험버강 (온타리오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험버강은 캐나다 온타리오주에 위치한 강으로, 험버스프링스 연못에서 발원하여 온타리오호 험버만에 이르는 총 903km²의 유역을 형성한다. 험버강 유역은 오랜 원주민 정착 역사를 지니고 있으며, 1615년 유럽인 에티엔느 브륄레가 처음으로 이 지역을 통과했다. 이후 상업적 요충지로 활용되었으며, 1860년대 벌목으로 인한 홍수 피해, 1954년 허리케인 헤이즐로 인한 대규모 피해를 겪었다. 현재는 토론토 지역의 공원 및 자전거 도로 등으로 활용되고 있으며, 여러 지류를 통해 유역을 형성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온타리오호 - 퀸트만
퀸트 만은 온타리오 호수와 연결된 약 80km 길이의 만으로, 트렌턴과 트렌트 강에서 끝나며 머레이 운하를 통해 온타리오 호수와 연결되고, 연안에는 주요 도시들이 위치하며, 전통적인 타이엔디나가 모호크 영토이자 산업 중심지이다. - 온타리오호 - 나이아가라강
나이아가라강은 약 2만 년 전에 형성되어 이리호에서 온타리오호로 흐르는 58km 길이의 강으로, 나이아가라 폭포와 수력 발전소로 유명하며, 역사적 요충지이자 지하철도 경로였고 현재는 관광 명소 및 보호 지역이다. - 온타리오주의 강 - 디트로이트강
디트로이트강은 미국과 캐나다 국경을 이루는 세인트클레어 호수에서 이리 호까지 뻗은 강이자 해협으로, 역사적으로 모피 무역과 밀주 밀매의 중심지였으며 현재는 식수 공급원이자 생태계 복원 노력이 이루어지는 곳이다. - 온타리오주의 강 - 세인트클레어강
세인트클레어강은 휴런호와 세인트클레어호를 잇는 65km의 강 또는 해협으로, 하류에서 삼각주를 이루며 역사적으로 교역 중심지였으나 산업화로 수질 오염 문제가 발생하여 현재 관심 지역으로 관리되고 준설 작업이 오대호 수위에 영향을 준다.
험버강 (온타리오주) | |
---|---|
개요 | |
![]() | |
원주민 이름 | 가베카낭-지비 (Gabekanaang-ziibi) |
어원 | 작은 천둥 치는 물 |
지리 | |
국가 | 캐나다 |
주 | 온타리오주 |
지역 | 남부 온타리오 |
지방 자치구 | 더프린 카운티, 필 지역 자치구, 심코 카운티, 요크 지역 자치구 |
자치 도시 | 토론토, 아잘라-토소론토, 브램턴, 캘리던, 킹, 모노, 본 |
발원지 | 험버 스프링스 연못 |
발원지 위치 | 모노, 더프린 카운티 |
발원지 좌표 | 43°56′36″N 80°00′14″W |
발원지 고도 | 해발 421m |
하구 | 험버 만, 온타리오호 |
하구 위치 | 토론토 |
하구 좌표 | 43°37′56″N 79°28′19″W |
하구 고도 | 해발 74m |
수계 | 오대호 분지 |
유역 면적 | 903km2 |
길이 | 100km |
지도 정보 |
2. 이름
험버강에는 원주민 이름이 두 개가 있는데, 하나는 코베체논크 (Cobechenonk)로 오지브와어로 "카누를 떠나 돌아가라"는 뜻이다.[16] 다른 하나는 "니와아오네가가이이" (Niwa’ah Onega’gaih’ih)로 "작은 천둥 소리"라는 뜻이다.[17] 1688년 프랑스 지도에서는 이 강을 passage de taronto프랑스어라고 불렀다.[18] 한편 포플의 1733년 지도에서는 테이아이아곤이라는 이로쿼이족 마을 옆에 Tanaovate River프랑스어라고 표시하였다.[19] 존 그레이브스 심코 온타리오주 총독은 잉글랜드 동부 연안의 험버강의 이름을 따서 험버로 지었을 가능성이 높다.[20]
