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격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호격은 언어학에서 사용되는 문법적 격의 하나로, 대화 상대를 부르거나 지칭할 때 사용된다. 한국어에서는 조사 '아/야'와 격식체 '여/이여'가 호격을 나타내며, 인도유럽어족을 비롯한 다양한 언어에서 호격 형태가 존재하거나 과거에 존재했다. 영어에서는 'O'를 사용하여 호격을 나타내기도 하며, 표준중국어, 일본어, 조지아어, 헝가리어 등 다른 언어에서도 고유한 호격 표현 방식이 존재한다. 아랍어에서는 'yā' 조사를 사용하며, 헝가리어는 무관사, 소유격, 2인칭 대명사 등을 통해 호격을 나타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호격 | |
---|---|
구글 지도 | |
기본 정보 | |
다른 이름 | 부름격, 호칭격 |
영어 | vocative case |
라틴어 | casus vocativus |
문법적 기능 | |
기능 | 명사를 직접 부르는 데 사용 |
사용 예시 | '철수야!', '선생님!' 등 |
특징 | |
형태 변화 | 일부 언어에서 명사의 형태 변화를 통해 표시 |
주격과의 관계 | 주격과 유사하거나 동일한 형태를 갖는 경우가 많음 |
문장 내 위치 | 주로 문장 첫머리에 위치하나, 문장 중간이나 끝에도 사용 가능 |
문법적 독립성 | 문장 내에서 문법적 관계를 맺지 않는 경우가 많음 |
친밀도 표시 | 때로는 친밀함, 존경, 간청 등 다양한 어조를 나타냄 |
사용되는 언어 | |
현대 언어 | 라틴어 그리스어 슬라브어파 일부 언어 (예: 체코어, 폴란드어, 러시아어) 아일랜드어 스코틀랜드 게일어 리투아니아어 라트비아어 힌디어 벵골어 타밀어 조지아어 |
고대 언어 | 산스크리트어 고대 그리스어 고대 라틴어 |
한국어 | |
한국어 호격 | '아/야', '이여/여' 등의 호격 조사 사용 |
역사적 고찰 | |
역사 | 알베르트 툼의 연구 de |
2. 한국어
한국어에서 호격은 명사 뒤에 조사를 붙여 표현한다. 일반적으로 '''아/야'''가 사용되는데, 받침이 있는 명사 뒤에는 '아', 받침이 없는 명사 뒤에는 '야'를 붙인다.[26] 예를 들어 "미진아", "철수야"와 같이 사용된다.
격식체에서는 '''여/이여'''가 사용된다. 받침이 있으면 '이여', 없으면 '여'를 붙인다. 윌리엄 S. 클라크의 "소년'''이여''' 야망을 가져라."가 대표적인 예이다.
높임말로는 '''시여/이시여'''가 사용된다. 받침 유무에 따라 '이시여'와 '시여'를 붙인다. "하늘'''이시여''', 용서하소서."와 같이 사용된다.[26]
중세 한국어에는 세 가지 호격 존댓말('하', '아/야', '여/이여')이 있었다.[27]
2. 1. 형태
한국어에는 호격 조사 '아/야'가 있다. 자음으로 끝나는 체언 뒤에는 '아', 모음으로 끝나는 체언 뒤에는 '야'를 붙인다.[26]: 미진'''아''', 집에 가? / 철수'''야''', 집에 가니?
격식체에서는 '여/이여'도 사용된다. 자음 뒤에는 '이여', 모음 뒤에는 '여'가 쓰인다.
: 소년'''이여''' 야망을 가져라. / 소녀'''여''' 큰 뜻을 품어라.
높임 표현 '-시-'가 들어간 형태인 '시여/이시여'도 사용된다. 마찬가지로 자음 뒤에 '이시여', 모음 뒤에 '시여'가 쓰인다.[26]
: 하늘'''이시여''', 용서하소서.
중세 한국어에는 존댓말에 따라 세 가지 호격('하', '아/야', '여/이여')이 있었다.[27]
형태 | 하 | 아/야 | 여/이여 |
---|---|---|---|
존댓말 | 높임 | 평범 | 낮춤(감탄의 뉘앙스 추가) |
2. 2. 특징
한국어에는 호격 조사 '아/야'가 있다. 자음으로 끝나는 체언 뒤에는 '아', 모음으로 끝나는 체언 뒤에는 '야'가 쓰인다.[26]: 미진'''아''', 집에 가? / 철수'''야''', 집에 가니?
격식체에서는 '여/이여'도 사용된다. 자음 뒤에는 '이여', 모음 뒤에는 '여'가 쓰인다.[26]
: 소년'''이여''' 야망을 가져라. / 소녀'''여''' 큰 뜻을 품어라.
높임 표현 '-시-'가 들어간 형태인 '시여/이시여'도 사용된다. 마찬가지로 자음 뒤에 '이시여', 모음 뒤에 '시여'가 쓰인다.[26]
: 하늘'''이시여''', 용서하소서.
중세 한국어에는 다음과 같이 세 가지 호격 존댓말이 있었다.[27]
형태 | 하 | 아/야 | 여/이여 |
---|---|---|---|
존댓말 | 높임 | 평범 | 낮춤 (감탄의 뉘앙스 추가) |
인도유럽어족의 여러 언어에서 호격이 발견된다.
