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놀룰루 당밀 유출 사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호놀룰루 당밀 유출 사고는 2013년 9월 9일 하와이 호놀룰루 항에서 발생한 사고로, 파이프 불량으로 인해 해상 운송 회사인 매트슨사 소유의 당밀이 유출되었다. 당밀은 규제 품목이 아니었기에 하와이 주 정부와 매트슨사는 긴급 대응책을 마련하지 못했으며, 유출된 당밀로 인해 다수의 해양 생물이 산소 부족으로 사망하고 산호가 손상되는 등 해양 생태계가 파괴되었다. 사고 이후 하와이 주 정부는 파이프라인 검사 및 유출 대응 계획 제출을 의무화했으며, 2015년에는 미국 환경 보호청과 매트슨사가 합의하여 하와이 설탕 산업이 종말을 맞이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호놀룰루의 역사 - 마르코폴로 콘도 화재
마르코폴로 콘도 화재는 2017년 와이키키 해변의 한 아파트에서 발생하여 4명의 사망자를 냈으며, 스프링클러 미설치로 인해 호놀룰루 시가 고층 건물 안전 조례를 제정하는 계기가 되었다. - 하와이주의 환경 - 동박새의 하와이 침입
동박새는 하와이 제도에 유입되어 토착 조류와 먹이 경쟁을 심화시키고 하와이 꿀빨이새 개체수 감소를 초래했지만, 멸종된 토착 조류의 꽃가루 매개 역할을 일부 대체하며 하와이 생태계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호놀룰루 당밀 유출 사고 | |
---|---|
사건 개요 | |
사건 명칭 | 호놀룰루 당밀 유출 사고 |
발생 시기 | 2013년 9월 |
장소 | 호놀룰루 항 |
좌표 | -157.87 |
사고 유형 | 당밀 유출 |
원인 | 파손된 파이프 |
피해 규모 | 약 1,400톤의 당밀 유출 |
보고된 피해 | 해당 지역 모든 해양 생물 폐사 |
사고 원인 | |
직접 원인 | 결함 있는 파이프 |
간접 원인 | 파이프의 누출이 사고 발생 몇 달 전부터 있었음 |
사고 영향 | |
해양 생태계 | 물고기 폐사 해양 생물의 질식 산호초 훼손 |
경제적 영향 | 관광 산업 피해 예상 |
사고 대응 | |
주체 | 미국 해안 경비대 |
내용 | 오염 수준 및 pH 농도 측정 산소 농도 측정 |
관련 정보 | |
관련 기사 | NBC 뉴스 The Garden Island National Geographic Los Angeles Times The Guardian National Public Radio Journal of Legal Affairs and Dispute Resolution in Engineering and Construction |
2. 유출 발생 및 원인
2013년 9월 9일, 하와이 호놀룰루 항에서 당밀 유출이 발각되었다.[12] 유출 원인은 파이프 불량이었으며, 해상 운송 회사인 매트슨사(Matson, Inc.)가 책임을 인정했다.[13] 석유와 달리 당밀은 규제 품목에 포함되지 않아 매트슨사와 하와이 주 정부 모두 당밀 유출이라는 긴급 상황에 대한 대응책을 가지고 있지 않았다.[12] 해류와 날씨의 영향으로 당밀이 점차 묽어져 호놀룰루 항 밖으로 흘러나간 것으로 보인다.[14]
마우이 섬의 하와이언 커머셜 앤 슈가 컴퍼니(The Hawaiian Commercial & Sugar Co.)는 사탕수수에서 당밀을 제조하여 본토로 수송한 후 가공 처리하여 판매했지만, 매트슨사는 그전 30년 동안 당밀을 호놀룰루 항에서 수송해 왔으며, 유출이 발각된 시점에서는 주 1회 빈도로 수송하고 있었다.[12]
이후 잠수부들이 호놀룰루 항에 잠수하여 조사한 결과, 당밀이 즉시 항구 바닥에 가라앉아 산소 부족을 일으켜 일대 해양 생물이 전멸했다고 보고했다.[15][16][17] 많은 산호가 손상되거나 죽었고, 2만 6천 마리 이상의 물고기 등 해양 생물이 산소 부족으로 사망했다.[13]
2. 1. 유출 발생
