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세사향고향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호세사향고양이는 말레이시아 보르네오 섬의 사라왁, 사바, 브루나이 지역에 분포하는 고유종이다. 짙은 갈색 또는 검은 갈색의 등과 흰색 또는 옅은 갈색의 배를 가지며, 긴 흰색 얼굴 수염과 젖은 코가 특징이다. 주로 산림 지역에 서식하며, 야행성이며 땅에서 생활한다. 서식지 감소와 훼손이 주요 위협 요인으로 작용하며, 멸종 위기 종으로 분류되어 보호가 필요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브루나이의 포유류 - 빈투롱
빈투롱은 사향고양이과에 속하는 포유류로, 덥수룩한 털과 잡는 꼬리가 특징이며, 인도, 네팔, 동남아시아 숲에서 서식하며, 잡식성으로 과일, 작은 동물 등을 먹고, 멸종위기종으로 보호받고 있다. - 브루나이의 포유류 - 반텡
반텡(Bos javanicus)은 동남아시아가 원산지인 소과 야생 소의 일종으로, 수컷은 검은색, 암컷은 갈색을 띠며 초식 생활을 하고, 멸종위기종으로 분류되어 밀렵, 서식지 파괴 등의 위협을 받으며, 가축화된 개체는 발리 소 등으로 불린다. - 1892년 기재된 포유류 - 호모 에렉투스
호모 에렉투스는 약 200만 년 전부터 10만 년 전까지 생존하며 직립 보행을 하고 아슐리안 석기를 제작했으며 불을 사용한 최초의 인류로 추정되는 종이다. - 1892년 기재된 포유류 - 영양다람쥐속
영양다람쥐속은 미국 남서부 건조 지역에 서식하며 옆구리에 흰색 줄무늬가 있는 주행성 다람쥐 속으로, 먹이 저장 습성과 다양한 생존 전략을 가진 5종으로 구성된다. - 사향고양이과 - 빈투롱
빈투롱은 사향고양이과에 속하는 포유류로, 덥수룩한 털과 잡는 꼬리가 특징이며, 인도, 네팔, 동남아시아 숲에서 서식하며, 잡식성으로 과일, 작은 동물 등을 먹고, 멸종위기종으로 보호받고 있다. - 사향고양이과 - 아시아사향고양이아과
아시아사향고양이아과는 사향고양이과에 속하는 분류군으로, 남아시아와 동남아시아에 분포하며 빈투롱속, 세줄무늬사향고양이속, 술라웨시섬사향고양이속, 흰코사향고양이속, 아시아사향고양이속과 멸종된 속들을 포함하고, 일부 종은 서식지 파괴와 사냥으로 인해 IUCN 적색 목록에 등재되어 보호받고 있다.
호세사향고향이 - [생물]에 관한 문서 | |
---|---|
일반 정보 | |
![]() | |
학명 | Diplogale hosei |
명명자 | (Thomas, 1892) |
영명 | 호세사향고양이 |
과 | 사향고양이과 |
아과 | 헤미갈루스아과 |
속 | 호세사향고양이속 (Diplogale) |
속 명명자 | Thomas, 1912 |
한국어 이름 | 크로헤미갈루스 |
생존 상태 | 취약 (VU) |
IUCN 상태 참조 | Mathai, J.; Duckworth, J.W.; Wilting, A.; Hearn, A.; Brodie, J. 2015. Diplogale hosei. The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2015: e.T6635A45197564. doi:10.2305/IUCN.UK.2015-4.RLTS.T6635A45197564.en. 2021년 11월 19일에 확인함. |
![]() |
2. 형태
등쪽은 코에서 꼬리 끝까지, 그리고 네 다리의 바깥 표면을 포함하여 짙은 갈색에서 검은 갈색을 띤다. 반면 배쪽은 턱에서 꼬리 끝까지, 네 다리의 안쪽 표면을 포함하여 흰색 또는 약간 갈색을 띤 흰색이다.[4][5] 귓바퀴 안쪽과 주둥이 끝도 흰색이다.[17][18][19]
호세사향고양이는 말레이시아 보르네오의 사라왁과 사바 및 브루나이의 일부 지역에서 기록되었다.[1] 칼리만탄에서는 해발 325m 고도에서 기록된 바 있다.[6]
호세사향고양이는 말레이시아 보르네오의 사라왁과 사바, 그리고 브루나이의 일부 지역에서 기록되었다.[1] 칼리만탄에서는 해발 325m 지점에서 기록된 바 있다.[6]
서식지 감소와 훼손은 이 종에 대한 주요 위협으로 여겨져 왔다.[16] 호세사향고양이는 벌목으로 인한 교란에 취약할 수 있으며, 화전과 벌목 도로로 단편화된 숲에서 생존하고 확산할 수 있는지 여부는 아직 알려지지 않았다.[11][12] 불법적인 개발 및 채굴로 인한 서식지 파괴 역시 개체수 감소의 원인이 되고 있다.[19]
