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대지 미사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함대지 미사일은 함정에서 지상 목표물을 공격하기 위해 사용되는 미사일이다. 토마호크, 현무-3 등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세계 각국에서 개발 및 운용하고 있다. 주요 국가별로 미국은 토마호크와 극초음속 미사일을 개발 중이며, 러시아는 3M22 지르콘, 3M-54 칼리브르 등 다양한 함대지 미사일을 보유하고 있다. 중국은 CJ-10, 훙니아오 등을, 대한민국은 현무-3를, 인도는 브라모스, 니르바이를 개발했다. 대만은 슝펑 IIE, 슝펑 III, 완 치엔, 윈 펑을 개발했으며, 프랑스는 MdCN을, 이탈리아는 오토마트 Mk/2E를, 스웨덴은 RBS15를 운용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지대지 미사일 - J-600T 을드름
J-600T 을드름은 터키 로켓산에서 개발 및 제조된 단거리 탄도 미사일로, 중국 B-611을 기반으로 국산화 및 개량되었으며, F-600T 발사 차량과 함께 2001년부터 터키군에서 운용되고 있다. - 지대지 미사일 - AGM-78 스탠더드 ARM
AGM-78 스탠더드 ARM은 AGM-45 슈라이크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RIM-66 스탠더드 미사일을 기반으로 개발된 공대지 대레이더 미사일로, 다양한 파생형 중 AGM-78B는 F-4G 와일드 위즐 등에 사용되어 실전에 투입, 레이더 기지 공격 및 방공망 제압에 기여했으며 1970년대 후반까지 3,000발 이상 생산되었다. - 해군 무기 - DSQS-21
DSQS-21은 1980년대 초 독일 크루프 아틀라스사에서 개발한 함정용 소나 시스템으로, 수상함 및 잠수함용 모델을 시작으로 다양한 개량형이 개발되어 여러 국가의 함정에 탑재되어 운용되고 있다. - 해군 무기 - 수직발사장치
수직발사장치는 함선이나 잠수함에서 미사일을 수직으로 발사하는 체계로, 핫 런치, 콜드 런치, 동심원 캐니스터 발사 등 다양한 발사 방식이 있으며 여러 국가에서 해군 전력 강화를 위해 개발 및 운용하고 있다.
함대지 미사일 | |
---|---|
개요 | |
유형 | 지대지 미사일 |
용도 | 지상 목표물 공격 |
역사 | |
개발 시기 | 20세기 중반 |
사용 국가 | 여러 국가 |
기술적 특징 | |
유도 방식 | 관성 유도 GPS 텔레메트리 영상 대조(DSMAC) TERCOM |
탄두 | 재래식 폭탄 핵무기 |
사거리 | 수백에서 수천 킬로미터 |
예시 | |
미국 | 토마호크 재즘 |
러시아 | 칼리브르 Kh-101 |
중국 | CJ-10 DF-100 |
유럽 | 스톰 섀도/SCALP EG 타우러스 KEPD 350 |
이스라엘 | 델릴라 |
인도 | 니르바에이 |
2. 대표적 함대지 미사일
세계 각국은 다양한 함대지 미사일을 개발 및 운용하고 있다. 대표적인 함대지 미사일은 다음과 같다.
이름 | 원산지 | 최대 사거리 |
---|---|---|
3M22 지르콘 | 러시아 | 1000km |
3M-51 알파 | 러시아 | 250km |
3M-54 칼리브르 | 러시아 | 4500km |
BGM-109 토마호크 | 미국 | [1] |
브라모스 | 인도 / 러시아 | 900km (지상 발사 버전) |
브라모스-II | 인도 / 러시아 | 1500km |
니르바이 | 인도 | 1500km |
CJ-10 | 중국 | 1500km |
CJ-100 | 중국 | 2000km~3000km |
헤르메스 (미사일) | 러시아 | 100km |
훙니아오 | 중국 | 3000km |
현무-3 | 대한민국 | 1500km (현무-3C) |
극초음속 공기 흡입 무기 개념 | 미국 | [2][3] |
슝펑 IIE | 대만 | [4] |
슝펑 III | 대만 | 1500km |
오토마트 Mk/2E | 이탈리아 | 360km |
Kh-59 | 러시아 | 550km |
합동 타격 미사일 | 노르웨이/ 미국 | 555km |
MdCN | 프랑스 | 1400km |
P-800 오닉스 | 러시아 | 800km |
RBS15 | 스웨덴 | 300km |
RK-55 / S-10 | 러시아 | 3000km |
완 치엔 | 대만 | [5] |
YJ-12 | 중국 | 546km |
YJ-18 | 중국 | 540km |
YJ-62 | 중국 | 400km |
윈 펑 | 대만 | 2000km |
- 레귤러스
- SCALP-EG/스톰 섀도
- 천룡 - 현무-3의 파생형
- CX-1 Missile Systems영어
2. 1. 미국
BGM-109 토마호크는 미국의 대표적인 순항 미사일로, 다양한 플랫폼에서 발사 가능하다. 사거리는 1666km에 달한다.[1] 극초음속 공기 흡입 무기 개념은 미국이 개발 중인 극초음속 미사일이다.[2][3] 합동 타격 미사일은 노르웨이와 공동 개발한 미사일이다.