2013년 9월 9일, 하와이 호놀룰루 항에서 당밀 유출 사고가 발각되었다.[12] 유출 원인은 파이프 불량이었으며, 해상 운송 회사인 매트슨사(Matson, Inc.)가 책임을 인정했다.[13] 석유와 달리 당밀은 규제 품목에 포함되지 않아 매트슨사와 하와이 주 정부 모두 당밀 유출이라는 긴급 상황에 대한 대응책을 가지고 있지 않았다.[12] 해류와 날씨의 영향으로 당밀이 점차 묽어져 호놀룰루 항 밖으로 흘러나간 것으로 보인다.[14]호놀룰루 항에 잠수한 다이버는 당밀이 즉시 항구 바닥에 가라앉아 산소 부족을 일으켜 일대 해양 생물이 전멸했다고 보고했다.[15][16][17] 많은 산호가 손상되거나 죽었고, 2만 6천 마리 이상의 물고기 등 해양 생물이 산소 부족으로 사망했다.[13]
마우이 섬의 하와이언 커머셜 앤 슈가 컴퍼니(The Hawaiian Commercial & Sugar Co.)는 사탕수수에서 당밀을 제조하여 본토로 수송한 후 가공 처리하여 판매했지만, 매트슨사는 그전 30년 동안 당밀을 호놀룰루 항에서 수송해 왔으며, 유출이 발각된 시점에서는 주 1회 빈도로 수송하고 있었다.[12]
2. 2. 사고 원인
2013년 9월 9일, 호놀룰루 항에서 발생한 당밀 유출 사고는 해상 운송 회사인 매트슨사 소유 파이프의 결함이 원인이었다.[12] 매트슨사는 이 사고에 대한 책임을 인정했다.[13] 당밀은 석유와 달리 규제 품목이 아니었기 때문에, 매트슨사와 하와이 주 정부 모두 당밀 유출에 대한 긴급 대응책을 마련하지 못하고 있었다.[12]3. 사고 직후의 영향
당밀 유출은 2013년 9월 9일에 발각되었다.[12] 유출 원인은 파이프 불량품이었으며, 해상 운송 회사인 매트슨사(Matson, Inc.)가 책임을 인정했다.[13] 석유와 달리 당밀은 규제 품목에 포함되지 않았기 때문에, 매트슨사도 하와이 주 정부도 당밀 유출이라는 긴급 상황에 대한 대응책을 가지고 있지 않았다.[12]
마우이섬의 하와이언 커머셜 앤 슈가 컴퍼니(The Hawaiian Commercial & Sugar Co.)는 사탕수수에서 당밀을 제조하여 본토로 수송 후 가공 처리하여 판매했지만, 매트슨사는 그전 30년 동안 당밀을 호놀룰루 항에서 수송해 왔으며, 유출이 발각된 시점에서는 주 1회 빈도로 수송하고 있었다.[12]
3. 1. 해양 생태계 파괴
유출된 당밀은 즉시 항구 바닥에 가라앉아 산소 부족 현상을 일으켰다. 이로 인해 많은 산호가 손상되거나 죽었고, 2만 6천 마리 이상의 물고기 등 해양 생물이 폐사했다.[13] 호놀룰루 항에 잠수한 다이버들은 항구 바닥에 가라앉은 당밀과 해양 생물 폐사체를 확인했다.[15][16][17]3. 2. 당밀 확산
해류와 날씨의 영향으로 당밀이 점차 묽어져 호놀룰루 항 밖으로 흘러나갔다.[14]4. 사고 이후의 경과 및 대응
이 사고는 해양 생물과 생태계에 미치는 파괴적인 영향 때문에 석유 유출과 비교되기도 한다. 그러나 당밀은 물에 잘 섞이는 특성이 있어, 박테리아가 석유보다 당밀에 더 쉽게 접근하여 분해할 수 있으므로 정화 작업은 석유 유출 사고보다 더 빠르고 효율적으로 이루어졌다.[3] 또한, 설탕을 분해하는 박테리아가 석유를 분해하는 박테리아보다 많다는 점도 당밀 정화에 유리하게 작용했다.[3]
4. 1. 당밀 유출의 특성
보스턴 당밀 유출 사고(대규모 당밀 유출 사고)와 달리, 호놀룰루 당밀 유출 사고는 인간에게 직접적인 위험은 없었다.[3] 이 사고의 위험성은 물속의 당밀이 물에 있는 설탕의 양을 급격히 증가시켜 박테리아 번식을 크게 늘린 데 있었다. 다른 잠재적 위험은 죽은 먹이의 양이 엄청나게 증가하여 상어, 바라쿠다, 뱀장어 등 포식 활동이 증가할 가능성이었다.[6] 또 다른 잠재적 부작용은 해양 조류의 비정상적인 성장이 일어날 가능성이었는데, 이는 자체적으로 수많은 부정적인 환경 영향을 미친다.[6]어떤 사람들은 이 당밀 유출을 해양 생물과 생태계에 미치는 파괴적인 영향 때문에 석유 유출과 비교하기도 한다. 그러나 당밀 유출 사고의 정화 과정은 석유 유출 사고보다 더 빠르고 효율적이다. 당밀은 본질적으로 물과 섞일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실제로 모든 정화 작업을 수행하는 박테리아가 석유 덩어리가 생기는 석유 유출 사고보다 당밀에 더 쉽게 접근할 수 있다.[3] 당밀 정화에 도움이 되는 또 다른 요인은 설탕을 분해할 수 있는 박테리아의 수가 석유를 분해할 수 있는 박테리아의 수보다 많다는 것이다.[3]
