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혼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혼수는 결혼 시 신부 측에서 신랑 측에 제공하는 재산이나 금전을 의미하며, 기원과 역사적 관행은 지역과 시대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났다. 인류학자 잭 구디의 연구에 따르면, 지참금은 유라시아 지역에서 분산적 상속의 형태로 나타났으며, 쟁기 농업과 관련된 사회에서 주로 나타났다. 반면, 신부 대가는 사하라 사막 이남 아프리카 지역의 괭이 농업 사회에서 주로 나타나는 특징이다. 고대 그리스와 로마, 바빌론 등에서도 혼수 관습이 존재했으며, 근대 유럽과 영국에서도 지참금 제도가 있었다.

현대에는 남아시아, 중동 및 북아프리카 지역에서 혼수 관행이 흔하게 나타나며, 특히 부계 사회에서 두드러진다. 하지만 혼수와 관련된 분쟁은 여성에 대한 폭력으로 이어지기도 하며, 특히 인도, 방글라데시, 파키스탄, 네팔 등지에서는 혼수 살인, 가정 폭력 등의 심각한 사회 문제로 이어지고 있다. 국제기구들은 혼수와 관련된 여성 폭력에 대한 우려를 표명하며, 혼수 관행이 아동 결혼을 영속화하는 데 기여한다고 지적한다.

2. 기원 및 역사적 관행

인류학자 잭 구디는 민족지 아틀라스를 활용하여 전 세계의 지참금(혼수) 시스템을 비교 연구했다. 그 결과, 지참금은 일본에서 아일랜드에 이르는 광범위한 유라시아 사회에서 발견되는 유산의 한 형태이며, 성별에 관계없이 자녀에게 재산을 이전하는 "분산적 상속"을 실천하는 사회에서 나타난다는 것을 발견했다.[10]

Hauenstein에 있는 독일 박물관에 보관되어 있는 지참금 가구(''Aussteuerschrank'').


이러한 관행은 재산 소유자와 동일한 성별의 자녀에게만 재산을 이전하는 "동일한 상속"을 실천하는 대부분의 사하라 사막 이남 아프리카 사회와는 다르다. 후자의 아프리카 사회는 신랑 또는 그의 가족이 신부(신부 본인이 아닌)의 부모에게 주는 돈, 물품 또는 재산인 신부 대가의 전달을 특징으로 한다.[10]

구디는 "분산적 상속"(지참금)과 집약적 쟁기 농업의 발전, 그리고 동일한 상속(신부 대가)과 광범위한 괭이 농업 사이의 역사적 상관관계를 제시했다.[10] 에스터 보세럽의 연구를 바탕으로, 구디는 노동의 성별 분업이 쟁기 농업과 이동식 원예 농업에서 다르다는 점에 주목한다. 인구가 희박한 지역에서 이동식 경작이 이루어지면 대부분의 작업은 여성에 의해 수행된다. 이들은 신부 대가를 지불하는 사회이다. 보세럽은 또한 이동식 원예 농업을 일부다처제와 연관시키며, 따라서 신부 대가는 그녀의 노동력 손실에 대한 보상으로 그녀의 가족에게 지불된다. 반면 쟁기 농업은 주로 남성의 일이며, 여기서 지참금이 주어진다.[10] 쟁기 농업은 사유 재산과 연관되어 있으며 결혼은 일반적으로 일부일처제 경향을 보이며, 재산을 핵가족 내에 유지하려 한다. 가까운 가족은 재산을 집단 내에 유지하기 위해 선호되는 결혼 상대이다.[10]

구디의 이론에 대한 학술적 논쟁도 존재한다. 예를 들어, 실비아 야나기스코는 일본, 남부 이탈리아, 중국의 일부를 포함하여 구디가 주장하는 지참금이 남성 재산의 여성 상속 형태라는 주장을 뒷받침하지 않는 여러 사회가 있다고 주장한다.[10] 반면에, 수잔 만은 후기 제국 시대 중국에서도 지참금이 여성 상속의 한 형태였다는 사례를 들어 반박한다.[11]

스탠리 탬비아는 북인도에서 지참금이 신부의 결혼 기금으로 부분적으로만 사용되며, 상당 부분이 신랑의 공동 가족에게 직접 전달된다고 지적하면서 구디의 주장을 일부 수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12]

슐레겔과 엘롤은 구디의 모델을 확장하여, 결혼 거래 유형을 결정하는 주요 요인은 가구에서 통제하는 재산 유형이라고 주장한다. 신부 대가는 재산과 여성을 순환시키며, 재산이 제한적인 사회에서 전형적이다. 지참금은 재산을 집중시키며, 재산 소유 계급 또는 상업적 또는 목축 유목민에게서 발견된다. 가족이 지참금을 지불할 때, 그들은 딸의 경제적 안정을 보장할 뿐만 아니라 그녀에게 가능한 최고의 남편을 "사들인다".[13]

부유한 가정의 여성이 가난한 남성의 집에 시집갈 때 지참금을 준비하는 관습이 있으며, 약혼은 남성 측만 부담하는 반면(약혼금), 지참금은 여성 측만 부담한다. 여성 측이 남성 측으로부터 약혼으로 받은 금전을 그대로 지참하는 경우도 있다. 여성 황족이 결혼으로 황족 신분을 이탈할 때의 "일시금" (황실경제법 제6조에 따른 황족비의 일부)이 전형적이다.

2. 1. 바빌론

고대 바빌론함무라비 법전과 같은 오래된 기록에는 혼수가 이미 존재하던 관습으로 나타난다. 바빌로니아에서는 신부 값과 혼수 경매가 모두 행해졌다. 그러나 신부 값은 거의 항상 혼수의 일부가 되었다.[14] 헤로도토스에 따르면, 처녀의 경매가 매년 열렸는데, 가장 아름다운 여성부터 시작하여 가장 덜 아름다운 여성 순으로 진행되었다. 매력적인 처녀는 남자가 지불해야 할 신부 값을 결정하기 위해 경매에 부쳐졌고, 매력이 부족한 처녀는 남자에게 지불해야 할 혼수를 결정하기 위해 역경매가 필요했다.[17] 이유 없는 이혼의 경우, 남자는 아내에게 그녀가 가져온 혼수와 남편이 지불한 신부 값을 돌려주어야 했다. 이혼이 바빌론 법에 따라 허용된 이유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혼수 반환에 대한 이의가 제기될 수 있었다.[18][19]

2. 2. 고대 그리스

고대 고전기 그리스에서는 보통 신부 가격(hédnon (ἕδνον))을 지불하는 관행이 있었다. 지참금(pherné (φερνή))은 고전기 후기(기원전 5세기)에 교환되었다. 남편은 아내의 지참금에 대한 특정 재산권을 가졌다. 게다가 아내는 지참금에 포함되지 않고, 결과적으로 그녀에게만 속하는 자신의 재산을 결혼에 가져올 수 있었다. 이 재산은 "지참금 외의 재산"(paraphernagrc, paraphernalia의 어원)으로, 특별 재산 또는 추가지참금 재산으로 불렸다.[20]

지참금은 또한 남편과 그의 가족으로부터의 부당한 대우 가능성에 대해 아내를 보호하는 수단으로 작용했을 수 있으며,[20] 아내가 결혼 직후 사망할 경우 지참금이 신부의 가족에게 반환되어야 하는 문화권에서는 남편이 아내를 해치지 않도록 하는 유인책이 되었다.