3. 인도유럽어족
3. 1. 비교
여러 인도유럽어족 언어에서 "늑대"를 뜻하는 단어의 주격과 호격 형태는 다음과 같다.
언어 | 주격 | 호격 |
---|---|---|
원시 인도유럽어 | ||
산스크리트어 | वृकः|vṛ́k-a-ḥsa | वृक|vṛ́k-asa |
고전 그리스어 | λύκ-ο-ς|lúk-o-sgrc | λύκ-ε|lúk-egrc |
라틴어 | lup-u-s|lup-u-sla | lup-e|lup-ela |
리투아니아어 | vilk-a-s|vilk-a-slt | vilk-e|vilk-elt |
고대 교회 슬라브어 | вльк-ъ|vlĭk-ŭcu | вльч-е|vlĭč-ecu |
하이픈으로 구분된 요소는 어간, 격 변화의 주제 모음 및 실제 어미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라틴어에서 주격은 lupus|lupusla이고 호격은 lupe|lupela이지만, 목적격은 lupum|lupumla이다. 원시 인도유럽어 단어 앞의 별표(*)는 이것들이 이론적인 재구성이며, 기록된 출처에서 증명되지 않았음을 의미한다. 기호 ◌̩ (아래쪽 수직선)은 모음 역할을 하는 자음을 나타낸다 (이 예에서는 "l" 또는 "r" 바로 아래에 나타나야 하지만, 일부 시스템에서는 글꼴 표시 문제로 그 뒤에 나타날 수 있다). 모든 최종 자음은 원시 슬라브어에서 사라졌으므로, 주격과 호격 고대 교회 슬라브어 형태 모두 진정한 어미가 없고, 오래된 주제 모음의 반영만 있다.
소위 제1 구개음화 때문에 고대 교회 슬라브어에서 호격 어미는 어간 자음을 변경한다. 호격을 유지하는 대부분의 현대 슬라브어는 이러한 변화를 피하기 위해 어미를 변경했다. 불가리아어에서 вълко|вълкоbg는 вълче|вълчеbg보다 훨씬 더 자주 사용된다.
3. 2. 발트어파
리투아니아어에서 호격은 명사의 어미와 성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 단수와 복수 형태가 다르며, 복수 형태는 주격과 동일하다.주격 단수가 '-a'로 끝나는 명사는 호격 단수에서 철자는 같지만 강세가 다른 경우가 많다.
남성 명사 | 주격 | 호격 | 번역 | 여성 명사 | 주격 | 호격 | 번역 | ||
---|---|---|---|---|---|---|---|---|---|
현재 표준어 | 다른 형태 | 현재 표준어 | 다른 형태 | ||||||
o-어간 | vilkas|빌카스lt | vilke!|빌케!lt | 늑대 | a-어간 | tautà|타우타lt [단수] | taũta!|타우타!lt | 국민 | ||
jo-어간 | vėjas|베야스lt | vėjau!|베야우!lt | 구리투아니아어 vėje!|베예!lt | 바람 | e-어간 | katė|카테lt | kate!|카테!lt | 고양이 | |
ijo-어간 | gaidys|가이디스lt | gaidy!|가이디!lt | 수탉 | i-어간 | avis|아비스lt | avie!|아비에!lt | 양 | ||
a-어간 | viršilà|비르실라lt | viršìla!|비르실라!lt | 상사 | r-어간 | duktė|둑테lt | dukterie!|둑테리에!lt | dukter!|둑테르!lt | 딸 | |
e-어간 | dėdė|데데lt | dėde!|데데!lt | 삼촌 | 불규칙 | marti|마르티lt | marti/marčia!|마르티/마르차!lt | 며느리 | ||
i-어간 | vagis|바기스lt | vagie!|바기에!lt | 도둑 | 고유명사 | Dalià|달리아lt | Dãlia!|달리아!lt | |||
u-어간 | sūnus|수누스lt | sūnau!|수나우!lt | 아들 | 지소형 | sesutė|세수테lt | sesut(e)!|세수트(에)!lt | 여동생 | ||
n-어간 | vanduo|반두오lt | vandenie!|반데니에!lt | vanden!|반덴!lt | 물 | |||||
고유명사 | Jonas|요나스lt | Jonai!|요나이!lt | 구리투아니아어 Jone!|요네!lt | 요나스(John) | |||||
지소형 | sūnelis|수넬리스lt | sūneli!|수넬리!lt | 아들 |
e-어간과 a-어간 명사(고유명사 포함) 중 일부는 강세가 다르다. 예를 들어 "aikš'''tė'''"(아이크슈테) : "'''aikš'''te!"(아이크슈테)(광장), "tau'''ta'''"(타우타) : "'''tau'''ta!"(타우타)와 같다. 또한, e-어간 명사는 주격의 장모음 '''ė'''와 호격의 단모음 '''e'''의 음운교체를 갖는다.
