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화그룹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한화그룹은 1952년 한국화약주식회사로 시작하여, 화약류 제조를 통해 성장한 대한민국의 기업집단이다. 김종희 선대회장은 다이너마이트 제조에 성공하며 국토 재건에 기여했고, 김승연 회장 승계 이후 사업을 확장하여 방산, 에너지, 금융, 서비스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고 있다. 2023년에는 대우조선해양을 인수하여 한화오션으로 사명을 변경했다. 한화그룹은 한화 트라이서클을 CI로 사용하며, 한화 이글스, 한화생명e스포츠 등 스포츠 구단을 운영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52년 설립된 제조 기업 - 제너럴 다이내믹스
제너럴 다이내믹스는 1899년에 설립되어 잠수함, 전투 차량, 군함, 미사일 시스템 등 다양한 군수 장비를 생산하는 미국의 방위산업체이며 걸프스트림 항공우주를 통해 비즈니스 제트기 시장에도 참여하고 있다. - 1952년 설립된 제조 기업 - 대구텍
대구텍은 1916년 대한중석광업에서 시작되어 대한민국 경제 개발에 기여하고 외화벌이의 주역으로 성장한 절삭 공구 제조 기업으로, 1998년 ISCAR에 인수되었으며 워렌 버핏의 투자를 받기도 했다. - 대한민국의 다국적 기업 - HMM (기업)
HMM은 1976년 아시아상선으로 설립되어 현대그룹에 편입된 후 컨테이너선, 벌크선 등을 운영하는 대한민국의 해운 회사로, 세계 3대 해운 동맹 '디 얼라이언스'의 정회원이며, 현대그룹에서 분리되어 한국산업은행이 최대 주주가 되었고, 2023년 매각 시도가 무산되었다. - 대한민국의 다국적 기업 -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는 1941년 조선타이어공업주식회사로 설립되어 1968년 한국타이어제조주식회사로 사명을 변경하고 2019년 현재의 사명으로 변경된 대한민국의 타이어 제조 기업이며, 전 세계에 생산 거점과 기술 센터를 운영하고 닛산, BMW 등 글로벌 자동차 제조사에 타이어를 공급하며 모터스포츠와 스포츠 구단 후원, 디자인 어워드 수상 등 다양한 활동을 펼치고 있다. - 1952년 설립된 기업 - CBC 텔레비전
CBC 텔레비전은 캐나다 공영 방송 CBC/Radio-Canada의 영어 텔레비전 네트워크로, 뉴스, 스포츠, 엔터테인먼트 프로그램을 방송하며, 《더 내셔널》, 지역 뉴스, 《하키 나이트 인 캐나다》 등의 주요 프로그램과 CBC Gem을 통한 온라인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한다. - 1952년 설립된 기업 - 일본전신전화
일본전신전화(NTT)는 미국 AT&T의 일본 통신 시스템 인수를 목적으로 설립된 국영 독점 기업에서 민영화된 주식회사로, 유선전화 사업 분할 및 지주회사 체제 전환을 거쳐 일본 최대이자 세계적인 정보통신 기업으로 성장했지만, 과점 유지, 지속가능한 경영, 해외 사업 확장 노력에도 불구하고 총무성 간부 접대 문제 등 논란에 휩싸이기도 했다.
한화그룹 - [회사]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기업명 | 한화그룹 |
로마자 표기 | Hanhwa Geurup |
한자 표기 | 韓火그룹 |
이전 이름 | 대한화약그룹 |
설립일 | 1952년 10월 |
설립자 | 김종희 |
유형 | 공개 회사 |
산업 | 복합 기업 |
본사 위치 | 서울특별시 중구 청계천로 86 |
서비스 지역 | 전 세계 |
핵심 인물 | 김승연 (회장) |
직원 수 | 43,690명 |
직원 수 기준 년도 | 2020년 |
재무 정보 | |
매출 | ₩62.2784조 |
매출 기준 년도 | 2022년 |
영업 이익 | ₩2.5161조 |
영업 이익 기준 년도 | 2022년 |
순이익 | ₩2.2433조 |
순이익 기준 년도 | 2022년 |
자산 | ₩211.1753조 |
자산 기준 년도 | 2022년 |
자본 | ₩20.8788조 |
자본 기준 년도 | 2022년 |
소유 구조 | |
주요 주주 | 김승연 (43.56%) 국민연금공단 (7.61%) 고려아연 (7.25%) 자기 주식 (1.51%) 기타 (0.6%) |
기타 | |
웹사이트 | 공식 웹사이트 (영어) 공식 웹사이트 (한국어) |
2. 역사
한화그룹은 1952년 현암 김종희가 조선화약공판의 시설을 기반으로 설립한 한국화약주식회사를 모태로 한다.[21][29] 창업 초기 화약의 국산화와 다이너마이트 생산에 성공하며 국가 재건과 산업화에 기여했으며, 이후 '기업보국'의 이념 아래 기계, 석유화학 등 국가 기간산업으로 사업 영역을 확장했다.