험버강은 강변을 따라 인간이 오랫동안 정착해 온 역사를 보여주고 있다. 험버강 유역의 원주민 정착지는 고고학적으로 잘 기록되어 있으며 세 차례에 걸쳐 일어났다. 최초의 정착민은 기원전 1만 년에서 7천 년까지 이 지역에 살았던 후기 홍적세의 인디언들이고, 두 번째는 기원전 7천 년에서 1천 년 사이에 지역에서 자라는 식물, 물고기, 사냥감을 이용하기 위해 계절마다 이주하였다. 세 번째는 활과 화살이 도입되고 작물 재배가 가능해지면서 사람들이 영구 정착하게 된 우드랜드 시대였다. 이 시대에는 온타리오호에서 험버강, 심코호를 거쳐 오대호 북부까지 이어지는 원주민들의 이동 흔적도 볼 수 있다.[15]
3. 역사
험버강을 처음 방문한 유럽인은 프랑스 탐험가 에티엔느 브륄레로 추정된다. 브륄레는 1615년 사뮈엘 드 샹플랭의 임무를 수행하기 위해 이 수로를 지나갔지만, 기록을 남기지 않았다. 이 수로는 상인, 탐험가, 선교사들에게 오대호 상부로 가는 편리한 지름길이 되었다. 유럽인들은 심코호 수로 북쪽의 주요 지점을 수로 전체를 묘사하는 데 사용했고, 남쪽 끝은 단순히 "토론토"로 알려지게 되었다.[15]
1660년대에는 이곳이 유럽인과의 무역을 위해 쓰인 세네카족의 영구 정착지인 테이아이아곤으로 불렸으며, 1733년 포플의 지도에는 테이아이아곤 옆에 주요 강이 있었던 것을 볼 수 있다. 17세기 후반과 18세기에는 프랑스 상인들이 이 강을 따라 설치된 항구를 통해 오대호와 토론토 북쪽 지역으로 가는 지름길로 자주 사용했다.[21] 영국으로부터 무역로를 확보하기 위해 프랑스는 베이비 포인트 근처에 험버강을 따라 마가장 루아얄 교역소를 설치했다. 1720년에 완공된 이 교역소는 뉴욕주 오스위고에 영국군 요새가 건설되면서 폐기되었다.
1750년, 프랑스는 원주민들이 오스위고 요새에서 영국군 쪽으로 향하는 것을 막기 위해 험버강 하구 근처에 포트 토론토 요새를 건설했는데, 이 요새는 즉각 성공을 거두었다. 이 성공으로 누벨프랑스 총독인 마르키 드 라 종키에르는 이 지역의 소유권을 강화하기 위해 더 큰 무역 시설과 군사 잠재력을 지닌 포르루이예 요새를 건설할 것을 명령하였다. 포르루이예는 오늘날의 험버강 동쪽의 엑시비션 플레이스에 있으며 1751년 여름에 완공되었다. 이 요새는 7년 전쟁 동안 1759년까지 운영되었고, 나이아가라 요새가 점령될 경우 주둔군을 대피시키고 파괴하라는 지시를 받은 수비대는 1759년 7월, 나이아가라 요새 전투에서 패배한 후 몬트리올 지역으로 향했다.
이 지역은 1760년 9월 영국군이 점령하였고, 영국군은 프랑스군이 점령했던 요새를 장악하기 위해 200명의 병력과 15척의 포경선과 함께 수석 정찰대와 정보 장교인 로버트 로저스를 파견했다. 1772년, 장보나방튀르 루소는 험버강 하구 근처에 있는 원주민들과의 교역 허가를 받았다. 그의 교역권은 1774년에 장보나방튀르가 숨진 이후 그의 아들인 장밥티스트 루소가 상속하였다. 루소는 1792년까지 이곳에 영구 정착하지는 않았지만, 그가 험버강 하구에 무역소를 지을 때 원주민들과 여러 차례 접촉하였다.
