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연구재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한국연구재단은 2009년 3월 25일 한국연구재단법에 따라 설립된 기관으로, 학술·연구개발 활동 및 관련 인력의 양성·활용 등을 지원한다. 창의적 연구와 인재 양성 지원을 통해 지식의 진보와 국민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는 것을 미션으로 하며, 2020년 12월 1일 기준 7본부, 2센터, 18단, 20실, 46팀, 4TF로 구성되어 있다. 2021년 기준 예산은 7조 6,358억 원이며, KCI를 통한 DB 운용 및 RISS 연계 검색 서비스를 제공한다. 51개 국가 81개 기관과 협력 관계를 맺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공공기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소관) - 한국과학기술원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1971년 한국과학원으로 설립되어 대학원 중심 연구기관으로 출발, 한국과학기술연구원과 통합 및 분리 독립 후 대전 대덕연구개발특구로 이전, 학부와 대학원 과정을 운영하며 다양한 분야의 학과를 갖춘 대한민국의 국립 과학기술 특성화 대학이다. - 공공기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소관)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은 1965년 설립되어 경제 성장과 기술 발전을 목표로 다양한 분야의 연구를 수행하며, 한국과학기술원(KAIST)과의 통합 및 분리를 거쳐 현재 독립된 연구 기관으로 운영되고 있다. - 대한민국의 위탁집행형 준정부기관 - 국민건강보험공단
국민건강보험공단은 국민건강보험법에 따라 설립된 보건복지부 산하 준정부기관으로, 건강보험, 노인장기요양보험 사업을 관장하며, 2000년 국민의료보험관리공단과 직장 의료보험조합의 통합으로 출범하여 현재 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에 본부를 두고 건강보험료 부과·징수, 보험급여 관리, 건강검진 등의 업무를 수행한다. - 대한민국의 위탁집행형 준정부기관 - 건강보험심사평가원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은 건강보험 재정 안정화와 국민 의료 서비스 질 향상을 위해 2000년 설립된 준정부기관으로, 요양급여 비용 심사, 적정성 평가, 의약품 유통 관리 등의 업무를 수행하며 COVID-19 대응에도 기여한다. - 2009년 설립 - 광화문광장
광화문광장은 광화문 앞 사직로에서 시작하여 세종대로 사거리에서 끝나는 광장으로, 역사 회복, 육조거리 재현, 도시문화 공간 등의 역할을 하며, 주변에 주요 시설과 지하철역이 위치하고, 광장 사용과 관련한 논란과 대중문화 등장 등의 특징을 보인다. - 2009년 설립 - 부산롯데타운
부산롯데타운은 부산광역시 중구에 위치한 대규모 복합 시설로, 롯데백화점 광복점을 시작으로 다양한 시설이 개장했으며, 완공 시 부산 최고 높이의 건축물이 될 롯데타운타워를 포함하고 도시철도 중앙역 및 남포역과 인접하여 교통 환경 개선에도 기여했다.
한국연구재단 | |
---|---|
기본 정보 | |
이름 | 한국연구재단 |
로마자 표기 | Hanguk yeongu jaedan |
한자 표기 | 韓國硏究財團 |
영어 표기 |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
약칭 | NRF |
설립일 | 2009년 6월 26일 |
설립 근거 | 한국과학재단(KOSEF), 한국연구재단(KRF), 국제과학기술협력재단(KICOS)의 통합 |
유형 | 정부 기관 |
목적 | 연구 자금 지원 |
본부 | 대전광역시 유성구 가정로 201 |
추가 위치 | 서울특별시 |
대표 | 이광복 |
웹사이트 | 한국연구재단 공식 웹사이트 |
![]() | |
![]() |
2. 설립 근거
한국연구재단법에 따라 2009년 3월 25일 설립되었다. (법률 제9518호)[1]
한국연구재단은 다음과 같은 주요 기능과 역할을 수행한다.
3. 주요 기능과 역할
4. 미션, 비전, 핵심가치, 전략목표
'''미션''': 창의적 연구와 인재 양성 지원으로 지식의 진보와 국민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
'''비전''': 학술·연구의 건강한 생태계를 조성하는 연구 지원 글로벌 리더
'''핵심가치''': 창의성, 개방성, 책무성, 탁월성
'''전략목표'''
- 수요자 중심의 R&D 시스템 혁신
- 지식 창출의 플랫폼 역할 강화
- 미래 사회를 선도하는 인재 양성
- 연구 성과의 사회경제적 영향 확대
- 혁신을 위한 조직의 역량 강화
5. 연혁
날짜 | 내용 |
---|---|
2009년 3월 25일 | 한국연구재단법 제정(법률 제9518호) |
2009년 3월 30일 | 한국연구재단 설립위원회 구성 |
2009년 6월 26일 | 한국연구재단 출범 및 초대 박찬모 이사장 취임 |
2009년 7월 28일 | 한국연구재단 창립이사회 개최 |
2011년 1월 20일 | 제2대 오세정 이사장 취임 |
2012년 1월 16일 | 제3대 이승종 이사장 취임 |
2014년 1월 3일 | 제4대 정민근 이사장 취임 |
2016년 8월 23일 | 제5대 조무제 이사장 취임 |
2018년 7월 9일 | 제6대 노정혜 이사장 취임[3] |
2021년 9월 27일 | 제7대 이광복 이사장 취임 |
재임 기간 | 이사장 |
---|---|
2009년 6월 26일 – 2011년 1월 19일 | 박찬모 |
2011년 1월 20일 – 2012년 1월 5일 | 오세정 |
2012년 1월 6일 – 2014년 1월 2일 | 이승종 |
2014년 1월 3일 – 2016년 8월 22일 | 정민근 |
2016년 8월 23일 – 2018년 7월 8일 | 조무제 |
2018년 7월 9일 – 2021년 9월 26일 | 노정혜 |
2021년 9월 27일 – 현재 | 이광복 |
6. 조직
한국연구재단(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은 이사장, 이사회, 정책자문위원회, 연구윤리위원회, 감사, 그리고 7개의 본부, 2개의 센터, 18개의 부서, 20개의 사무소, 46개의 팀으로 구성되어 있다.
