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랑고양이속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호랑고양이속(Leopardus)은 고양이과에 속하는 속으로, 얼룩무늬 털을 특징으로 하며, 오셀롯, 마게이, 콜로콜로, 온실라 등을 포함한 여러 종을 아우른다. 이 속은 1842년 존 에드워드 그레이에 의해 처음 제안되었으며, 형태학적, 유전적 분석을 통해 분류가 이루어졌다. 현재는 15종의 호랑고양이속 종이 존재하며, 2023년에는 새로운 종인 Leopardus narinensis가 발견되었다. 호랑고양이속 내 종들의 분류와 계통 발생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호랑고양이속 - 오셀롯
오셀롯은 고양이과에 속하는 중형 포유류로, 갈색 또는 황갈색 바탕에 검은색 얼룩무늬를 가지며, 주로 야행성으로 열대 우림에서 단독 생활을 하고, 서식지 감소 등으로 인해 멸종 위기에 처해 보존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 호랑고양이속 - 조프루아고양이
조프루아고양이는 에티엔 조프루아 생틸레르의 이름을 딴 집고양이 크기의 소형 고양이과 동물로, 남아메리카의 다양한 환경에 서식하며 검은 반점과 줄무늬가 있고, 과거 모피 거래로 위협받았으나 현재는 보호받고 있지만 서식지 파괴 등으로 여전히 위협받고 있다. - 1842년 기재된 포유류 - 작은넓적코박쥐
작은넓적코박쥐는 덥고 건조한 지역에 서식하며 좁고 짧은 코와 넓은 주둥이를 가진 호주 박쥐로, 곤충을 먹고 야행성 생활을 하며 동면을 통해 건조한 환경에 적응하지만 개체 수 감소로 보존 노력이 필요하다. - 1842년 기재된 포유류 - 흰노랑마모셋
- 존 에드워드 그레이가 명명한 분류군 - 투아타라
투아타라는 뉴질랜드 고유종 파충류이자 린코케팔리아목의 유일한 현존종으로, 오랜 진화 역사를 지니고 완전한 아래 측두궁 두개골, 첨생치, 두정안 등의 특징을 가지며 멸종 위기에 처해 뉴질랜드 정부의 보호를 받는다. - 존 에드워드 그레이가 명명한 분류군 - 코뿔소
코뿔소는 아프리카와 아시아에 서식하며 1~2개의 뿔과 두꺼운 피부를 가진 대형 초식성 포유류이지만, 밀렵으로 인해 5종 모두 멸종 위기에 처해 있다.
호랑고양이속 - [생물]에 관한 문서 | |
---|---|
분포 | |
분포 지역 | 아메리카 대륙 |
분류학적 정보 | |
학명 | Leopardus Gray, 1842 |
과 | 고양이과 (Felidae) |
아과 | 고양이아과 (Felinae) |
속 | Leopardus |
명명자 | Gray, 1842 |
모식종 | Leopardus griseus Gray, 1842 (= Felis pardalis Linnaeus, 1758) |
생물학적 특징 | |
화석 범위 | 플라이스토세-현재 (~2.5~0 백만 년 전) |
![]() | |
![]() | |
하위 종 | |
종 | 안데스산고양이 (L. jacobitus) 코드코드 (L. guigna) 콜로콜로 (L. colocola) 제프루아고양이 (L. geoffroyi) 마게이 (L. wiedii) 오셀롯 (L. pardalis) 온실라 (L. tigrinus) |
2. 특징
''호랑고양이속'' 종은 얼룩무늬 털을 가지고 있으며, 바탕색은 옅은 황갈색, 황토색, 황갈색에서 밝은 회색까지 다양하다.[4] 작은 귀는 둥글고 흰색 반점이 있으며, 콧등은 눈에 띄고 위쪽이 덮여 있지 않으며 콧구멍은 넓게 떨어져 있다.[5] 다른 고양이과 동물은 38개의 염색체를 가지고 있는 반면, 이들은 36개의 염색체를 가지고 있다.[6]
1842년 존 에드워드 그레이는 중앙아메리카와 인도에서 발견한 반점이 있는 고양이 가죽을 묘사하면서 ''호랑고양이속(Leopardus)''이라는 속명을 제안했다.[7] 19세기와 20세기 초, 아메리카의 작은 반점 고양이에 대해 여러 속이 제안되었는데, 여기에는 니콜라이 세베르초프가 제안한 ''Dendrailurus'', ''Lynchailurus'', ''Noctifelis'', ''Oncifelis'', ''Oncoïdes'',[8] 그레이가 제안한 ''Margay'', ''Pajeros'', ''Pardalina'', ''Pardalis'',[9] 조엘 아사프 앨런이 제안한 ''Oncilla'',[10] 앙헬 카브레라가 제안한 ''Oreailurus'',[11] 레지날드 인네스 포코크가 제안한 ''Colocolo''[12] 등이 있다. 이들 분류군의 두개골 형태학 분석 결과, 두개골 바닥, 코뼈, 저작근, 치아에서 유사점이 발견되었다.[13] 또한, 이들 분류군의 조직 샘플에 대한 계통 발생 분석과 교잡 능력은 이들이 같은 속에 속한다는 개념을 뒷받침한다.[3][6]
3. 분류
2017년 이후, 일반적으로 8종의 현존하는 ''호랑고양이속(Leopardus)'' 종이 유효한 분류군으로 인정받고 있다.[2] 그러나 팜파스고양이류와 재규어고양이류를 중심으로 계속해서 재분류 논의가 진행 중이다.
