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강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황강시는 중화인민공화국 후베이성 동부에 위치한 지급시로, 다볘산맥 남쪽 기슭과 창장 중류 유역 북안에 자리 잡고 있다. 2,000년 이상의 역사를 지니고 있으며, 과거 황국이 존재했던 지역이다. 현재는 1개의 구, 2개의 현급시, 7개의 현으로 구성되어 있다. 경제적으로는 농업, 공업, 관광업 등이 발달했으며, 특히 유기농 채소, 밤, 녹차, 한약재 등이 특산물로 유명하다. 교통의 요충지로, 도로, 철도, 항공, 수상 교통이 발달했으며, 우한, 주장 등 주요 도시와 연결되어 있다. 또한, 도방산의 석가모니 불교 조상당, 동파 적벽 등 역사적 문화 유적지를 보유하고 있으며, 필승, 이시진 등 유명 인물들을 배출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후베이성의 지급시 - 우한시
우한은 후베이성 중부에 위치한 장강과 한수 합류 지점의 대도시이자 경제·문화 중심지로, 무창, 한커우, 한양이 통합되어 형성되었으며 오랜 역사와 신해혁명 발상지, 코로나19 팬데믹 진원지로 알려져 있고, 현재는 중국 중부 부흥 계획의 중심 도시로서 경제 성장과 발달된 교통망, 산업 시설, 연구 기관을 갖추고 있다. - 후베이성의 지급시 - 샹양시
샹양시는 2800년이 넘는 역사를 지닌 후베이성의 지급시이자 국가역사문화명성으로, 한수 중류의 전략적 요충지에 위치하며 섬유 산업을 중심으로 다양한 산업이 발달했고 둥펑 자동차 공장이 있는 중국 자동차 산업의 중심지이다.
황강시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이름 | 황강 |
유형 | 지급시 |
다른 이름 | 황캉 |
현지어 이름 | 黄冈市 |
현지어 이름 (언어) | zh-Hans |
![]() | |
지역 방언 | 하위 양쯔 강 보통화 |
행정 | |
국가 | 중화인민공화국 |
성 | 후베이성 |
정부 소재지 | 황저우구 |
설립 | |
면적 | |
총 면적 | 17446.63 km2 |
도시 면적 | 963.44 km2 |
도시면적 | 363.23 km2 |
인구 | |
인구 조사 기준 시점 | 2020년 인구 조사 |
총 인구 | 5882719 명 |
도시 인구 | 1152559 명 |
도시면적 | 456862 명 |
인구 밀도 | 자동 |
도시 인구 밀도 | 자동 |
도시면적 인구 밀도 | 자동 |
경제 | |
지급시 GDP | CN¥ 1589억 US$ 255억 |
1인당 GDP | CN¥ 25319 US$ 4065 |
기타 정보 | |
시간대 | 중국 표준 |
UTC 오프셋 | +8 |
좌표 | 30.4537° N, 114.8724° E |
좌표 위치 | 황강 시 정부 |
우편 번호 유형 | 우편 번호 |
ISO 코드 | CN-HB-11 |
웹사이트 | 황강시 정부 웹 포털 |
2. 역사
황강은 최소 2,000년의 역사를 가지고 있다.[1]
1912년(민국 원년) 중화민국 성립 후, 황주부는 폐지되고 기주는 기춘현으로 개칭되어 황덕도(이후 악동도, 강한도로 개칭)의 관할이 되었다. 1926년(민국 15년) 도제 폐지에 따라 성 직할이 되었으나, 1932년(민국 21년) 행정 독찰구 제도 시행에 따라 시역은 제3, 제4 행정 독찰구의 관할이 되었다.