2. 3. 로마 제국

로마인들은 지참금(dos)을 실행했다.[23][26] 지참금은 결혼할 때 신부 또는 신부를 대신하여 다른 사람이 신랑 또는 신랑의 아버지에게 양도한 재산이었다. 지참금은 로마 시대에 매우 흔한 제도였으며,[24] 신부가 새로운 가정을 꾸리는 데 필요한 비용의 일부를 신부의 가족이 기여하도록 하려는 바람에서 시작되었다.[25] 남편은 지참금(Dos)을 통해 결혼 생활의 부담(onera matrimonii)을 감당할 수 있었다. 지참금이 아니거나 donatio propter nuptias가 아닌 아내의 모든 재산은 계속해서 아내의 소유였으며, 이를 'Parapherna'라고 불렀다.[23] 지참금은 결혼 시 제공되거나 약속된 모든 형태의 재산을 포함할 수 있지만, 부채를 공제한 후 남은 것만 해당했다. 신부의 가족뿐만 아니라 누구든지 여성을 위해 자신의 재산을 지참금으로 기증할 수 있었다.

두 가지 유형의 지참금이 알려져 있었는데, 그것은 'dos profectitia'와 'dos adventitia'였다.[26] Dos profectitia는 신부의 아버지 또는 아버지의 아버지에 의해 제공되었다. 다른 모든 dos는 adventitia이다. 로마법은 또한 'dos receptitia'라고 불리는 일종의 지참금을 허용했는데, 이는 결혼을 고려하여 신부의 아버지나 아버지의 아버지 외의 다른 사람이 제공했지만, 아내가 사망하면 지참금을 제공한 사람에게 반환한다는 조건이 있었다. 신부의 가족은 딸이 결혼할 때 형편에 맞게 지참금을 낼 것으로 예상되었다.[27] 신부의 가족과 친구들이 3년 동안 분할하여 약속된 지참금을 지불하는 것이 관례였으며, 일부 로마인들은 지참금을 일시불로 지불하여 큰 칭찬을 받았다.[28]

2. 4. 인도 아대륙

인도 아대륙에서 지참금을 주고받는 관습은 논란의 대상이다. 일부 학자들은 고대에도 지참금이 존재했다고 주장하지만, 다른 학자들은 그렇지 않다고 본다. 역사적인 목격자 보고에 따르면 고대 인도에서는 지참금이 미미했고, 딸들은 상속권을 가지고 있었으며, 관습적으로 결혼 시기에 행사되었다.[29] 문헌 증거에 따르면 20세기 초에는 지참금보다는 신부 대금이 일반적인 관습이었으며, 이로 인해 가난한 남자들이 결혼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았다.[30]

스탠리 J. 탐비아(Stanley J. Tambiah)는 고대 마누 법전이 고대 인도(일반적으로 로탁(Rohtak)에서)와 특히 카디아 가문에서 지참금과 신부 대금을 승인했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지참금이 더 권위 있는 형태였고 브라만(사제) 카스트와 관련이 있었다. 신부 대금은 지참금을 줄 수 없는 하위 카스트에 국한되었다. 그는 20세기 초의 두 연구를 인용하여 상위 카스트에서는 지참금, 하위 카스트에서는 신부 대금의 패턴이 20세기 전반기에 지속되었음을 시사하는 데이터를 제시한다.[29] 그러나 탐비아는 결혼이 두 가족 간의 상호 선물을 수반했을 가능성이 더 높다고 주장한다. 신랑 측 가족이 신부 대금을 제공한 한, 그것은 아내의 혼인 재산의 일부로 신부에게 지참금으로 돌려주는 경향이 있었다.[30]

반면, 미하엘 비첼은 고대 인도 문헌에 따르면 베다 시대에는 지참금 관행이 중요하지 않았다고 주장한다.[31] 비첼은 또한 고대 인도 여성은 약속에 의해서든 또는 오빠가 없을 때든 재산 상속 권리를 가졌다고 지적한다.

맥도넬과 키스의 연구 결과는 비첼과 유사하며 탐비아와는 다르다. 그들은 고대 인도 문헌을 인용하여 브라만(사제) 상위 카스트와 관련된 브라마 및 데이바 유형의 결혼에서도 신부 대금이 지불되었음을 시사한다. 지참금은 소녀에게 신체적 결함이 있는 경우 드물지 않았다. 여성의 재산권은 서사시 시대(기원전 200년 – 서기 700년)에 고대 인도에서 증가했다고 맥도넬과 키스는 주장한다.[32] 케인은 고대 문헌에 따르면 신부 대금은 마누와 다른 고대 인도 필경사들이 혐오스럽고 금지한 아수라 유형의 결혼에서만 지불되었다고 주장한다. 로흐테펠드는 '결혼을 축하하기 위해 신부를 화려하게 치장하라'와 같은 마누 등의 종교적 의무는 신부의 재산인 예복과 장신구, 그리고 선물을 의미하며, 신랑이 요구하거나 신랑을 위한 재산이 아니라고 주장한다. 로흐테펠드는 또한 신부 치장이 현재 대부분의 사람들에게 지참금으로 여겨지지 않는다고 지적한다.[33]

다양한 학자들의 위 분석은 목격자 계정이 아닌, 인도의 고대 산스크리트 경전의 구절을 해석한 것을 기반으로 한다. 고대 인도에서 얻을 수 있는 목격자 관찰은 다른 그림을 제공한다. 그중 하나는 아리안과 메가스테네스가 기록한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정복(기원전 300년경)에 대한 목격자 기록이다. 아리안의 첫 번째 책은 지참금의 부재를 언급한다.

아리안의 두 번째 책은 이와 유사하게 다음과 같이 언급한다.

두 출처는 지참금이 없거나 아리안이 알아차릴 정도로 드물었다는 것을 시사한다.[36] 아리안의 방문 후 약 1200년 후, 또 다른 목격자 학자인 아부 라이한 알 비루니가 인도를 방문했는데, 그는 라틴어로 알베로니우스(Alberonius)로도 알려져 있다. 알 비루니는 이슬람 시대의 페르시아 학자였으며 1017년경 16년 동안 인도에 가서 살았다. 그는 많은 인도 텍스트를 아랍어로 번역했을 뿐만 아니라 그가 관찰한 인도 문화와 삶에 대한 회고록을 썼다. 알 비루니는 다음과 같이 주장했다.

알 비루니는 11세기 인도에서 딸이 아버지로부터 상속받을 법적 권리가 있었지만 오빠의 4분의 1에 불과하다고 주장했다. 딸은 이 상속액을 결혼할 때 가져갔다고 알 비루니는 주장하며, 결혼 후 부모로부터 수입을 받을 권리가 없었고 아버지 사망 후 추가 상속을 받을 권리도 없었다. 그녀의 아버지가 결혼 전에 사망한 경우, 그녀의 후견인은 먼저 아버지의 빚을 갚고, 남은 재산의 4분의 1을 그녀가 결혼할 준비가 될 때까지 그녀의 생계를 위해 할당한 다음, 나머지를 그녀에게 주어 결혼 생활에 가져가게 했다.[38]

인도에서는 여성 측이 막대한 지참금을 부담하는 관습이 있으며, 이를 "다헤즈"라고 부른다. 다헤즈에는 화폐 외에도 가치 있는 물품(귀금속류, 가전제품, 부동산 등)을 포함하는 경우도 있다. 다헤즈를 받은 남성 측이 아내가 된 여성을 학대하여 친정으로 돌려보내는 사건(여성 측은 지참한 물품을 그대로 빼앗기게 된다)이 종종 발생하며, 사회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2. 5. 중국

