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리 가즈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호리 가즈오는 1951년 오이타현에서 태어난 일본의 경제학자이다. 류코쿠 대학을 졸업하고 교토 대학 대학원에서 박사 학위를 취득한 후, 교토 대학 경제학부 교수를 역임하고 정년 퇴직했다. 독도 문제에 관해서는 1877년 일본 태정관 지령을 근거로 독도가 한국 영토임을 주장하며, 위안부 문제에 대해서는 일본군의 조직적인 개입을 강조한다. 또한 고바야시 히데오 명예훼손 재판에서 증인으로 의견서를 제출하는 등 다양한 활동을 펼쳤으며, 한국 및 동아시아 경제 관련 저서를 출간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류코쿠 대학 동문 - 히로하시 료
히로하시 료는 니가타현 출신의 일본 여성 성우로, 2002년 데뷔 후 다수의 작품에서 활발하게 활동하며, 한국 문화에도 높은 관심을 가지고 있다. - 류코쿠 대학 동문 - 타바타 토모코
타바타 토모코는 1980년생 일본 배우로, 영화 《이사》로 데뷔하여 다수의 신인상을 수상한 후 영화, 드라마, 무대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며 폭넓은 연기 스펙트럼을 보여주고 사회 문제에도 관심을 가지고 진보적인 정치적 견해를 밝히고 있다. - 일본의 경제학자 - 우에쿠사 가즈히데
우에쿠사 가즈히데는 일본의 경제학자, 저술가, 방송 해설가로, 신자유주의 비판적 경제관과 지구 온난화 회의론을 주장하며 활발히 활동했으나 성추행 혐의로 유죄 판결을 받기도 했다. - 일본의 경제학자 - 미노베 료키치
일본의 경제학자이자 정치인인 미노베 료키치는 마르크스 경제학 연구를 바탕으로 도쿄도지사를 3선 역임하며 진보적인 정책을 추진했으나, 재정 적자와 친북 논란에 휩싸인 인물이다. - 교토 대학 교수 - 노구치 히데요
노구치 히데요는 1876년 일본에서 태어나 2살 때 화상을 입었지만 의사가 되기로 결심하고, 미국에서 매독과 황열병 연구를 수행하며 매독 스피로헤타를 발견하는 등 업적을 남겼지만 황열병으로 사망한 세균학자이다. - 교토 대학 교수 - 윤일선
윤일선은 한국 근대 병리학 및 해부학의 선구자이자 서울대학교 총장을 역임한 교육자로, 한국 의학 교육과 연구 발전에 기여하고 해방 후 서울대학교에서 한국 의학교육의 기틀을 마련하였으며 국내외 학술 활동에도 참여하여 한국 과학기술 발전에 헌신하였다.
호리 가즈오 | |
---|---|
기본 정보 | |
![]() | |
출생 | 1953년 3월 19일 (71세) |
출생지 | 도쿄도 |
국적 | 일본 |
직업 | 애니메이션 감독 애니메이션 연출가 |
활동 기간 | 1970년대 ~ 현재 |
경력 | |
주요 작품 | 링에 걸어라 꿈을 깨는 요정 베르세르크 (1997년 애니메이션) 수장기공 단가이오 마법기사 레이어스 세일러 문 시리즈 아이돌 천사 요우코소 요코 마법의 스테이지 팬시 라라 꼬마 마법사 레미 케로로 군조 데지캐럿 |
수상 | |
수상 내역 | 제12회 애니메이션 고베상 특별상 (2007년) |
외부 링크 | |
외부 링크 | 인터뷰 호리 가즈오 - 트위터 |
2. 생애
1951년 일본 오이타현 하야미군 히지정에서 태어났다. 1970년 오이타현립 오이타마이즈루 고등학교를 졸업했다. 1975년 류코쿠 대학 문학부 사학과에서 동양사학을 전공하여 졸업했으며, 이후 교토 대학 대학원으로 진학했다. 1979년 교토 대학 대학원 문학연구과에서 국사학 전공으로 석사 과정을 수료했고, 1982년에는 동 대학원 박사 과정을 연구 지도 인정 퇴학했다. 1994년 교토 대학에서 경제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교토 대학 경제학부에서 조교수와 교수를 거쳐 2017년 정년 퇴직하였고, 명예교수가 되었다.[1]
호리 가즈오는 일본의 역사학자로서 주로 한일 관계사 연구에 집중했으며, 특히 독도 영유권 문제와 일본군 '위안부' 문제에 대해 깊이 있는 연구와 주장을 펼쳤다. 그는 일본 학계 내에서 독도가 한국 영토임을 주장하고, 일본군의 위안부 동원 책임을 강조하는 등 한국의 입장을 지지하는 견해를 제시해왔다. 또한, 학술 논쟁에도 참여하여 자신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의견을 개진하기도 했다.
