합천 이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합천 이씨는 이개를 시조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다. 이개는 이알평의 39세손으로 고려 태조의 제안을 받아 합천호장을 지냈으며, 조선 시대에 합천으로 개칭되면서 본관을 합천으로 삼았다. 합천 이씨는 15개 파로 나뉘며, 제학공파가 가장 번성했다. 주요 인물로는 고려 시대 이종, 이문저, 이인영 등이 있으며, 조선 시대에는 이윤검, 이윤서 등이 있다. 현대에는 이동은, 이만섭, 이만기 등이 있다. 합천 이씨는 조선 시대에 문과 급제자 12명을 배출했으며, 경상남도 합천군을 비롯한 여러 지역에 집성촌이 있다. 고려 왕실과 인척 관계를 맺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합천 이씨 - 이만섭
이만섭은 대한민국의 정치인으로, 8선 국회의원과 제14대, 16대 국회의장을 역임했으며, 5·16 군사정변 이후 3선 개헌에 반대하기도 했고, 국회법 개정으로 무소속 국회의장이 되기도 했다. - 합천 이씨 - 이상희 (1932년)
대한민국의 관료 출신 정치인인 이상희는 산림청장, 대구직할시장, 경상북도지사, 내무부 장관, 건설부 장관 등 주요 요직을 역임했으며, 지방재정 및 한국문화에 대한 연구를 발표했다.
합천 이씨 - [성씨/가문]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성씨 | 합천 이씨 |
한자 표기 | 陜川 李氏 |
나라 | 한국 |
관향 | 경상남도 합천군 |
시조 | 이개(李開) |
집성촌 | 경상남도 합천군, 거창군, 산청군 경상북도 김천시 충청남도 논산시 |
주요 인물 | 이동은, 이윤검, 이희민, 이희증, 이윤서, 이병주, 이성가, 이만섭, 이대엽, 이형집, 이형안, 이상희, 이원홍, 이창희, 이만기 |
년도 | 2015 |
인구 | 121,416명 |
비고 | 합천 이씨 중앙종친회 |
![]() |
2. 역사
합천 이씨(陜川 李氏)의 시조는 '''이개'''(李開)이다.
합천(陜川)은 경상남도 북서부에 위치한 군으로 본래 신라의 대야주(대량주)인데, 경덕왕이 강양으로 고쳤다. 고려 현종때에 왕비 이씨의 고향이라 하여 합주군(陜州郡)으로 승격되었고, 조선 태종때 합천으로 고쳤다.
합천 이씨는 15개 파로 나뉜다. 교리공파(校理公派)ㆍ목사공파(牧使公派)ㆍ병사공파(兵使公派)ㆍ부사공파(府使公派)ㆍ사간공파(司諫公派)ㆍ사인공파(舍人公派)ㆍ상서공파(尙書公派)ㆍ생원공파(生員公派)ㆍ전객령공파(典客令公派)ㆍ전서공파(典書公派)ㆍ제학공파(提學公派)ㆍ참지공량실파(參知公良實派)ㆍ참지공량진파(參知公良眞派)ㆍ첨사공파(詹事公派)ㆍ판사공파(判事公派)로 분파되었다. 그 중에서도 제학공파(提學公派)가 가장 번성하였으며, 그밖에 목사공파(牧使公派)ㆍ참지공파(參知公派)ㆍ전객령공파(典客令公派) 등이 주류를 이룬다.
이개는 이알평(李謁平)의 39세손으로 강양군(江陽君)에 봉군되고 고려가 건국되자 태조의 제안을 받아들여 합천호장(陜川戶長)을 지냈다. 강양은 합천(陜川)의 옛 이름이다. 조선 태종 때 강양(江陽)이 합천으로 개칭되어 뒤에 본관을 합천으로 삼았다.
《문충공사적기(文忠公事蹟記)》에는 그가 문창후(文昌侯) 최치원(崔致遠)의 문인으로 유학과 문학의 진흥에 힘썼으며, 박경엽(朴敬燁)의 난을 토평한 공으로 강양군에 봉해졌으며, 고려가 건국되자 불사이군(不事二君)의 절의(節義)를 지켜 태조의 부름을 거역하여 가수현장(嘉樹縣長)으로 강등되었다가 뒤에 합천호장(陜川戶長)을 지내게 되었다고 한다. 그곳에서 죽은 것을 연유로 후손들이 그를 시조로 하여 합천을 관향으로 삼아 계대하고 있다.
