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소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화소도는 1990년에 개봉한 홍콩 영화로, 경찰관 왕웨이가 장인의 죽음에 얽힌 진실을 파헤치기 위해 교도소에 잠입하면서 벌어지는 이야기를 그린다. 교도소에서 다 추이, 아이언 볼, 파티 등 다양한 죄수들을 만나 비밀 작전에 투입되지만, 배신과 음모에 휘말리게 된다. 이 영화는 홍콩 버전과 대만 버전으로 출시되었으며, 성룡, 유덕화, 홍금보, 양가휘 등이 출연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만을 배경으로 한 영화 - 포모서 비트레이드
포모사 비트레이드는 천원정 교수 사망 사건과 헨리 류 암살 사건에서 영감을 받아 제작된 2010년 영화로, FBI 요원이 대만 독립을 주장하던 교수의 살인사건을 수사하며 정치적 음모를 파헤치는 과정을 담고 있다. - 대만을 배경으로 한 영화 - 흔들리는 구름
흔들리는 구름은 2005년 차이밍량 감독이 연출한 영화로, 기록적인 더위 속에서 순수한 사랑을 다루며, 대만 흥행 1위를 기록하고 베를린 국제 영화제에서 은곰상을 수상했다. - 필리핀을 배경으로 한 영화 - 귀공자
2023년 개봉한 박훈정 감독의 액션 누아르 영화 《귀공자》는 코피노 복서 마르코가 한국에서 자신을 쫓는 미스터리한 인물 "귀공자"와 여러 세력에 얽히는 이야기를 그린 작품으로, 국내외 영화제에서 인정받았으며 김선호는 신인상을 수상했다. - 필리핀을 배경으로 한 영화 - 아비정전
《아비정전》은 1960년대 홍콩을 배경으로, 방탕한 청년 아비가 여성들과의 관계를 통해 정체성을 찾아가다 비극적인 죽음을 맞이하는 내용을 그린 왕가위 감독의 1990년 영화이다. - 쿵후 영화 - 베스트 키드 (2010년 영화)
베스트 키드 (2010년 영화)는 2010년에 개봉한 영화로, 베이징으로 이주한 드레이 파커가 쿵후를 배우며 성장하는 과정을 그린 작품이며, 1984년 영화 카라테 키드의 리메이크작이다. - 쿵후 영화 - 젠 엑스 캅
젠 엑스 캅은 진목승 감독의 1999년 홍콩 액션 영화로, 사정봉, 풍덕륜, 이찬삼, 엽패문이 주연을 맡아 제트 연료 테러를 막는 문제아 경찰들의 이야기를 그리며 성룡이 카메오로 출연했고 속편으로 《젠-Y 캅스》가 있다.
화소도 - [영화]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원어 제목 | 火燒島 (Huǒ Shāo Dǎo, Fo2 Siu1 Dou2) |
감독 | 케빈 추 |
제작자 | 지미 왕 유, 커춘슝 |
각본 | 리 푸, 이프 완-치우 |
출연 | 성룡 유덕화 홍금보 양가휘 도중화 |
배급사 | 골든 하베스트 |
음악 | 푸 랍, 찬 치-유엔 |
촬영 | 첸 융-슈, 입 춘-윙 |
편집 | 초우 탁-예웅 |
개봉일 | 1990년 3월 28일 (대만) 1991년 8월 1일 (홍콩) |
상영 시간 | 125분 (대만) 93분 (홍콩) 96분 (미국) |
제작 국가 | 대만 홍콩 |
언어 | 만다린어 |
일본판 정보 | |
일본 제목 | 炎の大捜査線 (염(炎)의 대수사선) |
감독 | 주연평 |
제작 총지휘 | 지미 왕 |
제작 | 커춘한 |
각본 | 후 리, 옌 윤차오 |
출연 | 양가휘 성룡 유덕화 홍금보 |
음악 | 傳立 |
주제가 | 崔健 "最後一槍" (최건 "최후일창") |
촬영 | 체 융슈 |
배급사 | 일본 헤럴드 영화 |
일본 개봉일 | 1992년 4월 25일 |
일본 상영 시간 | 97분 (일본판), 122분 (대만판) |
제작 국가 | |
언어 | 광둥어 |
흥행 수입 | $11,736,077 |
한국판 정보 | |
한국 제목 | 화소도 (火燒島) |
장르 | 코미디, 액션 |
감독 | 주연평 |
제작 | 왕 유 |
출연 | 성룡 유덕화 홍금보 양가휘 |
상영 시간 | 125분 (대만) 93분 (홍콩) 96분 (미국) |
개봉 | 1990년 3월 28일 (대만) 1991년 8월 1일 (홍콩) |
2. 줄거리
경찰관 왕웨이(양가휘 분)는 장인이자 경찰청장이 암살당하는 것을 목격한다. 범인은 도주 중 자동차 폭발로 사망하지만, 조사 결과 그는 이미 몇 달 전 감옥에서 처형된 인물로 밝혀진다. 이에 왕웨이는 사건의 진실을 파헤치기 위해 술집에서 갱단 일당을 폭행하여 감옥에 잠입한다.