'- (i)ukas' 접미사가 붙은 지소형 명사의 호격은 대부분 어미가 없다. (예: ''broliùk'' "형제!") 덜 흔하게 '-ai' 어미를 붙이기도 한다. (예: ''broliùkai'')
구어체에서는 남성 '- (i)(j)o' 어간 명사와 '-elis, -ėlis' 접미사가 붙은 지소형 명사 중 일부는 어미가 없는 호격 단수 형태를 갖는다. (예: ''Adõm'' "아담!", ''Mýkol'' "미카엘!", ''vaikẽl'' "아이!")
3. 3. 게르만어파
영어에서는 일반적인 의사소통에서 호격이 표시되지 않지만, 명사 앞에 'O'라는 어미를 붙여 호격을 나타내기도 한다.[2] 이는 킹 제임스 성경에서 자주 볼 수 있는데, 예를 들어 "O ye of little faith"(마태복음 8:26)와 같은 표현이 있다. 현대 영어에서는 일반적으로 목적격을 사용하고 쉼표로 구분하여 호격을 나타낸다.[3][4]일부 독일 방언, 예를 들어 리푸아리아 방언인 쾰른 방언에서는 사람 이름 앞에 관사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호격에서는 관사를 생략한다. 쾰른 방언 예시는 다음과 같다.
Do es der Päul — Päul, kumm ens erövver!ksh | 저기 폴이 있습니다. 폴, 이리 와 주세요! |
Och do leeven Kaffepott, do bes jo am dröppe!ksh | 아, 내 사랑스러운 커피포트야, 너 물이 새고 있잖아! |
„Pääde, jooht loufe!“ Un di Pääde jonn loufe.ksh | “말들아, 도망쳐!” 그리고 말들은 도망쳤습니다. |
아이슬란드어에서는 라틴어에서 유래한 몇몇 단어가 고어적인 호격 변화를 유지한다. 예를 들어, Jesúsis (예수)는 호격일 때 Jesúis가 된다.
주격 | Jesús elskar þig.is | 예수께서는 당신을 사랑하십니다. |
---|---|---|
호격 | Ó Jesú, frelsari okkar.is | 오 예수여, 우리의 구세주시여. |
고유어인 sonuris (아들)과 vinuris (친구)도 호격에서 축약형으로 나타나는 경우가 있다.
강한 형용사, 완전한 명사 | Kær vinur er gulli betri.is | 친애하는 친구는 금보다 낫다. |
---|---|---|
약한 형용사, 축약된 명사 | Kæri vin, segðu mér nú sögu.is | 친애하는 친구여, 나에게 이야기를 해주세요. |
노르웨이어에서는 명사를 수식하는 형용사가 호격에 따라 어형 변화를 한다.[5]
비호격 | 호격 | 영어 번역 |
---|---|---|
kjær vennno | kjære vennno | 친애하는 친구 |
vis mannno | vise mannno | 현명한 남자 |
liten kattno | lille kattno | 작은 고양이 |
3. 4. 그리스어
고대 그리스어에서 호격은 명사의 성과 수에 따라 다르지만, 대부분의 경우 주격과 동일하다. 단, 남성 명사의 제2변격(-ος로 끝나는 명사)과 제3변격 명사는 예외이다.제2변격 남성 명사는 일반적으로 -ε로 끝나는 호격 어미를 갖는다. 제3변격 명사 중 한 음절로 -ς로 끝나는 명사는 주격과 호격이 동일하다 (예: νύξ (nux), 밤). 그 외의 경우 어간(필요에 따라 최종 자음을 생략하는 등의 변화를 거친)이 호격으로 사용된다 (예: 주격 πόλις (polis), 호격 πόλι (poli); 주격 σῶμα (sōma), 소유격 σώματος (sōmatos), 호격 σῶμα (sōma)). 소크라테스(Σωκράτης)의 호격이 Σώκρατες(Sōkrates)인 것처럼 불규칙적인 호격도 존재한다.