3. 본관
4. 분파
각 분파의 파조는 다음과 같다.4. 1. 주요 분파
합천 이씨는 15개 파로 나뉜다. 교리공파(校理公派)ㆍ목사공파(牧使公派)ㆍ병사공파(兵使公派)ㆍ부사공파(府使公派)ㆍ사간공파(司諫公派)ㆍ사인공파(舍人公派)ㆍ상서공파(尙書公派)ㆍ생원공파(生員公派)ㆍ전객령공파(典客令公派)ㆍ전서공파(典書公派)ㆍ제학공파(提學公派)ㆍ참지공량실파(參知公良實派)ㆍ참지공량진파(參知公良眞派)ㆍ첨사공파(詹事公派)ㆍ판사공파(判事公派)로 분파되었다. 그 중에서도 제학공파(提學公派)가 가장 번성하였으며, 그밖에 목사공파(牧使公派)ㆍ참지공파(參知公派)ㆍ전객령공파(典客令公派) 등이 주류를 이룬다.
각 분파의 파조는 다음과 같다.
5. 주요 인물
이종은 고려조 평장사를 역임하였다. 이문저는 고려조 이부시랑, 상서좌승을 역임하였다. 이인영은 고려조 대장군을 역임하였다. 이문통은 고려조 좌복야를 역임하였다. 이승로는 고려조 밀직사사를 역임하였다. 이윤검은 조선조 무신, 의주목사, 오위도총부 부총관, 호조참판, 경상좌도 병마절도사를 역임하였다. 이윤서는 조선조 무신이었다. 이양재는 조선조 군수, 충효언이었다.
5. 1. 고려시대
이종은 고려조 평장사를 역임하였다. 이문저는 고려조 이부시랑, 상서좌승을 역임하였다. 이인영은 고려조 대장군을 역임하였다. 이문통은 고려조 좌복야를 역임하였다. 이승로는 고려조 밀직사사를 역임하였다.5. 2. 조선시대
이종은 고려조에 평장사를 역임하였다. 이문저는 고려조에 이부시랑, 상서좌승을 역임하였다. 이인영은 고려조에 대장군을 역임하였다. 이문통은 고려조에 좌복야를 역임하였다. 이승로는 고려조에 밀직사사를 역임하였다. 이윤검은 조선조에 무신, 의주목사, 오위도총부 부총관, 호조참판, 경상좌도 병마절도사를 역임하였다. 이윤서는 조선조 무신이었다. 이양재는 조선조에 군수를 역임하였으며, 충효언이었다.5. 3. 현대
현대에는 다양한 분야에서 합천 이씨 인물들을 찾아볼 수 있다.6. 항렬표
25세 | 26세 | 27세 | 28세 | 29세 | 30세 | 31세 | 32세 | 33세 | 34세 | 35세 | 36세 | 37세 | 38세 | 39세 | 40세 | 41세 | 42세 | 43세 | 44세 | 45세 | 46세 | 47세 | 48세 | 49세 | 50세 |
---|---|---|---|---|---|---|---|---|---|---|---|---|---|---|---|---|---|---|---|---|---|---|---|---|---|
용(鎔) 전(銓) | 口영(永) 口홍(洪) | 정(楨) 환(桓) | 口섭(燮) 口근(勤) | 채(埰) 진(珍) | 口현(鉉) 口정(禎) | 한(漢) 해(海) | 口식(植) 口래(來) | 환(煥) 형(炯) | 口기(基) 口균(均) | 호(鎬) 수(銖) | 口순(淳) 口식(湜) | 근(根) 두(杜) | 口열(烈) 口엽(燁) | 재(在) 재(載) | 口석(錫) 口용(鏞) | 태(泰) 호(浩) | 口상(相) 口림(林) | 희(熙) 경(炅) | 口배(培) 口곤(坤) | 순(錞) 진(鎭) | 口수(洙) 口기(淇) | 동(東) 영(榮) | 口병(炳) 口홍(烘) | 규(圭) 민(玟) | 口종(鍾) 口흠(欽) |
7. 과거 급제자
합천 이씨는 조선시대에 문과 급제자 12명을 배출하였다.[1]
고려 문과에는 이순목(李淳牧), 이유도(李由道)가 급제하였다.
조선시대 문과 급제자는 이광전(李光前), 이도남(李圖南), 이복로(李福老), 이세구(李世球), 이세림(李世琳), 이숭로(李崇老), 이언림(李彦霖), 이윤희(李胤禧), 이인(李認), 이적(李迪), 이희민(李希閔), 이희증(李希曾)이다.[1]
무과 급제자는 이경국(李擎國) 외 59명, 생원시 급제자는 이건호(李建鎬) 외 17명, 진사시 급제자는 이경시(李景蓍) 외 26명, 역과 급제자는 이규연(李奎淵) 외 7명, 율과 급제자는 이정수(李廷秀), 음양과 급제자는 이명구(李命求) 외 6명, 의과 급제자는 이승혁(李承爀) 외 2명이다.[1]
8. 집성촌
경상남도 합천군, 산청군, 하동군, 사천시, 함양군, 거창군, 의령군 의령읍 일원과 경상북도 김천시, 충청남도 논산시, 전북특별자치도 군산시, 경기도 시흥시 거모동 등에 합천 이씨 집성촌이 있다.
9. 고려 왕실과의 인척관계
태조의 비로 대량원부인과 후대량원부인이 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