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정보, 통신, 전자, 방송 및 융·복합기술 분야의 산업원천 기술 개발과 성과 확산을 통해 국가 발전에 기여하는 것을 목적으로 1976년에 설립된 정부 출연 연구소이다. 1980년대에는 TDX와 4M DRAM을 개발했고, 1990년대에는 CDMA를 상용화했다. 2000년대에는 지상파 DMB, 와이브로, 4G LTE-Advanced를 개발했으며, 선박 내 네트워크 기술, 휴대용 자동 통역, 자동 주차 기술 등을 개발했다. ETRI는 ETRI Journal, 전자통신동향분석 등 간행물을 발간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정보 기술 연구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하 정부출연연구기관으로, 과학기술 지식정보 인프라 구축 및 서비스 제공, 정보분석, 과학기술정보 유통, 슈퍼컴퓨팅 인프라 구축 및 운영을 통해 국가 과학기술 진흥과 산업 발전에 기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 정보 기술 연구소 - 조선콤퓨터중심
    조선콤퓨터중심은 1990년 10월 24일에 창립된 북한의 정보 기술 연구 기관으로, 다양한 정보센터를 산하에 두고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를 개발하며, 김책공업종합대학 강동분교를 통해 인력을 양성하지만, 사이버 공격 연루 의혹과 열악한 개발 환경에 대한 비판도 있다.
  • 연구소 - 한양대학교
    한양대학교는 1939년 설립된 사립 종합대학교로, 서울캠퍼스와 ERICA캠퍼스를 운영하며, 15개의 단과대학과 8개의 단과대학을 통해 학부 및 대학원 과정을 제공하고, 활발한 연구 활동과 사회 공헌 활동을 펼치며 국제적인 교육 환경을 조성한다.
  • 연구소 - 포항공과대학교
    포항공과대학교는 포스코의 지원으로 1986년 설립되어 과학기술 분야 교육 및 연구에 집중하며 우수한 연구 시설을 보유한 대한민국의 연구중심대학이다.
  • 아시아연구네트워크 - 중국과학원
    중국과학원은 1949년 설립된 중화인민공화국의 국립 과학 학술기관이자 세계 최대 규모의 연구 기관으로, 12개 분원, 100개 이상의 연구소, 3개의 대학교 등을 산하에 두고 자연과학 분야 연구와 기술 개발을 수행하며 중국 과학기술 발전을 주도하고 국가 정책에 자문하는 역할을 한다.
  • 아시아연구네트워크 - 삼성전자
    삼성전자는 1969년 설립된 대한민국의 전자제품 제조 기업으로, 가전제품 생산에서 시작하여 반도체, 스마트폰 시장으로 사업을 확장하며 메모리 반도체 및 TV 시장에서 세계 1위를 유지하고 있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기본 정보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로고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로고
설립일1976년 12월 30일
전신한국전기통신연구소 (1976년)
유형정부출연연구기관
국가대한민국
소재지대전광역시 유성구 가정로 218
웹사이트공식 웹사이트
주요 연구 분야
정보통신기술 (ICT)정보통신, 전자, 방송 기술 연구 개발
주요 연구 분야 상세통신
방송
전파
정보보호
인공지능
소프트웨어
컴퓨팅
나노반도체
광통신
전파천문
양자통신
조직
주요 조직인공지능연구소
지능형통신연구소
사이버보안연구본부
디지털콘텐츠연구본부
ICT창의연구소
미래기술연구본부
기술사업화본부
주요 연혁
1976년한국전기통신연구소 (KTAI) 설립
1985년한국전자통신연구소 (ETRI)로 명칭 변경
1996년정부출연연구기관으로 전환
기타 정보
관련 법률과학기술정보통신부 소관
기타 정보대한민국의 정보통신 기술 발전에 기여
TDX 개발 주도

2. 설립 목적

정보, 통신, 전자, 방송 및 관련 융복합 기술 분야의 산업 원천 기술을 개발하고 그 성과를 확산시켜 국가 경제와 사회 발전에 기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1] 1976년에 설립된 비영리 정부출연연구기관이다.

3. 연혁

1976년에 설립된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비영리 정부 출연 연구소이다. 설립 이후 정보통신 기술 분야에서 중요한 연구 개발 성과를 거두며 한국의 정보통신 산업 발전에 크게 기여해왔다. 1980년대에는 전전자 교환기(TDX)와 4M D램(DRAM)을 개발하여 통신 및 반도체 기술 자립의 기반을 마련했으며, 1990년대에는 코드 분할 다중 접속(CDMA) 기술을 세계 최초로 상용화하여 이동통신 강국의 초석을 다졌다. 2000년대 들어서는 지상파 DMB, 와이브로(WiBro), 4G LTE-Advanced 등 차세대 이동통신 기술 개발을 선도했다.

ETRI는 선박 내 네트워크 기술, 휴대용 자동 통역 기술, 자동 주차 기술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혁신적인 기술을 개발해왔으며, 2,500건 이상의 특허를 출원하며 무선 통신 분야에서 세계적인 연구 기관으로 인정받고 있다.[1] 2015년 12월 기준으로 약 2,000명의 직원이 근무하고 있으며, 이 중 약 1,800명이 연구 인력이다.

주요 연혁은 다음과 같다.

날짜내용
1976년 12월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부설 한국전자기술연구소(KIET), 한국전기기기시험연구소(KERTI) 설립
1977년 12월한국통신기술연구소(KTRI) 설립 (체신부)
1981년 1월한국전기통신연구소(KETRI) 설립 (한국통신기술연구소와 한국전기기기시험연구소를 통합, 과학기술처)
1985년 3월한국전자통신연구소(ETRI) 설립 (한국전자기술연구소와 한국전기통신연구소를 통합, 과학기술처)
1992년 3월소관 부처 변경 (과학기술처에서 체신부로)
1996년 4월부설 시스템공학연구소 이관 설치
1997년 1월한국전자통신연구원으로 명칭 변경
1999년 1월산업기술연구회로 이관
2001년 4월부설 국가보안기술연구소 설치
2004년 10월소관 부처 변경 (과학기술부)
2008년 2월소관 부처 변경 (지식경제부)
2013년 3월소관 부처 변경 (미래창조과학부)


4. 주요 성과

1980년대에는 TDX(시분할 교환기)와 4M DRAM(동적 임의 접근 메모리) 개발에 성공하며 한국 정보통신 기술 발전의 기틀을 마련했다. 1990년대에는 코드 분할 다중 접속(CDMA) 기술을 세계 최초로 상용화하여 한국이 이동통신 강국으로 발돋움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2000년대에는 지상파 DMB, 와이브로(WiBro), 4G LTE-Advanced와 같은 이동 통신 기술을 선도적으로 개발했다.

이 외에도 선박 내 네트워크 기술, 휴대용 자동 통역 기술, 자동 주차 기술 등 다양한 실용 기술 개발에서도 성과를 보였다.

ETRI는 무선 통신 분야를 중심으로 2,500건 이상의 특허를 출원하며 해당 분야의 기술 혁신을 이끌고 있다.[1]

5. 조직

(내용 없음)

5. 1. 이사회

(내용 없음)

5. 1. 1. 한국전자통신연구원장

(내용 없음)

6. 간행물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