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호수수오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호수수오미는 핀란드 중부와 동부에 걸쳐 있는 지역으로, 핀란드 면적의 50% 이상이 호수로 덮여 있는 것이 특징이다. 핀란드에서 가장 큰 호수 10개 중 7개가 위치하며, 부옥시강, 퀴미강, 코케매키강 수계가 흐른다. 빙하 지형과 숲이 발달했으며, 소나무, 자작나무, 오리나무가 주를 이룬다. 예로부터 수변을 따라 정착이 이루어졌으며, 목재 유송과 임업이 발달했다. 핀란드인들의 휴양지이며, 관광객도 많이 찾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핀란드의 지리 - 카렐리야
    카렐리야는 백해에서 핀란드만까지 뻗어 있는 지역으로, 역사적으로 분할과 병합을 거쳐 핀란드와 러시아에 걸쳐 있으며 핀란드의 국민 서사시와 관련된 문화적으로 중요한 지역이다.
  • 핀란드의 지리 - 스칸디나비아반도
    스칸디나비아반도는 유럽 최대 반도로 노르웨이, 스웨덴을 포함하고 핀란드 일부까지 뻗어 있으며, 스칸디나비아 산맥이 주 경계를 이루고 피오르 지형과 풍부한 자원을 보유하고 있다.
호수수오미
지도
개요
별칭핀란드 호수 지구
위치핀란드
지리
면적약 50,000 평방 킬로미터
특징호수, 섬, 강, 운하가 있는 지형. 빙하 작용으로 형성됨.
행정 구역
주요 지역남사보니아 지역
중앙 핀란드 지역
피르칸마 지역
북카렐리아 지역
북사보니아 지역
지질학적 특징
형성 원인제4기 빙하 시대의 빙하 작용으로 형성된 지형
기타
주요 도시위배스퀼레
미켈리
쿠오피오
라펜란타
요엔수
관광여름 코티지, 호수 크루즈, 카누, 카약, 낚시, 겨울 스포츠

2. 자연지리

호수수오미는 서쪽과 북서쪽으로는 연안 핀란드 지구, 북쪽으로는 바라-수오미와 경계를 이룬다. 동쪽으로는 러시아카렐리야 지협카렐리야 공화국까지 뻗어 있다.

호수는 이 지역의 약 25%를 차지하며, 숲으로 덮여 있고 인구 밀도가 낮다. 이 지역의 도시로는 이마트라, 요엔수, 위배스퀼래, 쿠오피오, 라펜란타, 미켈리, 피에크새매키, 사본린나, 바르카우스가 있다. 과거 호수가 주요 운송로였기 때문에 도시 지역은 종종 호숫가, 때로는 지협이나 반도에 위치한다(예: 바르카우스, 사본린나, 쿠오피오). 호수는 종종 매우 복잡한 해안선을 가지고 있으며 좁은 해협으로 연결된 여러 개의 거의 분리된 개방 수역(selkäfi)으로 구성되어, 해안과 배후지를 따라 넓은 지역을 연결할 수 있다.

2. 1. 지형

패이얜네호.


핀란드 전국의 면적 대 수면비는 9.9% 정도이지만, 호수수오미에서는 그 비율이 50%를 초과한다. 대형 호수들의 평균 수심은 10m~15m이고, 작은 호수들의 평균 수심은 2m 정도다. 핀란드에서 가장 큰 호수 10개 중 7개(사이마호, 패이얜네호, 피엘리넨호, 이소칼라호, 케이텔레호, 이소랭겔매시호, 풀라호)가 호수수오미에 위치한다. 호수수오미의 수계로는 부옥시강 수계, 퀴미강 수계, 코케매키강 수계가 있으며, 이 일대의 모든 수체는 이 수계들에 속한다.

호수수오미의 지형은 전체적으로 남쪽으로 치우치게 평탄한 모양이지만, 사이사이에 험준한 구릉이나 산이 있다. 기반암이 빙하에 침식된 계곡과 절벽이 다수 존재하며, 이와 같은 빙하의 흔적은 서북-동남 축선을 따라 형성되었다. 빙하기 이후 남겨진 빙퇴구들 가운데는 길이가 수 킬로미터에 달하는 것도 있다. 호수수오미 북부는 분수령으로, 거기서 갑자기 고도가 해발 200m급으로 치솟는다. 대부분의 호수는 해발고도가 100m가 되지 않으며, 가장 큰 사이마호의 해발고도는 76m다.