중국 공산당은 1922년(민국 11년)부터 이 지역에서 당 조직을 만들기 시작하여, 1927년(민국 16년) 황안현 농민 정부를 수립하고, 이후 황안현은 홍안현으로 개칭되었다. 이후 마성현, 황강현, 기춘현, 광제현, 황매현 소비에트 정부가 수립되었다. 중일 전쟁 발발 후 1941년(민국 30년) 황강현 항일 민주 정부가 예악변구 행정 공서 관할 하에 설치되었다. 국공 내전에서는 악예행서 제4, 제5 전서가 설치되었으며, 1949년(민국 38년) 5월, 제4, 제5 전서가 합병하여 '''황강 행정구 전공서'''가 성립되었고, 다음 달에 '''황강구 행정 공서'''로 개칭되었다.
중화인민공화국 성립 후, 1951년 5월, 황강구 행정 공서는 황강 전원 공서로 개칭되어 호북성 인민정부의 출장 기관이 되었다. 문화 대혁명이 시작되자 1968년 1월 황강 지구 혁명위원회가 설치되었으나, 1978년 11월 폐지되고 '''황강 지구 행정 공서'''가 설치되었다. 1995년 12월 23일, 황주 지구와 현급시인 황강시가 폐지되고 지급시인 황강시가 설치되었다.
2. 1. 고대

춘추 시대의 유물인 Xugongmai 청동 푸는 위왕성 황주에서 발굴되었다. 기원전 845년, 황국의 문후 황맹(黃孟)은 수도를 의성에서 황천(현재의 허난성 황천)으로 옮겼다. 황씨 후손들은 기원전 648년 초나라에 의해 멸망할 때까지 황국을 통치했다. 황국 백성들은 초나라로 강제 이주되었고, 한나라(기원전 206년 – 서기 220년) 시대에 강하군으로 알려진 현재의 후베이성 지역에 정착했다. 오늘날 이 지역에는 황강, 황피, 황메이, 황스, 황안, 황저우 등 황씨의 이름을 딴 많은 지명이 있다.[1]
진 성제 통치 기간, 후조 군대는 양쯔강 북쪽의 많은 진(晉) 도시와 기지에 큰 피해를 입혔고, 주성(邾城, 현재의 후베이성 황강)을 점령했다.
기원전 211년 진(秦)나라의 군현제 시행에 따라 시역은 처음에는 남군 및 구강군에, 이후에는 형산군의 관할 지역이 되었다. 진말 한초에는 항우에 의해 형산국(국도는 읍성)이 설치되었으나, 기원전 203년에 한나라는 형산군을 재설치했다. 기원전 121년(원수 2년), 형산군 및 남군의 14현에 새롭게 강하군(군 치소는 서릉)을 설치하고, 현재의 황주, 기춘은 강하군, 황매, 무혈은 여강군의 관할이 되었다. 47년(건무 23년), 후한에 의해 기춘후국이 잠시 설치되었다. 208년(건안 13년), 강하군을 분할하여 기춘군(군 치소는 기춘)이 신설되어, 현재의 기춘, 황매, 황주를 관할했다.
삼국 시대에는 위(魏)의 세력 하에 놓여 예양군 및 기춘군이 설치되었다. 280년(태강 원년), 진(晋)나라은 기춘군을 폐지하고 그 지역을 무창군으로 이관했으며, 이듬해에는 심양현을 여강군으로, 서릉현, 주현, 기춘현을 예양군으로 이관했다. 306년(영가 3년), 서양국의 신설에 따라 서릉, 주현, 기춘의 3현이 이관되었다.
영가 연간에 발생한 내란에서는 북방으로부터 많은 이민이 이주해 왔다. 329년(함화 4년), 서양국 사마가 주살되자 서양군이 신설되어 서양현, 주현, 서릉현, 기춘현을 관할했다. 378년(태원 3년)에는 남신채군이 설치되었다. 454년(효건 원년)에는 서양군은 형주의 관할이 되었고, 464년(대명 8년)에는 신채군은 강주의 관할이 되었다. 남조 제(齊)나라 시대가 되자 제안군 및 안만좌군이, 486년(영명 4년) 제창군이 설치되었다. 북조에 의한 지배가 행해진 후에도 남조의 행정 구획이 기본적으로 답습되었다.