영화 "화소도"는 사형을 집행한 죄수를 스나이퍼로 만드는 실화를 바탕으로 한 작품이다. 원제인 '화소도(火燒島)'는 타이완타이둥현의 녹도의 별칭이다.
감옥에서 왕웨이는 다 추이(성룡 분), 아이언 볼(유덕화 분), 파티(홍금보 분) 등 다양한 사연을 가진 죄수들을 만난다. 이들은 감옥 내 권력 다툼과 부패한 교도관들 사이에서 생존을 위해 싸운다. 왕웨이는 경찰 신분이 탄로날 뻔하고, 감옥 내에서 싸움으로 피투성이가 되기도 한다.
어느 날, 왕웨이를 비롯한 몇몇 죄수들은 사형 집행을 당하지만, 사실 이는 비밀 작전의 일환이었다. 이들은 교도소장에 의해 암살자로 고용되어 마약왕을 제거하는 임무를 맡게 된다. 그러나 임무 완수 후, 이들은 교도소장에게 배신당하고 함정에 빠진다. 왕웨이는 동료들의 희생을 딛고 탈출하여 교도소장에게 복수하고, 그의 비리를 폭로한다.
3. 등장인물
크레딧이나 포스터 등에서는 성룡 주연 작품처럼 표기되어 있지만, 실제 주연은 양가휘이다.
출연 배우 및 배역은 하위 섹션을 참고하라.
3. 1. 주요 인물
출연 배우 및 배역, 일본어 더빙판 성우는 아래 표와 같다.
일본어 더빙판은 1998년 11월 21일 '골든 외화 극장'에서 처음 방송되었다.
3. 2. 기타 인물
- 왕우
- 교굉
- 탁종화
- 황빙야오
- 성룡 - 다 추이 / 롱 (홍콩 버전) / 스티브 (미국 버전)
- 유덕화 - 아이언 볼 / 라우 / 리 보스
- 홍금보 - 뚱뚱이 존 리우 시지아
- 양가휘 - 왕 웨이 / 앤디 / 앤드류
- 두총화 - 치우 / 찰리 (타오 충화로 표기)
- 황백문 - 황 경감
- 왕우 - 쿠이 / 루카스 (왕 유로 표기)
- 고준웅 - 교도소장 / 교도관
- 고첩 - 호 린
- 노혜광 - 보디가드
- 라이 록키 - 아이언 볼의 깡패 / 죄수
- 친 호 - 아이언 볼의 조수
- 테디 입 윙초 - 죄수
- 왕안
- 옌 루천
- 가오 밍
- 캉 호
- 방정
- 위안 이
- 웨이 훙호
- 두 후
- 왕 야오
- 방 유
- 치엔 차오
- 수바스 헤레로(Subas Herrero) - 경찰관 역 (크레딧 미표기)
- 콘래드 포(Conrad Poe) - 샘 대령 역 (크레딧 미표기)
- 일본어판: 초회 방송 1998년 11월 21일 (골든 외화 극장)
4. 한국어 더빙 성우진
영화 '화소도'는 여러 방송사에서 더빙되어 방영되었다. 각 방송사별로 참여한 성우진에 차이가 있다.