과거에는 ''Lynchailurus'', ''Oncifelis'', ''Oreailurus'' 등이 본 속에 속했으나, 현재는 ''호랑고양이속''의 동의어로 간주된다.[42][40]
3. 1. 하위 종
호랑고양이속(''Leopardus'')에는 다음과 같은 하위 종들이 속해 있다.
2017년 이후 일반적으로 인정되는 호랑고양이속의 현존하는 8종은 다음과 같다.[2]
이름 | IUCN 적색 목록 상태 및 분포 |
---|---|
오셀롯 L. pardalis 칼 린네la[14] | ![]() |
온실라 L. tigrinus 요한 크리스티안 다니엘 폰 슈레버la[16] | ![]() |
팜파스고양이 L. colocola 후안 이그나시오 몰리나la[19] | ![]() |
코드코드 L. guigna 후안 이그나시오 몰리나la[19] | ![]() |
마게이 L. wiedii 하인리히 루돌프 신츠la[21] | ![]() |
제프로이 고양이 L. geoffroyi 알시드 도르비니la & 폴 제르베la[23] | ![]() |
안데스산 고양이 L. jacobita 에밀리오 코르날리아la[25] | ![]() |
남방 티그리나 L. guttulus 헨젤la[27] | ![]() |
2017년과 2021년의 유전자 분석을 통해 ''Leopardus emiliae''라는 세 번째 티그리나 유사 종이 제안되었다.[29][30]
2021년 남아메리카 팜파스 고양이 표본 분석 결과, 팜파스 고양이 종 복합체를 ''Leopardus colocolo'', ''Leopardus braccatus'', ''Leopardus garleppi'', ''Leopardus munoai'', ''Leopardus pajeros''의 5종으로 분리할 것이 제안되었다.[31] 우루과이 사바나 지역 팜파스 고양이의 가장 오래된 이름은 ''L. munoai''가 아닌 ''Leopardus fasciatus''이다.[32]
2023년 콜롬비아 갈레라스 화산에서 수집된 가죽을 기반으로 ''Leopardus narinensis''라는 새로운 종이 설명되었다.[33]
2024년 연구에서는 ''Leopardus tigrinus'', ''Leopardus guttulus'', ''Leopardus emiliae'' 표본을 분석하여 ''L. t. pardinoides''를 ''Leopardus pardinoides''로, 아종 ''L. t. oncilla''를 ''L. p. oncilla''로 지정했다. ''Leopardus emiliae''는 ''L. tigrinus''와 유전적으로 구별되지 않아 무효일 수 있다고 제안했다. ''L. tigrinus''는 사바나 재규어 고양이, ''L. guttulus''는 대서양 삼림 재규어 고양이, ''L. pardinoides''는 구름 재규어 고양이로 권장했다.[34]
확장된 ''호랑고양이속(Leopardus)'' 종 목록은 다음과 같다.[35]
- ''Leopardus braccatus'' - 판타날 고양이
- ''Leopardus colocola'' - 콜로콜로
- ''Leopardus emiliae'' - 동부 티그리나
- ''Leopardus fasciatus'' - 우루과이 팜파스 고양이
- ''Leopardus garleppi'' - 북부 팜파스 고양이
- ''Leopardus geoffroyi'' - 제프로이 고양이
- ''Leopardus guigna'' - 코드코드
- ''Leopardus guttulus'' - 남방 티그리나
- ''Leopardus jacobita'' - 안데스산 고양이
- ''Leopardus narinensis'' - 나리뇨 고양이[33]
- ''Leopardus pajeros'' - 남부 팜파스 고양이
- ''Leopardus pardalis'' - 오셀롯
- ''Leopardus pardinoides'' - 구름 재규어 고양이
- ''Leopardus tigrinus'' - 온실라
- ''Leopardus wiedii'' - 마게이
과거에는 ''Lynchailurus'', ''Oncifelis'', ''Oreailurus'' 등이 본 속에 속했으나,[45] 현재는 동의어로 간주된다.[42][40]
팜파스고양이류와 재규어고양이류를 중심으로 재분류 논의가 진행 중이다.
