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확장된 디스플레이 식별 데이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확장된 디스플레이 식별 데이터(EDID)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정보를 그래픽 카드에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데이터 형식이다. EDID는 디스플레이 데이터 채널(DDC)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정보를 전송하며, VGA, DVI, DisplayPort, HDMI와 같은 인터페이스를 지원한다. EDID는 1994년에 처음 도입되었으며, 이후 여러 버전으로 발전했다. EDID는 모니터의 EEPROM에 저장되며, 펌웨어 칩에 저장되어 I²C 버스를 통해 액세스할 수 있다. EDID는 기본 블록(v1.0~v1.4)과 확장 블록으로 구성되며, 기본 블록은 헤더, 제조업체 ID, 제품 코드, 일련 번호, 제조 주, 제조 연도, EDID 버전, 개정판, 비디오 입력 매개변수, 가로/세로 화면 크기, 감마, 지원 기능, 색도 좌표, 지원 타이밍 정보, 상세 타이밍 설명자(DTD) 및 모니터 설명자, 확장 플래그 및 체크섬으로 구성된다. 확장 블록은 CTA-861 표준을 따르며, 비디오, 오디오, 스피커 배치 정보 등을 포함하는 데이터 블록으로 구성된다. EDID는 그래픽 카드 드라이버의 한계로 인해 네이티브 해상도를 제대로 표현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으며, EDID 정보를 확인하는 다양한 도구가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VESA - VESA 로컬 버스
    VESA 로컬 버스는 1990년대 초 ISA 버스의 대역폭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개발된 로열티 없는 로컬 버스 표준으로, 486 프로세서의 메모리 버스에 직접 연결되어 고속 데이터 전송을 가능하게 했으나, 여러 한계로 인해 PCI 버스로 대체되기 전까지 486 시스템에서 고성능 장치를 저렴하게 사용하도록 널리 사용되었다.
  • VESA - 미니 디스플레이포트
    미니 디스플레이포트는 DisplayPort의 소형 버전으로, 높은 해상도를 지원하며 어댑터를 통해 다양한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결 가능하지만, DRM 콘텐츠 재생 제한, 어댑터 호환성, 초기 모델의 오디오 출력 미지원 등의 문제점을 가지고 썬더볼트 인터페이스로 발전했다.
  • 디스플레이 기술 -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구부리거나 접을 수 있는 유연한 디스플레이 장치로, 다양한 기관과 기업의 연구 개발을 거쳐 모바일 기기를 중심으로 확산되고 있지만, 가격과 내구성, 저전력 소비 측면에서 개선이 필요하며, 새로운 사용자 경험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 디스플레이 기술 - 해상도
    해상도는 1인치당 픽셀 또는 점의 수를 나타내는 지표로, 이미지의 선명도를 결정하며 DPI와 PPI 단위를 사용하고, 높을수록 섬세한 표현이 가능하다.
확장된 디스플레이 식별 데이터

2. 역사


  • 1994년 8월, DDC 표준 버전 1 – EDID v1.0이 도입되었다.
  • 1996년 4월, EDID 표준 버전 2 – EDID v1.1이 도입되었다.
  • 1997년 11월, EDID 표준 버전 3 – EDID v1.2 및 EDID v2.0이 도입되었다.
  • 1999년 9월, E-EDID 표준 릴리스 A – EDID v1.3 및 E-EDID v1.0이 도입되었고, 다중 확장 블록을 지원하게 되었다.
  • 2000년 2월, E-EDID 표준 릴리스 A - EDID v1.3 기반의 E-EDID v1.3 (HDMI에서 사용)이 도입되었다. EDID v2.0은 사용이 중단되었다.
  • 2006년 9월, E-EDID 표준 릴리스 A – EDID v1.4 기반의 E-EDID v1.4가 도입되었다.

3. 배경

디스플레이 데이터 채널(DDC) 및 EDID가 정의되기 전에는 그래픽 카드가 어떤 종류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연결되었는지 알 수 있는 표준 방법이 없었다. 개인용 컴퓨터의 일부 VGA 커넥터는 하나, 둘 또는 세 개의 핀을 접지에 연결하여 기본적인 형태의 식별을 제공했지만, 이 코딩은 표준화되지 않았다.