루소는 1793년에 요크에 공식 정착을 위해 존 그레이브스 심코의 배를 토론토만으로 안내하였다. 영국의 관심은 험버강 동쪽, 돈강 근처에 있던 토론토만에 쏠렸으며, 1812년 전쟁이 끝난 후 흩어져있던 영국 왕당파들이 영국 땅에 남기로 했던 아일랜드와 스코틀랜드인들과 함께 오늘날의 토론토에 정착하였다.[15]
심코는 요크에 제재소와 제분소가 필요하다는 것을 알고 1793년 블루어 스트리트 근처 강 서쪽 둑에 제재소를 건설했다. 1797년에는 험버강에 제분소도 건설되었다.[22] 수년에 걸쳐 여러 사람들이 험버강을 따라 제분소를 운영하였다. 험버강의 마지막 제분소인 우드브리지의 헤이호 제분소는 2007년에 문을 닫았다.[22]
1860년대에 험버 계곡은 벌채가 광범위하게 이루어졌다. 이로 인해 제방의 안정성이 감소하고 주기적인 홍수로 피해가 증가하였다. 1878년 대규모 홍수로 남은 수력 발전 공장도 파괴되었다. 토론토 지역이 성장하면서 험버강 유역은 중요한 농업 지역이 되었다. 1940년대에 심각한 유수 문제가 발생했으며, 1954년 허리케인 헤이즐로 인한 큰 홍수로 건물과 다리가 여럿 파괴되었다. 레이모어 드라이브에서는 60채의 주택이 파괴되고 35명이 사망했다.[22]
1957년, 토론토 통합시와 지역보존기구 (MTRCA, 이후 TRCA)는 험버계곡보존기구의 뒤를 이었고 1998년에는 토론토 지역보존기구로 이름이 바뀌었다. 이후 보존기구는 오대호 2000 정화기금의 일환으로 험버강을 정화하기 위한 태스크 포스를 구성했다.
3. 1. 원주민 역사
험버강 유역은 오랜 원주민 정착 역사를 지니고 있으며, 이는 고고학적으로 잘 기록되어 있다. 원주민 정착은 세 차례에 걸쳐 일어났다. 첫 번째는 기원전 1만 년에서 7천 년 사이의 고(古)인디언 시기, 두 번째는 기원전 7천 년에서 1천 년 사이의 고대 시기로, 이들은 계절에 따라 이동하며 동식물 자원을 활용했다. 세 번째는 삼림 시대로, 활과 화살이 도입되고 농경이 시작되면서 더 크고 영구적인 정착지가 형성되었다. 이 시기에는 온타리오 호수에서 험버강을 거쳐 심코 호수, 나아가 오대호 북부까지 이어지는 토론토 캐링플레이스 트레일을 따라 원주민들이 이동했다.[15]
1615년 프랑스 탐험가 에티엔 브륄레가 사뮈엘 드 샹플랭의 지시로 원주민과의 동맹을 맺기 위해 험버강 유역을 지나갔지만, 이에 대한 기록은 남기지 않았다. 이 경로는 상인, 탐험가, 선교사들에게 오대호 상류로 가는 편리한 지름길이 되었다.[15]
1660년대에는 세네카족의 영구 정착지인 테이아곤이 있었으며, 이곳은 유럽인과의 무역을 위해 사용되었다. 1733년 포플의 지도에는 테이아곤 옆에 험버강으로 추정되는 큰 강이 표시되어 있다.
17세기 후반과 18세기에는 프랑스 상인들이 이 강을 따라 설치된 운반로를 통해 오대호 상류와 토론토 북쪽 지역으로 빠르게 이동했다.[21] 프랑스는 영국으로부터 무역로를 확보하기 위해 베이비 포인트 근처에 마가생 로열이라는 교역소를 설치했다. 1720년에 완공된 이 교역소는 뉴욕주 오스위고에 영국군 요새가 건설되면서 폐쇄되었다.
