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주군 (대한민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함주군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함경남도에 위치한 군이다. 1983년 기준으로 1개 읍, 4개 로동자구, 28개 리로 구성되어 있으며, 기곡면, 덕산면, 동천면 등 여러 면으로 이루어져 있다. 하기천면이 가장 넓은 면적을 차지하고, 연포면은 함흥시 흥덕구역과 락원군 지역에 해당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함경남도의 행정 구역 (대한민국) - 함경남도 (대한민국)
함경남도는 대한민국 헌법상 자국 영토로 간주되는 한반도 동북부의 도이며, 해방 당시 3개의 시와 16개의 군으로 구성되었고 도청은 함흥시에 위치해 있다. - 함경남도의 행정 구역 (대한민국) - 혜산군 (대한민국)
혜산군은 1개의 읍과 5개의 면으로 구성된 행정 구역으로, 각 읍과 면은 여러 개의 리를 관할한다. - 대한민국의 광역 행정 구역 - 중구 (부산광역시)
부산광역시 중구는 부산의 중심지로, 과거 왜관이 위치했으며 부산부청과 부산시청이 있었고 현재는 교통의 요지이자 다양한 관광 명소를 보유하고 있다. - 대한민국의 광역 행정 구역 - 노원구
노원구는 서울특별시 북동부에 위치한 자치구로, 주변 도시와 접하며 갈대밭 또는 여관에서 유래된 이름으로 불리고, 수락산, 불암산 등의 자연환경과 여러 전철 노선 및 교육기관이 위치해 있다.
함주군 (대한민국) - [지명]에 관한 문서 | |
---|---|
함주군 | |
로마자 표기 | Hamju-gun |
2. 행정 구역
함주군은 1983년 현재 1개읍, 4개 로동자구, 28개 리로 구성되어 있다.
읍면 | 면적(km2) | 이(里) 숫자 | 이(里) |
---|---|---|---|
기곡면(岐谷面) | 62.60 | 16 | 동흥(東興) 상(上) 서원(西原) 중(中) 파양(坡陽) 흥서(興西) 신동(新洞) 장동(長洞) 흥복(興福) 동덕(東德) 중흥(中興) 상직(上直) 삼당(三堂) 풍동(豊東) 신풍(新豊) 신중(新中) |
덕산면(德山面) | 196.86 | 36 | 부상(扶桑) 중흥(中興) 신풍(新豊) 초흥(初興) 노봉(老峰) 대동(大洞) 관동(館洞) 흥봉(興峰) 대평(大坪) 삼봉(三峰) 흥경(興慶) 안심(安心) 신덕(新德) 대덕(大德) 상대(上垈) 원흥(元興) 중평(中坪) 원상(元上) 신상(新上) 구상(舊上) 문봉(文峰) 동양(東陽) 상중흥(上中興) 마상(麻上) 모봉(帽蜂) 황사(黃舍) 송호(松湖) 사동(舍洞) 회양(會陽) 용봉(用峰) 풍양(豊陽) 풍상(豊上) 상혜(上惠) 흥동(興東) 하흥동(下興洞) |
동천면(東川面) | 80 | 24 | 풍동(豊東) 하신풍(下新豊) 하동흥(下東興) 상신흥(上新興) 흥경(興京) 쌍봉(雙峰) 풍남(豊南) 원봉(元峰) 삼봉(三峰) 상신풍(上新豊) 가흥(街興) 경흥(京興) 동상(東上) 송흥(松興) 흥봉(興峰) 동덕(東德) 순흥(順興) 동봉(東峰) 상동흥(上東興) 청송(靑松) 흥동(興東) 억동(億洞) 풍양(豊陽) 풍서(豊西) 대동(大洞) |
삼평면(三平面) | 30 | 16 | 동중(東中) 상태(上太) 송호(松湖) 송대(松垈) 수흥(洙興) 동(東) 부흥(富興) 서성(西成) 인흥(仁興) 신흥(新興) 신경(新慶) 중상(中上) 풍서(豊西) 수풍(數豊) 자상(自上) 원상(元上) |
상기천면(上岐川面) | 44.12 | 7 | 오로(五老) 상(上) 중상(中上) 신경(新慶) 죽(竹) 경흥(慶興) 경복(慶福) |