EDID와 DDC는 디스플레이가 연결된 그래픽 카드에 정보를 보낼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 문제를 해결한다. EDID 정보 전송은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 데이터 채널 프로토콜, 특히 I²C 버스 기반의 DDC2B를 사용한다(DDC1은 인기를 얻지 못한 다른 직렬 형식을 사용했다). 데이터는 디스플레이와 그래픽 카드를 연결하는 케이블을 통해 전송된다. VGA, DVI, DisplayPort 및 HDMI가 지원된다.

EDID는 종종 EEPROM(전기적으로 지울 수 있고 프로그래밍 가능한 읽기 전용 메모리)이라는 펌웨어 칩의 모니터에 저장되며, I²C 버스를 통해 액세스할 수 있다. EDID PROM은 디스플레이 자체의 전원이 꺼져 있어도 호스트 PC에서 읽을 수 있는 경우가 많다.

많은 소프트웨어 패키지가 EDID 정보를 읽고 표시할 수 있다.

E-EDID는 여러 확장 블록을 지원하고 EDID 버전 2.0 구조를 사용 중단하는 E-DDC와 동시에 도입되었다.

확장을 사용하면 E-EDID 구조를 최대 32KiB까지 확장할 수 있는데, 이는 E-DDC가 여러(최대 128개) 256바이트 세그먼트를 어드레싱할 수 있는 기능을 추가했기 때문이다.

4. EDID 구조

EDID(확장된 디스플레이 식별 데이터)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자신의 기능과 특성을 그래픽 카드에 알리는 데 사용하는 메타데이터 형식이다. EDID 데이터는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 데이터 채널(DDC)을 통해 전송되며, 특히 I²C 버스 기반의 DDC2B를 사용한다. VGA, DVI, DisplayPort, HDMI 등 다양한 인터페이스에서 EDID를 지원한다.

EDID 정보는 EEPROM과 같은 펌웨어 칩에 저장되며, I²C 버스의 주소에서 접근할 수 있다. 리눅스DOS용 read-edid, Microsoft Windows용 PowerStrip, 리눅스 및 BSD 유닉스용 X.Org Server 등 많은 소프트웨어 패키지가 EDID 정보를 읽고 표시할 수 있다. Mac OS X는 기본적으로 EDID 정보를 읽으며, SwitchResX 또는 DisplayConfigX와 같은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정보를 표시하거나 사용자 지정 해상도를 정의할 수 있다.

EDID 구조는 여러 버전이 존재하며,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 기본 블록 (v1.0 ~ v1.4): 128바이트 크기로, 상위 호환성을 가진다. 헤더 정보, 기본 디스플레이 매개변수, 색도 좌표, 표준 타이밍 정보, 디스플레이 타이밍 설명자 및 모니터 설명자, 확장 플래그 및 체크섬 등을 포함한다.
  • 확장 블록: E-DDC와 함께 도입되었으며, 여러 확장 블록을 지원한다. E-EDID는 선호하는 타이밍, 범위 제한, 모니터 이름 등의 데이터 필드를 필수로 포함하며, 듀얼 GTF 지원 및 화면비 인코딩 변경 기능을 추가했다. 확장 블록은 최대 32KiB까지 EDID 구조를 확장할 수 있다.


E-EDID는 E-DDC와 동시에 도입되어 여러 확장 블록을 지원하며, EDID 버전 2.0 구조는 사용 중단되었다. E-EDID에는 선호하는 타이밍, 범위 제한 및 모니터 이름에 대한 데이터 필드가 필요하며, 듀얼 GTF 지원 및 표준 타이밍 내 화면비 인코딩을 부분적으로 변경하는 기능이 추가되었다.

확장 블록을 사용하면 E-EDID 구조를 최대 32KiB까지 확장할 수 있는데, 이는 E-DDC가 최대 128개의 256바이트 세그먼트를 주소 지정할 수 있기 때문이다.

확장 블록 종류는 다음과 같다.

코드 (16진수)확장 블록 이름설명
0x02타이밍 확장추가 타이밍 데이터 블록
0x10CTA EDID 타이밍 확장추가 타이밍 데이터 블록
0x20VTB-EXT비디오 타이밍 블록 확장
0x30EDID 2.0 확장
0x40DI-EXT디스플레이 정보 확장
0x50LS-EXT현지화된 문자열 확장
0x60MI-EXT마이크로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확장
0xF0디스플레이 ID 확장
0x80, 0x90, 0xA0DTCDB디스플레이 전송 특성 데이터 블록
0xD0블록 맵
0xE0DDDB디스플레이 장치 데이터 블록 (서브 픽셀 레이아웃 등)[6]
0xFF모니터 제조업체 정의 확장LS-EXT에 따르면 실제 내용은 제조업체마다 다르지만, 이 값은 나중에 DDDB에서 사용됨.