1981년 창업주 김종희의 장남인 김승연이 2대 회장으로 취임했으며, 1993년 그룹 명칭을 한국화약그룹에서 한화그룹으로 변경했다.[29] 김승연 회장 취임 이후 금융, 레저, 유통 등 다양한 분야로 사업을 확장했으며, 특히 2002년 대한생명(현 한화생명) 인수를 통해 금융 부문의 기틀을 마련했다. 1997년 외환위기 시기에는 구조조정을 단행하기도 했다.
2000년대 이후 태양광, 방산, 항공우주 등 미래 성장 동력 확보에 주력하며 그룹의 체질을 변화시켰다. 2015년 삼성그룹으로부터 방산 및 화학 부문 계열사(현 한화에어로스페이스, 한화시스템, 한화임팩트, 한화토탈)를 인수하여 관련 사업 역량을 크게 강화했으며,[3] 2023년에는 대우조선해양을 인수하여 한화오션으로 출범시키며 조선 및 해양 방산 분야까지 사업 영역을 넓혔다.[43][44]
현재 한화그룹은 항공우주·방산, 에너지·화학, 금융, 유통·서비스를 주요 사업 영역으로 하는 대기업 그룹으로 자리 잡았으며, 프로야구단 한화 이글스를 운영하고 있다. 한편, 그룹 총수인 김승연 회장과 관련한 법적 논란이 제기되기도 했다.[7][2]
2. 1. 창립과 성장 (1952년 ~ 1981년)
김종희는 해방 전 조선화약공판㈜의 직원이었으며, 화약에 대한 열정과 동료들의 신뢰를 바탕으로 해방 후 미군정에 귀속된 조선화약공판의 책임자로 발탁되었다.[3][4] 이를 기반으로 1952년 10월 9일 한국화약주식회사(현 (주)한화)를 설립하며 한국 화약산업의 선구자가 되었다. 설립 초기 한국화약은 사회기반시설 건설에 필요한 산업용 폭약을 국내에서 생산했으며,[3] 1955년 10월에는 조선유지 인천 화약공장을 인수했다. 1959년에는 국내 최초로 다이너마이트 국산화에 성공하고,[4] 니트로글리세린 생산을 시작하여 화약 분야에서 독점적인 지위를 확보했다.[3] 이는 당시 국토 재건과 산업 기반 조성에 크게 기여했다.창업주 김종희는 '기업보국'의 경영 철학 아래, 화약 산업을 넘어 국가 기간산업 육성에 힘썼다. 1964년부터 1980년까지 한화그룹은 다양한 분야로 사업을 확장하며 재벌로 성장하는 기틀을 마련했다.[3]
- 1964년 1월: 신한베어링공업(현 한화정밀기계)을 인수하여 기계 산업에 진출했다.[3]
- 1965년: 한국화성공업(현 한화솔루션 및 현대L&C)을 설립하여 석유화학 산업에 진출했다.[3]
- 1966년: 태평물산(현 (주)한화/무역)을 설립했다.
- 1968년: 제일화재해상보험(현 한화손해보험)을 인수했다.
- 1969년: 미국 유니온오일(현 코노코필립스)사와 합작 투자 계약을 맺고 경인에너지개발(주)(현 SK인천석유화학의 전신) 설립을 추진했다.[3]
- 1971년: 한국정공(현 (주)한화/모멘텀)을 설립했다.[3]
- 1972년: 한국플라스틱공업을 설립했다. 같은 해 1월, 김종희 회장은 한국과 그리스 간 우호 증진 및 교역 증대에 기여한 공로로 그리스 국왕으로부터 금성십자훈장을 받았다.
- 1973년: 대일유업(현 빙그레)을 인수했으며, 동원공업과 태평양개발을 설립했다.
- 1974년: 김포요업과 유리온포리마를 설립했다.
- 1975년: 학교법인 천안북일학원(북일고등학교)과 성운물산(주)을 설립했다.
- 1976년: 성도증권(현 한화투자증권), 서울프라자호텔(현 더플라자), 태평양건설(현 한화건설), 고려시스템산업(주)(현 한화시스템)을 설립했다.
- 1978년: 태평양엔지니어링을 설립했다.
- 1979년: 삼희통운(현 한익스프레스)을 설립했다.