현대 그리스어에서는 제2변격 남성 명사의 호격 어미는 여전히 -ε이다. 그러나 일부 명사의 경우 비격식적인 발화에서는 종종 목적격이 호격으로 사용되며, 특정 현대 그리스어 인명에는 항상 목적격이 사용된다. 예를 들어, “여기로 와, 크리스토스(Χρήστο)”는 “여기로 와, 크리스토스(Χρήστε)” 대신 사용된다. 다른 명사 변격의 경우, 고전적인 카타레부사(Katharevousa) 형태에서 고대 그리스어에서 유래된 형태(예: Ἕλλην|헬렌grc, 주격/호격, 데모틱 그리스어 Έλληνας|엘리나스el, "그리스인")를 제외하고는 비격식 또는 격식 발화 모두에서 호격과 목적격이 같은 형태를 사용한다.[8]
3. 5. 이란어군
쿠르드어에서는 남성 명사와 여성 명사에 각각 다른 어미를 붙여 호격을 만든다. 예를 들어, 쿠르만지 방언에서는 남성 명사 어미에 o|okmr를, 여성 명사 어미에 ê|êkmr를 붙여 호격을 만든다. 중부 쿠르드어(소라니)의 자피 방언에서는 이름 끝에 i|ickb를 붙여 호격을 만든다.[1]쿠르만지 | 자피 | ||
---|---|---|---|
이름 | 호격 | 이름 | 호격 |
Sedad|Sedadkmr (남성) | Sedo|Sedokmr | Bêstûn|Bêstûnckb | Bêsi|Bêsickb |
Wedad|Wedadkmr (남성) | Wedo|Wedokmr | Reşîd|Reşîdckb | Reşo|Reşockb |
Baran|Barankmr (남성) | Baro|Barokmr | Sûret|Sûretckb | Sûri|Sûrickb |
Nazdar|Nazdarkmr (여성) | Nazê|Nazêkmr | Fatime|Fatimeckb | Fati|Fatickb |
Gulistan|Gulistankmr (여성) | Gulê|Gulêkmr | Firset|Firsetckb | Firsi|Firsickb |
Berfîn|Berfînkmr (여성) | Berfê|Berfêkmr | Nesret|Nesretckb | Nesi|Nesickb |
호격 대신 lê|lêku (여성)과 lo|loku (남성)과 같은 문법적 어미를 사용하여 호칭을 만들 수 있다.[1]
이름 | 호격 |
---|---|
Nazdar|Nazdarku (여성) | Lê Nazê!|Lê Nazê!ku |
Diyar|Diyarku (남성) | Lo Diyar!|Lo Diyar!ku |
3. 6. 인도아리아어군
힌디어-우르두어(힌두스타니어)에서 호격은 단수 명사의 경우, आ|aː|āhi로 끝나는 남성 명사를 제외하고는 주격과 같은 형태를 갖는다. 복수 명사의 경우에는 항상 주격과 다른 형태를 갖는다.[9] 힌디어-우르두어의 형용사도 호격 형태를 갖는다. 명사가 없는 경우, 일부 형용사는 आ|aː|āhi로 끝나지 않는 남성 명사처럼 활용된다.[10] 힌두스타니어의 호격은 사격과 많은 유사점을 가지고 있다.명사 종류 | 단수 | 복수 | 영어 | |||
---|---|---|---|---|---|---|
주격 | 호격 | 주격 | 호격 | |||
남성 | आ|aː|āhi로 끝나는 | लड़का|laṛkāhi | लड़के|laṛkehi | लड़कों|laṛkõhi | 소년 | |
आ|aː|āhi로 끝나지 않는 | इंसान|insānhi | इंसानों|insānõhi | 인간 | |||
여성 | ई|iː|īhi로 끝나는 | लड़की|laṛkīhi | लड़कियाँ|laṛkiyā̃hi | लड़कियों|laṛkiyõhi | 소녀 | |
ई|iː|īhi로 끝나지 않는 | माता|mātāhi | माताएँ|mātāẽhi | माताओं|mātāõhi | 어머니 | ||
चिड़िया|ciṛiyāhi | चिड़ियाँ|ciṛiyā̃hi | चिड़ियों|ciṛiyõhi | 새 |
형용사 종류 | 단수 | 복수 | 영어 | ||||
---|---|---|---|---|---|---|---|
주격 | 호격 | 주격 | 호격 | ||||
활용되는 | 남성 | बुरा|burāhi | बुरे|burehi | 나쁜 | |||
여성 | बुरी|burīhi | ||||||
활용되지 않는 (단수 주격에서 आ|aː|āhi 또는 ई|iː|īhi로 끝나지 않음) | 남성 | 명사와 함께 | बेवकूफ़|bevakūfhi | 바보 | |||
여성 | |||||||
남성 | 명사 없이 | बेवकूफ़|bevakūfhi | बेवकूफ़ों|bevakūfõhi | ||||
여성 |
산스크리트어에서 호격(सम्बोधन विभक्ति|sambodhana vibhaktisa)은 단수를 제외하고는 주격과 같은 형태를 가진다. 모음 어간 명사의 경우, 주격에 가 있으면 생략되고 어간 모음이 변할 수 있다. 와 는 로, 는 로, 와 는 단모음으로, 는 로 변한다. 자음 어간 명사는 호격에서 어미가 없다.
명사 | 단수 | 이중 | 복수 |
---|---|---|---|
बालsa (, 남성, 소년) | हे बाल|he bālasa | हे बालौ|he bālausa | हे बालाः|he bālāḥsa |
लताsa (, 여성, 덩굴식물) | हे लते|he latesa | हे लते|he latesa | हे लताः|he latāḥsa |
फलम्sa (, 중성, 과일) | हे फलम्|he phalamsa | हे फले|he phalesa | हे फलानि|he phalānisa |
남성과 여성 단수를 제외하고는 호격 형태는 주격과 같다.
3. 7. 슬라브어파
고대 교회 슬라브어에는 단수 남성 및 여성 명사 어간에 독특한 호격이 존재했으며, 그 외에는 주격과 동일했다. 주격과 다른 경우, 호격은 주격에 접미사 -е (рабъ : рабе (노예)) 또는 -о (рыба : рыбо (물고기))를 추가하여 형성되지만, 때때로 -у (край : краю (경계), сынъ : сыну (아들), врачь : врачу (의사)) 및 -и (кость : кости (뼈), гость : гости (손님), день : дни (날), камень : камени (돌))가 나타난다. -ĭcĭ로 끝나는 명사는 -че (отць : отче (아버지), купць : купче (상인))의 호격 어미를 가지며, 마찬가지로 -dzĭ로 끝나는 명사는 호격 접미사 -же (князь : княже (왕자))를 취한다. 이는 호격에서 '-e' 접미사를 사용하는 그리스어, 라틴어, 리투아니아어, 산스크리트어와 유사하다.[11][12]불가리아어는 슬라브어족 언어 중 명사의 격 변화를 상실했지만, 호격 형태는 유지하고 있다. 전통적인 남성 이름은 일반적으로 호격 어미를 갖는다.