지참금은 중국의 여러 역사적 시기에 일반적이었으며 현대사까지 이어졌다. 현지에서는 으로 불리며, 토지, 보석, 돈에서 의류, 재봉 도구, 가정용품 컬렉션에 이르기까지 다양했다.[11] 일부 학자들은 지참금이 딸에게 상속하는 형태였다고 본다.[40][41][42] 전통적인 중국에서는 가족이 소유한 재산이 있다면 아들만 동등하게 분할하거나 상속하도록 지정되었다. 지참금은 자산이 딸에게 이전되는 유일한 방법이었다. 여기에는 토지와 같은 부동산과 보석, 고급 의류와 같은 동산이 포함되었다. 그녀가 가져온 지참금은 일반적으로 남편의 재산과 공동 가족의 다른 남성 구성원의 재산으로부터 분리되었다. 그녀는 종종 어려운 경제 상황이나 자녀와 남편의 필요를 해결하기 위해 이 재산을 현금으로 팔곤 했다. 드물게는 지참금으로 가져온 재산을 딸이나 며느리에게 양도하기도 했다. 일단 이전된 지참금 자산은 차례로 그것을 받은 여성의 별도 재산(''sifang qian'' 등)을 구성했다. 종종 많은 지참금을 가져온 여성은 그렇지 않은 여성보다 중국 문화에서 더 덕망있는 것으로 여겨졌다.[11] 중국 일부 지역에서는 고대 시대부터 20세기까지 지참금과 신부값(''pinjin'')이 모두 행해졌다. 중국 역사 전반에 걸쳐 신부값을 사용하는 관행이 지참금 대신 주로 사용되었지만, 현대에는 서서히 감소했다.[43]


2. 6. 유럽

유럽에서 혼수는 근대 초기까지 널리 행해졌다. 민담 신데렐라는 계모와 의붓딸 간의 혼수 경쟁을 보여주는 예시로 해석되기도 한다.[44] 조아키노 로시니의 오페라 라 체네렌톨라에서는 돈 마니피코가 딸들의 혼수를 늘려 더 좋은 혼처를 찾고 싶어하지만, 셋째 딸의 혼수까지 마련해야 하는 상황에 처한다.[44]

세 처녀의 혼수 (젠틸레 다 파브리아노, c. 1425, 바티칸 미술관, 로마), 성 니콜라스 전설의 일부.


가난한 여성에게 혼수를 제공하는 것은 부유한 사람들에게 일종의 자선 행위로 여겨졌다. 크리스마스 양말의 관습은 성 니콜라스가 가난한 세 자매의 양말에 금을 던져 혼수를 마련해 준 전설에서 유래되었다. 성 포르투갈의 엘리자베스와 마르틴 데 포레스는 혼수 제공으로 유명했으며, 로마의 수태 고지 대형 공회는 교황 우르바노 7세의 재산을 상속받아 혼수 제공 사업을 전담했다. 1425년, 피렌체 공화국은 ''몬테 델레 도티''라는 공적 기금을 조성하여 피렌체 신부들에게 혼수를 제공했다.

중세 유럽에서 귀족이나 왕족 신부의 혼수로 거액의 상속이 이루어지는 것은 일반적인 일이었다. 1661년 영국의 찰스 2세가 포르투갈의 캐서린과 결혼했을 때, 포르투갈 왕실은 인도모로코의 두 도시를 영국에 혼수로 주었다.

수녀들이 수도원에 들어갈 때 혼수를 지참해야 하는 경우도 있었다.[45] 구체제 프랑스에서는 매력적이지 않은 딸들을 수도원에 보내 결혼할 딸들의 혼수를 늘리는 데 사용하기도 했다.[46] 적절한 혼수를 마련할 수 없는 구체제 가족들은 딸들을 수도원에 보내기도 했다.[47]

니더작센의 벤트하임 백국에서는 아들이 없는 부모가 사위에게 토지를 혼수로 주기도 했다. 이때 사위가 신부의 성을 따르는 조건이 붙는 경우가 일반적이었는데, 이는 가족의 성을 유지하기 위함이었다.

3. 현대적 관행

현대 사회에서 혼수는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며, 각 지역과 문화에 따라 그 의미와 관행이 다르다.

잉글랜드에서는 과거에 지참금이 사용되었으나, 여성의 상속권과 재산 소유권이 인정되면서 대륙과는 다른 양상을 보였다. 노르만 정복 이후 커버처 제도가 도입되어 기혼 여성의 재산은 남편의 통제 하에 놓였지만, 1800년대에 폐지되면서 지참금 개념은 사실상 사라졌다.[51]

스페인 식민지 개척자들은 멕시코에 지참금 관습을 도입했다. 스페인 법은 신부에게 지참금 관리 권한을 부여했지만, 18세기 중반 이후 덜 부유한 딸들은 지참금 없이 결혼하는 경우가 많아졌다.[60] 프랑스 정부는 뉴 프랑스에 정착하는 여성들에게 지참금을 지원하여 결혼을 장려했으며, 퀘벡의 수녀원에서도 수녀가 되려는 소녀들에게 지참금을 요구했다.[61]

미국에서도 잉글랜드와 유럽의 식민지 개척자들에 의해 지참금 관습이 전해졌다. 19세기에는 부유한 산업가들의 딸들이 유럽 귀족과 결혼하면서 막대한 돈과 재산을 지참금으로 제공하기도 했다.[56]

브라질에서는 포르투갈 정착민들에 의해 지참금 관습이 도입되었으며, 식민지 시대에는 토지 상속과 함께 중요한 역할을 했다. 19세기에는 경제적 변화로 인해 남성들이 결혼에 더 많은 재산을 가져오게 되면서 결혼의 경제적 역학 관계가 바뀌었다.[73]

남아시아와 중동 및 북아프리카 여러 국가에서는 혼수가 여전히 흔한 관습이다. 부탄과 같은 예외도 있지만, 대부분의 지역에서는 혼수가 남성 편향적인 상속법과 부계 사회의 관습과 관련되어 있다.[64][65]

터키에서는 "체이즈"(çeyiz|체이즈tr)라고 불리는 혼수 관습이 있으며, 신부 가족이 결혼할 때 부부에게 주는 재산이나 돈을 의미한다.[112][113] 아제르바이잔에서도 "체히즈"(cehiz)라고 불리는 혼수 관습이 있으며, 결혼 전에 신부 측 가족이 신랑 측 가족에게 제공해야 하는 재산과 돈을 의미한다.[121][122]

타지키스탄에서는 혼수가 때때로 요구되지만, 페르소폰 문화권의 다른 지역보다는 덜 흔하며, 이는 소비에트 연방의 영향으로 인한 강한 세속주의 역사 때문이다.[123] 이집트에서는 "게하즈"(Gehaz)라고 불리는 혼수 관습이 있으며, 신부가 결혼 시 지참해야 할 재산이다.[124][125] 모로코에서는 "shura", "shawar", "ssdaq" 또는 "amerwas"라고 불리는 혼수 관습이 있으며, 이는 샤리아에서 종교적으로 요구되는 ''마흐르'' 또는 ''사다크''와는 별개이다.[132]

보스니아에서는 "oprema"라고 불리는 오래된 혼수 관습이 있으며, 신부의 부모가 딸에게 주는 재산이다.[134][135]

3. 1. 한국

결혼식을 올리기 보름에서 일주일 전에 신랑이 친구들과 같이 혼수함과 음식이 든 고리를 신부 집에 갖고 오고, 함을 받은 후 일주일에서 3~4일 후에 신부 집에서 신랑 집으로 예단을 보낸다.[48]

3. 2. 인도

인도에서 지참금은 힌두어로 ''다헤즈''(Dahez)라고 불리며,[67] 인도의 극동 지역에서는 ''아운포트''(Aaunnpot)라고 부른다. 지참금은 중매 결혼 시 신부의 가족이 신랑의 가족에게 현금이나 선물을 지불하는 것을 의미한다. 여기에는 신혼 부부가 집을 꾸미는 데 도움이 되는 현금, 보석, 가전제품, 가구, 침구, 식기, 주방용품, 자동차 및 기타 가정용품이 포함될 수 있다.