1750년, 프랑스는 원주민들이 오스위고 요새의 영국군에게 가는 것을 막기 위해 험버강 하구 근처에 포트 토론토라는 요새를 건설했다. 이 요새는 즉각적인 성공을 거두어 상품 공급량이 요새의 수용 능력을 넘어섰다. 이 성공에 힘입어 누벨프랑스 총독 라 죵키에르 후작은 이 지역의 소유권을 강화하기 위해 더 큰 무역 시설과 군사력을 갖춘 포트 루이예를 건설하도록 명령했다. 엑시비션 플레이스에 위치한 이 요새는 1751년 여름에 완공되었다. 이 요새는 7년 전쟁 중인 1759년까지 운영되었으며, 나이아가라 요새 전투에서 패배한 후 수비대는 몬트리올로 철수했다.
1760년 9월, 영국군은 200명의 병력과 15척의 고래잡이 배를 이끌고 온 로버트 로저스를 파견하여 이 지역을 점령했다. 1772년, 장보나방튀르 루소는 험버강 하구 근처에서 원주민들과 교역할 수 있는 허가를 받았다. 그의 교역권은 1774년 그가 사망한 후 아들 장 밥티스트 루소에게 상속되었다. 루소는 1792년까지 험버강 하구에 무역소를 건설하기 전까지는 영구적으로 정착하지 않았다.
1793년, 루소는 존 그레이브스 심코의 배를 토론토 만으로 안내하여 요크 (현재의 토론토) 정착을 도왔다. 영국의 관심은 험버강 동쪽, 돈 강 근처의 토론토 만에 집중되었다. 1812년 전쟁 이후, 영국 땅에 남기로 한 아일랜드와 스코틀랜드 출신 이민자들과 함께 흩어져 있던 영국 왕당파들이 이 지역에 정착했다.[15]
3. 2. 유럽인과의 접촉 및 식민지 시대
험버강은 오랜 기간 동안 인간이 정착해 온 역사를 지니고 있으며, 원주민 정착은 고고학적으로 세 차례에 걸쳐 이루어졌다. 첫 번째는 기원전 1만 년에서 7천 년 사이의 고인도인, 두 번째는 기원전 7천 년에서 1천 년 사이의 고대인, 세 번째는 활과 화살이 도입되고 농경이 시작된 삼림 시대였다. 특히 삼림 시대에는 온타리오 호수에서 험버강을 거쳐 심코 호수와 오대호 북부까지 이어지는 원주민들의 이동 흔적을 볼 수 있다.[15]
험버강을 처음 지난 유럽인은 1615년 사뮈엘 드 샹플랭의 임무를 수행하던 프랑스 탐험가 에티엔 브륄레로 추정된다. 이 수로는 상인, 탐험가, 선교사들에게 오대호 상부로 가는 편리한 지름길이 되었다.[15] 1660년대에는 세네카족의 영구 정착지인 테이아이아곤이 있었으며, 1733년 지도에는 테이아이아곤 옆에 주요 강이 있었던 것을 볼 수 있다.
17세기 후반과 18세기, 프랑스 상인들은 이 강을 통해 오대호와 토론토 북쪽 지역으로 빠르게 이동했다.[21] 영국과의 무역로 확보를 위해 프랑스는 베이비포인트 근처에 마가장 루아얄(Magasin Royal) 교역소를 설치했으나, 1720년 완공 후 뉴욕주 오스위고에 영국군 요새가 건설되면서 폐기되었다.
1750년, 프랑스는 원주민들이 영국군 쪽으로 향하는 것을 막기 위해 험버강 하구 근처에 포르토롱토(Fort-Toronto) 요새를 건설했다. 이 요새는 즉각 성공을 거두었고, 누벨프랑스 총독은 이 지역의 소유권을 강화하기 위해 더 큰 요새인 포르루이예(Fort-Rouillé)를 건설하도록 명령했다. 포르루이예는 1751년 여름에 완공되었으며, 7년 전쟁 동안 1759년까지 운영되었다. 나이아가라 요새가 점령될 경우 요새를 파괴하라는 지시를 받은 수비대는 1759년 7월, 나이아가라 요새 전투에서 패배한 후 몬트리올 지역으로 후퇴했다.