서식지 감소와 훼손은 호세사향고양이에 대한 주요 위협으로 여겨진다.[16] 특히 벌목으로 인한 교란에 취약할 수 있으며, 화전과 벌목 도로로 단편화된 숲에서 생존하고 확산할 수 있는지 여부는 아직 알려지지 않았다.[11][12] 불법적인 개발 및 채굴로 인한 서식지 파괴 역시 개체수 감소의 원인이다.[19] 개체수와 그 추세가 전혀 알려지지 않은 상황에서 사냥 또한 이 종에게 점점 더 큰 위협이 될 수 있다.[1]
과거에는 호랑이 사향고양이속에 포함되었다. 그러나 두개골, 앞니, 반점 유무 등 형태적 차이를 근거로 하여, 호세사향고양이만을 독립된 속으로 분류해야 한다는 주장이 힘을 얻고 있다.[18][19]
호세사향고양이는 줄무늬사향고양이(*Hemigalus derbyanus*)와 유사하다. 1892년 올드필드 토마스는 호세사향고양이를 처음 *Hemigalus hosei*로 기술했으나, 1912년 주둥이와 이빨 모양, 뚜렷한 색상 패턴 차이를 근거로 *Hemigalus* 속과 구별되는 *Diplogale* 속으로 재분류할 필요성을 제기했다.[7] 줄무늬사향고양이 역시 호세사향고양이처럼 엄격한 야행성이고 땅 위에서 주로 생활하지만,[12] 호세사향고양이의 분포 지역은 훨씬 제한적이며 고지대 숲에 더 국한되어 서식한다.
[1]
간행물
"''Diplogale hosei''"
2015
얼굴에는 눈 주위에 짙은 고리가 있으며, 매우 길고 흰색의 얼굴 수염(감각털)이 특징이다.[4][18][19] 크고 젖은 코(비공)는 대조적인 살색을 띠고, 두 개의 콧구멍은 넓게 튀어나와 양쪽으로 벌어져 열린다.[4]
발의 아랫면은 옅은 색이며 발바닥은 갈색이다. 발가락 사이에는 부분적으로 물갈퀴가 있고, 발바닥 사이에는 짧은 털 뭉치가 있다.[5][18][19]
호세사향고양이의 몸길이는 47cm에서 54cm, 꼬리 길이는 28cm에서 34cm이다.[4][5][18][19] 뒷발 길이는 74mm에서 81mm, 귀 길이는 36mm에서 39mm이며, 몸무게는 약 1.4kg에서 1.5kg으로 추정된다. 이빨은 40개를 가지고 있다.[4][5]
3. 분포 및 서식지
이 종을 야생에서 직접 목격하는 것은 매우 드물며, 주로 낮은 고도의 산림과 성숙한 혼합 활엽수림에서 관찰되었다.[7]
최근 몇 차례 목격 사례가 보고되었다. 브루나이에서는 한 개체가 포획되었다가 다시 방생되었고,[4] 사바의 키나발루 국립공원 저지대 숲에서는 카메라 트랩에 모습이 촬영되기도 했다.[8] 칼리만탄에서 카메라 트랩으로 촬영된 또 다른 사진이 이 종일 가능성이 제기되었으나, 이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다.[9][10]
현재까지 가장 높은 빈도로 호세사향고양이가 관찰된 곳은 사라왁주 상부 바라암 지역의 벌목 양도지인 셀라안-리나우 산림 관리 구역(Sela'an-Linau Forest Management Unit, FMU)이다. 2004년부터 2005년 사이, 이 양도지 내 네 곳에서 총 14장의 호세사향고양이 사진이 촬영되었다.[11] 이전까지 단일 지역에서 가장 많은 기록은 1945년에서 1949년 사이 톰 해리슨이 인근 켈라비트 고지에서 수집한 4마리의 표본이었다.[15] 이러한 기록들은 사라왁의 해당 지역이 호세사향고양이의 주요 서식지일 가능성을 시사한다.[11][12]
호세사향고양이에 대한 기록은 주로 산림 지역에서 이루어져[4][5][12][13] 산림에 서식하는 종으로 여겨졌다. 그러나 기록된 서식 고도는 다양하다. 브루나이에서는 해발 450m,[14] 사라왁주 바투송에서는 600m,[5] 사바의 키나발루 국립공원 저지대 숲에서도 600m 고도에서 카메라 트랩에 포착되었다.[8] 또한, 셀라안-리나우 FMU에서 촬영된 14장의 사진 중 하나는 해발 730m에서 촬영된 것이다.[11][12]
이를 통해 호세사향고양이가 선호하는 서식지는 이끼가 많은 숲이나 이끼 낀 바위, 개울 근처와 같이 습도가 높은 환경일 가능성이 제기된다.[11]
모식 표본이 채집된 지역(모식 산지)은 사라왁주이다. 호세사향고양이는 말레이시아(사바주, 사라왁주)의 고유종이다.