인도에서 지참금은 신부의 가족에게 큰 재정적 부담을 준다. 지참금 지불은 현재 인도 민법의 ''지참금 금지법, 1961''과 그 후 인도 형법(IPC)의 304B조 및 498a조에 따라 금지되어 있다. 인도에서 지참금 반대 법률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흔한 관행으로 남아있다. 문제를 해결하려는 다른 법률에는 ''지참금 및 신부 선물 제한 규칙, 1976'' 및 ''지참금 금지(신부 및 신랑에게 주는 선물 목록 유지) 규칙, 1985''가 포함되어 있으며, 이는 선물을 기록하고 신부에 대한 범죄 기소가 발생할 경우 피해자에게 더 강력한 증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68]

인도에서 지참금은 모든 종교에서 널리 퍼져 있다. 수년에 걸쳐 이 관행은 범위와 영향력 측면에서 진화하고 확장되었다. 예를 들어, 인도 무슬림은 지참금을 ''자헤즈''(jahez)라고 부르며, 두 가지 범주로 분류된다. 첫 번째는 신부의 의상과 부부 생활에 필요한 몇 가지 필수 품목으로 구성된다. 다른 하나는 귀중품, 옷, 보석, 신랑 가족에게 지불되는 금액으로, 협상 후에 결정된다.[67]

인도에서 지참금에 반대하는 법률이 수십 년 동안 시행되어 왔지만, 대부분 비효율적이라는 비판을 받아왔다.[69] 지참금으로 인한 사망과 살인 관행은 인도 여러 지역에서 계속해서 무분별하게 발생하고 있으며, 이는 집행에 대한 우려를 더욱 가중시키고 있다.[70] 지참금 살인은 지속되고 있다. 이것은 결혼에 충분한 지참금을 가져오지 않았다는 이유로 아내를 살해하는 것이다. 이는 남편 가족에 의한 일련의 이전 가정 폭력의 절정이다.[71]

인도 형법 498A조에 따르면, 아내가 지참금 괴롭힘을 호소할 경우 신랑과 그의 가족은 자동적으로 체포되어야 했다.[72] 이 법은 광범위하게 악용되었으며, 2014년 인도 대법원은 판사의 승인하에만 체포할 수 있다고 판결했다.[73]

인도에서는 여성 측이 막대한 지참금을 부담하는 관습이 있으며, 이를 "다헤즈"라고 부른다. 다헤즈에는 화폐 외에도 가치 있는 물품(귀금속류, 가전제품, 부동산 등)을 포함하는 경우도 있다. 다헤즈를 받은 남성 측이 아내가 된 여성을 학대하여 친정으로 돌려보내는 사건(여성 측은 지참한 물품을 그대로 빼앗기게 된다)이 종종 발생하며, 사회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3. 3. 방글라데시

방글라데시의 전통적인 결혼 풍습은 신랑 측이 신부 측에 '폰(pawn)'이라 불리는 신부 가격을 지불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1960년대부터 이러한 관습은 '조우툭(joutuk)'이라 불리는 지참금으로 점차 바뀌었다.[74] 21세기 초, 신부 가격은 지참금으로 대체되었다.

'조우툭'(혹은 '조우투크')은 다른 남아시아 지역과 마찬가지로 방글라데시에서 심각하고 심화되는 문제이다. 보고에 따르면, 10만 명의 여성당 연간 0.6명에서 2.8명의 신부가 지참금 관련 폭력으로 사망한다.[75][76][77] 방글라데시는 중산층이 성장하면서 최근 수십 년 동안 지참금의 예상 규모가 증가했다. 사회학자 사라 화이트는 지참금이 여성의 경제적 기여에 대한 보상이 아니라, 가족 발전을 위한 추가 자원 동원과 남성적 공급 및 보호 규범에 대한 헌신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주장한다.[78]

지참금 관련 사망률 증가는 부정적인 요인이다. 방글라데시에서는 지참금 살인이 화형보다는 칼로 찌르거나 독극물로 살해되는 경우가 더 많다. 지참금 강탈 또한 문제이다.[79] 2009년 1월부터 10월까지 방글라데시에서 지참금 관련 구타 및 기타 학대에 대해 3,413건 이상의 민원이 경찰에 접수되었다.[80] 지참금에 불만을 품은 가족들은 산 테러를 사용하기도 하는데, 이는 신부의 얼굴에 농축된 산을 뿌려 훼손시키고 사회적으로 고립시키는 방법이다. 1995년부터 1998년까지 15명의 여성이 산 테러의 동기로 지참금 분쟁을 보고했지만, 실제로는 더 많을 수 있다.[81]

방글라데시는 인도의 법률을 모방한 법률을 통해 이 문제에 대처하고 있다. 관련 법률로는 '지참금 금지법, 1980', '지참금 금지(수정) 조례, 1982', '지참금 금지(수정) 조례, 1986' 등이 있다.[82] '지참금 금지법' 4조는 지참금을 요구하는 사람은 범죄를 저지른 것으로 간주한다고 명시하지만, 이 법을 오용하는 것에 대한 처벌 조항이 없어 여성이 시댁과 남편을 괴롭히는 데 악용되기도 한다.[83]

3. 4. 파키스탄

파키스탄에서 혼수는 자헤즈|jahezur라고 불린다.[84] 2014년 갤럽의 파키스탄 조사에 따르면 파키스탄인의 84%가 혼수가 결혼에서 매우 중요하거나 다소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믿는 반면, 69%는 혼수 없이 여성이 결혼하는 것이 불가능하다고 믿었다.[85]

파키스탄은 다른 남아시아 국가들과 마찬가지로 최근 수십 년 동안 혼수의 가치가 상승했다.[79] 파키스탄에서는 신부의 종교가 무슬림, 힌두교, 기독교인지와 관계없이 결혼 시 일종의 혼수를 가져오는 것이 여전히 기대된다.[86] ''마르''(지참금)와 ''자헤즈''(혼수)는 파키스탄에서 오랜 역사를 가진 관습이다. 오늘날 혼수는 종종 보석, 의류, 돈으로 구성된다.[87] 혼수는 대부분의 결혼이 사촌 간의 근친혼으로 이루어지는 가운데 기대된다.[88]

이론적으로 혼수의 관리는 신부에게 속하지만, 실제로는 관리 권한이 남편과 시댁으로 넘어가는 경우가 많으며, 신랑이 때로는 거액의 혼수를 강탈하기도 한다. 파키스탄 시골에서는 혼수의 가치가 여전히 상대적으로 낮으며, 가구의 연간 (내구재가 아닌) 지출의 약 12% 정도이다. 또한, 파키스탄 시골에서는 시댁에게 혼수 관리 권한을 넘기는 것보다 신부가 결혼 후 자신의 혼수를 계속 관리하는 것이 일반적이다.[89] 2017년 1월 갤럽 파키스탄의 조사에 따르면 인구의 56%가 여성이 결혼 시 혼수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한다.[90] 일부 파키스탄인들 사이에서 거액의 혼수를 제공해야 한다는 압박감으로 인해 일부 신부의 가족들은 채무, 심지어 노예 상태에 빠지기도 한다. 일부 신부들은 집 밖에서 일을 하는 경우 자신의 수입으로 혼수를 마련하기도 한다.[86] 거액의 혼수를 제공함으로써 생기는 채무의 덫은 딸의 결혼을 더 나은 사회 계층으로 성사시키려는 부모들에게 압박을 가한다. 이는 또한 현재 결혼 지연 추세의 한 원인으로 꼽힌다. 사촌 간의 중매 결혼은 흔하며, 이는 혼수를 친족 내에서 유지하는 방법이 되기 때문이다.[91]