1760년 9월, 영국군은 이 지역을 점령하기 위해 로버트 로저스를 파견했다. 1772년, 장보나방튀르 루소는 험버강 하구 근처에서 원주민들과 교역 허가를 받았고, 그의 아들 장밥티스트 루소가 교역권을 상속받았다. 루소는 1792년에 험버강 하구에 무역소를 설립했다.
1793년, 루소는 존 그레이브스 심코의 배를 토론토만으로 안내하여 요크(현재의 토론토) 정착을 시작했다. 영국은 험버강 동쪽, 돈강 근처에 관심을 가졌으며, 1812년 전쟁 이후 흩어져있던 영국 왕당파들이 정착했다.[15] 심코는 이 지역에 제재소와 제분소가 필요하다는 것을 알고 1793년에 제재소를, 1797년에는 제분소를 건설했다.[22] 이후 여러 사람들이 험버강을 따라 제분소를 운영했으며, 마지막 제분소는 2007년에 문을 닫았다.[22]
1860년에 들어서 험버 계곡은 광범위하게 벌채되었고, 이는 홍수 피해를 증가시켰다. 1878년 대규모 홍수로 수력 발전 공장이 파괴되었다. 토론토 지역이 성장하면서 험버강 유역은 농업 지역이 되었고, 1940년대에는 유수 문제가 발생하여 험버계곡보존기구(Humber Valley Conservation Authority)가 설립되었다. 1954년, 허리케인 헤이즐로 인한 홍수로 건물과 다리가 파괴되고 많은 인명 피해가 발생했다.[22]
1957년, 토론토 통합시와 지역보존기구(MTRCA)가 험버계곡보존기구의 뒤를 이었고, 1998년에는 토론토 지역보존기구(TRCA)로 이름이 바뀌었다. 이후 보존기구는 험버강 정화를 위한 태스크 포스를 구성했다.[15]
3. 3. 근현대
험버강은 강변을 따라 인간이 오랫동안 정착해 온 역사를 보여준다. 원주민 정착지는 고고학적으로 잘 기록되어 있으며, 세 차례에 걸쳐 이루어졌다. 첫 번째는 기원전 1만 년에서 7천 년 사이의 후기 고인도인들이었고, 두 번째는 기원전 7천 년에서 1천 년 사이에 계절별 이동을 하던 고대인들이었다. 세 번째는 우드랜드 시대로, 활과 화살이 도입되고 작물 재배로 영구 정착이 가능해졌다. 이 시기에는 온타리오호에서 험버강, 심코호를 거쳐 오대호 북부까지 이어지는 원주민들의 이동 흔적도 볼 수 있다.[15]
험버강을 처음 지나간 유럽인은 1615년 프랑스 탐험가 에티엔느 브륄레로 추정된다. 그는 사뮈엘 드 샹플랭의 임무를 수행하기 위해 이 수로를 지나갔지만, 기록을 남기지 않았다. 이 수로는 상인, 탐험가, 선교사들에게 오대호 상부로 가는 편리한 지름길이 되었다. 유럽인들은 심코호 수로 북쪽의 주요 지점을 수로 전체를 묘사하는 데 사용했고, 남쪽 끝은 단순히 "토론토"로 알려지게 되었다.[15]
1660년대에는 이곳이 유럽인과의 무역을 위해 쓰인 세네카족의 영구 정착지인 테이아이아곤으로 불리었다. 1733년 포플의 지도에는 테이아이아곤 옆에 주요 강이 있었던 것을 볼 수 있다. 17세기 후반과 18세기에는 프랑스 상인들이 이 강을 따라 설치된 항구를 통해 오대호와 토론토 북쪽 지역으로 가는 지름길로 자주 사용했다.[21] 영국으로부터 무역로를 확보하기 위해 프랑스는 베이비포인트 근처에 험버강을 따라 마가장 루아얄 (Magasin Royal) 교역소를 설치했다. 1720년에 완공된 이 교역소는 뉴욕주 오스위고에 영국군 요새가 지어지면서 폐기되었다.