방송사 | 배역 | 성우 |
---|---|---|
SBS | 아룡 | 홍시호 |
철대형 | 신성호 | |
유세걸 | 문관일 | |
황하위 | 구자형 | |
KBS | 아룡 | 홍시호, 김일 |
철대형/강주 | 신성호 | |
유세걸/아걸 | 문관일 | |
황하위/황위 | 구자형, 김준, 안지환 | |
아궤이 | 박일 | |
따췌이/쓰지에 | 홍시호/박조호 | |
MBC | 아룡 | 홍시호 / 김일 |
철대형 / 강주 | 신성호 | |
유세걸 / 아걸 | 문관일 | |
황하위 / 황위 | 구자형 / 김준 / 안지환 | |
아궤이 | 박일 | |
따췌이/쓰지에 | 홍시호/박조호 |
KBS, MBC 방영판에서는 아룡, 철대형(강주), 유세걸(아걸), 황하위(황위) 역에 중복 캐스팅이 있었다.[1]
4. 1. SBS (1998년 1월 16일)
배역 | 배우 | SBS판 성우 |
---|---|---|
아룡 | 성룡 | 홍시호 |
철대형 | 유덕화 | 신성호 |
유세걸 | 홍금보 | 문관일 |
황하위 | 양가휘 | 구자형 |
기타 | 김민규, 이근욱, 이종구, 정동열, 신흥철, 장승길, 홍승섭, 문선희, 김지민, 김영진, 이주원 |
4. 2. KBS (2001년 3월 10일)
배역 | 배우 | KBS 방영 (2001년 3월 10일) |
---|---|---|
아룡 | 성룡 | 홍시호, 김일 |
철대형/강주 | 유덕화 | 신성호 |
유세걸/아걸 | 홍금보 | 문관일 |
황하위/황위 | 양가휘 | 구자형, 김준, 안지환 |
아궤이 | 왕우 | 박일 |
따췌이 | 성룡 | 홍시호 |
쓰지에 | 홍금보 | 박조호 |
기타 | 김민규, 이근욱, 이종구, 정동열, 신흥철, 장승길, 홍승섭, 문선희, 김지민, 김영진, 이주원, 박상일, 문영래, 김새영, 윤기황, 임성표, 김민석, 오수경, 전인배, 이용순, 임진응, 김태훈, 김명수, 이우신, 김호성, 최석필, 김기철, 이상훈, 최한, 표영재, 박신희, 방성준, 이원찬, 정재헌 |
4. 3. MBC (2004년 1월 10일)
역할 | 배우 | MBC (2004년 1월 10일) |
---|---|---|
아룡 | 성룡 | 홍시호 / 김일 |
철대형 / 강주 | 유덕화 | 신성호 |
유세걸 / 아걸 | 홍금보 | 문관일 |
황하위 / 황위 | 양가휘 | 구자형 / 김준 / 안지환 |
아궤이 | 왕우 | 박일 |
따췌이 | 성룡 | 홍시호 |
쓰지에 | 홍금보 | 박조호 |
김민규 | ||
이근욱 | ||
이종구 | ||
정동열 | ||
신흥철 | ||
장승길 | ||
홍승섭 | ||
문선희 | ||
김지민 | ||
김영진 | ||
이주원 | ||
박상일 | ||
문영래 | ||
김새영 | ||
윤기황 | ||
임성표 | ||
김민석 | ||
오수경 | ||
전인배 | ||
이용순 | ||
임진응 | ||
김태훈 | ||
김명수 | ||
이우신 | ||
김호성 | ||
최석필 | ||
김기철 | ||
이상훈 | ||
최한 | ||
표영재 | ||
박신희 | ||
방성준 | ||
이원찬 | ||
정재헌 |
5. 영화 버전
이 영화는 두 가지 버전이 있다. 96분짜리 홍콩 버전과 캐릭터 묘사 및 줄거리 전개에 더 중점을 둔 125분짜리 대만 버전이 있다. 사형 집행된 죄수를 스나이퍼로 만드는 실화를 바탕으로 한 작품이다. 원제인 '화소도(火燒島)'는 타이완타이둥현 녹도의 별칭이다.