1981년, 창업주 김종희 회장이 별세하고 그의 아들인 김승연이 제2대 회장으로 취임했다. 같은 해 한양화학(현 한화솔루션)과 한국다우케미칼(현 한화솔루션) 인수를 체결하며 화학 부문 확장을 이어갔다.[3]
2. 2. 제2의 도약과 글로벌 확장 (1981년 ~ 현재)
1981년 창업주 김종희 회장의 영면 후, 장남 김승연이 그룹 회장으로 취임하며 제2의 도약기를 맞이했다. 김승연 회장 취임 직후 한양화학, 한국다우케미칼코리아를 인수하며 사업 확장의 기반을 다졌다. 1980년대에는 삼희투자금융(1982년), 삼희기획(현 한컴, 1983년) 등을 설립하고, 1985년에는 정아레저타운(현 한화호텔&리조트) 등을 인수하며 레저 사업에도 진출했다. 1986년에는 프로야구단 빙그레 이글스(현 한화 이글스)를 창단하여 스포츠 분야로도 영역을 넓혔다.1990년에는 경향신문을 인수했으나 1998년에 분리되었고, 헝가리에 한화은행을 설립하며 해외 금융 시장에 진출했다. 1993년 그룹 명칭을 '''한국화약그룹'''에서 '''한화그룹'''으로 변경하며 새로운 이미지를 구축했고, 1994년에는 세 번째 CI를 발표했다. 1995년에는 창업주의 차남 김호연이 이끌던 빙그레가 상속 문제로 그룹에서 분리되었다.[30] 1997년에는 한국의 서클K를 인수하여 씨스페이스로 전환했다.[31] 외환위기 시기인 1997년과 1998년에는 재무구조 개선을 위해 한화바스프우레탄, 한화NSK정밀 등의 지분을 매각하고, 1999년에는 핵심 계열사였던 한화에너지를 현대정유(현 HD현대오일뱅크)에 매각하는 등 구조조정을 단행했다. 같은 해 프로야구단 한화 이글스는 창단 첫 한국시리즈 우승을 달성했고, 대림그룹(현 DL그룹)과 합작하여 여천NCC를 설립했다.
2000년대 들어 한화그룹은 금융 및 서비스 부문을 강화하고 글로벌 확장을 본격화했다. 2000년 동양백화점(현 한화갤러리아타임월드)을 인수하며 유통 사업을 강화했고, 2002년에는 대한생명(현 한화생명)과 신동아화재(현 한화손해보험)를 인수하며 국내 굴지의 금융그룹으로 발돋움했다. 2006년에는 창립 55주년을 맞아 새로운 CI '한화 트라이서클'을 발표하며 그룹의 정체성을 재정립했다.
글로벌 시장 공략도 가속화되어, 2003년 중국 북경에 한화L&C 공장을 건립했고, 2006년에는 한화건설이 사우디아라비아 법인을 설립하고 한화L&C가 미국 앨라배마와 중국 상하이에 공장을 준공했다. 2007년에는 미국 Azdel사를 인수하고, 한화증권(현 한화투자증권)이 카자흐스탄에 진출했으며, 2009년에는 한화L&C가 캐나다와 체코에 공장을 준공하고 한화호텔&리조트가 사이판 월드리조트를 인수했다. 2011년에는 중국 닝보, 저장성에 PVC 공장을 설립했다.[3]
2010년대 이후 한화그룹은 태양광, 방산, 항공우주 등 미래 성장 동력 확보에 주력했다. 2010년 푸르덴셜투자증권(현 한화투자증권)과 푸르덴셜자산운용(현 한화자산운용)을 인수하며 금융 부문의 경쟁력을 높였다. 2012년에는 독일의 큐셀을 인수하여 한화큐셀을 출범시키며 태양광 사업을 본격화했고, 대한생명은 한화생명으로 사명을 변경했다. 2015년에는 삼성그룹으로부터 삼성테크윈(현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삼성탈레스(현 한화시스템), 삼성토탈(현 한화토탈), 삼성종합화학(현 한화임팩트) 등 방산 및 화학 계열사 4곳을 인수하며 사업 포트폴리오를 재편했다.[3] 이는 그룹의 방산 및 화학 부문 역량을 크게 강화하는 계기가 되었다. 2019년부터는 미국 조지아주 달턴에 1.7GW 규모의 태양광 모듈 공장을 운영하고 있다.[5]
2020년에는 한화케미칼과 한화큐셀앤드첨단소재를 합병하여 한화솔루션을 출범시켰고,[35] 영국 위성통신업체 페이저 솔루션(현 한화페이저)과 미국 수소탱크업체 시마론을 인수하며 미래 기술 확보에 나섰다. 2021년에는 국내 위성업체 쎄트렉아이 지분 인수, 미국 PSM(수소 혼소 기술 보유) 인수, 프랑스 재생에너지 기업 RES프랑스 인수 등을 통해 항공우주 및 친환경 에너지 사업을 강화하고, 그룹 차원의 우주 사업 협의체 '스페이스 허브'를 출범시켰다.[40] 같은 해 2월, 김승연 회장은 특정경제범죄 가중처벌 등에 관한 법률 위반으로 인한 취업 제한이 해제되어 7년 만에 경영에 복귀했다.[38][39]
2022년에는 미국 폴리실리콘 생산업체 REC실리콘 지분을 인수하고, 방산 계열사인 한화디펜스를 한화에어로스페이스에 합병했으며, ㈜한화가 한화건설을 흡수 합병하여 그룹 지배구조 및 사업 효율성을 제고했다.[41] 2023년에는 대우조선해양(DSME) 인수를 완료하고 사명을 한화오션으로 변경하며 조선 및 해양 방산 분야로 사업 영역을 확장했다.[6][43][44] 이로써 한화그룹은 기존의 지상·항공 방산 역량에 더해 해양 방산까지 아우르는 '육해공 통합 방산 시스템'을 구축하게 되었다.