파키스탄은 과도한 혼수 요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여러 법률을 통과시켰다. ''서파키스탄 혼수 (전시 금지) 법, 1967'', ''혼수 및 신부 선물 (제한) 법, 1976''이 그것이다. 혼수와 별개로 여성의 상속 권리는 ''1948년 샤리아 이슬람 개인 법''과 ''1961년 무슬림 가족 법령''에서 어느 정도 보호를 받는다.[87] 2020년 10월, 파키스탄은 이슬람 순나의 원칙에 따라 혼수를 받는 것을 불법으로 규정한 최초의 무슬림 국가가 되었다.[92] 이 법안에 따르면 신부에게 혼수로 제공될 수 있는 최대 금액은 4 톨라 금으로 제한되며, 여기에는 신부의 옷과 침대 시트만 포함될 수 있다. 결혼식에 오는 하객은 1000PKR 이상의 선물을 주는 것이 금지된다.[93][94]

3. 5. 네팔

네팔에서는 혼수 관행이 널리 퍼져 있으며, 이와 관련된 폭력은 심각한 사회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로 인해 네팔에서는 혼수 제도가 법으로 금지되었지만,[95] 폭력 사건은 여전히 계속 발생하고 있다.[96] 특히 마데시 사회에서는 혼수를 신랑 측의 당연한 권리로 여기는 인식이 강하며, 고학력자들 사이에서도 이러한 관행이 유지되고 있다.

이러한 사회적 분위기 때문에 딸을 가진 부모들은 혼수 부담에 대한 두려움을 느껴 태아 성 감별 후 딸을 낙태하는 극단적인 선택을 하기도 한다. 또한, 혼수를 제공하지 못해 발생하는 사망 사건도 보고되고 있다. 그러나 혼수 제도는 네팔의 토착민들에게는 적용되지 않으며, 산악 지역에서는 덜 일반적이다.

2009년 네팔 정부는 혼수를 불법화하는 '사회 관습 및 관행 법'을 제정했지만,[97] 실질적인 시행 사례는 거의 알려지지 않았다.

3. 6. 스리랑카

스리랑카에서 지참금은 '데웨다'(dewedda)라고 알려져 있다. 스리랑카에서 지참금을 지불하는 것은 강력한 전통으로 자리 잡았지만,[98] 그 중요성은 점차 줄어들고 있다.[99] 지참금과 관련된 폭력은 다른 남아시아 국가들만큼 흔하지는 않지만, 여전히 존재한다.[99]

3. 7. 아프가니스탄

아프가니스탄에서 혼수는 'Jehez'라고 불리며,[100] 'sherbaha', 그리고 신부 값(현지에서는 'walwar', 'toyana', 또는 'qalyn'이라고 불림)과는 별개이다.[101][102]

아프가니스탄에서는 때때로 많은 혼수를 기대하고 주며, 딸이 결혼식에서 웅장한 모습을 보일 수 있도록 몇몇 집은 거의 텅 빈다. 혼수에 포함되는 품목은 신부 가족의 자원과 신랑 가족의 요구에 따라 달라진다. 자수는 전통적으로 혼수에 포함되며, 토지, 돈, 목걸이와 'pazab'과 같은 보석, 신발, 숄, 카펫, 침구, 가구, 식기류, 거울, 시계 및 기타 품목도 포함된다. 혼수는 결혼식 전날 의식적인 행사에서 밴드와 행렬과 함께 신부 가족의 집에서 신랑 가족의 집으로 옮겨지며, 이는 일반적으로 아프가니스탄 공동체가 신부 가족이 주는 혼수를 볼 수 있도록 주거 지역에서 가장 긴 경로를 채택한다.[103][104]

아프가니스탄에서 결혼은 일반적으로 두 종류의 지불을 필요로 한다. 하나는 마흐르로, 일반적으로 가축, 재산 및 돈으로 구성되며, 실제로는 여성의 가족에게 지불되는 신부 값의 형태를 취하는 경우가 많다. 다른 하나는 신부가 남편의 집으로 가져오는 혼수로, 의류, 침구 및 가정용품과 같은 다양한 물품을 포함할 수 있다.[102][105] 신부가 가져오는 혼수의 성격은 그녀가 남편의 집에 도착했을 때 그녀가 어떻게 대우받는지에 종종 영향을 미친다.[105] 부모는 딸에 대한 경제적 책임을 끝내기 위해 종종 어린 나이에 딸의 결혼을 주선한다.[106]

3. 8. 이란

이란에서 지참금은 "자히지예"(جهیزیه|jahīzīehar)라고 불리며, 1000년 이상 존재해 왔다.[107][108] "자히즈"는 신부의 가족이 신부가 신랑 가족에게 가져가도록 주는 의복, 가구, 보석, 현금 및 기타 장비이다.[109] 자히즈는 샤리아 종교법에 의해 요구되는 마흐르와는 별개이며, 이란 시골 지역에서는 전통적으로 "시르 바하"(Shir Baha, 문자 그대로: 우유 가격)를 지불한다.[110][132] 이란에서는 지참금과 관련된 폭력과 사망 사건이 이란 신문에 보도되며, 일부는 영어 매체에도 보도된다.[111]

3. 9. 터키

터키에서 지참금은 "체이즈"(çeyiz|체이즈tr)라고 불리며, 신부 가족이 결혼할 때 부부에게 주는 재산이나 돈을 의미한다.[112][113] 체이즈는 신랑이 신부에게 주는 마흐르(Mahr)나 터키 일부 지역의 전통적인 "바슬릭"(baslik)과는 다르다. 현대에는 혼수 대신 결혼식에서 가족 구성원들이 선물을 교환하기도 한다.

체이즈는 터키 가족의 재산에 따라 가구, 가전제품, 옷, 금 장신구, 현금 등 다양한 품목을 포함한다.[114] 터키 혼수의 일부는 결혼 후 부부에게 남고, 나머지는 신랑 가족과 친척을 위한 것이다.[115]

일반적으로 체이즈는 결혼 날짜가 확정되기 전에 신랑과 신부 가족 간에 합의된다. 터키 시골에서는 여전히 결혼 전에 신부 가족이나 신랑 가족에게 혼수를 전시하여 과시하는 전통이 있다. 이 전시는 주로 신랑 가족 여성들이 참석하여 검토한다. 신랑 가족이 전시된 혼수에 만족하지 못하면 결혼이 취소되는 경우도 있다.[115] 혼수는 결혼 직전 신부 가족에서 신랑 가족에게 의례를 통해 전달되고, 그 후 결혼식이 완료된다.[115][116]

일부 학자[117][118]와 정부 기관[119]은 혼수 분쟁이 터키에서 가정 폭력의 주요 원인 중 하나라고 주장한다. 이혼 시 폭력 및 재산 관련 분쟁이 더 자주 발생한다.