3. 주요 활동
3. 1. 독도 문제
1987년 《조선사 연구논문집》(朝鮮史研究会論文集일본어) 제24호에 〈1905년 일본의 다케시마 영토편입(一九〇五年 日本の竹島領土編入일본어)〉이라는 논문을 발표하여 독도가 한국의 영토임을 주장하였다.[13]
이 논문에서 호리 교수는 1877년 일본 태정관이 내린 지령을 공개하였다. 태정관 지령에는 '다케시마(竹島일본어, 울릉도)와 그 외 1도(外一島일본어, 독도)는 일본과 관계가 없다는 점을 명심하라'고 기록되어 있는데, 이는 1877년 당시 일본이 독도를 무주지가 아닌 조선의 영토로 인식하고 있었다는 중요한 증거로 제시되었다.[14] 호리는 독도 영유권 문제와 관련하여 1877년의 태정관 지령을 중요하게 여기며, 독도가 일본의 영토가 아니라는 입장에서 논의를 전개하고 있다.[2]
시모조 마사오에 따르면, 한국에서는 독도에 대해 한국의 주장에 동조하는 일본인을 "양심적인 일본인"으로, 독도를 일본 영토라고 주장하는 일본인을 "극우 학자"로 구분하는 경향이 있다. 한국의 민간 단체 "독도를 일본에 알리는 운동 연대"는 2013년 5월 2일 중앙일보에 "박근혜 대통령에게 바치는 공개 청원"이라는 의견 광고를 게재하며 "일본에도 올바른 학자가 다수 있다"고 주장했는데, 이때 호리는 나이토 마사나카, 카지무라 히데키, 세리타 켄타로, 쿠보이 노리오와 함께 "양심적인 일본인" 중 한 명으로 언급되었다.[3]
호리는 한국 정부가 주장하는 것처럼, 독도(일본명: 다케시마竹島일본어)가 『삼국사기』(1145년)에 기록된 "우산국"이나 1530년 『신증동국여지승람』 등에 기재된 "우산도"와 동일하다는 견해를 지지한다. 그는 카지무라 히데키와 함께 "우산은 틀림없이 독도이다"라고 명확히 밝힌 바 있다.[4]
3. 2. 일본군 '위안부' 문제
일본군 '위안부' 문제에 대해, 호리 가즈오는 위안소 운영과 위안부 모집 과정에 일본군이 개입하여 조직적으로 동원한 것으로 규정한다. 그는 위안부가 당시 일본군 병참 조직의 일부였으며, 위안소 종업원과 위안부 모두 군속(군무원)에 준하는 대우를 받았다고 주장한다. 특히 군인과 군속만 이용 가능했던 야전 우체국을 위안부와 위안소 직원이 사용했다는 점을 군속 대우의 근거로 제시한다.[11]
호리는 하타 이쿠히코 등이 제기한 '위안부 고수입설'(예: 위안부 월급이 일본 병사 월급의 75배, 군 사령관이나 총리대신보다 높았다는 주장)에 대해 "과도한 단순화가 아닌 사실 인식으로 완전히 틀렸다"고 강하게 비판한다.[15][11] 그는 "많은 위안소는 모두 일본군에 의해 동원·조직된 것"이며, 군이 업자를 통해 위안부를 모집하고 "전용 운반선으로 수송"하여 "각지의 일본 부대에 배속"시켜 운영했다고 설명한다.[11] 또한, 당시 "일본 점령지에서의 하이퍼 인플레이션 실태", 군에 의한 "내지 송금 규제", 대장성의 "일본 엔화와의 교환 제한" 등을 고려할 때 위안부가 고수입을 올렸다는 주장은 현실과 동떨어진 것이라고 반박한다.[11]
한편, 2012년 5월 안병직 서울대학교 명예교수가 발굴한 『일본군 위안소 관리인의 일기』 일본어판의 감수자로 참여하기도 했다. (다른 감수자는 기무라 간 고베 대학교 교수)[9][10]
3. 3. 고바야시 히데오 명예훼손 재판