4. 생태
이 종을 직접 목격하는 것은 매우 드문 일이며, 주로 낮은 고도의 산림이나 성숙한 혼합 활엽수림에서 발견된다.[7] 최근 몇 차례 목격 사례가 보고되었는데, 브루나이에서는 한 개체가 포획되었다가 다시 방생되었고,[4] 사바의 키나발루 국립공원 저지대 숲에서는 카메라 트랩에 모습이 찍히기도 했다.[8] 칼리만탄에서 촬영된 또 다른 카메라 트랩 사진은 이 종일 가능성이 제기되었으나 논란이 있다.[9][10]
가장 높은 조우율을 보인 곳은 사라왁주 상부 바라암 지역의 벌목 허가 구역인 Sela'an-Linau 산림 관리 구역(FMU)이다. 2004년에서 2005년 사이, 이 구역 내 네 곳에서 총 14장의 호세사향고양이 사진이 촬영되었다.[11] 이전까지 단일 지역에서 가장 많은 기록은 1945년에서 1949년 사이 톰 해리슨이 인근 켈라비트 고지에서 수집한 4마리의 표본이었다.[15] 이러한 기록들은 사라왁의 해당 지역이 이 종의 주요 서식지일 가능성을 시사한다.[11][12]
호세사향고양이는 주로 산림 지역에서 기록되어[4][5][12][13] 산림 서식종으로 여겨졌으나, 다양한 고도에서 발견되고 있다.지역 기록된 해발 고도 칼리만탄 325m[6] 브루나이 450m[14] 사라왁 바투송 600m[5] 사바 키나발루 국립공원 저지대 600m[8] 사라왁 Sela'an-Linau FMU 730m (최고 기록 지점)[11][12] 사라왁 운무림 600m, 1100m[18][19] 사바 운무림 1200m 이상[18]
이 종은 이끼가 많은 숲이나 이끼 낀 바위, 개울 근처와 같이 습도가 높은 환경을 선호할 가능성이 있다.[11] 주로 황혼이나 밤에 활동하는 야행성 동물로 여겨지며,[11][12][18][19] 다른 사향고양이과 동물들에 비해 땅 위에서 더 많이 생활하는 지표성 경향이 강하지만,[11][12][19] 나무 위에도 오르는 모습이 관찰되었다.[18] 바위 사이의 틈이나 나무 뿌리 아래 공간에 굴을 만들어 서식하는 것으로 추정된다.[4]
야생에서의 정확한 먹이는 잘 알려져 있지 않지만, 이끼가 많은 바위나 시냇가에서 작은 물고기, 새우, 게, 개구리, 곤충 등을 잡아먹는 것으로 추정된다.[4][15] 위 내용물 분석을 통해 곤충을 먹는다는 사실이 확인되었다.[18][19] 사육 상태에 있던 유일한 개체는 과일은 전혀 먹지 않고 고기와 물고기만 먹었는데, 이는 보르네오에 서식하는 다른 모든 사향고양이과 동물들의 일반적인 식성과는 다른 모습이다.[4]
5. 위협 요인
개체수와 그 변화 추세가 전혀 알려지지 않은 상황에서, 사냥 또한 이 종에게 점점 더 큰 위협이 될 수 있다.[1] 이 종의 생태와 직면한 위협에 대한 더 많은 정보가 확보되면, 현재보다 더 높은 멸종위기등급을 받을 수도 있다. 따라서 이 종에 대한 추가 연구를 촉진하고 수행하는 것이 시급하다.[1]
6. 보전
호세사향고양이는 멸종 위기 종으로 분류되어 있는데, 이는 매우 제한적인 서식지 범위와 산림 벌채, 벌목, 비 삼림 토지 이용으로 인한 서식지 손실 및 황폐화에 근거한 추론적 판단이다.[12] 이 종의 생태와 위협에 대한 더 많은 정보가 확보되면 더 높은 위협 등급을 받을 수도 있으며, 따라서 추가 연구를 촉진하고 수행하는 것이 시급하다.[1] 현재로서는 개체군 밀도, 원시림에 대한 의존도, 행동 범위 및 분산 패턴 등 기본적인 정보조차 알려지지 않아 구체적인 보존 조치를 취하는 것이 불가능하다.[11][12]
서식지 내에 대규모 개체군을 보유한 보호 구역은 알려진 바 없지만, 브루나이의 울루 템부롱 국립공원과 사바의 키나발루 국립공원에서는 개체가 기록된 바 있다.[1] 사라왁에서는 이 종의 개체군을 보유한 보호 구역은 알려져 있지 않다.[12] 서식지의 일부는 키나발루 자연공원과 크로커 산맥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19]
7. 분류
8. 유사 종