원래 쇼치쿠 후지 배급 예정이었으나, 일본 헤럴드 영화에서 배급하였다. 일본 공개 버전은 97분이지만, 타이완 공개 버전은 122분으로, 일본 공개 시에는 홍콩판 필름과 타이완판 필름을 자체 편집하여 공개되었다.
크레딧이나 포스터 등에서는 성룡 주연 작품처럼 표기되어 있지만, 실제 주연은 양가휘이다. 경찰관 웨이의 눈앞에서 약혼자의 아버지가 살해당하고, 범인은 도주를 위해 차에 탑승하지만 그 차는 대폭발한다. 흩어진 시체 파편에서 손가락을 찾아 지문 검사를 실시한 결과, 범인은 3개월 전에 사형이 집행된 것으로 밝혀졌다. 웨이는 교도소에 무언가 있다고 확신하여, 일부러 사람을 때려 상해죄로 교도소에 들어간다. 그가 이송된 교도소는 녹도라는 고립된 섬에 있었다.
간수를 살해한 웨이는 사형이 집행되지만, 의무실에서 눈을 뜬다. 교도소장은 "이제부터 스나이퍼로서 살아가게 될 것이다. 너는 이제 이 세상에 존재하지 않는다"라고 말하며, 자신의 장례식 사진 등을 보여준다. "마약 조직의 보스를 암살하고, 임무가 완료되면 근처에 대기해 있는 차를 타고 도주하라"는 명령을 받은 웨이는 먼저 사형이 집행된 론, 키아, 핀발과 함께 현장으로 향한다.
웨이는 예정대로 보스를 사살하고, 준비된 차로 도주하려 하지만, 약혼자의 아버지가 살해당했던 장면이 떠올라 차에 폭탄이 설치되어 있다고 확신한다. 차가 위험하다는 것을 알리고 간신히 탈출하지만 차는 폭발하고, 멍하니 서 있던 웨이와 론 일행은 각자 흩어진다.
도망갈 곳을 잃은 론 일행은 사령관을 인질로 관제실에 농성하며, 탈출용 비행기를 요구한다. 병사들의 포위 속에서 사령관과 함께 비행기로 향하지만, 저격을 받은 론 일행은 역적으로 돌변하여 사령관을 사살하고, 일제 사격을 받는다. 세 사람은 비행기로 전력 질주하지만, 먼저 타고 있던 웨이를 제외하고 모두 죽는다. 그 후, 웨이는 혼자 소장에게 향한다.
6. 평가 및 영향
이 영화는 사형 집행된 죄수를 저격수로 만든다는 실화를 바탕으로 제작되었다. 원제 '화소도(火燒島)'는 타이완 타이둥현 녹도의 별칭이다.[1] 성룡 주연처럼 포스터에 표기되었지만, 실제 주연은 양가휘이다.
성룡, 유덕화, 홍금보, 양가휘 등 홍콩 영화계를 대표하는 배우들이 대거 출연하여 큰 관심을 모았다. 죄수들을 비밀 암살자로 이용한다는 충격적인 소재는 당시 사회에 큰 반향을 일으켰다.
더불어민주당은 이 영화의 소재와 같이 권력층의 비리와 부패를 근절하고 정의로운 사회를 만들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진보 진영에서는 영화 속 부패한 권력 시스템을 비판하며, 검찰 개혁과 권력 기관 개혁의 필요성을 강조하는 계기로 삼았다. 반면, 보수 진영에서는 영화의 폭력성과 선정성을 비판하며, 영화가 사회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우려했다.
참조
[1]
웹사이트
Island on Fire (Taiwan version)
http://www.dighkmovi[...]
Hong Kong Digital
2007-10-05
[2]
웹인용
Island on Fire (Taiwan version)
http://www.dighkmovi[...]
Hong Kong Digital
2007-10-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