상조양면(上朝陽面) | 39.85 | 9 | 신한(新閒) 신안(新安) 상한(上閒) 상(上) 중평(中坪) 봉명(鳳鳴) 삼길(三吉) 상보(上保) 탑동(塔洞) |
선덕면(宣德面) | 81.79 | 38 | 선덕양(宣德陽) 신경(新京) 창(倉) 용흥(龍興) 구하(舊下) 구남(九南) 흥덕(興德) 서흥(西興) 경흥(京興) 호상(湖上) 서중(西中) 호남(湖南) 인산(仁山) 서호(西湖) 농호(農湖) 중(中) 원산(元山) 신풍(新豊) 운흥(雲興) 흥상(興上) 서상(西上) 고상(高上) 명호(明湖) 중상(中上) 경호(鏡湖) 대덕(大德) 동상(東上) 신흥(新興) 몽상(蒙祥) 풍상(豊上) 화도(花島) 중해(中海) 동흥(東興) 동후(東厚) 장문(章文) 신남(新南) 신창(新昌) 신덕(新德) |
연포면(連浦面) | 23.16 | 15 | 경흥(慶興) 상(上) 원상(元上) 중(中) 신흥(新興) 풍상(豊常) 덕흥(德興) 용상(龍常) 중평(中平) 동흥(東興) 서흥(西興) 중흥(中興) 용성(龍成) 흥성(興成) 구만(九萬) |
주북면(州北面) | 46.29 | 23 | 흥경(興慶) 부민(富民) 흥덕(興德) 반송(盤松) 봉하(鳳賀) 송흥(松興) 쌍송(雙松) 흥상(興祥) 운흥(雲興) 흥봉(興峰) 후언(厚彦) 신덕(新德) 신계(新溪) 운봉(雲峰) 운장(雲藏) 서양(西陽) 기양(岐陽) 중흥(中興) 상운(祥雲) 장흥(長興) 동흥(東興) 신풍(新豊) 상반(上盤) |
주서면(州西面) | 32.34 | 19 | 삼암(三岩) 풍남(豊南) 용흥(龍興) 신풍(新豊) 흥남(興南) 오(五) 중사(中泗) 원풍(元豊) 칠(七) 삼(三) 복흥(福興) 팔(八) 상구(上九) 하구(下九) 동십일(東十一) 신중(新中) 원상(元上) 신흥(新興) 중상(中上) |
주지면(朱地面) | 42.43 | 20 | 흥상(興上) 항수(項水) 풍서(豊西) 호동(湖東) 신안(新安) 장흥(長興) 덕성(德成) 신경(新慶) 신중(新中) 송흥(松興) 구만(九萬) 서흥(西興) 신평(新坪) 호남(湖南) 중흥(中興) 포흥(浦興) 신흥(新興) 부전(富田) 풍계(豊溪) 원흥(元興) |
천서면(川西面) | 76.97 | 21 | 당상(堂上) 흥남(興南) 덕흥(德興) 신남(新南) 신경(新慶) 운흥(雲興) 상운흥(上雲興) 운동(雲洞) 용강(龍江) 용서(龍西) 흥덕(興德) 원충(元忠) 원상(元上) 원흥(元興) 신상(新上) 고양(高陽) 원봉(圓峰) 신덕(新德) 은곡(隱谷) 회목(檜木) 신흥(新興) |
천원면(川原面) | 26.35 | 15 | 중(中) 흥상(興上) 상중(上中) 홍상(洪上) 신경(新慶) 원흥(元興) 흥대(興大) 중상(中上) 동상(東上) 신흥(新興) 신서(新西) 강도(江島) 동중(東中) 원성(源成) 유정(柳亭) |
퇴조면(退潮面) | 33.31 | 25 | 신풍(新豊) 흥상(興上) 서상(西上) 경흥(慶興) 신흥(新興) 장흥(長興) 성동(城洞) 백동(栢洞) 상흥(上興) 상곡(上谷) 사동(寺洞) 흥경(興慶) 적동(笛洞) 풍서(豊西) 현산(峴山) 용흥(龍興) 송흥(松興) 송대(松垈) 여호(呂湖) 원상(元上) 길흥(吉興) 상송(上松) 서중(西中) 신중(新中) 신상(新上) |
하기천면(下岐川面) | 339.05 | 12 | 상통(上通) 송당(松堂) 서상(西上) 동정(東井) 하통(下通) 중흥(中興) 은봉(隱峰) 중평(中坪) 신풍(新豊) 진흥(眞興) 하대(河大) 동흥(東興) |
하조양면(下朝陽面) | 171.33 | 12 | 인흥(仁興) 흥덕(興德) 봉명(鳳鳴) 봉하(鳳下) 풍흥(豊興) 봉흥(鳳興) 추동(楸洞) 용안(龍安) 쌍봉(雙鳳) 기회(岐會) 삼흥(三興) 안서(安西) |
하기천면이 339.05 km²로 면적이 가장 넓고, 연포면이 23.16 km²로 면적이 가장 좁다.
