연, 《야생의 숲》
1985년11회안장환, 《겨울새》
1986년12회김홍신 - 풍객, 오영석 - 종합병동
1987년13회구인환, 《촛불 결혼식》구혜영 - 보리수 피리, 김녕희 - 오진시대
1988년14회곽학송 - 모란봉에서 한라산 까지, 박순녀 - 비단 비행기
1989년15회홍석영 - 풍진에 지다, 최미나 - 세번째 만남
1990년16회최해군노순자, 《진달래 산천》민병삼 - 그 여름 날개 내리다
1991년17회김광식 - 상상하는 여인, 김용운 - 가득한 애정
1993년 1월18회이석봉, 《여정(旅程)》한남규 - 바닷가의 소년
1993년 12월19회천금성, 《하선》 / 오성찬, 《어두운 시대의 초상화》
1994년20회이광복, 《바람잡기》박광서 - 재회를 위하여
1995년21회故 김병총, 《사라지는 것은 아름답다》 / 염재만, 《반노》
1997년22회홍성암김민숙, 《파리의 앵무새는 말을 배우지 않는다》
1998년23회김용철, 《폭목》강승원 - 대하소설: 남한강(전3권)
1999년 1월24회곽의진, 《꿈이로다 화연일세》유금호 - 여자에 관한 몇가지 이설 혹은 편견
1999년 12월25회한강손영목, 《얼음꽃》 / 최일옥, 《꽃은 혼자 피고 혼자 웃는다》
2000년26회은희경김관숙, 《아주 특별한 날의 이별》
2001년27회공지영이기윤, 《영혼의 춤》
2002년28회김성금노수민, 《광대들의 들판에 비가 오지 않는다》
2003년29회김정례채정운, 《상수리 수풀에 이르러》
2004년30회이선
2005년31회구자명, 오을식
2006년32회호영송, 김선주
2007년33회정건영, 한상윤
2008년34회김상렬, 박명희
2009년35회김현진
2010년36회이상문, 《네 안의 내 얼굴》
2011년37회박충훈, 김경
2012년38회정동수, 이영철
2013년39회이강숙, 박종윤
2014년40회민봉기, 최성배, 정승재
2015년41회강병석우한용, 《도도니의 참나무》
2016년42회이정은, 김건중, 김호운채문수, 《하숙생》
2017년43회정수남, 박영래
2018년44회서동훈, 성지혜, 이충호
2019년45회장재연, 공애린


2. 1. 1. 단편 소설 부문


  • 1975년 (제1회): 이정호, 백시종
  • 1976년 (제2회): 정을병, 송상옥
  • 1977년 (제3회): 이동하
  • 1979년 (제5회): 최일남, 정연희
  • 1981년 (제7회): 오찬식
  • 1982년 (제8회): 김주영
  • 1984년 (제10회): 박양호
  • 1990년 (제16회): 최해군
  • 1999년 (제25회): 한강
  • 2000년 (제26회): 은희경
  • 2001년 (제27회): 공지영
  • 2002년 (제28회): 김성금
  • 2003년 (제29회): 김정례
  • 2004년 (제30회): 이선
  • 2005년 (제31회): 구자명, 오을식
  • 2006년 (제32회): 호영송, 김선주
  • 2007년 (제33회): 정건영, 한상윤
  • 2008년 (제34회): 김상렬, 박명희
  • 2009년 (제35회): 김현진
  • 2011년 (제37회): 박충훈, 김경
  • 2012년 (제38회): 정동수, 이영철
  • 2013년 (제39회): 이강숙, 박종윤
  • 2014년 (제40회): 민봉기, 최성배, 정승재
  • 2015년 (제41회): 강병석
  • 2016년 (제42회): 이정은, 김건중, 김호운
  • 2017년 (제43회): 정수남, 박영래
  • 2018년 (제44회): 서동훈, 성지혜, 이충호
  • 2019년 (제45회): 장재연, 공애린