4. 1. 기본 블록 (v1.0 ~ v1.4)

EDID 버전 v1.0에서 v1.4까지는 모두 상위 호환되는 128-바이트 구조를 정의한다.[8][9] 디스플레이 데이터 채널(DDC) 및 EDID가 정의되기 전에는 그래픽 카드가 어떤 종류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연결되었는지 알 수 있는 표준 방법이 없었다. EDID는 EEPROM이라는 펌웨어 칩에 저장되며, I²C 버스를 통해 접근할 수 있다.

E-EDID는 여러 확장 블록을 지원하며, 선호하는 타이밍, 범위 제한 및 모니터 이름에 대한 데이터 필드가 필요하다. E-EDID는 또한 듀얼 GTF 지원을 추가했으며 표준 타이밍 내에서 화면비 인코딩을 부분적으로 변경했다.

EDID 구조, 버전 1.4[8][9]
바이트설명
0–19헤더 정보
20–24기본 디스플레이 매개변수
25–34색도 좌표 (적색, 녹색, 청색 및 흰색 점에 대한 10비트 CIE 1931 xy 좌표)
35–53표준 타이밍 정보
54–125디스플레이 타이밍 설명자 및 모니터 설명자
126-127확장 플래그 및 체크섬


4. 1. 1. 헤더 정보 (0-19 바이트)

EDID 구조에서 0-19 바이트는 헤더 정보를 나타낸다. 이 부분은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EDID 헤더 정보 (0-19 바이트)
바이트설명
0–7고정 헤더 패턴: `00 FF FF FF FF FF FF 00`
8–9제조업체 ID. UEFI 포럼에서 할당한 레거시 플러그 앤 플레이 ID이며, 3개의 5비트 문자로 구성된 빅 엔디안 16비트 값이다. 각 문자는 A (00001)부터 Z (11010)까지 표현된다. 예를 들어 "IBM"은 24 4d, 로 표현되고, "PHL" (필립스)와 같이 표현된다.[8][9]
10–11제조업체 제품 코드. 16비트 16진수이며, 리틀 엔디안 형식이다.
12–15일련 번호. 32비트이며, 리틀 엔디안 형식이다.
16제조 주; 또는 `FF`인 경우 모델 연도 플래그이다. 주 번호 매기기는 제조사마다 다를 수 있다.
17제조 연도, 또는 모델 연도 플래그가 설정된 경우 모델 연도. 연도는 데이터 값 + 1990으로 계산한다.
18EDID 버전. 일반적으로 `01` (1.3 및 1.4)이다.
19EDID 개정판. 일반적으로 `03` (1.3) 또는 `04` (1.4)이다.


4. 1. 2. 기본 디스플레이 매개변수 (20-24 바이트)

EDID 구조에서 기본 디스플레이 매개변수는 20-24 바이트에 위치하며, 비디오 입력 형식, 화면 크기, 디스플레이 감마, 지원 기능 등의 정보를 담고 있다.[8][9]
바이트 20: 비디오 입력 매개변수를 나타내는 비트맵이다.

  • 디지털 입력 (비트 7 = 1):
  • 비트 심도 (비트 6-4): 색상당 비트 수 (000: 정의되지 않음, 001: 6비트, 010: 8비트, ..., 110: 16비트)
  • 비디오 인터페이스 (비트 3-0): 0000: 정의되지 않음, 0001: DVI, 0010: HDMIa, 0011: HDMIb, 0100: MDDI, 0101: DisplayPort
  • 아날로그 입력 (비트 7 = 0):
  • 비디오 흰색 및 동기화 레벨 (비트 6-5): 00: +0.7/-0.3 V, 01: +0.714/-0.286 V, 10: +1.0/-0.4 V, 11: +0.7/0 V (VESA EVC)
  • 블랭크-블랙 설정 (비트 4)
  • 개별 동기화 지원 (비트 3)
  • 컴포지트 동기화 지원 (비트 2)
  • 그린 동기화 지원 (비트 1)
  • VSync 펄스 톱니 모양 (비트 0)