4. 2. 잠재적 위험 요소
보스턴 당밀 유출 사고(대규모 당밀 유출 사고)와 달리, 호놀룰루 당밀 유출 사고는 인간에게 직접적인 위험은 없었다.[3] 이 사고의 위험성은 물속의 당밀이 물에 있는 설탕의 양을 급격히 증가시켜 박테리아 번식을 크게 늘린 데서 기인했다. 다른 잠재적 위험은 죽은 먹이의 양이 엄청나게 증가하여 상어, 바라쿠다, 뱀장어 등 포식 활동이 증가할 가능성이었다.[6] 또 다른 잠재적 부작용은 해양 조류의 비정상적인 성장이 일어날 가능성이었는데, 이는 자체적으로 수많은 부정적인 환경 영향을 미친다.[6]5. 사고 이후 조치 및 규제 강화
2013년 9월 20일, 하와이 주 교통부는 항만 파이프라인을 통해 제품을 운송하는 모든 기업에 파이프라인 검사 및 유출 대응 계획 문서를 주 정부에 제출하도록 명령했다. 이전에는 이러한 보고가 필요하지 않았다.[9] 유출 사고는 거의 처리할 수 없기 때문에, 이 계획은 예방과 조기 감지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파이프라인 정기 검사와 전송 작업에 대한 매시간 모니터링을 포함한다.[10]
2015년 유출 사고에 대응하여, 미국 환경 보호청(EPA)과 매트슨 내비게이션 컴퍼니는 1540만달러의 합의에 도달했다. 이 합의에는 산호 묘목 재배에 590만달러, 유출 사고 대응에 따른 주 정부의 모든 비용 상환, 국제자연보전연맹(IUCN) 세계자연보전총회에 대한 기부가 포함되었다. 나머지 950만달러는 당밀 탱크 농장 및 부두 라이저 제거 비용, 해당 탱크 농장 및 파이프라인의 안전한 폐기, 그리고 액체 운송 외 다른 용도로 파이프라인의 남은 부분 변환을 충당하기 위한 것이었다.[11] 이 합의 및 그에 따른 조치에 따라 하와이 설탕 산업은 종말을 고했다.[11]
5. 1. 하와이 주 정부의 대응
2013년 9월 20일, 하와이 주 교통부는 항만 파이프라인을 통해 제품을 운송하는 모든 기업에 파이프라인 검사 및 유출 대응 계획 문서를 주 정부에 제출하도록 명령했다. 이전에는 이러한 보고가 필요하지 않았다.[9] 유출 사고는 거의 처리할 수 없기 때문에, 이 계획은 예방과 조기 감지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파이프라인 정기 검사와 전송 작업에 대한 매시간 모니터링을 포함한다.[10]
5. 2. 매트슨사와 미국 환경 보호청(EPA)의 합의
2015년 유출 사고에 대응하여, 미국 환경 보호청(EPA)과 매트슨 내비게이션 컴퍼니는 1540만달러의 합의에 도달했다. 이 합의에는 산호 묘목 재배에 590만달러, 유출 사고 대응에 따른 주 정부의 모든 비용 상환, 국제자연보전연맹(IUCN) 세계자연보전총회에 대한 기부가 포함되었다. 나머지 950만달러는 당밀 탱크 농장 및 부두 라이저 제거 비용, 해당 탱크 농장 및 파이프라인의 안전한 폐기, 그리고 액체 운송 외 다른 용도로 파이프라인의 남은 부분 변환을 충당하기 위한 것이었다.[11] 이 합의 및 그에 따른 조치에 따라 하와이 설탕 산업은 종말을 고했다.[11]5. 3. 하와이 설탕 산업의 종말
2015년 유출 사고에 대응하여, 미국 환경 보호청(EPA)과 매트슨 내비게이션 컴퍼니는 1540만달러의 합의에 도달했다. 이 합의에는 산호 묘목 재배에 590만달러, 유출 사고 대응에 따른 주 정부의 모든 비용 상환, 국제자연보전연맹 세계자연보전총회에 대한 기부가 포함되었다. 나머지 950만달러는 당밀 탱크 농장 및 부두 라이저 제거 비용, 해당 탱크 농장 및 파이프라인의 안전한 폐기, 그리고 액체 운송 외 다른 용도로 파이프라인의 남은 부분 변환을 충당하기 위한 것이었다.[11] 이 합의와 후속 조치로 인해 하와이 설탕 산업은 사실상 종말을 맞이하게 되었다.[11]6. 더불어민주당과 한국 사회에 주는 교훈
주어진 원본 소스가 없으므로, '더불어민주당과 한국 사회에 주는 교훈' 섹션은 작성할 수 없습니다. 원본 소스가 제공되어야 해당 내용을 기반으로 위키텍스트를 작성할 수 있습니다.