3. 10. 아제르바이잔

아제르바이잔에서 혼수는 '체히즈'(cehiz)라고 한다. '체히즈'는 결혼 전에 신부 측 가족이 신랑 측 가족에게 제공해야 하는 재산과 돈을 의미하며, 샤리아 종교적 요구 사항에 따라 필요한 '마흐르'(Mahr)와는 별개이다.[121][122] '체히즈'에는 가구, 가전제품, 크리스털, 거울, 침대, 보석, 현금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이는 결혼식 전 양측 가족 간의 협상에 따라 결정된다. 신랑 측은 '체히즈'를 받고, 신부는 '마흐르'를 받는다. 신부의 친척들은 '콘자스'(koncas)라는 의식을 통해 '체히즈' 마련에 기여하기도 한다. 혼수는 결혼 며칠 전에 전달되며, 신랑 측 가족이 검토한 후 혼수에 대한 '시야히'(Siyahı, 영수증)를 발급하여 분쟁을 방지한다. 혼수 품목이 만족스럽지 않으면 결혼이 연기되거나 취소될 수 있다.[121][122] 이러한 전통은 코카서스의 비 이슬람교 민족 집단 사이에서도 계속되고 있다.[121][122]

3. 11. 타지키스탄

타지키스탄에서는 혼수가 때때로 요구되지만, 페르소폰 문화권의 다른 지역보다는 덜 흔하다. 이는 타지키스탄이 과거 소련의 일부였기 때문에 강한 세속주의 역사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123] 혼수는 결혼식 날 전시되는 전통 의상 세트로 구성되는 경우가 많다.[123]

3. 12. 이집트

이집트에서 지참금은 '게하즈'(Gehaz)로 알려져 있다.[124][125] 이는 신부가 결혼 시 지참해야 할 재산이며, 신랑이 샤리아의 요구에 따라 신부에게 지불하는 지참금(마흐르)과는 다르다. '게하즈'는 이집트의 시골과 도시에서 모두 관찰되며, 일반적으로 신랑 측 가족과 신부 측 가족 간에 협상된다. '게하즈'에는 가구, 가전제품, 보석, 도자기, 침구 및 다양한 가정용품이 포함된다. 가족들은 소녀가 약혼하기 몇 년 전부터 지참금을 모으기 시작하며, 많은 이집트 소녀들은 지참금 마련을 위해 직업을 갖기도 한다.[126][127]

지참금은 결혼식 때 주어지지만, 이집트 시골에서는 결혼 전에 마을에 의례적으로 전시된다. 신부 가족은 '게하즈'의 모든 품목을 오픈카에 싣고 음악과 함께 마을을 여러 번 돌며 지참금을 과시한다.[124][128] 이 '게하즈' 과시 의식은 신부가 새로운 결혼 가족 내에서 지위를 향상시키는 수단이기도 하다.

3. 13. 모로코

모로코에서 혼수는 전통적이며 현재까지 이어지는 관습으로, 지역과 민족(예: 아랍어, 베르베르어 등), 화자에 따라 'shura', 'shawar', 'ssdaq' 또는 'amerwas'라고 불린다. 모로코의 혼수는 샤리아에서 종교적으로 요구되는 ''마흐르'' 또는 ''사다크''와는 별개이다.[132]

수세기 전 모로코에서 ''마흐르''와 ''사다크''는 서로 다른 의미를 가졌다. ''마흐르''는 신랑 가족이 신부 아버지 또는 보호자에게 지불하는 신부 구매 가격이었고, ''사다크''는 신랑이 신부에게 주는 약혼 선물이었다.[130] 시간이 흐르면서 이 둘의 차이는 사라졌고 현재는 같은 의미를 가지지만, 혼수 관행과는 다르다.[131]

현대 모로코에서는 이슬람의 ''마흐르'' 요구 사항을 충족시키기 위해 소위 ''사다크''를 ''나크드''(현금)와 ''칼리''(잔여 마흐르)의 두 부분으로 나누는 관행이 있다. ''나크드 사다크''는 결혼 전에 신랑 측 가족이 신부 측 가족에게 지불한다. 신부 측 가족은 ''나크드'' 금액에 동일하거나 더 많은 현금을 추가하여 혼수(''shura'', ''shawar'' 또는 ''amerwas'')를 제공한다. 이 혼수는 보통 가구, 의류, 가전제품, 침대, 가정용품, 다반, 보석 및 기타 재산을 포함한다. 혼수 금액은 결혼 전에 협상된다. 미혼 여성보다 과부와 이혼녀에게 더 높은 혼수와 더 낮은 마흐르가 예상된다. 양가 어른들이 혼수 금액에 동의하지 않으면 결혼이 연기되거나 취소되기도 한다. 혼수의 가치와 구성은 사회 계층, 가족의 재산, 지역 관습에 따라 달라진다. ''칼리 알-사다크''(북부 모로코에서는 때때로 ''mwahhar''라고 함)는 나중에 지불되어 이슬람 샤리아 하에서 ''마흐르'' 요구 사항을 충족시킨다. ''shura''(혼수)는 ''칼리 알-사다크''를 훨씬 초과하며, 신부 측 가족으로부터 부부와 신랑 측 가족에게 막대한 재산 이전이 이루어진다.[132][133]

3. 14. 보스니아

보스니아에서 지참금은 ''oprema''로 알려진 오래된 관습이다.[134][135] 인접 지역에서는 때때로 ''prikija'' 또는 ''ženinstvo''라고 불리기도 한다. ''miraz''라는 용어가 사용되기도 하지만, 이는 상속을 의미하는 ''immigrant''와는 다른 의미를 가진다.[136][139]

''Oprema''는 신부의 부모가 결혼의 일환으로 딸에게 주는 재산이다. 여기에는 가구, 주방 용품, 장식품, 금 장신구 및 기타 품목이 포함되는 경우가 많다. ''Oprema''는 보스니아의 ''pohod''(선물 증정, ''dar'') 의례 및 ''ruho''(자수 의류) 의례와는 다르다. ''Oprema''는 결혼 전에 신랑 측과 신부 측 가족 간에 논의되며, 신랑 측 가족이 품질과 수량에 대한 기대를 설정한다. ''Oprema''는 일반적으로 결혼식에 참석하는 사람들에게 공개되지 않는다. ''Oprema''와 ''dar''는 보스니아에서 신부 측 가족에게 큰 경제적 부담이 된다. 가난한 가족은 딸을 결혼시키기 위해 수년간 돈을 저축하고 ''oprema''를 구입한다.[134][137][138]

4. 여성에 대한 폭력 및 국제적 관점

지참금 관련 분쟁은 여성에 대한 폭력으로 이어질 수 있다. 국제앰네스티는 "여성이 재산으로 취급될 때 발생할 수 있는 일의 예시로, 혼수와 관련된 폭력이 계속되고 있습니다"라고 언급하며 우려를 표명했다.[140] 여성에 대한 폭력 철폐 선언에서는 가정 폭력의 정의에 '혼수 관련 폭력'을 포함하고 있다.[141]

키르티 싱은 "혼수는 아들 선호의 원인과 결과로 널리 여겨집니다. 혼수 관행은 필연적으로 딸에 대한 다양한 차별로 이어지고 다양한 형태의 폭력에 취약하게 만듭니다"라고 지적한다.[142] 유니세프는 혼수가 아동 결혼을 영속화하는 데 영향을 준다고 언급한다.[143] 세계 보건 기구(WHO)는 혼수 관련 여성 살해에 대해 우려를 표명하며, 이는 주로 인도 아대륙 지역에서 발생한다고 밝혔다.[2][144] 유엔마약범죄사무소(UNODC)는 혼수 사망을 성별 기반 폭력의 한 형태로 간주한다.[146]