주격 | 호격 |
---|---|
Петър|페타르bg | Петре|페트레bg |
Тодор|토도르bg | Тодоре|토도레bg |
Ivan|이반bg | Иване|이바네bg |
최근 이름과 외국 이름은 호격 형태를 가질 수 있지만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Ричарде|리차르데bg는 Ричард|리차르드bg 대신 사용하면 불가리아어 원어민에게 어색하게 들린다.
господине министре|고스포디네 미니스트레bg (각하 장관님)와 같은 호격 표현은 공식적인 글에서 주격 형태로 거의 대체되었다. 고유명사 또한 일반적으로 호격 형태를 갖지만, 사용 빈도는 낮다. 다음은 호격으로 자주 사용되는 몇 가지 고유명사이다.
영어 단어 | 주격 | 호격 |
---|---|---|
하느님 | Бог|보그bg | Боже|보제bg |
주님 | Господ|고스포드bg | Господи|고스포디bg |
예수 그리스도 | Исус Христос|이수스 크리스토스bg | Исусе Христе|이수세 크리스테bg |
동무 | другар|드루가르bg | другарю|드루가류bg |
사제 | поп|팝bg | попе|포페bg |
개구리 | жаба|자바bg | жабо|자보bg |
바보 | глупак|글루팍bg | глупако|글루파코bg |
여성 이름에도 호격 형태가 존재한다.
주격 | 호격 |
---|---|
Елена|엘레나bg | Елено|엘레노bg |
Пена|페나bg | Пено|페노bg |
Елица|엘리차bg | Елице|엘리체bg |
Радка|라드카bg | Радке|라드케bg |
- еbg로 끝나는 형태를 제외하고는 무례하게 여겨져 피한다. 여성 친족 관계 용어의 경우 호격이 항상 사용된다.
영어 단어 | 주격 | 호격 |
---|---|---|
할머니 | Баба|바바bg | Бабо|바보bg |
엄마 | Майка|마이카bg Мама|마마bg | Майко|마이코bg Мамо|마모bg |
이모 | Леля|렐랴bg | Лельо|렐료bg |
언니/여동생 | Sestra|세스트라bg | Сестро|세스트로bg |
체코어에서 호격(vokativcs 또는 5. pád|5격cs)은 단수 남성 명사와 여성 명사에서 주격과 다르다.
주격 | 호격 | 의미 | |||||||||||||||||||||||||||||||||||||||||||||||||||||||||||||||||||||||||||||||||||||||||||||||||
---|---|---|---|---|---|---|---|---|---|---|---|---|---|---|---|---|---|---|---|---|---|---|---|---|---|---|---|---|---|---|---|---|---|---|---|---|---|---|---|---|---|---|---|---|---|---|---|---|---|---|---|---|---|---|---|---|---|---|---|---|---|---|---|---|---|---|---|---|---|---|---|---|---|---|---|---|---|---|---|---|---|---|---|---|---|---|---|---|---|---|---|---|---|---|---|---|---|---|---|
여성 | |||||||||||||||||||||||||||||||||||||||||||||||||||||||||||||||||||||||||||||||||||||||||||||||||||
{{lang|cs|paní Eva|} | }
주격 | 호격 | 뜻 | ||||||||||||||||||||||||||||||||||||||||||||||||||||||||||||||||||||||||||||||||||||||||||
---|---|---|---|---|---|---|---|---|---|---|---|---|---|---|---|---|---|---|---|---|---|---|---|---|---|---|---|---|---|---|---|---|---|---|---|---|---|---|---|---|---|---|---|---|---|---|---|---|---|---|---|---|---|---|---|---|---|---|---|---|---|---|---|---|---|---|---|---|---|---|---|---|---|---|---|---|---|---|---|---|---|---|---|---|---|---|---|---|---|---|---|---|
여성 명사 | ||||||||||||||||||||||||||||||||||||||||||||||||||||||||||||||||||||||||||||||||||||||||||||
{{lang|pl|Pani Ewa|} | }
주격 | 호격 | 번역 | 주격 | 호격 | 번역 | 주격 | 호격 | 번역 | ||||||||||||||||||||||||||||||||||||||||||||||||||||||||||||||||||||||||||
---|---|---|---|---|---|---|---|---|---|---|---|---|---|---|---|---|---|---|---|---|---|---|---|---|---|---|---|---|---|---|---|---|---|---|---|---|---|---|---|---|---|---|---|---|---|---|---|---|---|---|---|---|---|---|---|---|---|---|---|---|---|---|---|---|---|---|---|---|---|---|---|---|---|---|---|---|---|---|---|---|---|---|
Bohsk m. | {{lang|sk|Bože|} | }
주격 | 호격 | 번역 | |||||||||||||||||||||||||||||||||||||||||||||||||||||||||||||||||||||||||||