한편, 일본에서는 자회사인 한화재팬(구 한화큐셀재팬)[42]을 통해 태양광 사업 등을 전개하고 있으나, 시즈오카현 이토시 이즈고원에서 추진 중인 메가솔라 발전소 건설 계획은 환경 문제 등으로 지역 주민의 반대에 부딪히고 행정 소송을 겪는 등[32][33][34] 갈등이 지속되고 있다. 2020년에는 홋카이도 니세코정 히라후 지역에 리조트 개발 계획을 발표하기도 했다.[36]
2. 3. 논란
2011년 한화그룹 회장 김승연은 횡령 및 배임 혐의로 징역 4년에 벌금 51억원을 선고받았다.[7][2]3. 사업 부문
한화그룹은 크게 우주항공·방산, 에너지·화학, 금융, 유통·서비스의 네 가지 핵심 사업 부문을 영위하고 있다. 각 부문의 대표적인 기업은 다음과 같다.
- 우주항공·방산: 한화, 한화에어로스페이스, 한화시스템, 한화오션 등
- 에너지·화학: 한화솔루션, 한화토탈에너지스, 한화에너지, 한화임팩트 등
- 금융: 한화생명, 한화손해보험, 한화투자증권, 한화자산운용 등
- 유통·서비스: 한화호텔&리조트, 한화갤러리아 등[53]
3. 1. 우주항공/방산
현재 우주항공 및 방산 부문에서는 한화, 한화에어로스페이스, 한화시스템 등이 대표적인 기업이다. 2023년 대우조선해양 인수를 통해 한화오션이 출범하면서 육·해·공 방산 포트폴리오를 완성했다.[44]주식회사 한화는 그룹의 모태인 한국화약주식회사의 역사를 이어받아 산업용 화약 사업을 지속하고 있으며[21], 방산 부문의 한 축을 담당한다. 이외에도 이차전지/태양광 제조 장비, 협동로봇, 공장자동화(AGV · 자동창고 · 물류센터), 건설, 플랜트 등 다양한 사업을 영위하고 있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가스터빈 엔진 및 부품, 항공기 부품, 누리호 엔진 등 우주항공 분야와 유도무기체계, 탄약체계, 항법장치, 레이저, 화력체계, 기동체계, 대공체계, 무인화체계 등 방산 장비 사업을 영위하고 있다. 한국의 유일한 항공기 엔진 생산업체로서, 글로벌 항공기 엔진 회사들과 부품 제조 파트너십을 맺고 있다.[15] 또한 위성 관측 서비스 제공 및 누리호 발사체 개발 참여 등 한국 우주 산업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한화시스템은 감시·정찰, 지휘통제·통신·사이버 등 방산전자 시스템과 IT 시스템 통합 및 운영 서비스를 제공한다. 미국의 eVTOL 스타트업 오버에어(Overair)와 협력하여 도심 항공 모빌리티(UAM) 기체 '버터플라이'(Butterfly)를 개발하고 있다.[16]
한화오션(구 대우조선해양)은 2023년 그룹에 편입되어[43][44], 함정, 잠수함 등 해양 방산 분야를 담당하며 그룹의 육·해·공 통합 방산 역량을 강화했다.
한화비전(구 삼성테크윈, 한화테크윈)은 영상 처리 및 AI 기반의 영상 감시 솔루션을 제공한다.[17]
한화그룹은 우주 시장에 대한 투자를 확대하고 있으며, 한국과학기술원(KAIST)과 공동으로 우주 연구 센터 '스페이스허브'를 설립했다. 2022년에는 영국의 위성 통신 서비스 기업 원웹(OneWeb)의 지분 8.8%를 인수했다.[14]
이 부문의 주요 계열사는 다음과 같다.