호수수오미는 면적의 80%가 숲으로 덮여 있다. 식생은 소나무, 자작나무, 오리나무가 주를 이룬다. 낙엽수림은 쿠오피오 낙엽수림과 리페리 일대에서만 나타난다. 지형에 굴곡이 있기에 습지의 발달은 상대적으로 미비하다. 이 지역은 핀란드 중부와 동부의 대부분을 차지하며, 남쪽으로는 살파우셀kä 능선으로 경계를 이룬다. 이 능선들은 말단 퇴적구로, 언덕이 많은 숲 지형으로 분리된 수천 개의 호수 네트워크를 가둔다.

2. 2. 호수와 수계



핀란드 전국의 면적 대 수면비는 9.9% 정도이지만, 호수수오미에서는 그 비율이 50%를 초과한다. 대형 호수들의 평균 수심은 10 - 15 미터이고, 작은 호수들의 평균 수심은 2 미터 정도다. 핀란드에서 가장 큰 호수 10개 중 7개(사이마호, 패이얜네호, 피엘리넨호, 이소칼라호, 케이텔레호, 이소랭겔매시호, 풀라호)가 호수수오미에 위치한다. 호수수오미의 수계로는 부옥시강 수계, 퀴미강 수계, 코케매키강 수계가 있다. 이 일대의 모든 수체는 이 수계들에 속한다.[3]

호수를 구성하는 요소에 대한 정의가 없고 호수 수를 계산하는 절차가 없어, 이 지역에 정확히 몇 개의 호수가 있는지 확인하는 것은 불가능했다. 그러나 너비가 최소 200 미터인 호수는 최소 55,000개 이상이다. 만약 호수를 500 제곱미터 이상인 정지된 수역으로 정의한다면 핀란드에는 187,888개의 호수가 있다. 평균적으로 100 제곱킬로미터당 40개의 호수가 있다. 호수 수 밀도는 이나리호 북쪽에서 가장 크며 100 제곱킬로미터당 최대 1,000개에 달하며, 이 지역은 때때로 ''람피-수오미''(Lampi-Suomi|폰드 핀란드fi)라고 불린다.

사이마호의 히에타사리 섬


가장 큰 호수는 사이마호로, 수면 면적이 4,400 제곱킬로미터가 넘으며 유럽에서 네 번째로 큰 자연 담수호이다. 사이마 호수 자체에는 5,484개의 섬이 있으며,[4] 더 큰 사이마 지역(Suur-Saimaa|대 사이마fi)의 섬은 최대 13,710개에 달한다.[5] 가장 깊은 호수인 패이얜네호의 최대 깊이는 95.3 미터에 불과하며, 평균 호수의 깊이는 7 미터이다.

사이마 운하는 사이마 호수를 핀란드만, 발트해비보르크만과 연결한다. 발트해로의 또 다른 연결은 부옥시강으로, 사이마 호수에서 라도가호로 흘러 들어가고, 그곳에서 물은 네바강을 통해 핀란드만으로 흘러가 살파우셀케를 우회한다.

패이얜네호는 핀란드에서 두 번째로 큰 호수이며, 퀴미강을 통해 핀란드만으로 흘러 들어가 헬싱키의 식수원으로 사용된다.

2. 3. 식생

호수수오미는 면적의 80%가 숲으로 덮여 있다. 식생은 소나무자작나무오리나무가 주를 이룬다. 낙엽수림은 쿠오피오 낙엽수림과 리페리 일대에서만 나타난다. 지형에 굴곡이 있기에 습지의 발달은 상대적으로 미비하다.

3. 인문지리

호수수오미는 핀란드인들이 즐겨 찾는 휴양지이다. 수많은 호숫가에는 케새뫽키(kesämökki|케새뫽키fi)라는 여름 별장들이 지어져 있으며, 관광지도 많다. 외국인 관광객도 많이 찾는다.

3. 1. 정착과 인구

예로부터 호수수오미 지역에서 인간의 정착은 수변을 따라 이루어졌다. 인구밀도는 남해안지대에 비해 낮다.

사이마호의 목재 유송.


호수수오미의 미궁과 같은 크고 작은 무수한 호수들은 육상교통에 심각한 애로사항이 되지만, 역으로 목재 유송과 같은 내륙수운에는 유리한 조건이 되어 주었다. 준설운하 준공을 통해 이러한 내륙수운은 더욱 개선되었다. 또한 풍부한 삼림자원이 있기에, 유속이 빠른 수로 주위로 임업 중심지가 형성되었다. 탐페레, 발케아코스키, 노키아, 애네코스키, 바르카우스, 쿠산코스키, 이마트라 등이 이런 식으로 물가에 형성된 임업도시였다. 또한 이위배스퀼래, 라흐티, 헤이놀라, 요엔수, 라펜란타 등 다른 도시들의 발전에도 임산업이 유의미한 영향을 끼쳤다.