2. 1. 2. 중편 소설 부문


  • 1983년 (제9회): 신석상, 《아파트공화국》
  • 1984년 (제10회): 김지연, 《야생의 숲》
  • 1985년 (제11회): 안장환, 《겨울새》
  • 1987년 (제13회): 구인환, 《촛불 결혼식》
  • 1990년 (제16회): 노순자, 《진달래 산천》
  • 1993년 (제18회): 이석봉, 《여정(旅程)》
  • 1993년 (제19회): 천금성, 《하선》 / 오성찬, 《어두운 시대의 초상화》
  • 1994년 (제20회): 이광복, 《바람잡기》
  • 1995년 (제21회): 故 김병총, 《사라지는 것은 아름답다》 / 염재만, 《반노》
  • 1997년 (제22회): 김민숙, 《파리의 앵무새는 말을 배우지 않는다》
  • 1998년 (제23회): 김용철, 《폭목》
  • 1999년 (제24회): 곽의진, 《꿈이로다 화연일세》
  • 1999년 (제25회): 손영목, 《얼음꽃》 / 최일옥, 《꽃은 혼자 피고 혼자 웃는다》
  • 2000년 (제26회): 김관숙, 《아주 특별한 날의 이별》
  • 2001년 (제27회): 이기윤, 《영혼의 춤》
  • 2002년 (제28회): 노수민, 《광대들의 들판에 비가 오지 않는다》
  • 2003년 (제29회): 채정운, 《상수리 수풀에 이르러》
  • 2010년 (제36회): 이상문, 《네 안의 내 얼굴》
  • 2015년 (제41회): 우한용, 《도도니의 참나무》
  • 2016년 (제42회): 채문수, 《하숙생》

2. 1. 3. 장편 소설 부문


  • 1978년 (제4회): 김원일 - 노을
  • 1980년 (제6회): 한승원 - 그 바다 끓며 넘치며
  • 1986년 (제12회): 김홍신 - 풍객, 오영석 - 종합병동
  • 1987년 (제13회): 구혜영 - 보리수 피리, 김녕희 - 오진시대
  • 1988년 (제14회): 곽학송 - 모란봉에서 한라산 까지, 박순녀 - 비단 비행기
  • 1989년 (제15회): 홍석영 - 풍진에 지다, 최미나 - 세번째 만남
  • 1990년 (제16회): 민병삼 - 그 여름 날개 내리다
  • 1991년 (제17회): 김광식 - 상상하는 여인, 김용운 - 가득한 애정
  • 1994년 (제20회): 박광서 - 재회를 위하여
  • 1998년 (제23회): 강승원 - 대하소설: 남한강(전3권)

3. 한국소설작가상

한국소설작가상(2010년 제1회~2017년 제8회)은 문예지에 실린 장편 또는 소설집 가운데 우수한 작품을 골라 작가에게 시상한다.


  • 2010년 (제1회)
  • * 김지수 / 소설집 - 누가 강으로 떠났는가
  • * 오은주 / 소설집 - 하루이야기
  • 2011년 (제2회)
  • * 이채형 / 소설집 - 사과나무 향기
  • 2012년 (제3회)
  • * 김명조 / 장편소설 - 환상공화국
  • * 김영두 / 장편소설 - 첫사랑, 첫키스
  • 2013년 (제4회)
  • * 박찬순 / 소설집 - 무당벌레는 꼭대기에서 난다
  • * 김신운 / 장편소설 - 율치연대기
  • * 이인우 / 장편소설 - 며느리
  • 2016년 (제7회)
  • * 이수정 장편소설 <곡옥1·2>
  • * 이우상 소설집 <바이칼 여신>
  • 2017년 (제8회)
  • * 강준
  • * 최민초

3. 1. 역대 수상자 (한국소설작가상)

한국소설작가상(2010년 제1회~2017년 제8회)은 문예지에 실린 장편 또는 소설집 가운데 우수한 작품을 골라 작가에게 시상한다.