3. 2. 에너지/화학
한화그룹의 주요 사업 부문 중 하나로, 한화솔루션, 한화토탈에너지스, 한화에너지, 한화임팩트 등이 대표적인 기업이다. 2022년 4월 1일 공정거래위원회 집계 기준 한화그룹 전체의 공정자산은 80조원, 매출액은 61조원, 당기순이익은 3.1조원 규모로 재계 순위 7위를 기록했다.[53]한화솔루션은 2020년 1월 한화큐셀, 한화케미칼, 한화첨단소재가 통합되어 출범한 기업이다.[35] 신소재와 태양광 에너지 사업을 핵심으로 삼고 있으며, PVC, LLDPE(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CA, ASR(알칼리 수용성 수지), TDI 등 기초 석유화학 제품을 생산한다.[13] 또한 수소 탱크와 같은 신성장 동력을 적극 개발하고, 저영향 가소제 등 환경 친화적인 기술 개발에도 힘쓰고 있다.[13] 2022년 5월, 한화솔루션 김동관 대표는 에너지 및 항공우주 부문에 36.7조원을 투자할 계획을 발표하며, 탄소 배출량 감소와 고품질 에너지 공급을 위해 태양광 에너지 사업에 집중하고 미국에 모듈 공장을 추가 건설할 계획임을 밝혔다.[8][5] 한화큐셀은 2022년 전기차 충전 시장 진출을 위해 새로운 브랜드 '한화모티브'를 출시했으며,[10] 꿀벌 개체수 감소 문제 해결에 기여하고자 태양광 벌통을 개발하기도 했다.[9]
한화에너지는 태양광 발전, ESS, 전력 리테일, 에너지 솔루션 사업 개발 등을 수행한다. 자회사인 Q에너지를 통해 유럽과 한국 시장에서 육상 및 해상 풍력 발전 사업을 운영하고 있으며,[11] 2021년 8월 프랑스의 재생에너지 개발 회사 RES 프랑스를 인수하여 풍력 발전 역량을 강화했다.[40]
한화토탈에너지스는 과거 삼성토탈/한화토탈에서 사명을 변경한 기업으로, 고부가가치 화학 제품과 에너지 제품을 생산하는 종합 화학 에너지 기업이다.
한화임팩트는 과거 삼성종합화학/한화종합화학이었으며, 수소 생산, 활용, 저장 솔루션을 포함하는 수소 가치 사슬 개발에 주력하고 있다. 2021년 7월 네덜란드의 토마센 에너지(Thomassen Energy)와 미국의 PSM을 인수하여, 기존 가스터빈을 수소 연료를 사용하도록 개조하는 기술을 확보했다.[12]
한화엔진은 조선 산업의 핵심 기자재인 대형 선박용 엔진 제작을 중심으로 엔진 부품 판매와 서비스를 제공하며, 디젤 엔진을 이용한 발전 시설을 공급하는 종합 엔진 메이커이다.
이 외에도 한화첨단소재, 한화파워시스템, DL그룹과 합작한 여천NCC 등이 에너지/화학 부문에 속해 있다.
'''에너지/화학 부문 주요 계열사'''
회사명 | 주요 사업 및 특징 | 비고 |
---|---|---|
한화솔루션 | 태양광, 신소재, 기초 석유화학, 수소 탱크, 친환경 기술 | 케미칼/큐셀/첨단소재 부문 통합[35] (구 한화케미칼, 한화큐셀앤드첨단소재 등) |
한화에너지 | 태양광 발전, ESS, 전력 리테일, 풍력 발전 | Q에너지 운영, RES 프랑스 인수[40] (구 여수열병합발전/군장열병합발전) |
한화토탈에너지스 | 고부가 화학 제품, 에너지 제품 | 구 삼성토탈/한화토탈 |
한화임팩트 | 수소 가치 사슬, 가스터빈 개조 기술 | 구 삼성종합화학/한화종합화학[48], 토마센 에너지/PSM 인수[12] |
한화엔진 | 대형 선박용 엔진, 디젤 발전 시설 | |
한화첨단소재 | 자동차 소재, 전자 소재, 태양광 소재 | [47] |
한화파워시스템 | 산업용 공기·가스 압축기 등 에너지 장비 | |
여천NCC | 기초 유분(에틸렌, 프로필렌 등) 생산 | DL그룹과 합작 |
3. 3. 금융
한화그룹의 금융 부문은 한화생명, 한화손해보험, 한화투자증권, 한화자산운용 등을 대표 기업으로 두고 있다. 주요 계열사로는 한화생명, 한화손해보험, 한화저축은행이 있으며, 주요 자회사로는 한화투자증권과 한화자산운용 등이 있다. 이들 금융 계열사들은 '한화금융네트워크'라는 통합 브랜드를 사용하여 급변하는 금융 시장 환경에 대응하고 있다.한화생명은 1946년 대한민국 최초의 생명보험사로 출발했으며, 2010년에 상장했다. 한화손해보험 역시 1946년에 설립된 국내 최초의 손해보험사로, 2009년 제일화재와의 합병을 통해 중대형 보험사로 성장했다. 한화투자증권은 2010년 푸르덴셜투자증권과 푸르덴셜자산운용을 인수하며 규모를 확장했다. 이 외에도 한화는 기술 기반 금융 솔루션에 투자하며 보험, 증권, 자산운용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주요 금융 계열사는 다음과 같다.
