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통일부흥위원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한국통일부흥위원단(UNCURK)은 1948년 12월 유엔 한국위원회가 해체된 후, 한국 전쟁 중이던 1950년 10월 7일 제5차 유엔 총회에서 설치가 결의된 기구이다. 한반도의 재건, 구호, 통일, 민주 정부 수립 등을 목표로 활동했으며, 1973년 12월 제28차 유엔 총회에서 해체되었다. 한국통일부흥위원단은 부산 유엔 기념 공원을 관리했으며, 해체 이후에는 유엔 기념 공원 국제관리위원회에 관리 업무가 위임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73년 폐지 - 대한민국 해병대
대한민국 해병대는 1949년 창설된 해군 예하 상륙전 부대로, 한국 전쟁과 베트남 전쟁 등에 참전했으며, 사령부 재창설과 전력 증강을 거쳐 현재에 이르렀으나, 병영 부조리 문제도 안고 있다. - 1973년 폐지 - 부천군
부천군은 1914년 여러 지역을 합쳐 경기도에 신설되었으나, 잦은 행정구역 개편으로 현재 서울, 부천, 인천 등 여러 지역으로 분할되었고, 1973년 소사읍의 부천시 승격 후 나머지 지역은 인근 시군에 편입되어 폐지되었다. - 한국 전쟁의 여파 - 한반도 분단
한반도 분단은 2차 세계 대전 종전 후 38도선을 기준으로 미국과 소련에 의해 분할 점령되면서 시작되어 남북한 정부 수립과 한국 전쟁을 거쳐 현재까지 지속되고 있으며, 냉전의 산물이자 이념 대립과 강대국 이해관계가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이다. - 한국 전쟁의 여파 - 한반도 군사 분계선
한반도 군사 분계선은 한국 전쟁 정전 협정에 따라 설정된 남북한 간 육상 경계선으로, 비무장지대(DMZ)와 함께 분단과 냉전 시대 갈등을 상징하며 평화 구축 노력이 이루어지는 공간이다. - 1951년 설립 - 셰익스피어 앤드 컴퍼니
1919년 실비아 비치가 파리에 설립한 셰익스피어 앤드 컴퍼니는 유명 작가들의 사랑방이자 문학적 교류 중심지였으며, 나치 점령으로 폐업 후 조지 휘트먼에 의해 재개장하여 저소득 작가들에게 무료 숙식을 제공하는 텀블위드 프로그램으로 유명해졌고, 현재는 딸 실비아 휘트먼이 운영하며 문학 발전과 대중문화에 기여하고 있다. - 1951년 설립 - 라디오 간사이
라디오 간사이(일본어: ラジオ関西)는 1951년에 설립되어 1952년에 개국한 일본의 라디오 방송국으로, 효고현을 중심으로 뉴스, 스포츠, 음악, 애니메이션 등 다양한 장르의 프로그램을 방송하며, 한신·아와지 대지진 당시 재난 방송을 실시했고, 현재는 FM 보완중계국 운영 및 인터넷 라디오 서비스와 팟캐스트를 제공한다.
한국통일부흥위원단 | |
---|---|
개요 | |
역사 | |
주요 활동 | 한국 전쟁 이후 한국의 통일과 재건을 지원 |
본부 위치 | 초기: 서울 이후: 부산 |
청사 화재 | 1966년 본부 건물 화재 발생 |
새 청사 개관 | 1969년 새 청사 개관, 박정희 대통령 참석 |
조직 및 운영 | |
소관 문제 | 소관 시비와 예산 부족으로 사업 지연 발생 |
2. 역사
1948년 유엔 한국위원회가 해체된 후, 한국전쟁 중이던 1950년 10월 7일 제5차 유엔 총회에서 한국통일부흥위원단 설치가 결의되었다. 한국통일부흥위원단은 한반도의 재건, 구호, 통일, 민주정부 성립 등을 목표로 하였다.[4][5] 1973년 12월 제28차 유엔 총회에서 만장일치 결의로 해체됐다.[4][5]
2. 1. 설립 배경
1948년 12월에 세워진 유엔 한국위원회가 해체된 후, 한국전쟁이 진행 중이던 1950년 10월 7일 제5차 유엔 총회에서 한국통일부흥위원단 설치가 결의되었다. 한국통일부흥위원단은 한반도의 재건, 구호, 통일, 민주정부 성립 등을 목표로 하였다.[4][5]2. 2. 유엔 총회 결의 (1950년)
1950년 10월 7일 제5차 유엔 총회에서 한국전쟁이 진행 중인 상황에서 한국통일부흥위원단 설치가 결의되었다. 이는 1948년 12월에 유엔 한국위원회가 설치되었다가 해체된 후의 일이었다.[4][5]2. 3. 주요 활동