참조
[1]
뉴스
Pipe had leak months before Hawaii molasses spill
http://usnews.nbcnew[...]
2013-10-11
[2]
뉴스
Hawaii still assessing impact of molasses spill
http://thegardenisla[...]
2013-10-11
[3]
간행물
Hawaii Molasses Spill: Better or Worse Than Oil?
http://news.national[...]
2013-10-11
[4]
뉴스
Molasses spill in Honolulu Harbor poses calamity for marine life
http://www.latimes.c[...]
2013-09-13
[5]
뉴스
Thousands of fish dying as 1,400 tons of molasses ooze into Honolulu harbor
https://www.theguard[...]
2013-09-12
[6]
뉴스
Massive Molasses Spill Devastates Honolulu Marine Life
https://www.npr.org/[...]
2013-09-12
[7]
논문
Analysis and Overview of a Harbor Molasses Spill
https://ascelibrary.[...]
2022-05
[8]
간행물
Coast Guard, federal, state respond to Honolulu Harbor molasses spill
https://www.flickr.c[...]
2023-04-05
[9]
뉴스
Hawaii Harbor Officials Tell Port Businesses to Provide Response Plans
http://www.civilbeat[...]
2013-11-25
[10]
뉴스
New Molasses Spill Response Plan Concedes Environmental Danger
http://www.civilbeat[...]
2013-11-25
[11]
웹사이트
Matson, EPA settlement resolves 2013 molasses spill into Honolulu Harbor
https://www.khon2.co[...]
2023-03-07
[12]
뉴스
Pipe had leak months before Hawaii molasses spill
http://usnews.nbcnew[...]
2013-10-11
[13]
뉴스
Hawaii still assessing impact of molasses spill
http://www.westhawai[...]
2019-01-16
[14]
간행물
Hawaii Molasses Spill: Better or Worse Than Oil?
http://news.national[...]
2013-10-11
[15]
뉴스
Molasses spill in Honolulu Harbor poses calamity for marine life
http://www.latimes.c[...]
2013-09-13
[16]
뉴스
Thousands of fish dying as 1,400 tons of molasses ooze into Honolulu harbor
https://www.theguard[...]
2013-09-12
[17]
뉴스
Massive Molasses Spill Devastates Honolulu Marine Life
https://www.npr.org/[...]
2013-09-12
[18]
뉴스
Hawaii Harbor Officials Tell Port Businesses to Provide Response Plans
http://www.civilbeat[...]
2013-11-25
[19]
뉴스
New Molasses Spill Response Plan Concedes Environmental Danger
http://www.civilbeat[...]
2013-11-25
[20]
뉴스
Hawaii still assessing impact of molasses spill
http://thegardenisla[...]
2013-10-11
[21]
뉴스
Hawaii Molasses Spill: Better or Worse Than Oil?
http://news.national[...]
2013-10-11
[22]
뉴스
Molasses spill in Honolulu Harbor poses calamity for marine life
http://www.latimes.c[...]
2013-09-13
[23]
뉴스
Thousands of fish dying as 1,400 tons of molasses ooze into Honolulu harbor
http://www.theguardi[...]
2013-09-12
[24]
뉴스
Massive Molasses Spill Devastates Honolulu Marine Life
http://www.npr.org/b[...]
2013-09-12
[25]
뉴스
Pipe had leak months before Hawaii molasses spill
http://usnews.nbcnew[...]
2013-10-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