바이트 21: 가로 화면 크기(cm) (1-255). 세로 화면 크기가 0이면 가로 세로 비율을 나타낸다 (데이터 값 = (AR×100) − 99).
바이트 22: 세로 화면 크기(cm). 가로 화면 크기가 0이면 세로 세로 비율을 나타낸다 (데이터 값 = (100/AR) − 99). 두 바이트가 모두 0이면 화면 크기 및 가로 세로 비율은 정의되지 않는다(예: 프로젝터).
바이트 23: 디스플레이 감마 (데이터 값 = (감마×100) − 100). 255인 경우 감마는 DI-EXT 블록으로 정의된다.
바이트 24: 지원되는 기능 비트맵.

  • DPMS 대기 지원 (비트 7)
  • DPMS 일시 중단 지원 (비트 6)
  • DPMS 활성-꺼짐 지원 (비트 5)
  • 디스플레이 유형 (비트 4-3):
  • 디지털: 00: RGB 4:4:4, 01: RGB 4:4:4 + YCrCb 4:4:4, 10: RGB 4:4:4 + YCrCb 4:2:2, 11: RGB 4:4:4 + YCrCb 4:4:4 + YCrCb 4:2:2
  • 아날로그: 00: 단색/회색조, 01: RGB 색상, 10: 비 RGB 색상, 11: 정의되지 않음
  • 표준 sRGB 색 공간 (비트 2)
  • 기본 타이밍 모드 (비트 1)
  • GTF 또는 CVT 사용 (비트 0)

4. 1. 3. 색도 좌표 (25-34 바이트)

CIE 1931 xy 좌표에서 적색, 녹색, 청색 및 흰색 점에 대한 10비트 값을 나타낸다.[8][9]

바이트설명
25적색 및 녹색 최하위 비트(2−9, 2−10)
26청색 및 흰색 최하위 2비트
27적색 x 값 최상위 8비트(2−1, ..., 2−8). 0–255는 분수 0–0.996(255/256)을 나타내며, 최하위 비트(lsbit)를 포함하면 0–0.999(1023/1024)를 인코딩한다.
28적색 y 값 최상위 8비트
29–30녹색 xy 값 최상위 8비트
31–32청색 xy 값 최상위 8비트
33–34기본 흰색 점 xy 값 최상위 8비트



바이트비트설명
257–6적색 x 값 최하위 2비트
5–4적색 y 값 최하위 2비트
3–2녹색 x 값 최하위 2비트
1–0녹색 y 값 최하위 2비트


4. 1. 4. 지원 타이밍 정보 (35-53 바이트)

EDID영어 구조 버전 1.4에서[8][9] 35-37 바이트는 설정된 타이밍 비트맵을 나타낸다. 이 비트맵은 이전의 매우 일반적인 타이밍 모드에 대한 지원 여부를 표시한다.

바이트비트설명
357720×400 @ 70 Hz (VGA)
6720×400 @ 88 Hz (XGA)
5640×480 @ 60 Hz (VGA)
4640×480 @ 67 Hz (애플 매킨토시 II)
3640×480 @ 72 Hz
2640×480 @ 75 Hz
1800×600 @ 56 Hz
0800×600 @ 60 Hz
367800×600 @ 72 Hz
6800×600 @ 75 Hz
5832×624 @ 75 Hz (애플 매킨토시 II)
41024×768 @ 87 Hz, 인터레이스 (1024×768i)
31024×768 @ 60 Hz
21024×768 @ 70 Hz
11024×768 @ 75 Hz
01280×1024 @ 75 Hz
3771152x870 @ 75 Hz (애플 매킨토시 II)
6–0기타 제조업체별 디스플레이 모드



38-53 바이트는 표준 타이밍 정보를 나타낸다. 최대 8개의 2바이트 필드로 구성되며, 각 필드는 표준 디스플레이 모드를 설명한다. 사용되지 않는 필드는 `01 01` 16진수로 채워진다. 각 레코드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바이트설명
38표준 타이밍 1: X 해상도, 예약됨; 그렇지 않으면 (데이터 값 + 31) × 8 (256–2288 픽셀).
39비트 7–6표준 타이밍 1: 이미지 가로 세로 비율:
비트 5–0세로 주파수, 데이터 값 + 60 (60–123 Hz)
40-41표준 타이밍 2
42-43표준 타이밍 3
44-45표준 타이밍 4
46-47표준 타이밍 5
48-49표준 타이밍 6
50-51표준 타이밍 7
52-53표준 타이밍 8