팜파스고양이류(광의의 콜로콜로, ''Leopardus colocola'' sensu lato)는 3종이었으나,[40] 7 아종을 포함한 동종으로 간주되기도 했지만,[42] ''L. colocola'', ''L. pajeros'', ''L. garleppi'', ''L. braccatus'', ''L. munoai''의 5종으로 분할하는 설도 있다.[47] ''L. munoai''는 ''L. fasciatus''로 하기도 한다.[48]
재규어고양이류(광의의 재규어고양이, ''Leopardus tigrinus'' sensu lato)는 1종이었으나,[40] 재규어고양이 ''L. tigrinus''(북방재규어고양이, 아종 ''L. t. oncilla'' 포함)와 남방재규어고양이 ''L. guttulus''의 2종으로 분할되었다.[42] 동방재규어고양이 ''L. emiliae''가 독립하여 3종이 되기도 했다.[49] 재규어고양이류가 ''L. tigrinus'', ''L. guttulus'', ''L. pardinoides''(아종 ''L. p. oncilla'' 포함)의 3종으로 재분류되었고, ''L. emiliae''는 인정되지 않았다.[50]
2023년 ''Leopardus narinensis''가 신종으로 기재되었다.[51]
3. 2. 계통 분류
다음은 고양이과의 계통 분류이다.[54]
고양이과 모든 종의 조직 샘플 내 핵 DNA의 계통 발생 분석 결과, 고양이과의 진화 방산은 약 1445만 년 전~838만 년 전 중신세에 아시아에서 시작되었다.[3] 모든 고양이과 종의 미토콘드리아 DNA 분석 결과 약 1676만 년 전~646만 년 전에 방산이 일어났음을 나타낸다.[36]
''호랑고양이속'', ''퓨마속'', ''스라소니속''의 마지막 공통 조상은 고양이 종의 핵 DNA 분석을 기반으로 1095만 년 전~630만 년 전에 살았던 것으로 추정된다.[3] 이들의 미토콘드리아 DNA 분석 결과, 마지막 공통 조상은 1404만 년 전~683만 년 전에 살았던 것으로 나타났다.[36] ''호랑고양이속''은 425만 년 전~202만 년 전[3]과 519만 년 전~98만 년 전[36] 사이에 유전적 분화를 보인 진화 계통을 형성한다. 이 종은 후기 플라이오세의 대 아메리카 생물 교환 동안 파나마 지협을 건넜을 것이다.[3]
''Leopardus vorohuensis''는 이 속의 멸종된 종으로, 화석은 초기 플라이스토세로 거슬러 올라가는 아르헨티나 보로우에 형성에서 발견되었다. 그 눈확 위 구멍과 치아의 모양은 콜로콜로와 유사하다.[37]
이 속 내에서 세 개의 뚜렷한 분지군이 확인되었다. 하나는 오셀롯과 마게이를 포함하고, 두 번째는 안데스산고양이와 콜로콜로, 세 번째는 코드코드, 호랑고양이, 조프루아고양이를 포함한다.[38][39]
본 속만으로 구성된 단일 계통군은 오셀롯 계통(Ocelot lineage)이라고도 불린다.[42] 이전에는 ''Lynchailurus'', ''Oncifelis'', ''Oreailurus'' 등의 속이 본 속의 구성종으로 사용되기도 했지만[45], 이들은 본 속의 동의어로 간주된다.[42][40]
다음 종의 분류 및 영어 이름은 Kitchener ''et al.'' (2017)을 따른다.[42]
- 콜로콜로 (Pampas cat)
- 조프루아고양이 (Geffroy's cat)
- 코드코드 (Guiña, kod-kod)
- 남방재규어고양이[46] (Southern tigrina)
- 안데스산고양이 (Andean mountain cat)
- 오셀롯 (Ocelot)
- 호랑고양이 (Northern tigrina, oncilla)
- 마게이 (Margay)
Kitchener ''et al.'' (2017) 이후에도 특히 콜로콜로류와 호랑고양이류를 중심으로 재분류 논의가 진행되고 있다.