큰 주둥이와 긴 얼굴 수염은 수달사향고양이(*Cynogale bennettii*)와 닮은 점이다. 하지만 수달사향고양이는 반수생 동물로 알려져 있으며 물갈퀴가 달린 발을 가졌고, 주로 보르네오 저지대 우림에 서식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5]
참조
[2]
MSW3
[3]
학술지
On some Mammals form Mount Dulit, North Borneo
https://archive.org/[...]
[4]
학술지
Observations of a live Hose's Civet ''Diplogale hosei''
http://smallcarnivor[...]
[5]
서적
A field guide to the mammals of Borneo
The Sabah Society with World Wildlife Fund Malaysia
[6]
문서
Samejima, H. and Semiadi, G. (2012). First record of Hose's Civet ''Diplogale hosei'' from Indonesia and records of other carnivores in the Schwaner Mountains, Central Kalimantan, Indonesia. Small Carnivore Conservation 46: 1–7.
[7]
학술지
Hose's Civet, ''Diplogale hosei''
http://smallcarnivor[...]
[8]
학술지
Viverrid and herpestid observations by camera and small cage trapping in the lowland rainforests on Borneo including a record of the Hose's Civet, ''Diplogale hosei''
http://smallcarnivor[...]
[9]
학술지
New carnivore species in Borneo may not be new.
[10]
학술지
'New Bornean carnivore' is most likely a little known flying squirrel
[11]
학술지
Hose's Civet: Borneo's mysterious carnivore
[12]
학술지
Small carnivores in a logging concession in the Upper Baram, Sarawak, Borneo
http://www.smallcarn[...]
[13]
학술지
Records of small carnivores from Mount Kinabalu, Sabah, Borneo
http://smallcarnivor[...]
[14]
학술지
An observation of Hose's Civet in Brunei
http://smallcarnivor[...]
[15]
학술지
Mammals of the Kelabit plateau, northern Sarawak
[16]
서적
Weasels, civets, mongooses, and their relatives: an action plan for the conservation of mustelids and viverrids
IUCN
[17]
서적
今泉吉典監修 D.W.マクドナルド編 『動物大百科1 食肉類』、[[平凡社]]、[[1986年]]、152、154、160頁。
[18]
서적
今泉吉典監修 『世界の動物 分類と飼育2 (食肉目)』、東京動物園協会、[[1991年]]、104頁。
[19]
서적
[[小原秀雄]]・浦本昌紀・太田英利・松井正文編著 『動物世界遺産 レッド・データ・アニマルズ5 東南アジアの島々』、[[講談社]]、[[2000年]]、132頁。
[20]
MSW3
[21]
IUCN
''Diplogale hosei''
[22]
저널 인용
On some Mammals from Mount Dulit, North Borneo
http://www.archive.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