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화가자리 베타 b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화가자리 베타 b는 2008년 발견된 외계 행성으로, 칠레 파라날 천문대 VLT 망원경을 통해 직접 촬영되었다. 목성형 행성으로, 목성보다 질량과 반지름이 크며, 2018년 천체측량 섭동을 통해 질량이 목성의 약 11배로 직접 측정되었다. 대기는 먼지와 구름으로 덮여 있으며, 온도는 약 1724 켈빈으로 추정된다. 모항성인 화가자리 베타를 약 21년 주기로 공전하며, 자전 주기는 약 8.1시간으로 알려진 외계 행성 중 가장 빠르게 자전한다. 2024년 연구에서는 외계 위성의 존재 가능성이 제기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화가자리 - HD 40307
    HD 40307은 지구에서 42광년 떨어진 오렌지색 왜성으로, 태양 질량의 약 75%이며, 2008년 3개의 슈퍼지구 발견 후 2012년 추가 발견으로 총 6개의 행성을 거느리고 있고, 일부 행성은 생명체 거주가능 영역에 위치한다.
  • 화가자리 - 캅테인의 별
    캅테인의 별은 야코뷔스 캅테인이 발견한 큰 고유 운동을 보이는 준왜성이었으나, 현재는 슈퍼지구형 외계 행성 존재가 부정되고 있다.
  • 2008년 발견한 외계 행성 - MOA-2007-BLG-192Lb
    궁수자리에 위치한 적색 왜성 MOA-2007-BLG-192L은 지구로부터 약 7040 광년 떨어져 있으며 태양 질량의 0.24배이다.
  • 2008년 발견한 외계 행성 - HR 8799 c
    HR 8799 c는 HR 8799를 공전하는 외계 행성으로, 2008년에 발견되었으며, 궤도 긴반지름은 42.9 AU이고, 공전 주기는 약 231.7년이며, 목성보다 크고 표면 온도는 약 820℃이다.
화가자리 베타 b
기본 정보
화가자리 베타 b의 움직임. 궤도면이 옆에서 보임; 행성은 별을 향해 움직이지 않음.
발견자라그랑주 외
발견 장소초대형 망원경
발견 날짜2008년 11월 18일
발견 방법직접 촬영
항성화가자리 베타
별자리화가자리
형태A6 V
상태존재 검증됨
궤도 정보
궤도 참조
궤도 긴반지름10.018+0.082−0.076 천문단위
궤도 이심률0.106+0.007−0.006
공전 주기23.593+0.248−0.209년
궤도 경사89.009+0.012°
승교점 경도31.774+0.008−0.009°
근성점 통과 시간2448022.339+15.635−24.710
근일점 인수21.835+4.099−4.044°
반진폭78.791+15.672−14.126 미터 매 초
각거리450 ± 9 밀리초각
평균 거리~ 9 천문단위
물리적 특징
평균 반지름1.46 ± 0.01목성 반지름
질량11.729+2.337−2.135목성 질량
자전 속도19.9 ± 1.0 킬로미터 매 초
자전 주기8.7 ± 0.8 시간
표면 온도1724 켈빈 ± 15 켈빈
온도 (섭씨)1450 섭씨 ± 15 섭씨
온도 (화씨)3140 화씨 ± 27 화씨

2. 발견

2008년 11월 18일, 안 마리 라그랑주 연구진은 칠레 북부 아타카마 사막에 위치한 파라날 천문대초대형 망원경(VLT) NACO 장비를 이용하여 화가자리 베타 b를 발견했다고 발표했다.[16][8] 이 행성은 직접 촬영법 중 하나인 기준별 차등 화상촬영법(reference star differential imaging)을 사용하여 그 모습이 직접 사진으로 확인되었다.[16]

행성을 포착한 최초의 이미지는 2003년에 촬영되었으나, 당시 데이터 처리 과정에서는 잡음 등의 문제로 행성의 존재를 인지하지 못했다.[16][8] 이후 2008년, 연구진이 새로운 이미지 처리 기술을 이용하여 2003년 데이터를 다시 분석한 결과, 이전에는 놓쳤던 희미한 점광원이 행성임을 밝혀냈다.[16][8]