콜로콜로류 (광의의 콜로콜로, ''Leopardus colocola'' sensu lato)는 Wozencraft (2005)에 따르면 콜로콜로 ''L. colocolo'', 판타날고양이 ''L. braccatus'', 팜파스고양이 ''L. pajeros''의 3종으로 되어 있었다.[40] Kitchener ''et al.'' (2017)는 이들을 동종(7 아종 포함)으로 간주했지만[42], Nascimento ''et al.'' (2021)에 의해 ''L. colocola'' (영명 Colocolo), ''L. pajeros'' (Southern pampas cat), ''L. garleppi'' (Garlepp's pampas cat), ''L. braccatus'' (Pantanal cat), ''L. munoai'' (Muñoa's pampas cat)의 5종으로 분할하는 설도 제창되고 있다.[47] 또한, ''L. munoai''에 대해서는 유효명을 ''L. fasciatus'' (Larrañaga's pampas cat)로 하는 설도 있다.[48]
호랑고양이류 (광의의 재규어고양이, ''Leopardus tigrinus'' sensu lato)는 Wozencraft (2005)에 의한 분류에서는 1종으로 되어 있었지만[40], Kitchener ''et al.'' (2017)에서는 재규어고양이 ''L. tigrinus'' (별칭 북방재규어고양이. 아종 ''L. t. oncilla'' 포함)와 남방재규어고양이 ''L. guttulus''의 2종으로 분할되어 있다.[42] Nascimento & Feijó (2017)에서는 더욱 동방재규어고양이 ''L. emiliae''가 독립종으로 되어 3종이 되었다.[49] 한편, de Oliveira ''et al.'' (2024)에서는 재규어고양이류가 ''L. tigrinus'' (영명 savanna tiger-cat), ''L. guttulus'' (Atlantic Forest tiger-cat), ''L. pardinoides'' (clouded tiger-cat. 아종 ''L. p. oncilla'' 포함)의 3종으로 재분류되었고, ''L. emiliae''는 인정되지 않았다.[50]
2023년에는 모피 표본의 형태 및 미토콘드리아 DNA, 핵 유전자의 계통 분석에 기초하여 ''Leopardus narinensis'' (영명 Nariño cat)가 신종으로 기재되었다.[51]
참조
[1]
간행물
[2]
논문
A revised taxonomy of the Felidae: The final report of the Cat Classification Task Force of the IUCN Cat Specialist Group
https://repository.s[...]
[3]
논문
The Late Miocene radiation of modern Felidae: A genetic assessment
https://zenodo.org/r[...]
2006
[4]
논문
Notes on the synonymy and nomenclature of the smaller spotted cats of tropical America
[5]
논문
The classification of the existing Felidae
https://archive.org/[...]
[6]
논문
Inter-species hybridization among Neotropical cats of the genus ''Leopardus'', and evidence for an introgressive hybrid zone between ''L. geoffroyi'' and ''L. tigrinus'' in southern Brazil
[7]
논문
Descriptions of some new genera and fifty unrecorded species of Mammalia
https://archive.org/[...]
[8]
논문
Notice sur la classification multisériale des Carnivores, spécialement des Félidés, et les études de zoologie générale qui s'y rattachent
https://archive.org/[...]
[9]
논문
Notes on the skulls of the Cats (Felidae)
https://archive.org/[...]
[10]
논문
Severtzow's classification of the Felidae
http://digitallibrar[...]
[11]
논문
Notas sobre Carnívoros sudamericanos
http://naturalis.fcn[...]
[12]
논문
The Examples of the Colocolo and of the Pampas Cat in the British Museum
[13]
서적
Felid phylogenetics: extant taxa and skull morphology (Felidae, Aeluroidea)
http://digitallibrar[...]