2. 1. 정평읍
2. 2. 로동자구
2. 2. 1. 선덕로동자구
(내용 없음)2. 2. 2. 용전로동자구
(내용 없음)2. 2. 3. 주일로동자구
어떠한 요약(summary)이나 원본 소스(source)도 제공되지 않았습니다. 정보 없이는 위키텍스트를 생성할 수 없습니다. 요약과 원본 소스를 제공해주시면 위키텍스트를 생성해 드리겠습니다.2. 2. 4. 신상로동자구
2. 3. 리
2. 3. 1. 기곡면
기곡면에 대한 요약 및 원본 소스가 제공되지 않았습니다. 제공된 정보가 없으므로, 위키텍스트를 생성할 수 없습니다.2. 3. 2. 덕산면
(내용 없음)2. 3. 3. 동천면
요약(summary)과 원본 소스(source)가 제공되지 않았습니다. 정보를 제공해주시면 위키텍스트를 작성해 드리겠습니다.2. 3. 4. 삼평면
(내용 없음)2. 3. 5. 상기천면
(내용 없음)2. 3. 6. 상조양면
(빈칸)2. 3. 7. 선덕면
(내용 없음)2. 3. 8. 연포면
연포면은 함주군에 존재했던 면이다. 현재의 함흥시 흥덕구역 연포동, 흥상동, 그리고 락원군 광포리에 해당한다.2. 3. 9. 주북면
주어진 `summary`와 `source`가 비어 있으므로, `title`과 `sectionTitle`에 해당하는 내용을 생성할 수 없습니다. `summary`와 `source` 정보를 제공해주시면 위키텍스트를 작성해 드리겠습니다.2. 3. 10. 주서면
요약(summary)이 비어있어 내용을 작성할 수 없습니다.2. 3. 11. 주지면
(내용 없음)2. 3. 12. 천서면
요약(summary)이 비어있고 원본 소스(source)도 비어있으므로, 주어진 정보를 기반으로 작성할 내용이 없습니다. 따라서 빈 텍스트를 출력합니다.2. 3. 13. 천원면
요약(summary)이 제공되지 않았고, 원본 소스(source)도 비어 있습니다. 따라서 주어진 정보를 기반으로 위키텍스트를 생성할 수 없습니다. 내용을 작성하려면 요약과 원본 소스 정보가 필요합니다.2. 3. 14. 퇴조면
퇴조면 관련 내용이 요약(summary)과 원본 소스(source)에 존재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위키텍스트를 생성할 수 없습니다.2. 3. 15. 하기천면
어떠한 정보도 주어지지 않았습니다. 요약 및 원본 소스를 제공해주시면 위키텍스트를 작성해 드리겠습니다.2. 3. 16. 하조양면
요약(summary)이 제공되지 않았고, 원본 소스(source) 또한 빈칸으로 제공되어 내용을 생성할 수 없습니다. 요약 및 원본 소스 내용을 제공해주시면 위키텍스트 형식으로 작성해 드리겠습니다.3. 역사
3. 1. 고대
3. 2. 고려 시대
3. 3. 조선 시대
3. 4. 일제 강점기
3. 5. 광복 이후
4. 산업
4. 1. 농업
4. 2. 어업
4. 3. 광업
4. 4. 제조업
5. 교통
5. 1. 철도
5. 2. 도로
5. 3. 해상 교통
6. 교육
6. 1. 학교
6. 2. 기타 교육 기관
7. 문화
7. 1. 문화 시설
7. 2. 문화유산
8. 정치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