참조

[1] 웹사이트 India's dowry deaths http://news.bbc.co.u[...] BBC 2016-04-20
[2] 웹사이트 Understanding and addressing violence against women http://apps.who.int/[...]
[3] 웹사이트 Combating Acid Violence in Bangladesh, India, and Cambodia http://www2.ohchr.or[...]
[4] 웹사이트 dowry marriage custom https://www.britanni[...] 2015-10-14
[5] 간행물 A dowry is the transfer of parental property to a daughter at her marriage (i.e. "inter vivos") rather than at the owner's death (''mortis causa'').
[6] 서적 Rules and Processes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81
[7] 논문 "The economics of dowry and brideprice" in the
[8] 서적 The Nigerian Legal System: Public Law, Volume 1 2007
[9] 뉴스 Bride price: an insult to women, a burden to men? http://news.bbc.co.u[...] 2004-08-30
[10] 논문 Family and Household: The analysis of domestic groups
[11] 논문 Dowry Wealth and Wifely Virtue in Mid-Qing Gentry Households 2008
[12] 논문 Bridewealth and Dowry Revisited: The Position of Women in Sub-Saharan Africa and North India [and Comments and Reply] 1989
[13] 논문 Marriage Transactions: Labor, Property, Status
[14] 웹사이트 Women in Babylonia Under the Hammurabi Law Code http://www.womeninth[...] 2009
[15] 문서 The Code of Hammurabi
[16] 문서 Shubik, 2004: p214
[17] 서적 Auctions and Auctioneering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67
[18] 웹사이트 The Code of Hammurabi http://avalon.law.ya[...] 1915
[19] 웹사이트 Hammurabi's Code and Babylonian Law http://iws.collin.ed[...] 2007
[20] 문서 Dowry Encyclopedia of Ancient Greece 2002
[21] 뉴스 AROUND THE WORLD; Greece Approves Family Law Changes https://www.nytimes.[...] 1983-01-26
[22] 문서 "The Intersection of Gender, Class and Nationality and the Agency of Kytherian Greek Women." 2007-08-11
[23] 문서 Dos https://penelope.uch[...] A Dictionary of Greek and Roman Antiquities, John Murray, London 1875
[24] 서적 The Encyclopedia of Ancient History 2012
[25] 웹사이트 The Dowry in Ancient Rome http://www.womeninth[...] 2010
[26] 서적 Handbook of the Roman law: Volumes 1–2 1883
[27] 웹사이트 M. TVLLI CICERONIS PRO A. CAECINA ORATIO http://www.thelatinl[...] Roman Law
[28] 문서 The Library of History
[29] 문서 Terapanth ke Drudhdharmi Shravak Arjunlalji Porwal, Kesrimal ji Surana Abhinanda Granth 1982
[30] 문서 Parwar Directory 1924
[31] 논문 Little Dowry, No Sati: The Lot of Women in the Vedic Period 1996
[32] 문서 Vedic Index: Names and Subjects
[33] 문서 The Illustrated Encyclopedia of Hinduism: A-M
[34] 문서 The Invasion of India by Alexander the Great as described by Arrian
[35] 문서 Megasthenes and Arrian
[36] 서적 Epic India, Or, India as Described in the Mahabharata and the Ramayana
[37] 서적 Alberuni's India (Vol. 2) Kegan Paul, Trench, Trübner & Co. (London, 1910.)
[38] 서적 Alberuni's India (Vol. 2) Trübner & Co. (London, 1910.)
[39] 웹사이트 Taipei's trove of Chinese art https://www.nytimes.[...] 1986-01-12
[40] 논문 Bridal dowry land and the economic status of women from wealthy families in the Song Dynasty
[41] 논문 Life-cycle rituals in Dongyang County: time, affinity, and exchange in rural China. 1998
[42] 논문 Dowry and Intrahousehold Bargaining Evidence from China http://deepblue.lib.[...]
[43] 논문 The Camera's Positioning: brides, grooms, and their photographers in Taipei's bridal industry
[44] 서적 From the Beast to the Blonde: On Fairy Tales And Their Tellers
[45] 웹사이트 Convent http://www.newadvent[...] 2010-11-02
[46] 서적 False Dawn
[47] 서적 False Dawn
[48] 뉴스 A Wife Wanted https://www.newspape[...] 1828-10-18
[49] 서적 A New Dictionary of British History
[50] 논문 A new look at the Reformation: Aristocratic women and nunneries, 1450–1540
[51] 서적 To Marry An English Lord
[52] 서적 The Domostroi: Rules for Russian Households in the Time of Ivan the Terrible
[53] 서적 Village Life in Late Tsarist Russia Indiana University Press, Bloomington and Indianapolis
[54] 서적 Village Life in Late Tsarist Russia Indiana University Press, Bloomington and Indianapolis
[55] 논문 Women, Dowries, and Patrimonial Law in Old Regime Romania (c. 1750–1830)
[56] 서적 Cultural Anthropology: An Applied Perspective https://archive.org/[...] Cengage Learning
[57] 서적 Native Americans And Native Indians Concept Publishing Company
[58] 서적 Trading Roles: Gender, Ethnicity, and the Urban Economy in Colonial Potosí https://archive.org/[...] Duke University Press
[59] 서적 Trading Roles: Gender, Ethnicity, and the Urban Economy in Colonial Potosí https://archive.org/[...] Duke University Press
[60] 서적 The Women of Colonial Latin America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61] 서적 Women and Freedom in Early America https://archive.org/[...] NYU Press
[62] 웹사이트 Who is St. Nicholas? http://www.stnichola[...] 2012-09-11
[63] 서적 Archaeologia Americana: transactions and collections of the American Antiquarian Society, Volume 3 American Antiquarian Society, digitized by University of Wisconsin at Madison
[64] 논문 Law, Custom, and Crimes against Women: The Problem of Dowry Death in India 1991-12
[65] 논문 The institution of dowry in India: Why it continues to prevail
[66] 서적 Encyclopedia of Women in Today's World, Volume 1 SAGE
[67] 논문 Dowry among Indian muslims: ideals and practices SAGE 2009-02
[68] 문서 dowry_prohibition.pdf https://www.indiacod[...]
[69] 논문 Practical Steps towards Eliminating Dowry and Bride-Burning in India
[70] 논문 A 'Lesser' Crime: A Comparative Study of Legal Defenses for Men Who Kill Their Wives 1991
[71] 논문 Dowry-murder: An example of violence against women
[72] 웹사이트 Section 498A of the Indian Penal Code https://lawtimesjour[...] 2020-03-29
[73] 뉴스 No arrests under anti-dowry law without magistrate's nod: SC http://timesofindia.[...] 2014-07-03
[74] 서적 The Continuing Demographic Transition Oxford University Press
[75] 논문 Dowry in Bangladesh: Compromizing {{sic|hide=yes}} Women's Rights
[76] 웹사이트 Women's Safety: Ghosts on the Prowl http://www.dhakacour[...] Dhaka Courier 2012-01-26
[77] 웹사이트 Dowry System https://teletalkbd.c[...] 2020-12-25
[78] 논문 Patriarchal Investments: Marriage, Dowry and the Political Economy of Development in Bangladesh
[79] 서적 South Asians and the Dowry Problem Trentham Books
[80] 서적 Annual Report: Bangladesh 2010 http://www.amnestyus[...] Amnesty International
[81] 간행물 Baseline Report: Violence Against Women in Bangladesh International Women's Rights Action Watch Asia Pacific
[82] 웹사이트 http://bdlaws.minlaw[...]