4. 1. 5. 상세 타이밍 설명자 (DTD) 및 모니터 설명자 (54-125 바이트)

EDID 구조에서 54-125 바이트는 디스플레이 타이밍 설명자와 모니터 설명자를 담고 있다. 이들은 18바이트 단위로 구성된 4개의 블록으로, 각각 상세 타이밍 설명자(Detailed Timing Descriptor, DTD) 또는 디스플레이 설명자가 들어간다.
상세 타이밍 설명자 (Detailed Timing Descriptor, DTD)DTD는 디스플레이의 상세한 타이밍 정보를 제공한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 픽셀 클럭 (Pixel Clock): 10kHz 단위로 표시 (예: 0.01MHz–655.35MHz).
  • 수평/수직 활성 픽셀/라인 (Horizontal/Vertical Active Pixels/Lines): 화면에 실제로 표시되는 영역.
  • 수평/수직 블랭킹 픽셀/라인 (Horizontal/Vertical Blanking Pixels/Lines): 화면 갱신을 위해 사용되는, 보이지 않는 영역.
  • 수평/수직 전면 여백 (Horizontal/Vertical Front Porch): 블랭킹 시작부터 동기화 신호까지의 간격.
  • 수평/수직 동기화 펄스 폭 (Horizontal/Vertical Sync Pulse Width): 동기화 신호의 지속 시간.
  • 수평/수직 이미지 크기 (Horizontal/Vertical Image Size): mm 단위로 표시.
  • 수평/수직 테두리 픽셀/라인 (Horizontal/Vertical Border Pixels/Lines): 화면 가장자리의 테두리 영역.
  • 기능 비트맵 (Feature Bitmap): 인터레이스/비인터레이스, 스테레오 모드, 동기화 유형 등.

모니터 설명자 (Monitor Descriptor)모니터 설명자는 DTD 대신 사용될 수 있으며, 다음과 같은 정보를 담는다.

  • 모니터 일련 번호 (Monitor Serial Number): ASCII 텍스트 형식.
  • 지정되지 않은 텍스트 (Unspecified Text): ASCII 텍스트 형식.
  • 모니터 범위 제한 (Monitor Range Limits): 디스플레이의 주파수 범위 등을 나타내는 이진 형식.
  • 모니터 이름 (Monitor Name): ASCII 텍스트 형식 (예: "PHL 223V5").
  • 추가 흰색 점 데이터 (Additional White Point Data): 색상 보정에 사용.
  • 추가 표준 타이밍 식별자 (Additional Standard Timing Identifiers): 추가적인 표준 타이밍 정보.


모니터 설명자는 픽셀 클럭 등 일부 바이트를 0으로 설정하여 DTD와 구분한다.

4. 1. 6. 확장 플래그 및 체크섬 (126-127 바이트)

Extended flag|확장 플래그영어 및 체크섬은 126-127 바이트에 해당하며 내용은 다음과 같다.

EDID 구조, 버전 1.4[8][9]
바이트설명
126뒤에 오는 확장의 수. 확장 없음이면 0.
127체크섬. 모든 128바이트의 합은 0(mod 256)이어야 한다.


4. 2. 확장 블록

E-EDID는 여러 확장 블록을 지원하며, EDID 버전 2.0 구조를 사용 중단하는 E-DDC와 동시에 도입되었다. E-EDID에는 선호하는 타이밍, 범위 제한 및 모니터 이름에 대한 데이터 필드가 필요하며, 듀얼 GTF 곡선 개념 및 표준 타이밍 내 화면비 인코딩을 부분적으로 변경하는 기능이 추가되었다.

E-DDC가 최대 128개의 256바이트 세그먼트를 주소 지정할 수 있어, 확장을 통해 E-EDID 구조는 최대 32KiB까지 확장 가능하다.

확장 블록 종류는 다음과 같다:

코드 (16진수)확장 블록 이름설명
타이밍 확장
CTA EDID 타이밍 확장추가 타이밍 데이터 블록
VTB-EXT비디오 타이밍 블록 확장
EDID 2.0 확장
DI-EXT디스플레이 정보 확장
LS-EXT현지화된 문자열 확장
MI-EXT마이크로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확장
디스플레이 ID 확장
, ,DTCDB디스플레이 전송 특성 데이터 블록
블록 맵
DDDB디스플레이 장치 데이터 블록 (서브 픽셀 레이아웃 등)[6]
모니터 제조업체 정의 확장LS-EXT에 따르면 실제 내용은 제조업체마다 다르지만, 이 값은 나중에 DDDB에서 사용됨.