수(隋)나라에 의한 중국 통일이 달성되자 주군제를 개정하여 주현제가 실시되었다. 585년(개황 5년), 시역에는 황주총관부 및 기주총관부가 설치되었다. 589년(개황 9년)에는 양부가 주로 개편되었으며, 더 나아가 607년(대업 3년), 주제의 폐지에 따라 황주는 영안군으로, 기주는 기춘군으로 개편되었다.
당(唐)나라가 성립하자, 620년(무덕 3년)에 영안군은 황주로 개칭되어 총관부(624년에 도독부로 개칭)를 설치하여 황강현, 보성현, 양성을 관할했고, 이듬해에는 기춘군을 기주로 개편하여 기춘현, 난계현, 영녕현을 관할했다. 724년(천보 원년)에 황주를 제안군, 기주를 기춘군으로 했으나, 758년(건원 원년)에 다시 주가 설치되어 회남도에 속했다.
송(宋)나라 시대에는 황주 및 기주, 원(元)나라 시대에는 황주로 및 기주로, 명나라 청(清)나라 시대에는 황주부 및 기주부로 기본적으로 당나라 제도가 청말까지 답습되었다.
2. 2. 중세
진 성제 통치 기간에 후조(後趙) 군대가 양쯔강 북쪽의 많은 진(晉) 도시와 기지를 공격하여 큰 피해를 입혔고, 주성(邾城, 현재의 후베이성 황강)을 점령했다.[1] 황강은 최소 2,000년의 역사를 가지고 있다.[1]삼국 시대에는 위(魏)의 세력 하에 놓여 예양군 및 기춘군이 설치되었다. 280년 (태강 원년), 진(晋)나라은 기춘군을 폐지하고 그 지역을 무창군으로 옮겼으며, 이듬해에는 심양현을 여강군으로, 서릉현, 주현, 기춘현을 예양군으로 옮겼다. 306년 (영가 3년), 서양국을 신설하면서 서릉, 주현, 기춘 3현을 이곳으로 옮겼다.
영가 연간에 발생한 내란으로 북방에서 많은 이민이 이주해 왔다. 329년 (함화 4년), 서양국 사마가 주살되자 서양군을 신설하여 서양현, 주현, 서릉현, 기춘현을 관할했다. 378년 (태원 3년)에는 남신채군이 설치되었다. 454년 (효건 원년)에는 서양군이 형주의 관할이 되었고, 464년 (대명 8년)에는 신채군이 강주의 관할이 되었다. 남조제(齊)나라 시대에는 제안군 및 안만좌군이 설치되었고, 486년 (영명 4년) 제창군이 설치되었다. 북조의 지배를 받은 후에도 남조의 행정 구획이 기본적으로 유지되었다.
수(隋)나라가 중국을 통일하면서 주군제를 개정하여 주현제를 실시하였다. 585년 (개황 5년), 시역에는 황주총관부 및 기주총관부가 설치되었다. 589년 (개황 9년)에는 양부가 주로 개편되었으며, 607년 (대업 3년)에는 주를 폐지하면서 황주는 영안군으로, 기주는 기춘군으로 개편되었다.
당(唐)나라가 성립하자, 620년 (무덕 3년)에 영안군은 황주로 개칭하고 총관부 (624년에 도독부로 개칭)를 설치하여 황강현, 보성현, 양성을 관할했고, 이듬해에는 기춘군을 기주로 개편하여 기춘현, 난계현, 영녕현을 관할했다. 724년 (천보 원년)에 황주를 제안군, 기주를 기춘군으로 했으나, 758년 (건원 원년)에 다시 주를 설치하여 회남도에 속하게 했다.
송(宋)나라 시대에는 황주 및 기주, 원(元)나라 시대에는 황주로 및 기주로, 명나라청(清)나라 시대에는 황주부 및 기주부로, 당나라 제도가 청말까지 기본적으로 유지되었다.