사이마호의 여름별장.


호수수오미는 핀란드인들이 즐겨 찾는 휴양지이기도 하다. 무수한 수변마다 케새뫽키(kesämökki|케새뫽키fi)라는 여름별장들이 지어져 있으며, 관광지도 많다. 외국인 관광객도 많이 찾는다.

호수는 호수 지역의 약 25%를 차지한다. 이 지역의 대부분은 숲으로 덮여 있으며 인구 밀도가 낮다. 이 지역의 도시로는 이마트라, 요엔수, 위배스퀼래, 쿠오피오, 라펜란타, 미켈리, 피에크새매키, 사본린나바르카우스가 있다. 호수가 과거 주요 운송로였기 때문에 도시 지역은 종종 호숫가에 위치하며 때로는 지협이나 반도에 위치하기도 한다(예: 바르카우스, 사본린나, 쿠오피오).

3. 2. 주요 도시

호수수오미 지역의 주요 도시는 이마트라, 요엔수, 위배스퀼래, 쿠오피오, 라펜란타, 미켈리, 피에크새매키, 사본린나, 바르카우스가 있다. 예로부터 호수는 주요 운송로였기 때문에, 이들 도시는 종종 호숫가, 때로는 지협이나 반도에 위치한다(예: 바르카우스, 사본린나, 쿠오피오). 호수는 종종 매우 복잡한 해안선을 가지며, 좁은 해협으로 연결된 여러 개의 거의 분리된 개방 수역(selkäfi)으로 구성되어 있어 해안과 배후지를 따라 넓은 지역을 연결한다.

3. 3. 산업

예로부터 호수수오미 지역은 물가를 따라 사람들이 정착해왔다. 남해안지대에 비해 인구 밀도는 낮은 편이다.

호수수오미의 복잡한 호수들은 육상 교통에는 어려움을 주지만, 목재 유송과 같은 내륙 수운에는 유리한 조건을 제공했다. 준설운하 건설로 내륙 수운은 더욱 개선되었다. 풍부한 삼림 자원을 바탕으로 유속이 빠른 수로 주변에는 임업 중심지가 형성되었는데, 탐페레, 발케아코스키, 노키아, 애네코스키, 바르카우스, 쿠산코스키, 이마트라 등이 대표적인 임업 도시였다. 이위배스퀼래, 라흐티, 헤이놀라, 요엔수, 라펜란타 등의 도시 발전에도 임업이 중요한 역할을 했다.

호수수오미는 핀란드인들이 즐겨 찾는 휴양지이기도 하다. 수많은 호숫가에는 케새뫽키(kesämökkifi)라는 여름 별장들이 지어져 있으며, 관광지도 많다. 외국인 관광객도 많이 찾는다. 호수는 호수 지역의 약 25%를 차지한다. 이 지역의 대부분은 숲으로 덮여 있으며 인구 밀도가 낮다. 이 지역의 도시로는 이마트라, 요엔수, 위배스퀼래, 쿠오피오, 라펜란타, 미켈리, 피에크새매키, 사본린나바르카우스가 있다.

3. 4. 관광

호수수오미는 핀란드인들이 즐겨 찾는 휴양지이다. 무수한 수변마다 케새뫽키(kesämökkifi)라는 여름별장들이 지어져 있으며, 관광지도 많다. 외국인 관광객도 많이 찾는다.[3][4][5][8][9][10][11]

참조

[1] 웹사이트 Finland: Terrängformer och berggrund https://www.ne.se/up[...] Cydonia Development 2017-11-30
[2] 웹사이트 berggrund och ytformer http://uppslagsverke[...] 2017-11-30
[3] 웹사이트 Lake statistics - Järviwiki http://www.jarviwiki[...] 2011-12-02
[4] 웹사이트 Saimaa (04.112.1.001) - Järviwiki http://www.jarviwiki[...]
[5] 웹사이트 Suur-Saimaa - Järviwiki http://www.jarviwiki[...] 2021-03-09
[6] 웹사이트 Finland: Terrängformer och berggrund https://www.ne.se/up[...] Cydonia Development 2017-11-30
[7] 웹사이트 berggrund och ytformer http://uppslagsverke[...] 2017-11-30
[8] 웹사이트 Lake statistics - Järviwiki http://www.jarviwiki[...]
[9] 웹사이트 Saimaa (04.112.1.001) - Järviwiki http://www.jarviwiki[...]
[10] 웹사이트 Suur-Saimaa - Järviwiki http://www.jarviwiki[...]
[11] 문서 ちなみに平均的な湖の水深は7m程度である。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