4. 2. 1. CTA-861 확장

ANSI/CTA-861 산업 표준은 CTA에 따르면 현재 "가장 인기 있는 표준"이며,[10] 여러 차례 업데이트되었다. 주요 업데이트는 다음과 같다.

  • 861-B (2002년 5월): 확장 버전 3 추가, 짧은 비디오 설명자 및 고급 오디오 기능/구성 정보 추가.
  • 861-D (2006년 7월): 오디오 세그먼트 업데이트.
  • 861-E (2008년 3월)[11]
  • 861-F (2013년 6월 4일)[12]: 새로운 Ultra HD 및 와이드 스크린 비디오 형식 지원, 추가적인 색상 측정 방식 등 포함.
  • 861-H (2020년 12월)[13]
  • 861-I (2023년 2월)[14]: 2021년 1월의 CTA-861-H[20]와 2022년 2월의 수정 사항인 CTA-861.6[21] 결합, 비디오 타이밍 형식 OVT 계산 공식 추가, 오디오 스피커 룸 구성 시스템 설명 추가.[22]


2013년 CEA-861-F 발표 당시 연구 및 표준 담당 수석 부사장 브라이언 마크월터는 "새로운 버전에는 여러 새로운 Ultra HD 및 와이드 스크린 비디오 형식에 대한 지원과 추가적인 색상 측정 방식 등 주목할 만한 많은 개선 사항이 포함되어 있습니다."라고 말했다.[15]

2016년 11월 발표된 CTA-861-G[16]는 상표권 문제로 인해 수정 후 2017년 11월 업데이트된 버전 -E 및 -F와 함께 무료로 제공되었다. 모든 CTA 표준은 2018년 5월부터 무료로 제공된다.[17][18]

가장 최신 버전은 2023년 2월 발표된 CTA-861-I[19]이며, 등록 후 무료 이용 가능하다.

2024년 6월, CTA-861-I의 수정 사항인 CTA-861.7[23]이 발표되었다. 이 수정 사항에는 CTA 3D 오디오 업데이트, 콘텐츠 유형 표시 설명, VTDB 및 VFDB에 대한 4:2:0 지원 설명이 포함된다. 또한 UEFI가 새로운 PNP ID 할당을 중단함에 따라 EDID 첫 블록의 제조업체 PNP ID를 대체할 새로운 제품 ID 데이터 블록이 도입되었다.

확장 블록 버전 1 (CEA-861 정의)은 18바이트 상세 타이밍 디스크립터(DTD)를 사용하여 비디오 타이밍을 지정할 수 있도록 했다. DTD 타이밍은 CEA EDID 타이밍 확장에 선호도 순으로 나열된다.

버전 2 (861-A 정의)는 여러 DTD를 "기본"으로 지정하는 기능과 디스플레이 장치의 "기본 오디오", YCBCR 픽셀 형식 및 언더스캔 지원 여부를 나타내는 "기본 검색" 기능을 추가했다.

버전 3 (861-B 사양부터)은 18바이트 DTD 또는 단축 비디오 디스크립터(SVD)를 사용하여 디지털 비디오 타이밍 형식을 지정하는 두 가지 방법을 허용한다. HDMI 1.0–1.3c는 이 버전을 사용한다.

버전 3은 또한 데이터 블록 형식을 정의하며, 여기에는 여러 개별 디스크립터가 포함될 수 있다. 데이터 블록 컬렉션(DBC)은 처음에 네 가지 유형의 데이터 블록(DB)을 가졌다.

  • 비디오 데이터 블록 (단축 비디오 디스크립터(SVD) 포함)
  • 오디오 데이터 블록 (단축 오디오 디스크립터(SAD) 포함)
  • 스피커 할당 데이터 블록 (디스플레이 장치 스피커 구성 포함)
  • 공급업체별 데이터 블록 (특정 공급업체 사용 정보 포함)


이후 CTA-861 버전에서는 추가 데이터 블록이 정의되었다.

CTA EDID 확장 블록 구조는 다음과 같다.