  • 2010년 (제1회)
  • * 김지수 / 소설집 - 누가 강으로 떠났는가
  • * 오은주 / 소설집 - 하루이야기
  • 2011년 (제2회)
  • * 이채형 / 소설집 - 사과나무 향기
  • 2012년 (제3회)
  • * 김명조 / 장편소설 - 환상공화국
  • * 김영두 / 장편소설 - 첫사랑, 첫키스
  • 2013년 (제4회)
  • * 박찬순 / 소설집 - 무당벌레는 꼭대기에서 난다
  • * 김신운 / 장편소설 - 율치연대기
  • * 이인우 / 장편소설 - 며느리
  • 2016년 (제7회)
  • * 이수정 장편소설 <곡옥1·2>
  • * 이우상 소설집 <바이칼 여신>
  • 2017년 (제8회)
  • * 강준
  • * 최민초

4. 만우 박영준 문학상

2005년 제1회 유금호의 장편소설 『만적』(전2권)을 시작으로, 2006년 제2회 故 김병총의 장편소설 『여름여자』, 2007년 제3회 김용운의 장편소설 『짧지만 행복했던 날들』이 선정되었다.[1] 2008년 제4회에는 오성찬의 장편소설 『꽃상여』, 2009년 제5회 채정운의 장편소설 『진경산수』, 2010년 제6회 강호삼의 소설집 『매머드사냥』이 수상하였다. 2011년 제7회 이정은의 장편소설 『웰컴 아벨』, 2012년 제8회 노수민의 장편소설 『천년의 만남』, 2013년 제9회 황선락의 장편소설 『월곡리로 간 한국전쟁』이 선정되었다. 2014년 제10회 이재백의 『목사동 느티나무』, 2015년 제11회 공애린의 『다리, 넌 뭐야?』, 2016년 제12회 노수민의 『천년의 만남』, 2017년 제13회 김경의 『다시 그 자리』가 수상하였다.[2]

4. 1. 역대 수상자 (만우 박영준 문학상)

2005년 제1회 유금호의 장편소설 『만적』(전2권)을 시작으로, 2006년 제2회 故 김병총의 장편소설 『여름여자』, 2007년 제3회 김용운의 장편소설 『짧지만 행복했던 날들』이 선정되었다.[1] 2008년 제4회에는 오성찬의 장편소설 『꽃상여』, 2009년 제5회 채정운의 장편소설 『진경산수』, 2010년 제6회 강호삼의 소설집 『매머드사냥』이 수상하였다. 2011년 제7회 이정은의 장편소설 『웰컴 아벨』, 2012년 제8회 노수민의 장편소설 『천년의 만남』, 2013년 제9회 황선락의 장편소설 『월곡리로 간 한국전쟁』이 선정되었다. 2014년 제10회 이재백의 『목사동 느티나무』, 2015년 제11회 공애린의 『다리, 넌 뭐야?』, 2016년 제12회 노수민의 『천년의 만남』, 2017년 제13회 김경의 『다시 그 자리』가 수상하였다.[2]

5. 한국소설신인상


  • 제1회(1996년) 장세진
  • 제2회(1997년) 김진초, 김헌일
  • 제3회(1998년) 강민정
  • 제4회(1998년) 이목연, 장명길
  • 제5회(1999년) 김강윤, 이재민
  • 제6회(1999년) 김현, 채대일
  • 제7회(2000년) 유연희, 정인
  • 제8회(2000년) 원채연, 유향목
  • 제9회(2001년) 정현, 김연혜, 최옥정, 김정묘
  • 제10회(2001년) 최민초, 황보탁
  • 제11회(2001년) 김영은, 주수자
  • 제12회(2002년) 한정배, 이은하
  • 제13회(2002년) 김상원
  • 제14회(2003년) 이예원, 김광원
  • 제15회(2003년) 김명재, 정성숙
  • 제16회(2004년) 최혜연, 조혜경, 이채원
  • 제17회(2004년) 한루시아
  • 제18회(2005년) 조진영
  • 제19회(2005년) 윤혜령, 김경수
  • 제20회(2006년) 최정호, 서용심
  • 제21회(2006년) 박의빈
  • 제22회(2007년) 김지완
  • 제23회(2007년) 이홍사
  • 제24회(2008년) 성민선, 김순수
  • 제25회(2008년) 조규남, 채원주
  • 제26회(2009년) 정미형, 김해영
  • 제27회(2009년) 김형수
  • 제28회(2010년) 정광모
  • 제29회(2011년) 이문명, 배이유
  • 제30회(2011년) 박문명, 김아람
  • 제31회(2012년) 최형, 강서진
  • 제32회(2012년) 박황, 오영이, 박마리
  • 제33회(2012년) 이지안
  • 제34회(2013년) 최병갑, 김뜰
  • 제35회(2013년) 성은영, 고동홍
  • 제36회(2013년) 이휘용
  • 제37회(2013년) 최정희
  • 제38회(2014년) 채내희, 강명화
  • 제39회(2014년) 박준서
  • 제40회(2014년) 현영아
  • 제41회(2014년) 정이수, 김정애