1750년, 프랑스는 원주민들이 오스위고 요새에서 영국군 쪽으로 향하는 것을 막기 위해 험버강 하구 근처에 포르토롱토 (Fort-Toronto) 요새를 건설했는데, 이 요새는 즉각 성공을 거두었다. 이 성공으로 누벨프랑스 총독인 마르키 드 라 종키에르는 이 지역의 소유권을 강화하기 위해 더 큰 무역 시설과 군사 잠재력을 지닌 요새를 지을 것을 명령하였다. 포르루이예 (Fort-Rouillé)는 오늘날의 험버강 동쪽의 엑시비션 플레이스에 있으며 1751년 여름에 완공되었다. 이 요새는 7년 전쟁 동안 1759년까지 계속 운영하였고 나이아가라 요새가 점령될 경우 주둔군을 대피시키고 파괴하라는 지시를 받은 수비대는 1759년 7월, 나이아가라 요새에서 패배한 후 몬트리올 지역으로 향했다.
이 지역은 이후 1760년 9월 영국군이 점령하였고, 영국군은 프랑스군이 점령했던 요새를 장악하기 위해 군 병력 200명과 포경선 15척과 함께 수석 정찰대와 정보 장교인 로버트 로저스를 파견했다. 1772년, 장보나방튀르 루소는 험버강 하구 근처에 있는 원주민들과의 교역 허가를 받았다. 그의 교역권은 1774년에 장보나방튀르가 숨진 이후 그의 아들인 장밥티스트 루소가 상속하였다. 루소는 1792년까지 이곳에 영구 정착하지는 않았지만, 그가 험버강 하구에 무역소를 지을 때 원주민들과 여러 차례 접촉하였다.
루소는 1793년에 요크에 공식 정착을 위해 존 그레이브스 심코의 배를 토론토만으로 조종하였다. 영국의 관심은 험버강 동쪽, 돈강 근처에 있던 토론토만에 쏠렸으며, 1812년 전쟁이 끝난 후 흩어져있던 영국 왕당파들이 영국 땅에 남기로 했던 아일랜드와 스코틀랜드인들과 함께 오늘날의 토론토에 정착하였다.[15]
요크에 도착한 심코는 이 지역에 제재소와 제분소가 필요하다는 것을 알고 있었다. 그는 1793년 존 윌슨이 운영하는 오늘날의 블루어가 근처 강 서쪽 둑에 제재소를 건설했다. 1797년에는 험버강에 존 로렌스가 소유하고 운영하는 제분소도 건설되었다.[22] 수년에 걸쳐 윌리엄 쿠퍼, W. P. 하울랜드, 토마스 피셔, 존 스칼렛, 윌리엄 갬블, 조셉 로운트리와 같은 사람들이 험버강을 따라 제분소를 운영하였다. 험버강의 마지막 제분소인 우드브리지의 헤이호 제분소는 2007년에 문을 닫았다.[22]
1860년에 들어서 험버 계곡은 벌채가 광범위하게 이루어졌다. 이에 따라 제방의 안정성을 감소시키고 주기적인 홍수로 피해가 증가하였다. 1878년 대규모 홍수로 남은 수력 발전 공장도 파괴되었다. 토론토 지역이 성장함에 따라 험버강 유역은 중요한 농업 지역이 되었다. 이에 따라 1940년대에 심각한 유수 문제가 발생했으며, 1954년에 허리케인 헤이즐로 강에 엄청난 홍수로 건물과 다리가 여럿 파괴되었다. 레이모어 드라이브에서는 60채의 주택이 파괴되고 35명이 사망했다.[22]
1957년에 토론토 통합시와 지역보존기구 (MTRCA, 이후 TRCA)는 이후 험버계곡보존기구의 뒤를 이었고 1998년에는 토론토 지역보존기구로 이름이 바뀌었다. 이후 보존기구는 오대호 2000 정화기금의 일환으로 험버강을 정화하기 위한 태스크 포스가 구성되었다.[15]
4. 지리
험버강은 더퍼린 카운티 모노에 있는 나이아가라 단층애의 험버스프링스 연못 (Humber Springs Ponds)에서 시작해[13] 토론토시에 있는 온타리오호 험버 만에 하구가 위치해있다. 웨스트험버강은 클레어빌 보존구역을 지나 섬머리아 공원에서 본류와 합류한다.[15]
4. 1. 유역