바이트설명
0확장 태그 (확장 블록 종류); CTA EDID의 경우 0x02
1개정 번호(버전 번호); 버전 3의 경우 0x03
218바이트 DTD 시작 바이트 번호(십진수). DTD가 아닌 데이터가 없으면 0x04 (다음 바이트 이후). 0x00이면 DTD 및 DTD가 아닌 데이터 없음.
3버전 2 이상: 네이티브 DTD 수, 기타 정보. 이전 버전은 예약됨.
비트 7언더스캔 지원: 지원 시 1, 미지원 시 0
비트 6기본 오디오 지원: 지원 시 1, 미지원 시 0
비트 5YCBCR 4:4:4 지원: 지원 시 1, 미지원 시 0
비트 4YCBCR 4:2:2 지원: 지원 시 1, 미지원 시 0
비트 3–0네이티브 DTD 총 수
4–126버전 3 이상: 데이터 블록 컬렉션. 바이트 4부터 바이트 2 지정 바이트 바로 앞까지. 바이트 2가 0x04면 컬렉션 길이 0 (존재하지 않음). 바이트 2가 0x00이면 DTD 없고 DBC가 체크섬 앞 나머지 EDID 블록 전체 차지. 이전 버전은 예약됨.
18바이트 설명자. 바이트 2 지정 바이트부터 시작(0이 아니면). 각 바이트 0–1이 0x00 0x00이 아닌 동안 연속 설명자 존재.
패딩, 18바이트 설명자 없으면 0x00
127체크섬. 모든 128바이트 1바이트 합 0x00



데이터 블록 컬렉션은 디스플레이 비디오, 오디오, 스피커 배치 정보 설명 데이터 블록을 하나 이상 포함한다. 블록 순서 제한 없으며, 각 블록 첫 바이트는 블록 유형 및 길이 정의.

데이터 블록 헤더
바이트설명
0비트 7–5블록 유형 태그
비트 4–0이 바이트 다음 블록 총 바이트 수



태그 코드 7이면, 데이터 블록 첫 페이로드 바이트는 확장 태그 코드, 두 번째 페이로드 바이트는 확장 데이터 블록 첫 페이로드 바이트.

확장 블록 유형 태그
바이트설명
1비트 7–0확장 블록 유형 태그



데이터 블록 하나 종료 후 다음 바이트는 다음 데이터 블록 시작. DTD 시작 바이트(위 바이트 2 지정)까지 해당.

5. 한계

일부 그래픽 카드 드라이버는 역사적으로 EDID에 제대로 대처하지 못하여 상세 타이밍 디스크립터(DTD) 대신 표준 타이밍 디스크립터만 사용했다. DTD를 읽는 경우에도 드라이버는 수평/수직 해상도가 8로 균등하게 나누어져야 한다는 표준 타이밍 디스크립터 제한에 여전히 제한을 받았다. 이는 많은 그래픽 카드가 가장 일반적인 와이드스크린(와이드 화면) 평판 디스플레이LCD TV의 네이티브 해상도를 표현할 수 없음을 의미한다. 수직 픽셀 수는 수평 해상도와 선택한 화면비에서 계산된다. 완전히 표현하려면 와이드스크린 디스플레이의 크기는 16×9 픽셀의 배수여야 한다. 1366×768 픽셀 와이드 XGA 패널의 경우 EDID 표준 타이밍 디스크립터 구문으로 표현할 수 있는 가장 가까운 해상도는 1360×765 픽셀이며, 일반적으로 3픽셀 너비의 검은색 막대가 생긴다. 화면 너비를 1368픽셀로 지정하면 부자연스러운 화면 높이인 769.5픽셀이 생성된다.[7]

많은 와이드 XGA 패널은 표준 타이밍 디스크립터에 네이티브 해상도를 광고하지 않고 대신 1280×768의 해상도만 제공한다. 일부 패널은 1360×765와 같이 네이티브 해상도보다 약간 작은 해상도만 광고한다. 이러한 패널이 픽셀 완벽 이미지를 표시하려면 디스플레이 드라이버가 EDID 데이터를 무시하거나 드라이버가 DTD를 올바르게 해석하고 크기가 8로 나누어지지 않는 해상도를 해결할 수 있어야 한다. EDID 데이터에서 표준 타이밍 디스크립터를 재정의하는 특수 프로그램이 있다. 일부 공급업체의 그래픽 드라이버(특히 인텔의 드라이버)는 사용자 지정 해상도를 구현하려면 특정 레지스트리 해킹이 필요하므로 화면의 네이티브 해상도를 사용하기가 매우 어려울 수 있으므로 항상 가능한 것은 아니다.[7]

