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협대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협대역은 광대역보다 통신 속도가 느린 통신 방식을 의미한다. 유선 데이터 통신에서는 미국 연방 통신 위원회(FCC)가 하향 25Mbps/상향 3Mbps 미만을, 일본 총무성은 공중 전화망, ISDN, 일반 전용선을 협대역으로 정의한다. 협대역 통신은 전국적인 서비스 제공이 용이하고, 다중화에 유리하며, 잡음에 강하고 에너지 효율적이며, 저비용 인프라 활용 및 소형 회로 구현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지만, 전송 속도가 느리다는 단점이 있다. 무선 통신에서의 협대역은 양방향 무선 통신에서 12.5kHz 대역폭 시스템으로의 전환을 요구하는 등 시대에 따라 구분 기준이 변해왔다. 전화 통신에서 협대역은 0.3~3.4 kHz의 음향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의미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전파 - X 밴드
    X 밴드는 8 GHz에서 12 GHz 사이의 전자기 스펙트럼 영역으로, 레이더 시스템에서 높은 해상도를 제공하며 기상 레이더, 항공 교통 관제, 통신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되는 주파수 대역이다.
  • 전파 - 밀양 송전탑 사건
    밀양 송전탑 사건은 2001년부터 2014년까지 한국전력공사의 765kV 송전선로 건설 추진에 반대하는 밀양 지역 주민들과의 갈등으로, 고압선 전자파 유해성, 송전탑 필요성 등을 둘러싼 논란이 있었으며, 2014년 농성장 철거 과정에서 물리적 충돌이 발생했다.
협대역

2. 유선 통신에서의 협대역

유선 데이터 통신에서 협대역은 광대역보다 통신 속도가 느린 것을 가리킨다. 대표적인 예로 ADSL 1.5Mbps, ISDN 1차 군 속도 인터페이스(PRI) 1.544Mbps(T1) 및 2.048Mbps(E1), ISDN 기본 속도 인터페이스(BRI) 128kbps 등이 있다.

2. 1. 한국의 유선 협대역 통신

한국에서는 공중 전화망, ISDN, 일반 전용선 등이 협대역 통신에 해당한다.[1] ADSL 1.5Mbps, ISDN 1차 군 속도 인터페이스(PRI) 1.544Mbps(T1) 및 2.048Mbps(E1), ISDN 기본 속도 인터페이스(BRI) 128kbps 등이 대표적인 예이다.[1]

2. 2. 국제 표준 및 비교

미국 연방 통신 위원회(FCC)는 하향 25Mbps/상향 3Mbps 미만을 협대역으로 정의한다. 일본 총무성은 공중 전화망, ISDN, 일반 전용선이 이에 해당한다고 본다.

대표적인 예로 ADSL 1.5Mbps, ISDN 1차 군 속도 인터페이스(PRI: Primary Rate Interface) 1.544Mbps(T1) 및 2.048Mbps(E1), 기본 속도 인터페이스(BRI: Basic Rate Interface) 128kbps 등이 있다.

3. 무선 통신에서의 협대역

무선전신에서 협대역과 광대역의 구분은 상대적이며 시대에 따라 변화해 왔다.

3. 1. 양방향 무선 통신 협대역화 (미국)

2004년 12월 미국 연방 통신 위원회(FCC)는 기존 광대역(25kHz 대역폭) 음성 또는 데이터/SCADA 시스템을 운영하는 모든 CFR 47 Part 90 VHF(150–174MHz) 및 UHF(421–470MHz) PLMR(사설 육상 이동 무선) 면허 소지자에게 2013년 1월 1일까지 협대역(12.5kHz 대역폭 또는 그에 상응하는) 시스템으로 전환하도록 요구했다.

3. 2. 전화에서의 협대역

전화 통신에서 0.3~3.4kHz의 음향 신호를 전송하는 것이 협대역에 해당한다.

4. 협대역 통신의 특징

협대역 통신은 광대역 통신에 비해 전국적인 서비스 제공, 다중화, 잡음, 에너지 효율성, 인프라 비용, 회로 규모 등에서 유리한 특징을 가진다.[1]

4. 1. 장점


  • 전국적인 서비스 제공 용이성: 협대역은 한국의 거의 모든 지역(시·읍·면·동)에서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다.[1]
  • 다중화 용이성: 동일한 전송로에서 더 많은 회선을 다중화할 수 있다.[1]
  • 낮은 잡음 및 강한 내성: 유선 통신의 경우, 방사 잡음이 적고 외부 노이즈에도 강하다.[1]
  • 에너지 효율성: 동일한 전송 거리를 확보하기 위한 에너지가 적게 든다.[1]
  • 저비용 인프라 활용 가능: 저위 규격의 전송로를 사용할 수 있다.[1]
  • 소형 회로 구현: 전자 회로 규모를 작게 할 수 있다.[1]

참조

[1] 서적 Radio-Frequency Electronics : Circuits and application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 보고서 FCC order https://web.archive.[...] 2010-08-2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