험버강 유역은 캐나다 온타리오주 중남부에 주로 토론토 북부와 서부에 위치한 유역으로, 903km2에 달하는 이 유역은 오크 리지스 모레인과 나이아가라 단구 등 다양한 지형을 통과한다.[23] 유역 서쪽에는 크레디트강, 에토비코크 크릭, 미미코 크릭 유역, 동쪽에는 개리슨 크릭, 돈강, 루즈강 유역이 흐르며 세 하천 모두 온타리오호로 흐른다. 노타와사가강을 끼고 있는 북쪽으로 흐르는 홀랜드강은 심코호로 이어진다.[15]동쪽의 돈강과는 달리 험버강은 토론토가 성장하면서 강 유역이 산업화의 영향을 덜 받았는데, 허리케인 헤이즐에 따른 홍수 이후 강 유역은 공원으로 조성되거나 재개발되었으며 남쪽 끝에 있는 광범위하고 중요한 습지는 훼손되지 않았다. 돈강 하구가 표류물로 막히고 낮은 다리로 가로막히는 방면에 험버강은 여전히 배가 다닐 수 있고 낚시꾼들이 많이 몰린다.
오늘날 험버강 토론토 구간은 대부분 녹지로 호숫가에서 도시 북쪽 끝까지 30km가량 걸쳐있다. 강의 여러 지류를 따라 총 50km의 자전거 도로가 이어지며 그 중 상당 부분은 자전거를 타기 괜찮은 상태로 조성되어있다. 돈강의 자전거 도로는 더욱 좁고 상태가 좋지 않지만 두 자전거 도로는 호숫가를 통해 연결되어 총 길이가 100km에 달한다.
4. 2. 지류
험버강 원줄기에서 갈라지는 지류는 다음과 같다.[24][25]지류 이름 | 설명 |
---|---|
알비온천 (Albion Creek) | 웨스트험버강의 지류이다. 볼턴 동쪽에서 남서 방향으로 흐르며 토론토 북쪽의 이즐링턴 애비뉴와 마틴그로브 로드 사이에서 웨스트험버강에 합류한다. 길이는 약 9km이다. |
베리천 (Berry Creek) | 렉스데일 블루버드 북쪽의 마틴그로브 로드에서 시작하며 알비온과 웨스턴 로드 서쪽에서 서-남동 방향으로 험버강에 합류한다. 길이는 3.8km이다. |
블랙천 (Black Creek) | 토론토 북쪽의 본에서 시작하여 동쪽으로 약 800m 떨어진 램턴파크의 던다스가에서 험버강 하류로 합류한다. |
센터빌천 (Centreville Creek) | |
이스트험버 (East Humber) | 토론토 북쪽에서 흐르며 7번 고속도로 북쪽에서 우드브리지에 있는 험버강 본류에 합류한다. 이스트험버 유역은 동쪽으로 영가까지, 북쪽으로 킹시티까지 이어진다. 수원지는 윌콕스호이고 영가 동쪽과 오크리지스 마을에 습지가 조성되어있다. |
에머리천 (Emery Creek) | 핀치 애비뉴와 웨스턴 로드에 있는 수원지에서 남쪽으로 흘러 웨스턴 로드 서쪽으로 500m 지점에 위치해있는 험버강 본류에 합류한다. 길이는 2.4km이다. |
험버천 (Humber Creek) | 이즐링턴 애비뉴와 딕슨 로드에 있는 수원지에서 남동쪽의 주거단지로 흘러 에글린턴 애비뉴 북쪽 750m 지점에서 험버강 하류와 합류한다. 길이는 3.8km이다. |
킹천 (King Creek) | 이스트험버강의 지류이다. 27번 고속도로와 16번 사이드로드에서 남쪽으로 흘러 노블턴 동쪽의 킹 로드 남쪽에서 이스트험버강에 합류한다. |
퍼플빌천 (Purpleville Creek) | |
레인보우천 (Rainbow Creek) | |
솔트천 (Salt Creek) | |
실버천 (Silver Creek) | 에글린턴 애비뉴와 로열요크 로드에서 300m가량 서쪽으로 떨어진 수원지에서 남서쪽으로 골프장 일부와 주거 지역을 지나 에글린턴 애비뉴에서 남쪽으로 1.2km 지점에서 험버강 하류에 합류한다. 길이는 2km가량 된다. |
웨스트험버 (West Humber) | 알비온 로드 동쪽, 셰퍼드 애비뉴와 웨스턴 로드에서 800m가량 서쪽으로 떨어진 지점에서 험버강 본류로 합류한다. 웨스트험버강은 토론토 북쪽에서 흐르면서 여러 지류로 또다시 나뉜다. |
참조
[1]
웹사이트
INDIGENOUS CULTURAL MARKERS
https://humber.ca/ab[...]