- 한화생명 (구 대한생명)
- 한화생명금융서비스
- 한화손해보험 (구 신동아화재 / 제일화재)
- 한화자산운용 (구 한화투자신탁운용 / 푸르덴셜자산운용)
- 한화저축은행 (구 새누리저축은행)
- 한화투자증권 (구 푸르덴셜투자증권 / 한화증권 / 한화인베스트먼트)
- 캐롯손해보험
3. 4. 유통 서비스
한화그룹의 유통 서비스 부문은 한화호텔&리조트, 한화갤러리아 등을 대표 기업으로 한다.[53] 한화는 백화점, 호텔, 리조트 등의 소매 및 서비스 사업을 영위하며 대규모 복합단지 개발에도 참여하고 있다.명품 백화점의 대표 주자인 한화갤러리아는 사업 다각화를 통해 글로벌 패션 비즈니스와 프리미엄 시장을 주도하는 하이브리드형 유통 전문 기업으로 변신을 꾀하고 있다.[50]
한화호텔&리조트는 한화리조트, 한화개발, 63빌딩 레저부문 3개 회사가 통합해 2010년 1월 공식 출범했다. 대한민국 최고의 프리미엄 종합 서비스 및 레저 기업을 지향하며, 사이판 월드리조트를 인수하고 태안 골든베이 골프&리조트를 개발했다. 2020년 5월에는 홋카이도 니세코정 히라후 지역에 리조트 개발 계획을 발표하기도 했다.[36]
1997년에는 한국의 서클K를 인수하여 편의점 브랜드 씨스페이스로 전환했다.[31]
주요 계열사는 다음과 같다.
회사명 | 비고 |
---|---|
한화호텔&리조트 | 구 한화리조트(주), 한화개발, 한화국토개발 통합 |
한화푸드테크 | 구 더테이스터블 |
아쿠아플라넷 | |
한화넥스트 | |
한화갤러리아[50] | |
한화갤러리아타임월드 | 구 한화타임월드 |
한화B&B | Beans&Berries |
한화커넥트[49] | |
한화호텔앤드리조트/에스테이트 |
4. 스포츠
KBO 리그 프로야구팀인 한화 이글스[20]를 소유하고 운영한다. 한화 이글스는 과거 빙그레가 운영하던 시절에는 '빙그레 이글스'라는 명칭을 사용했다. 또한, 리그 오브 레전드 e스포츠팀인 한화생명e스포츠도 운영하고 있다.
5. 한화 트라이서클
한화그룹의 CI(Corporate Identity)는 '한화 트라이서클'(Hanwha TRIcircle|한화 트라이서클영어)이라고 불린다. 한화 트라이서클은 세 개의 타원형 원이 결합해 끊임없이 변화하고 팽창하며 상호 발전하는 형태로, 한화그룹의 핵심 가치인 도전, 헌신, 정도를 의미한다.
참조
[1]
웹사이트
Hanwha 000880
https://comp.fnguide[...]
FnGuide
2022-01-26
[2]
뉴스
South Korea's Hanwha chief jailed for 4 years
https://www.reuters.[...]
2020-06-18
[3]
웹사이트
한화그룹
https://terms.naver.[...]
2022-05-23
[4]
웹사이트
Hanwha Corporation
http://www.hanwhacor[...]
2022-05-23
[5]
웹사이트
'김승연 대신' 장남 김동관 한화솔루션 사장, 태양광 투자 강조
http://www.dt.co.kr/[...]
2022-05-22
[6]
웹사이트
Hanwha Completes Purchase of DSME
https://www.marineli[...]
2023-07-03
[7]
웹사이트
Hanwha boss indicted for embezzlement
https://www.koreatim[...]
2022-05-24
[8]
웹사이트
Hanwha Group to spend W37.6tr to nurture energy, aerospace sectors
http://www.koreahera[...]
2022-05-24
[9]
웹사이트
한화그룹, 태양광 전력 활용 탄소저감벌집 국내 최초 공개
https://www.newsis.c[...]
2022-05-24
[10]
웹사이트
Hanwha Q CELLS launches new brand to make foray into EV charging service market
https://www.ajudaily[...]