1950년 10월 7일 제5차 유엔 총회에서 설치가 결의되었으며, 한반도의 재건, 구호, 통일, 민주정부 성립 등을 목표로 하였다. 한국전쟁이 진행 중이던 상황에서 이러한 목표를 설정하여 대한민국의 안정과 발전에 기여하고자 하였다.[4][5]2. 4. 해체 (1973년)
1973년 12월 유엔 총회에서 한국통일부흥위원단의 해체가 만장일치로 결의되었다.[4][5]3. 부산 유엔 기념 공원
부산 유엔 기념 공원은 세계에서 유일한 유엔군 묘지로, 한국 전쟁에서 세계 평화와 자유를 위해 목숨을 바친 유엔군 전몰장병들이 잠들어 있는 곳이다. 1973년 12월 한국통일부흥위원단(UNCURK)이 해체되면서, 1974년부터 묘지 관리 업무는 11개국으로 구성된 유엔 기념 공원 국제관리위원회(Commission for the UNMCK)에 위임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1]
3. 1. 조성 및 초기 관리
1951년 1월, 유엔군 사령부는 전사자 매장을 위해 부산 유엔 기념 공원을 조성했다.[1] 같은 해 4월 묘지가 완공되면서 개성, 인천, 대전, 대구, 밀양, 마산 등지에 가매장되어 있던 유엔군 전몰장병들의 유해가 안장되기 시작했다.[1] 1955년 11월 대한민국 국회는 유엔군의 희생에 보답하고자 이곳 토지를 유엔에 영구히 기증하고, 묘지를 성지로 지정할 것을 결의했다.[1] 1955년 12월 15일, 대한민국 정부로부터 국회의 결의사항을 전달받은 유엔은 유엔 총회에서 결의문 제977(X)호를 채택하여 이 묘지를 영구적으로 관리하기로 결정했다.[1]이에 따라 1959년 11월 유엔과 대한민국 간에 ‘유엔 기념 묘지 설치 및 관리 유지를 위한 대한민국과 유엔 간의 협정’이 체결됨으로써 현재의 유엔 기념 묘지가 출범하게 되었다.[1] 이후 한국통일부흥위원단이 이 공원을 관리하였다.[1]
3. 2. 대한민국 국회 결의 (1955년)
1955년 11월 대한민국 국회는 유엔군의 희생에 보답하기 위해 부산 유엔 기념 공원 토지를 유엔에 영구히 기증하고, 묘지를 성지로 지정할 것을 결의했다.[3]3. 3. 유엔 총회 결의 (1955년)
1955년 11월 대한민국 국회는 유엔 기념 공원 토지를 유엔에 영구히 기증하고, 묘지를 성지로 지정할 것을 결의하여 유엔군의 희생에 보답하고자 했다.[1]1955년 12월 15일, 유엔은 한국 정부로부터 국회의 결의사항을 전달받고, 유엔 총회에서 결의문 제977(X)호를 채택하여 이 묘지를 유엔이 영구적으로 관리하기로 결정했다.[1]
3. 4. 유엔-대한민국 협정 (1959년)
1955년 11월 대한민국 국회는 유엔군의 희생에 보답하기 위해 유엔 기념 공원 묘지 부지를 유엔에 영구히 기증하고, 묘지를 성지로 지정할 것을 결의했다.[1] 같은 해 12월 15일 한국 정부로부터 국회의 결의사항을 전달받은 유엔은 이 묘지를 유엔이 영구적으로 관리하기로 유엔 총회에서 결의문 제977(X)호를 채택했다.[1]이에 따라 1959년 11월 유엔과 대한민국 간에 '유엔 기념 묘지 설치 및 관리 유지를 위한 대한민국과 유엔 간의 협정'이 체결됨으로써 지금의 유엔 기념 공원이 출범하게 되었다.[1]
3. 5. 국제관리위원회 위임 (1974년~)
1973년 12월 한국통일부흥위원단(UNCURK)이 해체됨에 따라, 1974년부터 묘지 관리 업무는 11개국으로 구성된 유엔 기념 공원 국제관리위원회(Commission for the UNMCK)에 위임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1]참조
[1]
뉴스
『언커크』本部에큰불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66-04-05
[2]
뉴스
소관「시비」에다 예산 없어 늦어져
https://www.joongang[...]
중앙일보
2020-03-01
[3]
뉴스
언커크새廳舍 開舘 朴대통령참석
https://newslibrary.[...]
경향신문
2020-02-24
[4]
뉴스
한국통일(韓國統一) 전망(展望)은 요원(遼遠)
http://news20.busan.[...]
부산일보
2010-10-08
[5]
뉴스
원로 외교관 최운상의 1954년 ‘제네바 한반도 통일회의’ 회고
https://news.naver.c[...]
신동아
2008-02-2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