---|---|---|---|---|---|---|---|---|---|---|---|---|---|---|---|---|---|---|---|---|---|---|---|---|---|---|---|---|---|---|---|---|---|---|---|---|---|---|---|---|---|---|---|---|---|---|---|---|---|---|---|---|---|---|---|---|---|---|---|---|---|---|---|---|---|---|---|---|---|---|---|---|---|---|---|---|---|
majstersk m. | {{lang|sk|majstre|} | }
주격 | 호격 | 번역 | ||||||||||||||||||||||||||||||||||||||||||||||||||||||||||||||||||||||
---|---|---|---|---|---|---|---|---|---|---|---|---|---|---|---|---|---|---|---|---|---|---|---|---|---|---|---|---|---|---|---|---|---|---|---|---|---|---|---|---|---|---|---|---|---|---|---|---|---|---|---|---|---|---|---|---|---|---|---|---|---|---|---|---|---|---|---|---|---|---|---|---|
otecsk m. | {{lang|sk|oci|} | }
남성 명사 | 여성 명사 | |||||||||||||||||||||||||||||||||||||||||||||||||||||||||
---|---|---|---|---|---|---|---|---|---|---|---|---|---|---|---|---|---|---|---|---|---|---|---|---|---|---|---|---|---|---|---|---|---|---|---|---|---|---|---|---|---|---|---|---|---|---|---|---|---|---|---|---|---|---|---|---|---|---|
주격 | 호격 | 번역 | 주격 | 호격 | 번역 | |||||||||||||||||||||||||||||||||||||||||||||||||||||
{{lang|uk|бог|boh|} | }
주격 | 호격 | 번역 | ||||||||||||||||||||||||||||||||||||||||||||||||||||
---|---|---|---|---|---|---|---|---|---|---|---|---|---|---|---|---|---|---|---|---|---|---|---|---|---|---|---|---|---|---|---|---|---|---|---|---|---|---|---|---|---|---|---|---|---|---|---|---|---|---|---|---|---|---|
мати|matyuk f. | {{lang|uk|мамо|mamo|} | }
주격 | 호격 | 번역 | |||||||||||||||||||||||||||||||||||||||||||||||
---|---|---|---|---|---|---|---|---|---|---|---|---|---|---|---|---|---|---|---|---|---|---|---|---|---|---|---|---|---|---|---|---|---|---|---|---|---|---|---|---|---|---|---|---|---|---|---|---|---|
Джон|Džonuk m. | {{lang|uk|Джоне|Džone|} | }
남성 | 여성 | ||||||||||||||||||||||||||||||||||||||
---|---|---|---|---|---|---|---|---|---|---|---|---|---|---|---|---|---|---|---|---|---|---|---|---|---|---|---|---|---|---|---|---|---|---|---|---|---|---|---|
주격 | 호격 | 주격 | 호격 | ||||||||||||||||||||||||||||||||||||
{{lang|uk|Володимир|Volodymyr|} | }
주격 | 호격 | |||||||||||||||||||||||||||||||||||
---|---|---|---|---|---|---|---|---|---|---|---|---|---|---|---|---|---|---|---|---|---|---|---|---|---|---|---|---|---|---|---|---|---|---|---|---|
Андрій Васильович|Andrij Vasylovyčuk m. | {{lang|uk|Андрію Васильовичу|Andriju Vasyliovyču|} | }
Ó Jesus, ajude-nos!pt | 오 예수여, 우리를 도와주소서! |
Menino, vem cá!pt | 아이야, 여기로 와! |
Não faças isso, amigo.pt | 그러지 마, 친구. |
에스트레마두라 방언과 팔라 방언에서는 명사의 호격 형태에서 일부 후 강세 모음이 열린다. 카탈루냐어에서는 관사를 생략하여 호격을 나타낸다. 프랑스어에서는 'Ô'를 사용하여 호격을 나타내기도 한다. 예를 들어, 오 캐나다가 있다.
루마니아어에서는 명사 어미 변화를 통해 호격을 나타낸다.
- 단수 남성/중성: '''-ero'''
- omro: omule!ro (남자, 인간)
- Ionro: Ioane!ro (요한)
- 단수 여성: '''-oro'''
- sorăro: soro!ro (여동생)
- Ileanaro: Ileano!ro (헬레나)
- 복수, 모든 성: '''-lorro'''
- frațiro: fraților!ro (형제들)
- doamne și domniro: doamnelor și domnilor!ro (여러분)
로마네스크 방언에서는 단축을 통해 호격을 나타낸다.
베네토어에서는 여성 고유명사의 경우 정관사 생략으로 호격을 나타낸다.