연구진은 2009년 말부터 2010년 초까지 같은 장비로 후속 관측을 진행하여 행성의 존재를 재확인했다. 이 검증 과정에서는 행성이 처음 발견되었을 때와는 모항성을 기준으로 반대편 위치에서 관측되었다. 이 연구 결과는 권위 있는 과학 저널인 사이언스에 게재되었으며,[17] 화가자리 베타 b는 직접 촬영된 외계 행성 중 모항성에 가장 가까이 공전하는 행성으로 기록되었다.[17]

3. 물리적 특성

화가자리 베타 b는 목성형 행성으로, 목성보다 질량과 반지름이 더 큰 외계 행성이다.[2] 이 행성의 유효 온도는 약 1,600,000에서 1,800,000 사이로 추정되며,[18] 분광 에너지 분포 연구 결과 대기는 먼지가 많거나 구름으로 가득 덮여 있을 것으로 보인다.[18][15]

2014년에는 일산화 탄소 흡수선 분석을 통해 외계 행성 중 최초로 자전 속도를 측정했는데, 그 주기는 약 8.1시간으로 매우 빠른 편이다.[19][20][21] 이는 당시까지 발견된 외계 행성 중 가장 빠르게 회전하는 사례 중 하나로 기록되었다.[19]

3. 1. 질량, 반지름, 온도

화가자리 베타 b는 목성형 행성으로, 목성보다 반지름과 질량이 더 큰 외계 행성이다.[2] 이 행성의 질량은 목성 질량의 9배에서 13배 사이로 추정된다.[2] 2018년에는 화가자리 베타 b가 어머니 별 화가자리 베타에 미치는 천체측량 섭동을 직접 측정하여 질량을 11 ± 2 목성 질량으로 계산했는데, 이는 천체측량 섭동으로 외계 행성의 질량을 직접 측정한 최초의 사례 중 하나이다.[2] 반지름은 목성 반지름의 약 1.46배이다. (2013년 연구에서는 반지름을 목성의 1.65배로 추정한 바 있다.[15])

행성의 유효 온도는 약 1724 켈빈(K)으로 추정된다.[2] 2013년 분광 에너지 분포(SED) 분석을 통해서는 유효 온도 범위를 1600 ~ 1800 켈빈(K)으로[18], 이후 재분석을 통해 1550 ~ 1625 켈빈(K) 사이로 더 좁게 추정했다.[15] 이때 측정된 표면 중력은 log g = 3.8 (3.78 ~ 3.82)이다.[15]

분광 에너지 분포 연구 결과, b의 대기는 먼지가 많거나 구름으로 가득 덮여 있는 것으로 보인다.[18][15] SED는 젊은 L형 왜성과 비슷하지만 표면 중력은 더 낮으며,[18] 특히 중적외선 3.1 마이크로미터 파장대에서는 젊은 L형 왜성보다 더 밝게 관측되었다.[15] 이는 먼지 입자와 두꺼운 구름의 존재를 시사한다.[15]

3. 2. 모항성

행성 화가자리 베타 b는 화가자리 베타라는 별 주위를 공전한다. 이 별은 A형 주계열성으로, 질량은 태양의 1.75배(1.75 M)이고 반지름은 태양의 1.8배(1.8 R)이다. 표면 온도는 8056 K이며, 이는 태양의 표면 온도인 5778 K[4]보다 높다. 나이는 약 1200만 년으로 추정되는데, 약 46억 년인 태양[3]과 비교하면 매우 젊은 별에 속한다. 화가자리 베타는 금속 함량이 약간 풍부한 편으로, 금속성([Fe/H])은 0.06인데 이는 태양이 지닌 양의 112%에 해당한다.[5] 광도는 태양의 8.7배이다. 이 별의 겉보기 등급은 3등급으로, 지구에서 맨눈으로 볼 수 있다.