American Museum of Natural History
[14]
서적
Systema naturae per regna tria naturae: secundum classes, ordines, genera, species, cum characteribus, differentiis, synonymis, locis
Laurentius Salvius
[15]
간행물
''Leopardus pardalis''
[16]
서적
Die Säugethiere in Abbildungen nach der Natur, mit Beschreibungen
Wolfgang Walther
[17]
간행물
''Leopardus tigrinus''
2016
[18]
간행물
''Leopardus colocolo''
2016
[19]
서적
Saggio sulla storia naturale del Chilli
Stamperia di S. Tommaso d’Aquino
2019-03-25
[20]
간행물
''Leopardus guigna''
2015
[21]
서적
Das Thierreich eingetheilt nach dem Bau der Thiere: als Grundlage ihrer Naturgeschichte und der vergleichenden Anatomie von dem Herrn Ritter von Cuvier. Säugethiere und Vögel, Volume 1
Cotta
[22]
간행물
''Leopardus wiedii''
[23]
논문
Mammalogie: Nouvelle espèce de Felis
https://archive.org/[...]
1844
[24]
간행물
''Leopardus geoffroyi''
2015
[25]
논문
Descrizione di una nuova specie del genere Felis. ''Felis jacobita'' (Corn.)
https://archive.org/[...]
[26]
간행물
''Leopardus jacobita''
2016
[27]
논문
Beiträge zur Kenntniss der Säugethiere Süd-Brasiliens
https://archive.org/[...]
[28]
간행물
''Leopardus guttulus''
2016
[29]
논문
Taxonomic revision of the tigrina ''Leopardus tigrinus'' (Schreber, 1775) species group (Carnivora, Felidae)
[30]
논문
Genome-Wide SNPS Clarify a Complex Radiation and Support Recognition of an Additional Cat Species
[31]
논문
Taxonomic revision of the pampas cat ''Leopardus colocola'' complex (Carnivora: Felidae): an integrative approach
https://www.research[...]
[32]
논문
The oldest available name for the pampas cat of the Uruguayan Savannah ecoregion is Leopardus fasciatus (Larrañaga 1923)
[33]
간행물
[34]
논문
Ecological modeling, biogeography, and phenotypic analyses setting the tiger cats' hyperdimensional niches reveal a new species
[35]
간행물
2023-12-08
[36]
논문
Phylogenomic evidence for ancient hybridization in the genomes of living cats (Felidae)
[37]
논문
A new species of small cat (Felidae) from the late Pliocene – early Pleistocene (Uquian) of Argentina
[38]
논문
Resolution of recent radiations within three evolutionary lineages of Felidae using mitochondrial 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variation
[39]
논문
Tracking the evolution of the elusive Andean mountain cat (''Oreailurus jacobitus'') from mitochondrial DNA
http://jhered.oxford[...]
[40]
간행물
Order Carnivora
http://www.departmen[...]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41]
간행물
世界哺乳類標準和名目録
https://doi.org/10.1[...]
日本哺乳類学会
[42]
논문
A revised taxonomy of the Felidae: The final report of the Cat Classification Task Force of the IUCN Cat Specialist Group
https://repository.s[...]
[43]
논문
The Late Miocene radiation of modern Felidae: A genetic assessment
https://zenodo.org/r[...]
2006
[44]
논문
Inter-species hybridization among Neotropical cats of the genus ''Leopardus'', and evidence for an introgressive hybrid zone between ''L. geoffroyi'' and ''L. tigrinus'' in southern Brazil
[45]
기타
イリオモテヤマネコの外部形態
国立科学博物館
[46]
서적
ネコ科分類リスト
誠文堂新光社
[47]
논문
Taxonomic revision of the pampas cat ''Leopardus colocola'' complex (Carnivora: Felidae): an integrative approach
https://doi.org/10.1[...]
The Linnean Society of London
[48]
논문
The oldest available name for the pampas cat of the Uruguayan Savannah ecoregion is ''Leopardus fasciatus'' (Larrañaga 1923)
https://doi.org/10.1[...]
[49]
논문
Taxonomic revision of the tigrina ''Leopardus tigrinus'' (Schreber, 1775) species group (Carnivora, Felidae)
https://doi.org/10.1[...]
Museu de Zoologia da Universidade de São Paulo
[50]
논문
Ecological modeling, biogeography, and phenotypic analyses setting the tiger cats’ hyperdimensional niches reveal a new species
https://doi.org/10.1[...]
[51]
논문
Morphological and genetics support for a hitherto undescribed spotted cat species (genus ''Leopardus''; Felidae, Carnivora) from the southern Colombian Andes
https://doi.org/10.3[...]
[52]
웹사이트
MSW3 Wozencraft
[53]
서적
A Field Guide to the Mammals of Central America and Southeast Mexico
http://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54]
저널
The Evolution of CATS
http://sehrg.at.ua/_[...]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