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화산력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라필리는 화산 폭발로 분출된 용융 또는 반용융 상태의 용암이 공중에서 냉각되면서 굳어진 덩어리이다. 라필리는 용암이 공기를 통과하며 냉각되어 형성되며, 응회암의 형태로 나타나기도 한다. 라필리 응회암은 유문암, 안산암, 데이사이트 화산쇄설성 폭발에서 흔히 나타나며, 용결되어 용결 응회암을 형성하기도 한다. 라필리에는 점착성 라필리와 아머드 라필리와 같은 종류가 있다. 점착성 라필리는 화산 구름 속 수분으로 인해 화산재가 응집되어 형성되며, 아머드 라필리는 화산재로 덮인 암석 또는 결정 코어를 포함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테프라 - 화산재
    화산재는 화산 유리, 광물 결정, 암석 파편 등으로 이루어진 직경 2mm 이하의 입자로, 응회암을 형성하고 지층 시기 특정의 지표가 되며 인체, 사회 기반 시설, 농업, 항공 등 다양한 분야에 영향을 미친다.
  • 테프라 - 응회암
    응회암은 화산 폭발로 분출된 화산재가 굳어져 만들어진 퇴적암으로, 화산재 구성 성분과 입자 크기, 화학적 조성에 따라 다양한 종류로 분류되며 건축 자재나 시간층서학적 지표로 사용되고 대한민국 구산동 응회암이 대표적인 예시이다.
  • 화산암 - 흑요석
    흑요석은 빠르게 냉각된 용암에서 형성되는 자연 발생 유리로, 석기 시대부터 도구 제작에 사용되었으며, 현대에는 외과 수술용 메스로도 활용된다.
  • 화산암 - 안산암
    안산암은 중간 정도의 실리카 함량과 낮은 알칼리 금속 함량을 가진 화성암으로, 섭입대와 관련된 부가적인 판 연변부에서 생성되며 건축 자재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된다.
  • 암석학 - 변성암
    변성암은 기존 암석이 고온, 고압, 화학적 변화를 겪어 광물 조성과 조직이 변한 암석으로, 재결정 작용에 의한 조직 변화와 엽리 구조를 보이며, 변성 작용 유형과 원암, 광물 조성, 조직에 따라 다양한 종류로 분류되고 지구 지각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며 건축 자재 등으로 활용되지만, 토목 공사나 건강에 위협을 줄 수도 있다.
  • 암석학 - 용암
    용암은 화산 활동으로 지표면에 분출된 액체 상태의 녹은 암석 물질이거나 굳어져 형성된 암석을 뜻하며, 마그마에서 휘발성분이 빠져나온 것으로, 규산염이 주성분이고 온도와 조성에 따라 점성이 달라지며, 파호이호이 용암, 아아 용암 등의 형태가 있다.
화산력
정의
화산력 (火山礫)화산 폭발 시 분출되는 굳어진 마그마 조각
크기사이
특징
형성 과정화산 폭발로 인해 공중으로 던져진 작은 화산암 파편들이 굳어져 형성됨
모양둥글거나 각진 모양을 가짐
종류화산탄
화산재
응회암
부석
추가 정보
영어Lapilli
일본어火山礫 (かざんれき, Kazanreki)
로마자 표기Hwasanryeok

2. 형성

니가타현사도시의 사도 박물관 입구에 전시되어 있는 화산두석. 섬 내에서는 포도석이라고도 불린다.


화산두석은 화산재로 구성된 둥근 테프라로, 수분을 포함한 화산재가 응집되어 동심원상으로 성장하는 화산 우박과 같은 것이다.