Humber College
[2]
간행물
Humber River
2012-03-15
[3]
웹사이트
Humber River
http://atlas.nrcan.g[...]
Natural Resources Canada
2012-03-15
[4]
웹사이트
Whose land?
http://nowtoronto.co[...]
Now
2013-07-11
[5]
웹사이트
Humber River
http://torontoplaque[...]
2020-05-28
[6]
서적
Canadian Climate of Mind: Passages from Fur to Energy and Beyond
https://books.google[...]
McGill-Queen's Press
[7]
웹사이트
Ontario Roots - Lost Village of Mimico
http://ontarioroots.[...]
2015-10-02
[8]
웹사이트
The real story of how Toronto got its name
http://www.nrcan.gc.[...]
Natural Resources Canada
[9]
웹사이트
"'Tarontos Lac': Geographer finds oldest known reference to Toronto on 340-year-old French map"
https://www.cbc.ca/n[...]
Canadian Broadcasting Corporation
2018-10-15
[10]
서적
Humber river watershed plan: Pathways to a healthy Humber
http://www.trca.on.c[...]
Toronto and Region Conservation Authority
2012-03-15
[11]
보고서
Humber River: State of the Watershed Report – Aquatic System
http://trca.on.ca/do[...]
Toronto and Region Conservation Authority
2013-07-16
[12]
웹사이트
Natural Resources Canada: Toporama
http://atlas.nrcan.g[...]
Natural Resources Canada
2016-09-12
[13]
웹사이트
Humber River
http://www.chrs.ca/R[...]
The Canadian Heritage Rivers System
2011-12-05
[14]
웹인용
Humber River
http://www4.rncan.gc[...]
2020-10-05
[15]
웹인용
Humber River
https://chrs.ca/en/r[...]
2020-10-05
[16]
웹인용
Humber River - Toronto Metro Area
https://www.wilderne[...]
2020-10-06
[17]
웹인용
Humber River
http://torontoplaque[...]
2020-10-06
[18]
서적
Canadian Climate of Mind: Passages from Fur to Energy and Beyond
https://books.google[...]
McGill-Queen's University Press
[19]
웹인용
The Lost Village of Weston
http://www.ontarioro[...]
2020-10-06
[20]
웹인용
The real story of how Toronto got its name
http://www.nrcan.gc.[...]
2020-10-06
[21]
뉴스
"'Tarontos Lac': Geographer finds oldest known reference to Toronto on 340-year-old French map"
https://www.cbc.ca/n[...]
2020-10-06
[22]
웹인용
Mills, Ponds and Resource Extraction
https://www.mountden[...]
2020-10-06
[23]
웹인용
Humber River Watershed Plan: Pathways to a Healthy Humber
http://www.trca.on.c[...]
2020-10-07
[24]
웹인용
Humber River State of the Watershed Report - Aquatic System
http://trca.on.ca/do[...]
2020-10-07
[25]
웹인용
The Atlas of Canada - Toporama
https://atlas.nrcan.[...]
2020-10-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