2022-05-24
[11]
웹사이트
Korea's Hanwha sets up Q Energy division to target European renewables growth
https://www.windpowe[...]
2023-04-06
[12]
웹사이트
Hydrogen combustion retrofits for the existing gas turbine fleet - Modern Power Systems
https://www.modernpo[...]
2023-04-06
[13]
웹사이트
Hanwha Solutions triples production of safe plastic material
https://www.koreaher[...]
2023-04-06
[14]
웹사이트
한화그룹, 우주산업·그린에너지 분야 집중 육성…세계 첫 차세대 태양광 모듈 양산 추진
https://www.hankyung[...]
2022-05-24
[15]
웹사이트
Samsung Techwin's plane engine part business prospering - Pulse by Maeil Business News Korea
https://pulsenews.co[...]
2023-04-06
[16]
웹사이트
Overair nabs $145M to produce eVTOL prototype by 2023
https://techcrunch.c[...]
2023-04-06
[17]
웹사이트
Hanwha Vision
https://www.hanwha.c[...]
2023-04-06
[18]
웹사이트
그룹사 현황
https://www.hanwha.c[...]
[19]
뉴스
한화오션 출항…상선·플랜트·방산 주력
https://news.kbs.co.[...]
KBS News
2023-05-23
[20]
웹사이트
Hanwha Eagles
http://www.hanwhaeag[...]
2019-06-19
[21]
웹사이트
財閥 その12 錦湖アシアナ、韓火
http://world.kbs.co.[...]
KBS WORLD
2001-08-10
[22]
웹사이트
李炳撃ニ鄭守根、さすが国際派
http://japan.donga.c[...]
東亜日報日本語版サイト
2001-11-17
[22]
웹사이트
大韓生命 韓火による買収は無理か
http://japan.donga.c[...]
東亜日報日本語版サイト
2002-05-28
[22]
웹사이트
韓国火薬リュ・ヒョンジン、新人最多勝タイ記録
http://contents.inno[...]
韓国情報発信基地!innolife.net
2006-09-21
[23]
웹사이트
ハンファグループ中国語版サイト
https://www.hanwha.c[...]
[24]
웹사이트
「頼れるのは現金だけ」...各企業が流動性確保に奔走
http://japan.donga.c[...]
東亜日報日本語版サイト
2001-07-23
[24]
웹사이트
韓化グループのロビー説、盗聴をめぐり攻防
http://japan.donga.c[...]
東亜日報日本語版サイト
2002-09-26
[24]
웹사이트
キム・ヒソン、韓化L&Cのモデル契約式に出席
http://www.kstarnews[...]
KSTARニュース
2010-01-20
[24]
간행물
韓国プロ野球レポート
週刊ベースボール
1994-2001
[25]
웹사이트
https://www.nikkei.c[...]
[26]
웹사이트
More than One-fourth of Fortune Global 500 Companies Are Chinese
http://www.businessk[...]
2023-05-09
[27]
웹사이트
http://jp.enfsolar.c[...]
[28]
뉴스
サムスン後継者にナッツ姫…なぜ韓国の“財閥2世”たちは、不祥事ばかりを起こすのか
https://news.yahoo.c[...]
スポーツソウル
2021-02-02
[29]
웹사이트
ハンファ・グループの歩み
http://www.hanwha-ja[...]
[30]
뉴스
「うちは無関係」暴力事件でビングレがとばっちり
https://s.wowkorea.j[...]
YONHAPNEWS
2007-05-02
[31]
뉴스
편의점 써클K 한화그룹서 운영
http://newslibrary.n[...]
1997-10-04
[32]
뉴스
世界ジオパークの伊豆半島、対立深まる観光地のメガソーラー開発
https://news.yahoo.c[...]
THE PAGE
2018-07-02
[33]
웹사이트
伊東市美しい景観等と太陽光発電設備設置事業との調和に関する条例に基づく公表について
https://www.city.ito[...]
伊東市
2021-09-08
[34]
뉴스
河川占用、再び不許可 伊東市、メガソーラー巡り
https://www.at-s.com[...]
静岡新聞
2021-09-08
[35]
뉴스
ハンファソリューション「2025年に売上高18兆」
https://web.archive.[...]
毎日経済
2020-01-06
[36]
웹사이트
「ニセコ高原ホテル」跡地で大型リゾートホテル「マティエ・ニセコ」着工
https://hre-net.com/[...]
リアルエコノミー
2023-05-13
[37]
웹사이트
ハンファQセルズジャパン、AIカメラを使った新型コロナウイルス感染症拡大防止ソリューションを公開
https://web.archive.[...]