- 이사장
- * 이사회
- * 정책자문위원회
- * 연구윤리위원회
- 감사
- * 감사검사실
- 기초연구본부
- * 자연과학단
- * 생명과학단
- * 의학과학단
- * 공학단
- * ICT 및 융합연구단
- * 기초연구기획실
- * 기초연구관리실
- 인문사회연구본부
- * 인문학단
- * 사회과학단
- * 예술·문화 및 융합단
- * 인문사회연구기획실
- * 인문사회연구관리실
- 국가전략연구개발본부
- * 신약개발단
- * 차세대바이오단
- * 뇌과학 및 첨단의료기술단
- * 나노반도체기술단
- * 소재부품기술단
- * ICT융합기술단
- * 에너지환경기술단
- * 우주기술단
- * 원자력기술단
- * 공공기술단
- * 국가전략연구개발기획실
- * 기초연구개발사업단
- * 거대과학사업단
- 학술연구본부
- * 학술연구지원실
- * 인력개발실
- * 대학교육지원실
- * 산학협력실
- 국제협력본부
- * 국제협력기획실
- * 국제협력체계실
- * 국제네트워크실
- 디지털혁신본부
- * 연구개발정책전략실
- * 데이터정보실
- * 정보보안TF
- 경영지원본부
- * 행정실
- * 재정관리실
- 연구윤리실
- 기획조정실
- 홍보실
7. 예산 (2021년 기준)
2021영어년 2월 기준 한국연구재단의 예산은 7조 6,358억 원이다.[1] 세부 내역은 다음과 같다.
분야 | 예산 (원) |
---|---|
과학기술분야 기초연구사업 | 23.734조원 |
인문사회분야 학술연구사업 | 2.532조원 |
국책연구사업 | 22.211조원 |
연구진흥 및 인재양성사업 | 23.987조원 |
국제협력연구사업 | 8540억원 |
기타 | 3.04조원 |
8. 제공 서비스
한국연구재단은 한국학술지인용색인(KCI)을 통해 방대한 데이터베이스(DB)를 운용하고 있으며, RISS와 연계된 양질의 검색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한국연구재단(NRF)에 등재된 공인 학술지 및 후보지 논문의 제1저자는 이를 논문의 연구 결과를 공식적으로 발표하는 주요한 경로로 여긴다.[4]
9. 해외 협력 기관
51개 국가 81개 기관과 협력하고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History
http://www.krf.or.kr[...]
2006-04-22
[2]
웹사이트
NRF History
http://www.nrf.re.kr[...]
2015-09-10
[3]
뉴스
한국연구재단 노정혜 이사장 취임…임기 3년
https://www.yna.co.k[...]
연합뉴스
2018-07-09
[4]
웹사이트
JAMS매뉴얼
https://portal.jams.[...]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한양대 ERICA 서승현 교수팀, 국제 표준 양자내성암호 안전성 분석 성과... CHES 2025 발표
상지대 교수진, 기초연구사업(2차) 선정… 총 6억7천만원 연구비 확보
한양대 이동윤 교수팀, 염증성 장질환 치료 위한 경구용 나노의약 플랫폼 개발
생체 삽입 가능한 신축성 반도체 개발
숭실대 전자정보공학부 주관 공동 연구팀, '2025년 양자기술국제협력강화사업' 국제공동연구실 신규 과제 선정
서울시립대 김현식 교수, 상온 열전 소재 연구로 한국연구재단‘해외우수과학자유치사업’신규과제 최종 선정
덕성여대, 한국ESG학회 연계 ‘기후지킬 학생 교류의 날’ 개최
아사지경 인문한국(HK)사업…18년간 국가투자의 의미 [왜냐면]
명지대학교, 대학혁신지원사업 연차평가 2년 연속 ‘S등급’ 획득
숙명여대 배규운 교수팀, 심근경색 후 심장 회복 돕는 단백질 'PRMT7' 역할 규명…"치료제 개발 기여"
덕성여대 '2025 여름 기후지킬 원정대' 발대식 개최
청소년기 고립, 뇌를 망가뜨린다 [건강한겨레]
명지대학교, 대학혁신지원사업 연차평가 2년 연속 ‘S등급’ 획득
삼육대 이완희 교수팀, 단계별 산후 재활운동 ‘5R 시스템’ 개발
서울여자대학교, 대학혁신지원사업 성과평가 전 영역 최고 S등급 획득
동덕여대2025년 대학혁신지원사업 성과평가 최고등급 획득
숙명여대, 교육부 대학혁신지원사업 성과평가 전 영역 '최고 등급' 달성
서강대학교, 2025년 대학혁신지원사업 성과 평가, 교육혁신분야 최우수 S등급
8월8일 알림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