2. 3. 근현대
황강은 최소 2,000년의 역사를 가지고 있다.[1] 진 성제 통치 기간 동안 후조(後趙) 군대는 양쯔강 북쪽의 많은 진(晉) 도시와 기지에 큰 피해를 입혔으며, 주성(邾城, 현재의 후베이성 황강)을 점령했다.1912년 (민국 원년) 중화민국 성립 후, 황주부는 폐지되고 기주는 기춘현으로 개칭되어 황덕도 (후에 악동도, 강한도로 개칭)의 관할이 되었다. 1926년 (민국 15년) 도제 폐지에 따라 성 직할이 되었으나, 1932년 (민국 21년) 행정 독찰구 제도 시행에 따라 시역은 제3, 제4 행정 독찰구의 관할이 되었다.
중국 공산당은 1922년 (민국 11년)부터 이 지역에서의 당 조직 확립에 착수하여, 1927년 (민국 16년)에는 황안현 농민 정부를 수립하고, 이후 황안현은 홍안현으로 개칭되었으며, 더 나아가 마성현, 황강현, 기춘현, 광제현, 황매현 소비에트 정부가 수립되었다. 중일 전쟁 발발 후 1941년 (민국 30년)에 황강현 항일 민주 정부가 예악변구 행정 공서의 관할 하에 설치되었다. 전쟁 후 국공 내전에서는 시역에 악예행서 제4, 제5 전서가 설치되었으며, 제4 전서는 황강현, 신주현, 마서현, 마동현, 기수현, 나전현을, 제5 전서는 기남현, 기북현, 광제현, 황매현, 영산현을 관할했다. 1949년 (민국 38년) 5월, 제4, 제5 전서가 합병하여 '''황강 행정구 전공서'''가 성립되었고, 다음 달에 '''황강구 행정 공서'''로 개칭되어, 황강, 마성 (마동, 마서가 합병), 나전, 영산, 기수, 기춘 (기남, 기북이 합병), 광제, 황매의 8현을 관할했다.
중화인민공화국 성립 후, 1951년 5월, 황강구 행정 공서는 황강 전원 공서로 개칭되어 호북성 인민정부의 출장 기관이 되었다. 문화 대혁명이 시작되자 1968년 1월에 황강 지구 혁명위원회가 설치되었으나, 1978년 11월에 폐지되고 '''황강 지구 행정 공서'''가 설치되었다. 1995년 12월 23일, 황주 지구와 현급시인 황강시가 폐지되고 지급시인 황강시가 설치되었다.
3. 지리
황강시는 후베이성 동부에 위치하며, 다볘산맥 남쪽 기슭, 창장 중류 유역 북안에 자리한다. 샤오간 시, 우한 시, 어저우 시, 황스 시, 허난성, 안후이성, 장시성과 접한다. 2018년 시내 다볘산맥 일부는 유네스코 세계 지질공원으로 지정되었다[13].