5. 1. 역대 수상자 (한국소설신인상)

1996년 제1회 장세진을 시작으로, 1997년 제2회 김진초, 김헌일이 한국소설문학상을 수상했다. 1998년에는 제3회 강민정과 제4회 이목연, 장명길이, 1999년에는 제5회 김강윤, 이재민과 제6회 김현, 채대일이 수상했다. 2000년에는 제7회 유연희, 정인과 제8회 원채연, 유향목이, 2001년에는 제9회 정현, 김연혜, 최옥정, 김정묘와 제10회 최민초, 황보탁, 제11회 김영은, 주수자가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2002년 제12회 한정배, 이은하와 제13회 김상원이, 2003년 제14회 이예원, 김광원과 제15회 김명재, 정성숙이, 2004년 제16회 최혜연, 조혜경, 이채원과 제17회 한루시아가 수상했다. 2005년에는 제18회 조진영과 제19회 윤혜령, 김경수가, 2006년에는 제20회 최정호, 서용심과 제21회 박의빈이, 2007년에는 제22회 김지완과 제23회 이홍사가 수상했다.

2008년 제24회 성민선, 김순수와 제25회 조규남, 채원주가, 2009년 제26회 정미형, 김해영과 제27회 김형수가, 2010년 제28회 정광모가 수상했다. 2011년 제29회 이문명, 배이유와 제30회 박문명, 김아람이, 2012년 제31회 최형, 강서진과 제32회 박황, 오영이, 박마리, 제33회 이지안이 수상했다.

2013년에는 제34회 최병갑, 김뜰과 제35회 성은영, 고동홍, 제36회 이휘용, 제37회 최정희가, 2014년에는 제38회 채내희, 강명화와 제39회 박준서, 제40회 현영아, 제41회 정이수, 김정애가 한국소설신인상을 수상했다.

6. 해외한국소설문학상

해외한국소설문학상은 외국에서 한국어로 작품 활동을 하는 작가에게 수여하는 상이다.[3][4] 2015년 제1회 수상자는 로스앤젤레스에 거주하는 전상미 작가로, 수상작은 '작별의 끝'(서울문학출판부)이다.[3] 2016년 제3회 수상자는 권소희 작가로, 수상작은 장편소설 <하늘에 별을 묻다>이다. 2017년 제4회 수상자는 댈러스에 거주하는 손용상 작가('따라지의 꿈')와 김외숙 작가이다.[4]

6. 1. 역대 수상자 (해외한국소설문학상)

해외한국소설문학상은 외국에서 한국어로 작품 활동을 하는 작가에게 수여하는 상이다.[3][4] 2015년 제1회 수상자는 로스앤젤레스에 거주하는 전상미 작가로, 수상작은 '작별의 끝'(서울문학출판부)이다.[3] 2016년 제3회 수상자는 권소희 작가로, 수상작은 장편소설 <하늘에 별을 묻다>이다. 2017년 제4회 수상자는 댈러스에 거주하는 손용상 작가('따라지의 꿈')와 김외숙 작가이다.[4]

7. 아름다운 소설가상

소설 창작을 활발히 해 한국 소설문학 발전에 이바지한 작가에게 시상한다.


  • 제1회(2017년) 김병충

7. 1. 역대 수상자 (아름다운 소설가상)

2017년 제1회 수상자는 김병충이다.

참조

[1] 웹사이트 http://www.jejusori.[...]
[2] 웹사이트 http://songpapen.org[...]
[3]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www.koreadail[...] 2018-01-29
[4] 웹사이트 http://www.koreatim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