2. 2. 러시아
러시아는 다양한 종류의 함대지 미사일을 보유하고 있다. 주요 함대지 미사일은 다음과 같다.이름 | 최대 사거리 |
---|---|
3M22 지르콘 | 1000km |
3M-51 알파 | 250km |
3M-54 칼리브르 | 4500km |
헤르메스 (미사일) | 100km |
Kh-59 | 550km |
P-800 오닉스 | 800km |
RK-55 / S-10 | 3000km |
- 3M22 지르콘: 극초음속 함대지 미사일로, 최대 사거리는 1000km이다.
- 3M-54 칼리브르: 사거리 4500km의 장거리 순항 미사일이다.
- P-800 오닉스: 초음속 대함 미사일로도 사용 가능한 다목적 미사일이다.
- RK-55 / S-10: 사거리 3000km의 순항 미사일이다.
- Kh-59: 중거리 공대지/함대지 미사일이다.
- 3M-51 알파: 사거리 250km의 함대지 미사일이다.
- 헤르메스 (미사일): 단거리 함대지 미사일이다.
2. 3. 중국
CJ-10은 중국이 개발한 사거리 1500km의 순항 미사일이다. CJ-100은 사거리가 2000km에서 3000km에 달하는 장거리 순항 미사일이다. 훙니아오는 사거리 3000km의 순항 미사일이다. YJ-12는 초음속 대함 미사일로도 사용 가능한 다목적 미사일로, 사거리는 546km이다. YJ-18 역시 초음속 대함 미사일로도 사용 가능한 다목적 미사일이며, 사거리는 540km이다. YJ-62는 사거리 400km의 중거리 대함/함대지 미사일이다.[1]2. 4. 대한민국
대한민국은 독자적으로 현무-3 순항 미사일을 개발했다. 현무-3의 파생형으로 천룡이 있다. 현무-3C의 사거리는 1500km에 달한다.[1]2. 5. 인도
인도는 러시아와 합작하여 초음속 순항 미사일인 브라모스를 개발했다. 지상 발사 버전의 사거리는 900km이다. 또한, 러시아와 합작하여 극초음속 미사일인 브라모스-II를 개발 중이며, 사거리는 1500km이다. 인도는 독자적으로 장거리 순항 미사일인 니르바이를 개발 중이며, 사거리는 1500km이다.이름 | 최대 사거리 | 비고 |
---|---|---|
브라모스 | 900km (지상 발사 버전) | 러시아와 합작 개발, 초음속 순항 미사일 |
브라모스-II | 1500km | 러시아와 합작 개발 중, 극초음속 미사일 |
니르바이 | 1500km | 인도에서 개발 중, 장거리 순항 미사일 |
2. 6. 대만
슝펑 IIE는 대만의 지대지 순항 미사일(사거리 1200km)[4]이다. 슝펑 III는 대만의 초음속 대함/함대지 미사일(사거리 1500km)이다. 완 치엔은 대만의 공대지 순항 미사일(사거리 300km)[5]이다. 윈 펑은 대만이 개발한 지대지 순항 미사일(사거리 2000km)이다.2. 7. 기타 국가
2. 8. 특수 목적
오카 43갑형은 잠수함의 사출기에서 발사하는 방식으로 계획되었다. 연산을 발사 모함으로 하여 시제기가 제작된 33형을 사용하며, 양산된 43을형은 육상 기지 사출기 발사형이다. 유도 장치는 인간이다.[1]참조
[1]
웹사이트
U.S. Marines Experimenting with Tomahawk for Land-Attack and Anti-Ship Missions
https://www.navalnew[...]
2021-06-17
[2]
웹사이트
US tested hypersonic missile in mid-March but kept it quiet to avoid escalating tensions with Russia
https://edition.cnn.[...]
2022-04-05
[3]
URL
https://www.darpa.mi[...]
2022-08-01
[4]
웹사이트
Taiwan: New Hsiung Feng IIIE long-range strike missile | April 2018 Global Defense Security army news industry | Defense Security global news industry army 2018 | Archive News year
https://www.armyreco[...]
2018-04-25
[5]
뉴스
WW3 fears growing as 'Ten Thousand Swords' missile for strike on China 'PRIMED and READY'
https://www.dailysta[...]
2018-08-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