6. EDID 정보 확인 도구

리눅스도스용 read-edid[1], Microsoft Windows용 PowerStrip[2], Linux 및 BSD 유닉스용 X.Org Server[3]와 같은 많은 소프트웨어 패키지가 EDID 정보를 읽고 표시할 수 있다. Mac OS X는 기본적으로 EDID 정보를 읽으며, SwitchResX[4] 또는 DisplayConfigX[5]와 같은 프로그램은 정보를 표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 지정 해상도를 정의하는 데에도 사용할 수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Specification Version 1.3a https://web.archive.[...] 2017-04-01
[2] 웹사이트 read-edid http://www.polypux.o[...] 2017-04-01
[3] 웹사이트 Utilities | PowerStrip http://www.entechtai[...] EnTech Taiwan 2017-04-01
[4] 웹사이트 SwitchResX - The Most Versatile Tool For Controlling Screen Resolutions On Your Mac http://www.madrau.co[...] 2017-04-01
[5] 웹사이트 DisplayConfigX http://www.3dexpress[...] 2017-04-01
[6] 웹사이트 VESA Display Device Data Block (DDDB) Standard https://glenwing.git[...] 2006-09-25
[7] 웹사이트 Custom Resolutions on Intel Graphics http://software.inte[...] 2009-11-04
[8] Webarchive VESA E-EDID Standard, Release A, Revision 2. September 25, 2006 https://glenwing.git[...] 2020-11-11
[9] Citation VESA Enhanced EDID Standard http://read.pudn.com[...] Video Electronics Standards Association 2011-11-19
[10] 웹사이트 CTA-861 – CTA's Most Popular Standard https://www.cta.tech[...] CTA
[11] 웹사이트 A DTV Profile for Uncompressed High Speed Digital Interfaces (CTA-861-E) https://shop.cta.tec[...] CTA 2023-08-04
[12] 웹사이트 A DTV Profile for Uncompressed High Speed Digital Interfaces (CTA-861-F) https://shop.cta.tec[...] CTA 2023-08-04
[13] 웹사이트 A DTV Profile for Uncompressed High Speed Digital Interfaces (ANSI/CTA-861-H) https://shop.cta.tec[...] CTA 2023-08-04
[14] 웹사이트 A DTV Profile for Uncompressed High Speed Digital Interfaces (ANSI/CTA-861-I) https://shop.cta.tec[...] CTA 2023-08-04
[15] 웹사이트 CEA publishes new high-speed CEA-861-F DTV Interface Standard http://www.scrapmons[...] 2017-04-01
[16] 웹사이트 A DTV Profile for Uncompressed High Speed Digital Interfaces https://standards.ct[...] 2017-11-30
[17] 웹사이트 CTA's Entire Library of Industry Standards Now Free to Everyone https://www.cta.tech[...] 2020-04-02
[18] 웹사이트 News - "Confidential" HDMI Specifications Docs Hit With DMCA Takedown https://www.tvaddons[...] 2020-04-02
[19] 웹사이트 A DTV Profile for Uncompressed High Speed Digital Interfaces (ANSI/CTA-861-I) https://shop.cta.tec[...] 2023-03-29
[20] 웹사이트 A DTV Profile for Uncompressed High Speed Digital Interfaces (ANSI/CTA-861-H) https://shop.cta.tec[...] 2021-05-27
[21] 웹사이트 Improvements on Audio and Video Signaling (CTA-861.6) https://shop.cta.tec[...] 2022-06-24
[22] 웹사이트 OVT - Optimized Video Timing Generator - CTA https://www.cta.tech[...] CTA 2023-08-04
[23] 웹사이트 Improvements to CTA-861-I (CTA-861.7) https://shop.cta.tec[...] 2024-06-27
[24] 웹사이트 Welcome to The Public Listing For IEEE Standards Registration Authority https://regauth.stan[...] 2020-04-01
[25] 웹사이트 edid-decode.git - edid-decode main repository https://git.linuxtv.[...] 2020-04-02
[26] 문서 see section 8.7 of HDMI 1.3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