3. 3. 궤도

화가자리 베타 b는 약 21년에 한 번씩 모항성을 공전하며, 모항성과의 평균 거리는 9.2 AU이다. 이는 태양계토성 궤도 반지름(약 9.55 AU)과 비슷한 거리이다.[6] 이 거리에서 행성이 받는 햇빛의 양은 지구가 태양으로부터 받는 양의 약 11% 수준이다.[6]

2010년에서 2011년 사이의 연구 결과, 이 행성의 공전궤도 황도경사각은 88.5도로 밝혀졌는데, 이는 지구에서 보았을 때 거의 옆에서 보는 각도(edge-on)에 해당한다.[14] 행성의 궤도면은 행성계의 주(主) 먼지원반에 대해 약 3.5도에서 4도 정도 기울어져 있으며, 내부 원반(inner disk)과는 공전면을 공유하며 항성을 돌고 있다.[14]

또한, 이 행성의 궤도는 모항성의 자전축 및 주변 파편 원반과 잘 정렬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2020년 측정된 정렬 불일치 값은 3±5도이다.[7]

3. 4. 자전

2014년, 화가자리 베타 b의 일산화탄소 적외선 흡수선을 분석하여 자전 주기를 계산했는데, 이는 외계 행성 중 최초로 자전 속도를 측정한 사례이다.[19] 당시 측정된 자전 주기는 8.1시간으로, 이는 목성의 자전 주기(약 10시간)보다 빠르며, 2014년 기준으로 알려진 외계 행성 중 가장 빠른 속도였다.[20][21] 이후 연구를 통해 자전 주기는 약 8.7 ± 0.8시간으로 수정되었다.

이렇게 빠른 자전 속도의 원인은 아직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다. 이론적으로 화가자리 베타 b는 시간이 지나면서 점차 식고 크기가 줄어들면서 자전 속도가 더 빨라질 것으로 예측된다. 하지만 지구의 자전 속도가 조석마찰 때문에 느려지는 것처럼, 다른 요인에 의해 자전 속도가 느려질 가능성도 있다.[22]

4. 추가 연구

2013년에는 행성의 분광 에너지 분포(SED)에 대한 연구 결과가 발표되었다.[18][11] 1.265, 1.66, 2.18, 3.80, 4.05, 4.78 μm 파장에서 관측된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행성의 대기가 먼지가 많거나 구름으로 덮여 있을 가능성이 제기되었다. 분광 에너지 분포는 젊은 L형 왜성과 유사한 특징을 보였지만, 표면 중력은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를 통해 행성의 유효 온도는 1,700,000 (±100,000), 표면 중력은 log g = 4.0 (±0.5)으로 추정되었다.

같은 해 제미니 천문대의 관측 데이터를 분석한 다른 연구[15]에서는 3.1 μm 파장에서 새로운 관측 결과를 얻었다. 이 파장의 중적외선 영역에서 행성은 예상보다 훨씬 밝게 빛났는데, 이는 작은 먼지 입자와 두꺼운 구름이 있는 대기 모델과 잘 일치했다. 이 연구를 통해 유효 온도는 1,600,000 (상위 오차 50,000, 하위 오차 25,000), 표면 중력은 log g = 3.8 (±0.02)로 더 정밀하게 측정되었다. 또한 행성의 반지름은 목성의 약 1.65배로 추정되었으며, 이는 행성이 모항성보다 젊을 수 있음을 시사한다.

2014년에는 행성 대기의 일산화 탄소 흡수선을 분석하여 자전 주기를 계산했는데, 이는 외계 행성의 자전 속도를 측정한 첫 사례였다. 측정된 자전 주기는 8.1시간으로, 이는 당시까지 발견된 외계 행성 중 가장 빠른 속도이다.[19][20][21] 이렇게 빠른 자전 속도의 원인은 아직 불확실하며, 행성이 식으면서 수축하면 자전 속도가 더 빨라질 수 있지만, 조석 마찰과 같은 요인으로 인해 느려질 가능성도 제기된다.[22]

2015년에는 제미니 행성 영상 장치(GPI)를 이용해 약 2년에 걸쳐 촬영한 행성의 공전 모습을 담은 타임랩스 영상이 공개되었다.[12]

2018년에는 행성이 모항성 앞을 지나가는 행성 통과 현상을 관측하기 위한 큐브위성인 픽삿(PicSat)이 발사되었다.

2022년에는 시선 속도, 천체 측정, 그리고 직접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행성의 궤도 요소와 질량을 더 정확하게 측정했다. 이 분석 결과, 행성의 질량은 목성 질량의 약 11.7배, 공전 궤도의 긴반지름은 약 10 AU, 공전 주기는 약 23.6년으로 밝혀졌다.