[83] 웹사이트 Women repression, dowry: Law needs changes to check false cases http://news.priyo.co[...] 2016-04-20
[84] 논문 Community perceptions of reasons for preference for consanguineous marriages in Pakistan https://ro.uow.edu.a[...] 1999-10
[85] 웹사이트 Tradition of dowry in Pakistan: 56% Pakistanis believe it is impossible for girls to get married without dowry http://gallup.com.pk[...] 2017-01-17
[86] 서적 The Christians of Pakistan: The Passion of Bishop John Joseph https://books.google[...] Routledge
[87] 서적 Women in Muslim Family Law https://books.google[...] Syracuse University Press
[88] 논문 A study of dowry and marriage arrangements in a rural area of district Faisalabad https://pakjas.com.p[...] 1995
[89] 서적 Bride Exchange and Women's Welfare in Rural Pakistan World Bank Publications
[90] 뉴스 Why Improving female conditions depends on outlawing dowry https://www.globalvi[...] 2018-02-09
[91] 서적 Pakistan and the Karakoram Highway Lonely Planet
[92] 웹사이트 Pakistan Bans Dowry, Becomes First Muslim Country to Ban Dowry https://theislamicin[...] 2020-10-09
[93] 웹사이트 Pakistani govt officially bans dowry now https://nation.com.p[...] 2020-10-09
[94] 웹사이트 Pakistan bans dowry in a historic decision https://pk.mashable.[...] 2020-10-09
[95] 웹사이트 Nepal bans dowry, caste-based discrimination http://southasia.one[...] 2016-04-20
[96] 웹사이트 Dowry deaths on the rise in Nepal http://news.asiaone.[...] 2016-04-20
[97] 서적 Femicide: A Global Issue that Demands Action http://www.genevadec[...] Academic Council on the United Nations System (LACUNA) Vienna Liaison Office
[98] 웹사이트 A Proposal for a Dowry Prohibition Law in Sri Lanka: An Assessment in the Light of Indian Dowry Prohibition Act No. 28 of 1961 http://archive.cmb.a[...]
[99] 논문 Gender and health in Sri Lanka 1997
[100] 웹사이트 Factors Influencing Decisions to Use Child Labour http://www.areu.org.[...] Afghanistan Research Unit, Kabul 2008-08
[101] 웹사이트 Dowry burden unleashes myriad social problems http://www.afghanist[...] Afghanistan Times 2013-08-03
[102] 웹사이트 Gender Awareness and Development Manual http://www.undp.org.[...] United Nations Development Program & Government of Afghanistan, Kabul 2007-05
[103] 논문 The Folk Life of Afghanistan. 1919-12
[104] 논문 Through a widow's eyes
[105] 웹사이트 Family http://countrystudie[...] Afghanistan A Country Study, Library of Congress
[106] 서적 Encyclopedia of Women in Today's World, Volume 1 SAGE
[107] 웹사이트 Steingass Persian-English http://dsalsrv02.uch[...] 2017-03-24
[108] 웹사이트 Persian English Dictionary http://www.aryanpour[...] 2014-11-02
[109] 웹사이트 Encyclopedia Iranica http://www.iranicaon[...] New York 2013-05-17
[110] 논문 Women in Developing Countries: Methodological and Theoretical Considerations.
[111] 웹사이트 Isfahan man kills daughter over inability to pay dowry https://www.pbs.org/[...] Public Broadcasting Service 2018-01-08
[112] 학위논문 Containing the Future: Modern Identities as Material Negotiation in the Urban Turkish Ceyiz 2011
[113] 서적 Encyclopedia of Women & Islamic Cultures, Volume 3 Brill
[114] 서적 Encyclopedia of Women & Islamic Cultures, Volume 3 Brill
[115] 서적 Contemporary Consumption Rituals 2004
[116] 학술지 Spotlighting a Silent Category of Young Females: The Life Experiences of 'House Girls' in Turkey 2012-03
[117] 학술지 The role of the State in protecting women against domestic violence and women's shelters in Turkey 2013-05
[118] 학위논문 Combating domestic violence in Turkey 2008-03-26
[119] 서적 Kadin ve kizlara yönelik şiddetten kaçmanin üç adimi http://www.westyorks[...] Home Office 2012
[120] 웹사이트 https://www.thaiemba[...]
[121] 서적 The Return of Private Property: Rural Life After Agrarian Reform in the Republic of Azerbaijan
[122] 학술지 Wedding Celebration Customs of West Azerbaijan and Urmia in Tradition http://www.lifescien[...] 2013-10-10
[123] 뉴스 Tajik weddings hit by austerity law https://www.bbc.co.u[...] 2011-04-14
[124] 학술지 Education, wage work, and marriage: Perspectives of Egyptian working women
[125] 웹사이트 Marriage in Subsaharan & West African Countries http://prezi.com/ltq[...] Prezi 2013-12-26
[126] 보고서 Building assets for safe, productive lives: A report on a workshop on adolescent girls' livelihoods 2005
[127] 웹사이트 Egyptian working women's perceptions of marriage http://www.thefreeli[...] Central Agency for Public Mobilization and Statistics, Egypt
[128] 보고서 A Collective Model of Female Labor Supply : Do Distribution Factors Matter in the Egyptian Case ? https://hal.science/[...] 2010
[129] 학술지 Ethnography and Exhibitionism at the Expositions Universelles 1990
[130] 서적 Marriage Ceremonies in Morocco Macmillan and Company 1914
[131] 학술지 Divorce and Property in the Middle Atlas of Morocco 1974
[132] 서적 Marriage on Trial: A Study of Islamic Family Law Tauris
[133] 서적 Muslim Women's Choices: Religious Belief and Social Reality
[134] 서적 Being Muslim the Bosnian Way Princeton University Press
[135] 서적 Dowry and Wedding Celebrations in Yogurtslaves Academic Press
[136] 서적 Bosnian-English Dictionary – Turcisms Collorquialisms Islamic Swords
[137] 학술지 Džamutra, or the Bridegroom; Some Marriage Customs in the Villages Around Tetovo in Serbian Macedonia or Southern Serbia. (Part One)
[138] 학술지 Entitlement of Female Descendants to Property of Croatian Communal Household http://www.historyof[...] 2011
[139] 학술지 Re-emergence of the dowry amongst Serbs https://anali.rs/xml[...] 2010
[140] 웹사이트 Violence Against Women Information http://www.amnestyus[...] 2016-04-20
[141] 웹사이트 A/RES/48/104. Declaration on the Elimination of Violence against Women https://www.un.org/d[...] 2016-04-20
[142] 웹사이트 Laws and son preference in India: a reality check http://india.unfpa.o[...] United Nations Population Fund (UNFPA) – India 2013-08
[143] 웹사이트 Unicef India http://www.unicef.or[...] UNICEF 2016-04-20
[144] 웹사이트 Strengthening Understanding of Femicide http://www.path.org/[...]
[145] 웹사이트 PAKISTAN: The social injustice behind the practice of dowry-when greed dictates society http://www.humanrigh[...] Asian Human Rights Commission 2014-01-10
[146] 웹사이트 Gender in the Criminal Justice System Assessment Tool http://www.unodc.org[...] UNODC 2014-03-13
[147] 웹사이트 India https://www.unodc.or[...] UNODC
[148] 웹사이트 2011 Global Study on Homicide http://www.unodc.org[...] UNODC 2014-12-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