격 | 여성 고유명사 | 남성 고유명사 및 다른 명사 |
---|---|---|
주격/목적격 | ła Marìa ła vien qua / varda ła Marìa!vec | Marco el vien qua / varda Marco!vec |
호격 | Marìa vien qua! / varda, Marìa!vec | Marco vien qua! / varda, Marco!vec |
4. 아랍어
엄밀히 말해, 아랍어는 주격, 목적격, 소유격의 세 가지 문법적 격(格)만 가지고 있다. 그러나 다른 언어의 호격(呼格)에서 전달되는 의미와 유사한 의미는 명사 앞에 붙는 'yā (يا|야ar)'라는 조사를 사용하여 나타낸다. 이때 명사는 주격으로 격변화되거나(혹은 명사가 구조적 형태일 경우 목적격으로) 사용된다. 영어 번역에서는 종종 생략되는 대신 'O'로 직역된다.[22][23] 고전 아랍어에서 사용되는 더 긴 형태는 أيّها|ayyuhā|아유하ar (남성), أيّتها|ayyatuhā|아야투하ar (여성)이며, 때때로 'yā'와 함께 사용된다. 'yā' 조사는 카스티야어에서도 무어인의 이주를 통한 아랍어의 영향으로 사용되었다.[24]
5. 표준중국어
표준중국어는 호칭을 위한 특별한 어미 변화 형태를 사용하지 않는다. 그러나 호칭을 위한 특별한 형태와 형태소가 존재한다.[1]
만다린어에는 적절한 경우 특정한 호격의 힘을 나타내기 위해 호칭어에 붙일 수 있는 여러 입자들이 있다. 일반적인 것으로는 啊|acmn가 있는데, 호칭어의 끝에 붙는다. 예를 들어, 日记|rìjì|일기cmn는 日记啊|rìjì'acmn가 된다.[1]
특정한 호격 형태소도 존재하지만, 적용 범위가 제한적이다. 예를 들어, 북경 방언의 표준 중국어에서 강한 감정(특히 부정적인 감정)을 표현하기 위해 중성조 접미사 ''-ei''를 특정 호칭어에 붙일 수 있다. 이것은 孙子|sūnzi|손자cmn라는 단어에 가장 일반적으로 적용되어 ''sūnzei''를 형성하며, 대략 "이 망할 놈아!"라는 의미이다. 또 다른 예로 小子|xiǎozi|문자 그대로 "아이; 젊은 사람"cmn가 있으며, 小子|xiǎozei|이 녀석아!cmn라는 의미이다.[1]
6. 일본어
일본어에서 호격은 조사 よ일본어로 나타낸다.[25] 이 용법은 종종 문학적이거나 시적이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雨よ雪に変わってくれ!|Ame yo yuki ni kawatte kure!일본어 | 비야, 눈으로 변해다오! |
万国の労働者よ、団結せよ!|Bankoku no rōdō-sha yo, danketsu seyo!일본어 | 전 세계 노동자여, 단결하라! |
少年よ、神話になれ!|Shōnen yo, shinwa ni nare!일본어 | 소년이여, 신화가 되어라! |
일상적인 일본어에서는 같은 조사가 문장 끝에 사용되어 단정, 확신 또는 강조를 나타내는 경우가 많다.
7. 조지아어
조지아어에서 호격은 2인칭 단수와 복수를 부를 때 사용된다. 자음으로 끝나는 어근의 경우 호격 접미사는 '-o'이고, 모음으로 끝나는 단어의 경우 고대 조지아어와 같이 '-v'이지만, 일부 단어의 경우에는 고어로 간주된다. 예를 들어, "남자"라는 단어의 어근은 ''kats-''이다. 누군가를 부를 때 이 단어는 ''kats''o''가 된다.[1]
형용사도 호격으로 활용된다. 명사와 마찬가지로, 자음으로 끝나는 어간의 형용사는 호격에서 접미사 '-o'를 취하고, 모음으로 끝나는 어간은 변하지 않는다.[1]
:''lamazi kali'' "아름다운 여자" (주격)
:''lamaz''o'' kal''o''!'' "아름다운 여자여!" (호격)
두 번째 문장에서 형용사와 명사 모두 활용된다. 인칭 대명사도 호격으로 사용된다. 호격에서 ''shen'' "너"(단수)와 ''tkven'' "너희"(복수)는 -''n'' 없이 ''she!''와 ''tkve''가 된다. 따라서, 모든 요소의 활용을 사용하여 다음과 같이 말할 수 있다.[1]
:''She lamazo kalo!'' "아름다운 여자여, 당신!"
8. 헝가리어
헝가리어는 명시적인 호격 어미가 없지만, 여러 가지 호격과 유사한 구문을 가지고 있다.
호격 맥락에서 명사구는 항상 무관사를 취한다.[28] 다른 이유로 명사구가 무관사를 취할 수도 있지만, 예상되는 관사가 없는 것은 호격 구문을 나타낸다.
barát|바라트hu("친구"), hölgy|횔지hu("숙녀"), úr|우르hu("신사, 영주")와 같은 특정 단어의 경우, 호격은 무관사 외에도 항상[30] 1인칭 소유격으로 표시된다.[31]
주격 | 호격 |
---|---|
hölgyek|횔지엑hu és urak|우러크hu. 귀족들의 무도회에 숙녀들과 신사들이 도착했다. | Hölgyeim|횔지엠hu és uraim|우러임hu, kezdődjék a tánc! (제) 숙녀 여러분과 (제) 신사 여러분, 무도회를 시작합시다! |
Úr|우르hu nem építi a házat, hiába fáradoznak az építők. 주님께서 집을 짓지 않으시면, 건축자들의 수고는 헛수고다. | Uram|우럼hu, felemeltél engem! (제) 주님, 저를 일으켜 주셨으니 찬양하겠나이다! |
barát|버라트hu mindig segít. 친구는 항상 도와준다. barátom|버라톰hu fiatal. 내 친구는 젊다. | barátom|버라톰hu? (내) 친구, 도와줄 수 있겠나? |
testvér|테슈트베르hu("형제자매")와 같은 친족 관계를 나타내는 단어는 1인칭 소유격이 필요하지 않지만, 특히 친밀한 맥락에서 일상적인 대화에서는 흔히 사용된다.