호리 가즈오는 와세다 대학 명예교수인 고바야시 히데오의 첫 논문 「원산 노동자 총파업 - 1929년 조선인민의 투쟁」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역사학자 윤형빈(尹亨彬)이 1964년 《력사과학》 2호에 발표한 논문 「1929년 원산노동자 총파업과 그 교훈」을 표절했다고 주장했다.[7][8]
이후 고바야시 히데오가 자신에 대한 표절 의혹을 제기한 하라 아키라 등을 상대로 명예훼손 소송(헤이세이 25년 제16925호 사죄광고 청구 사건)을 제기하자, 호리 가즈오는 하라 아키라 측 증인으로 출석하여 의견서를 제출하였다.[6] 이 재판은 최종적으로 고바야시 히데오가 승소했다.
4. 저서
- 《조선공업화의 역사적 분석》(朝鮮工業化の史的分析일본어) (1995), 유비각
- 《한국 근대의 공업화: 일본 자본주의와의 관계》 (2003), 전통과현대사[12]
4. 1. 공저·편저·공편저
- 우에무라 야스오 외 편, 『동아시아 경제의 궤적』, 아오키 서점, 2001년 9월. ISBN 4250201279
- 호리 가즈오, 나카무라 사토시 공저, 『일본 자본주의와 조선·대만』, 교토 대학 학술 출판회, 2004년 3월. ISBN 4876986304
- 호리 가즈오, 나카무라 사토시 공저, 『일본 자본주의와 조선·대만』(한국어판), http://www.jontong.co.kr/ 전통과현대사, 2005년.
- 호리 가즈오, 나카무라 사토시 공저, 『일본 자본주의와 조선·대만』(중국어판), 난톈 서국, 2005년.
참조
[1]
웹사이트
経歴
https://repository.k[...]
2024-04-07
[2]
논문
一九〇五年 日本の竹島領土編入
http://www.kr-jp.net[...]
[3]
뉴스
韓国に協力する「竹島の日を考え直す会」とは 「夷をもって夷を制す」戦略は日本でも
http://www.sankei.co[...]
2016-08-05
[4]
문서
金(2007)pp.121-123
[5]
문서
金(2007)pp.129-130
[6]
웹사이트
「原朗氏を支援する会」ウェブサイト
https://sites.google[...]
2019-07-16
[7]
웹사이트
堀和生「小林英夫氏盗作行為の起源」
https://sites.google[...]
2019-07-16
[8]
웹사이트
堀和生「小林英夫氏盗作行為の起源」
https://sites.google[...]
2020-01-06
[9]
웹사이트
日本軍慰安所管理人の日記』(日本語翻訳版)
http://www.naksung.r[...]
[10]
뉴스
慰安所:朝鮮人男性従業員の日記発見 ビルマなどでつづる
毎日新聞
2013-08-07
[11]
간행물
東アジアの歴史認識の壁
http://www.kr-jp.net[...]
京都大学経済学研究科東アジア経済研究センター ニュースレター
2015-02-02
[12]
Google Books
韓国 近代 의 공업화
https://books.google[...]
[13]
뉴스
日 호리교수, "독도는 한국땅" 87년 논문발표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1996-02-21
[14]
논문
1905년 일본의 다케시마 영토편입(一九〇五年 日本の竹島領土編入)
[15]
간행물
동아시아 역사인식의 벽(東アジア歴史認識の壁)
교토대 동아시아 센터 - News Letter
2015-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