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행선층 예약시스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행선층 예약 시스템은 승객이 원하는 층을 미리 입력하여 엘리베이터의 효율을 높이는 시스템이다. 1961년 레오 포트가 처음 아이디어를 제시했으나, 1970년대 후반 마이크로 프로세서 제어 기술의 발전으로 구현되었다. 쉰들러 그룹의 Miconic 10 시스템이 1992년에 출시된 최초의 상용화된 시스템이다. 승객의 목적지 정보를 기반으로 엘리베이터 운행을 최적화하여 이동 시간을 절약하고, 접근 권한에 따라 차별화된 서비스를 제공한다. 단체 승객의 경우, 시스템 과부하로 효율이 감소할 수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무게 감지기 또는 그룹 기능 버튼을 사용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승강기 - 에스컬레이터
    에스컬레이터는 자동으로 움직이는 계단으로, 1892년 특허를 시작으로 1900년 상용화되었으며, 건물 층간 이동에 사용되고 안전 기술 발전과 함께 다양한 디자인으로 발전해왔다.
  • 승강기 - 엘리베이터
    엘리베이터는 건물 내 사람이나 화물을 수직으로 운송하는 장치로, 19세기 실용화 이후 안전성 확보를 위한 기술 발전을 거쳐 현대 건축물의 필수 설비가 되었으며, 다양한 기준과 용도에 따라 분류되고 특화된 형태를 가진다.
행선층 예약시스템
개요
명칭행선층 예약 시스템
다른 이름목적층 호출 시스템
Destination Dispatch System (DDS)
Destination Oriented Allocation (DOA)
기술
작동 방식승객이 엘리베이터를 타기 전에 목적지 층을 입력
시스템이 최적의 엘리베이터를 할당
장점대기 시간 감소
운행 효율성 향상
에너지 절약
사용 환경고층 건물
교통량이 많은 건물
보안이 중요한 건물
종류키패드 방식
터치스크린 방식
모바일 앱 방식
신분증 인식 방식
특징
알고리즘최적의 엘리베이터 할당을 위한 다양한 알고리즘 사용
(예: 유전 알고리즘, 퍼지 논리)
사용자 인터페이스직관적인 인터페이스 제공
다양한 언어 지원
장애인 편의 기능 제공
통합건물 관리 시스템 (BMS)과 통합 가능
출입 통제 시스템과 연동 가능
보안목적지 층 위조 방지
허가된 사용자만 엘리베이터 사용 가능
기타승객 흐름 분석 기능 제공
유지보수 및 관리 기능 제공

2. 역사

목적층 예약 엘리베이터의 개념은 1961년 시드니 시장 후보였던 레오 포트가 처음 고안했다. 포트는 자신의 성과 "portal", "elevator"를 결합하여 "Port-El"이라고 명명된 시스템을 개발하고 1961년에 특허를 받았다.[1] 당시 기술로는 복잡한 알고리즘 구현이 어려워 상용화되지 못하고 1977년에 특허가 만료되었다.[2] Port-El 시스템은 시드니 대학교 법학대학과 호주 우유 마케팅 위원회 사무실에 설치된 기록이 있다.

1970년대 후반 마이크로프로세서 제어 엘리베이터가 등장하면서 목적층 예약 시스템 구현이 가능해졌고, 1980년대에 널리 보급되었다. 쉰들러 그룹은 1992년에 최초의 상용 목적층 예약 시스템인 Miconic 10을 출시했다.

3. 작동 원리

행선층 예약시스템에서 승객은 엘리베이터 탑승 전 로비에 설치된 키패드나 터치스크린을 통해 목적층을 입력한다. 제어 시스템은 입력된 정보를 바탕으로 승객을 그룹화하여 가장 효율적인 엘리베이터에 할당한다. 이 과정에서 알고리즘을 통해 불필요한 중간 정차를 최소화하고, 전체 이동 시간과 대기 시간을 단축시킨다.[5][3] 일반적으로 이동 시간은 약 25% 단축되고, 수송 능력은 최대 30%까지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5][3]

쉰들러 엘리베이터에서 설치한 마이코닉 10(Miconic 10) 행선층 예약시스템 제어반. 워싱턴 D.C. JW 메리어트 호텔에 설치됨.


또한, 제어 장치는 카드키에 저장된 정보를 통해 승객에게 다양한 수준의 서비스를 제공한다. VIP, 임원 등 우선권이 있는 승객에게는 빠른 서비스를 제공하거나 전용 엘리베이터를 할당할 수 있다. 장애인 등 특정 그룹에게는 음성 안내, 연장된 문 열림 시간 등 접근성 기능을 제공한다.[6][4]

3. 1. 한계

목적층 예약 시스템은 각 승객이 개별적으로 목적지를 입력해야 최적의 효율을 발휘한다. 그러나 엘리베이터 시스템은 단체 승객이 한 번에 목적지를 입력하는 경우, 이를 단일 승객과 구분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이 때문에 엘리베이터가 정원보다 더 많은 승객을 태우기 위해 중간층에 멈추어 다른 사용자에게 지연을 일으킬 수 있다.[1]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방법을 사용한다.

  • 무게 감지기: 엘리베이터의 무게 감지기(load vane sensor)는 엘리베이터 카에 높은 하중이 감지되었음을 엘리베이터 조종기에 알린다. 이를 통해 엘리베이터는 더 많은 승객을 태울 수 있을 정도로 만원 상태가 해제될 때까지 다른 층에서 멈추지 않는다.
  • 그룹 기능 버튼: 키패드의 그룹 기능 버튼은 몇 명의 승객이 한 층으로 갈 것인지 묻고, 시스템은 가능한 경우 정확한 수의 엘리베이터를 해당 층으로 보낸다.[1]

참조

[1] 웹사이트 The Geometrik golf club https://www.architec[...] 2023-10-11
[2] 웹사이트 https://liftescalato[...]
[3] 웹사이트 Destination Dispatch https://web.archive.[...] 2012-07-04
[4] 웹사이트 Personalization http://www.schindler[...] 2023-05-09
[5] 웹인용 Destination Dispatch https://web.archive.[...] 2012-07-04
[6] 웹인용 Personalization http://www.schindle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