時事ドットコム
2020-07-14
[38]
웹사이트
김승연 한화그룹 회장 7년만에 ‘공식적으로’ 돌아온다
http://www.hani.co.k[...]
ハンギョレ新聞
2021-02-02
[39]
웹사이트
한화 김승연 복귀 후 첫 대표 인사… 장남 신사업에 추진력 더했다
https://biz.chosun.c[...]
朝鮮日報
2021-09-08
[40]
웹사이트
韓国ハンファ、仏エネルギー企業を933億円で買収 風力発電事業を確保
http://www.hani.co.k[...]
コリア・エコノミクス
2021-09-08
[41]
웹사이트
한화건설, ‘한화 건설부문’으로 새 출발
http://www.kharn.kr/[...]
kharn
2022-11-05
[42]
웹사이트
ハンファジャパン株式会社への商号変更について
https://prtimes.jp/m[...]
PR TIMES
2023-02-28
[43]
웹사이트
公取委、ハンファ-大宇造船海洋の結合条件付き承認
https://japan.ajunew[...]
Ajunews
2023-04-27
[44]
웹사이트
韓国・大宇造船海洋 「ハンファオーシャン」として再出発=売却完了
https://www.wowkorea[...]
WoW!Korea
2023-05-24
[45]
웹사이트
ハンファ 韓国のロッキード・マーティン目指す=防衛産業部門を統合
https://jp.yna.co.kr[...]
聯合ニュース
2023-07-03
[46]
웹사이트
ハンファテックウィン、「ハンファビジョン」に社名変更…ビジョンソリューション事業の拡大
https://japan.ajunew[...]
japan.ajunews.com
2023-07-03
[47]
웹사이트
Hanwha Solutions to split off its retail, advanced materials units
https://en.yna.co.kr[...]
Yonhap News Agency
2023-07-03
[48]
웹사이트
ハンファ総合化学、「ハンファインパクト」に社名変更
https://japan.ajunew[...]
japan.ajunews.com
2023-07-03
[49]
웹사이트
한화커넥트
https://www.hanwhaco[...]
한화커넥트
2023-07-03
[50]
웹사이트
ハンファソリューション、ギャラリア人的分割決定···「ハンファ三男」キム·ドンソン経営本格化
https://japan.ajunew[...]
japan.ajunews.com
2023-07-03
[51]
웹사이트
한국화약(韓國火藥)에서 유래하였으나 한자 표기는 사용하지 않는다. 대한민국 일부 언론에서 한화(韓華)로 표기하기도 하지만 이는 한화그룹이 중국 진출을 위하여 만든 중국어 음역일 뿐이다.
http://moneyweek.co.[...]
[52]
웹인용
포춘코리아
http://www.fortuneko[...]
2021-10-01 #날짜 추정
[53]
웹인용
보도 - 공정거래위원회
https://www.ftc.go.k[...]
2023-01-07
[54]
뉴스
한화그룹 창업자 故 김종희 회장 기념메달 발행
http://www.asiatoday[...]
아시아 투데이
[55]
뉴스
한화 창업주와 김승연 회장 '창업대상' 수상
https://news.naver.c[...]
아시아경제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신세계푸드, 단체급식 사업부 매각…전략적 집중 가능”
“정기인사 시즌 아니지만 글로벌 사업 강화”…한화 4개사 대표에 국제통 전면배치
“미 군함 현지서만 생산 한계…동맹국에 건조시장 확대해야”
한화, 4개사 대표 인사…국제통 전면배치
한화그룹, ㈜한화·엔진·파워시스템·호텔앤드리조트 등 대표 5명 내정
미군함 시장 진출하나…백악관 인사 “한화와 곧 군사부문 큰 움직임”
한화 품에 안긴 아워홈...이번엔 신세계푸드 급식사업 1200억원에 인수
"한미 조선업 '윈-윈' 성과 낼 것"…순방 마무리
이 대통령, 3박 6일 미·일 순방 마치고 귀국
대통령실 "필리조선소 방문, 72년 한미동맹 확장의 이정표"
[D리포트] 연간 1.5척을 20척으로…마스가 통해 '윈윈'
LG화학, 석화부문 희망퇴직 절차…"임금피크 직원 대상"
한화, 미국 필리조선소에 50억 달러 추가 투자…유조선 등 11척 발주
이 대통령, '마스가' 상징 필리조선소 시찰…순방 마무리
한화, 미 필리조선소에 50억 달러 추가 투자…유조선 등 11척 발주
이 대통령, '마스가 상징' 필리조선소서 엄지 척…"한미 동맹 새 지평"
[포토] 한화 필리조선소에서 명명식 참석한 이대통령
이 대통령, 필리조선소 방문하며 순방 마무리…"미래형 포괄적 전략동맹"
'마스가' 상징 필리조선소 시찰…오늘 귀국길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