5. 외계 위성 존재 가능성

2024년 발표된 연구에 따르면, 다양한 시뮬레이션과 기존 측정치를 분석한 결과 화가자리 베타 b의 자전축 기울기가 실제 공전 궤도면과 어긋나 있을 가능성이 제기되었다. 연구진은 이 행성이 빠르게 자전한다면 자전축 기울기가 반드시 어긋나야 하며, 느리게 자전하는 경우에도 어긋날 수 있다고 결론지었다. 이러한 정렬 불일치의 원인으로는 다른 행성과의 충돌(가능성이 낮은 시나리오) 또는 외계 위성의 존재로 인해 변화된 장기적인 자전-궤도 공명이 지목된다. 만약 외계 위성이 존재한다면, 해왕성과 비슷한 질량을 가지며 행성으로부터 약 0.02 ~ 0.05 AU(행성 반지름의 약 20 ~ 50배) 떨어진 거리에서 3주에서 7주(20 ~ 50일) 정도의 주기로 공전할 것으로 추정된다. 이러한 외계 위성은 행성의 자전축 기울기를 최대 60°까지 기울게 만들 수 있다.

향후 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JWST)을 이용한 관측을 통해 행성의 자전축 기울기를 직접 측정할 계획이며, 이는 다중 행성계에서는 처음 시도되는 것이다. 만약 0이 아닌 자전축 기울기가 확인된다면, 이는 외계 위성의 존재를 뒷받침하는 강력한 증거가 될 수 있다. 현재로서는 자전축 기울기가 0일 가능성은 낮은 것으로 여겨진다.

화가자리 베타 b 외계 위성 시스템 추정 정보
동반 천체
(행성으로부터의 순서)
질량장반경
(AU)
공전 주기 (일)궤도 이심률궤도 경사반지름
후보 1 (미확인)≳15 지구 질량0.03 ~ 0.0520 ~ 50


6. 갤러리

베타 픽토리스 시스템의 주석 처리된 모습.

참조

[1] 논문 Evidence for an additional planet in the β Pictoris system https://www.nature.c[...] 2019-08-19
[2] 논문 The mass of the young planet Beta Pictoris b through the astrometric motion of its host star
[3] 웹사이트 How Old is the Sun? http://www.universet[...] Universe Today 2008-09-16
[4] 웹사이트 Temperature of the Sun http://www.universet[...] Universe Today 2008-09-15
[5] 논문 Contributions to the Nearby Stars (NStars) Project: Spectroscopy of Stars Earlier than M0 within 40 pc—The Southern Sample
[6] 웹사이트 Orbit Beta Picture http://www.hpcf.upr.[...] 2016-08-28
[7] 논문 Spin–Orbit Alignment of the β Pictoris Planetary System
[8] 논문 A probable giant planet imaged in the β Pictoris disk
[9] 논문 A Giant Planet Imaged in the Disk of the Young Star Pictoris
[10] 논문 Orbital characterization of the β Pictoris b giant planet
[11] 논문 The near-infrared spectral energy distribution ofβPictoris b
[12] 웹사이트 Watching an exoplanet in motion around a distant star {{!}} Astronomy Now http://astronomynow.[...] 2015-09-29
[13] 웹사이트 Stunning Exoplanet Time-lapse https://www.eso.org/[...] 2018-11-12
[14] 저널 Orbital characterization of the β Pictoris b giant planet
[15] 저널 A Combined Very Large Telescope and Gemini Study of the Atmosphere of the Directly Imaged Planet, β Pictoris b
[16] 저널 A probable giant planet imaged in the β Pictoris disk
[17] 저널 A Giant Planet Imaged in the Disk of the Young Star Pictoris
[18] 저널 The near-infrared spectral energy distribution ofβPictoris b
[19] 뉴스 Length of Exoplanet Day Measured for First Time / VLT measures the spin of Beta Pictoris b http://www.eso.org/p[...] 2014-04-30
[20] 저널 First exoplanet seen spinning 2014-04-30
[21] 저널 Fast spin of the young extrasolar planet β Pictoris b 2014
[22] 웹인용 하루가 8시간 밖에 안 되는 외계행성 발견 http://nownews.seoul[...] 2014-11-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