2. 1. 라필리 응회암

라필리는 화산 폭발로 분출된 용융 또는 반용융 상태의 용암이 구형, 물방울형, 아령형 또는 단추 모양으로 굳어진 덩어리이며, 공중에서 냉각되면서 지구로 떨어진다. 이 입자는 액체 상태의 암석이 공기를 통과하면서 냉각된 직접적인 결과이다.[1]

2. 1. 1. 용결 응회암

라필리 응회암유문암, 안산암, 데이사이트 화산쇄설성 폭발에서 매우 흔하게 나타나는 화산암 형태이며, 기저 쇄설류 폭발 동안 두꺼운 라필리 층이 퇴적될 수 있다. 고대 지형에 남아 있는 대부분의 라필리 응회암은 반용융 상태의 라필리가 축적되고 ''용결''되어 용결 응회암으로 형성된다.[1]

새롭게 퇴적된 화산 더미의 열은 반용융 상태의 물질을 펴지게 한 다음 용결되게 한다. 용결 응회암의 암석 미세 구조는 납작해진 라필리, 피암메, 블록 및 폭탄이 층 내에서 납작한 원반 모양을 형성하는 특징적인 (''유택시틱''이라고 함) 조직을 갖는다. 이러한 암석은 비용결 라필리 응회암과 달리, 매우 경화되고 질기며, 용결되지 않은 라필리 응회암은 굳지 않아 쉽게 침식된다.[1]

3. 종류

화산력은 크기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뉜다.

메소프로테로조이 시대 토리도니안의 스택 파다 멤버에서 발견된 점착성 라필리. 이는 충격 기원일 가능성이 있다.

  • 점착성 라필리: 겹겹이 쌓인 테프라로 이루어진 둥근 구슬로, 화산 구름 속 수분으로 인해 화산재 응집이 일어나 형성된다.
  • 아머드 라필리: 점착성 라필리의 일종이지만, 조립질 내지 미세한 화산재로 덮인 암석 또는 결정 코어를 포함한다.

  • 화산두석: 화산재로 구성된 둥근 테프라로, 수분을 포함한 화산재가 수분에 의해 응집되어 동심원상으로 성장하는 화산 우박과 같은 것이다.

3. 1. 점착성 라필리 (Accretionary lapilli)



'''점착성 라필리'''는 겹겹이 쌓인 테프라로 이루어진 둥근 구슬이다. 화산 구름 속 수분으로 인해 화산재 응집이 일어나 입자들이 서로 달라붙으면서 형성된다. 화산재는 어떤 물체를 핵으로 하여 층을 이루며 부착되고, 점착성 라필리는 구름에서 떨어져 나간다. 점착성 라필리는 중심 핵 주위에 습한 화산재 층이 동심원적으로 쌓여 형성되는 화산 우박과 같다.

이러한 조직은 구상체 및 축상체 조직과 혼동될 수 있다.

3. 1. 1. 아머드 라필리 (Armoured lapilli)

아머드 라필리(Armoured lapilli)는 집괴 라필리의 일종이지만, 조립질 내지 미세한 화산재로 덮인 암석 또는 결정 코어를 포함한다. 아머드 라필리는 상당한 수분이 존재하는 수력파쇄 분출에서만 형성된다. 증기 기둥은 응집성 화산재를 포함하며, 이는 내부에 있는 입자에 달라붙는다.[1]

화산재로 구성된 둥근 테프라는 화산두석이라고 불린다. 화산두석은 수분을 포함한 화산재가 수분에 의해 응집되어 동심원상으로 성장하는 화산 우박과 같은 것이다.[1]

참조

[1] 서적 Large Meteorite Impacts and Planetary Evolution IV The Geological Society of America 2011-05-22
[2] 저널 Proposed classification of volcaniclastic sediments and rocks 1961
[3] 웹사이트 VHP Photo Glossary: Laplli http://volcanoes.usg[...]
[4] 웹사이트 How Volcanoes Work http://www.geology.s[...]
[5] 서적 学術用語集 地学編 日本学術振興会
[6] 저널 Proposed classification of volcaniclastic sediments and rocks
[7] 서적 Large Meteorite Impacts and Planetary Evolution IV The Geological Society of America 2011-05-22
[8] 저널 Proposed classification of volcaniclastic sediments and rocks 1961
[9] 웹사이트 VHP Photo Glossary: Laplli http://volcanoes.usg[...]
[10] 웹인용 How Volcanoes Work http://www.geology.s[...] 2022-09-2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