주격 | 호격 |
---|---|
testvérek|테슈트베레크hu elsétáltak a boltba. 형제자매들이 가게로 걸어갔다. | testvéreim|테슈트베레임hu! / testvérek|테슈트베레크hu! (내) 사랑하는 형제자매 여러분! |
apához|어파호즈hu megyek. 아버지께 간다. | Apám|어팜hu, hogy vagy? / Apa|어퍼hu, hogy vagy? 아버지, 안녕하십니까? |
2인칭 대명사[30]는 적절할 경우 호격을 강조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te|테hu bolond? ("어째서 그에게 주지 않았느냐, 너 바보야?"), Te|테hu Karcsi, nem láttad a szemüvegem? ("찰리, 내 안경을 보지 못했느냐?"), ti|티hu gazemberek. ("너희 악당들아, 이 일로 아직도 목매달릴 것이다!") 등.
참조
[1]
서적
Введение в языковедение
Аспект Пресс
[2]
서적
The Chicago Manual of Style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3]
웹사이트
What is the Vocative Comma? Definition, Examples in the Vocative Case
https://writingexpla[...]
2022-07-13
[4]
웹사이트
Hello, vocative comma
https://www.macmilla[...]
2022-07-13
[5]
서적
The Norwegian Nominal System: a Neo-Saussurean Perspective
Walter de Gruyter GmbH
[6]
학술지
Proprial articles
https://www.duo.uio.[...]
University of Oslo
[7]
웹사이트
Den preproprielle artikkelen i norsk: ei undersøking av namneartiklar i Kvæfjord, Gausdal og Voss
https://www.duo.uio.[...]
University of Oslo
[8]
서적
Greek: A Comprehensive Grammar of the Modern Language
Routledge
[9]
서적
A Primer of Modern Standard Hindi
Motilal Banarsidass
[10]
서적
Hindi
John Benjamins Publishing Company
[11]
서적
Vergleichende Grammatik der slavischen Sprachen
http://archive.org/d[...]
W. Braumüller
[12]
서적
Altkirchenslavische Grammatik
http://opacplus.bsb-[...]
[13]
학술지
Nominativ místo vokativu v hovorové češtině
http://nase-rec.ujc.[...]
[14]
뉴스
Pátý pád: jde to z kopce?
https://www.radio.cz[...]
2007-09-09
[15]
뉴스
Oslovování v češtině
http://www.rozhlas.c[...]
2011-05-31
[16]
학술지
Vocatives and Other Direct Address Forms: A Contrastive Study
2010
[17]
학술지
The New Russian Vocative: Synchrony, Diachrony, Typology
2012
[18]
서적
Hrvatska gramatika
Školska knjiga
[19]
서적
Gramatika srpskog jezika
Zavod za udžbenike i nastavna sredstva
[20]
웹사이트
Vokativ osobnih imena u hrvatskom jeziku
https://repozitorij.[...]
University of Osijek
2011
[21]
웹사이트
Methodical instructions for learning vocative case in Ukrainian professional speech
https://web.archive.[...]
[22]
웹사이트
A Hundred and One Rules! A Short Reference to Arabic Syntactic, Morphological & Phonological Rules for Novice & Intermediate Levels of Proficiency
http://www.mtholyoke[...]
[23]
웹사이트
Lesson 5
http://www.madinahar[...]
[24]
학술지
EL ÁRABE YA¯ (یا) Y SU USO EN CASTELLANO MEDIEVAL. PROBLEMAS DE INTERPRETACIÓN Y TRADUCCIÓN
http://hdl.handle.ne[...]
2019
[25]
서적
日本国語大辞典精選版
Shogakukan
[26]
학술지
'꽃아'의 발음
https://www.korean.g[...]
2005-05
[27]
학술지
중세국어 호격조사의 기능 고찰
http://scholar.dkyob[...]
2009-12-01
[28]
학술지
Az eltűnt névelő nyomában
http://acta.bibl.u-s[...]
2004
[29]
서적
In quest of the 'Miracle stag' : the poetry of Hungary / [Vol. 1], An anthology of Hungarian poetry in English translation from the 13th century to the present in commemoration of the 1100th anniversary of the Foundation of Hungary and the 40th anniversary of the Hungarian Uprising of 1956 / with the co-operation of George Buday and Louis I. Szathmáry II and the special assistance of Agnes Arany-Makkai, Earl M. Herrick, and Valerie Becker Makkai.
Atlantis-Centaur
2000
[30]
학술지
A megszólítás nyelvi eszközei Mikszáth Kálmán műveiben
http://adattar.vmmi.[...]
1997-07-08
[31]
서적
A magyar nyelv könyve
Trezor Kiadó
20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