3. 1. 인접 지역
북쪽으로 다볘산맥을 사이에 두고 허난성 신양시와, 동쪽으로 안후이성 안칭시, 류안시와 접하고, 남쪽으로 장시성 주장시와 창장을 사이에 두고 황스 시, 어저우 시와 접하며, 서쪽으로 우한 시, 샤오간 시와 접한다.[13]4. 행정 구역
황강시는 1개의 구, 2개의 현급시 및 7개의 현을 포함하여 총 10개의 현급 행정 구역을 관할한다.[6][7][1]
# | 이름 | 중국어(간체자) |
---|---|---|
현 | ||
1 | 훙안 현 | |
2 | 뤄톈 현 | |
3 | 잉산 현 | |
4 | 시수이 현 | |
5 | 치춘 현 | |
6 | 황메이 현 | |
7 | 퇀펑 현 | |
현급시 | ||
8 | 우쉐 시 | |
9 | 마청 시 | |
구 | ||
10 | 황저우 구 |
5. 경제
황강시는 생물 및 한방 의약품에서 제조업, 농업, 관광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경제를 가지고 있다. 고대부터 황강은 치춘의 4대 보물(뱀, 거북, 대나무 및 쑥), 황메이의 톄오화 자수, 우쉐의 장수이첸 죽세공품과 같은 지역 특산물로 유명했다.[1] 오늘날 황강은 주로 유기농 채소의 생산지로 인식되고 있다.[1]
5. 1. 농업
황강은 생물학과 약초 의학에서 제조업, 농업, 관광업에 이르기까지 다양화된 경제를 갖추고 있다. 고대부터 황강은 치춘의 네 가지 보물(뱀, 거북, 대나무, 뜸쑥)과 황메이의 톄오화 자수, 우쉐의 장수이첸 죽세공품과 같은 지역 특산품으로 유명했다. 오늘날 황강은 주로 유기농 야채의 생산지로 인식되고 있다. 뤄톈은 구이화샹 밤을 생산하는 중국 전체의 밤 생산에서 선도적인 위치에 있다. 잉산은 운무 녹차로 유명하다. 치춘은 물론 약초 의학으로 유명하다. 마청은 축산업의 국가적 모범이 되는 현이다. 황메이는 담수 새우와 향긋한 옥미를 생산한다. 그리고 훙안의 땅콩 생산은 후베이성에서 1위를 차지하고 있다.[1]5. 2. 공업
황강은 생물학과 약초 의학에서 제조업, 농업, 관광업에 이르기까지 다양화된 경제를 갖추고 있다. 고대부터 황강은 치춘의 네 가지 보물(뱀, 거북, 대나무, 뜸쑥)과 황메이의 톄오화 자수, 우쉐의 장수이첸 죽세공품과 같은 지역 특산품으로 유명했다.[1] 오늘날 황강은 주로 유기농 야채의 생산지로 인식되고 있다.[1]
5. 3. 관광업
황강은 생물학과 약초 의학에서 제조업, 농업, 관광업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경제를 갖추고 있다. 고대부터 황강은 치춘의 네 가지 보물(뱀, 거북, 대나무, 뜸쑥)과 황메이의 톄오화 자수, 우쉐의 장수이첸 죽세공품과 같은 지역 특산품으로 유명했다. 오늘날 황강은 주로 유기농 야채의 생산지로 인식되고 있다. 뤄톈은 구이화샹 밤을 생산하여 중국 전체 밤 생산에서 선도적인 위치에 있다. 잉산은 운무 녹차로 유명하다. 치춘은 약초 의학으로 유명하다. 마청은 축산업의 국가적 모범이 되는 현이다. 황메이는 담수 새우와 향긋한 옥미를 생산한다. 그리고 훙안의 땅콩 생산은 후베이성에서 1위를 차지하고 있다.6. 교통
황강시는 교통 기반 시설이 잘 갖춰져 있다. 서쪽으로 우한 공항과 90km, 동쪽으로 장시성의 주장 공항과 160km 떨어져 있다. 장강(창강)을 끼고 있어 우한의 주요 항구가 80km 이내에 있고, 황저우구에는 소규모 항구가 있다.
6. 1. 도로
황강시는 주요 도시 지역 내에 3개의 남북 방향 도로와 7개의 동서 방향 도로로 이루어진 광범위한 도로망을 갖추고 있다. 징주 고속도로(베이징-주하이)와 우한-상하이 간 고속도로를 포함한 몇 개의 새로운 고속도로가 황강시를 지난다. 또한, 창 강(장강)을 가로질러 어저우, 황스, 주장으로 연결되는 3개의 다리가 있다.[1]6. 2. 철도
황강시는 베이징-주룽 철도 노선이 지나가며 여러 역이 있다. 황강시 시내에서 북동쪽으로 약 20km 떨어진 황저우 구에 위치한 황저우역은 베이징, 난창, 선전으로 가는 여러 열차가 운행되어 가장 훌륭한 서비스를 제공한다.[10] 황강시의 여행객들은 강 건너 우한-지우장 철도의 황스역도 이용할 수 있다.- 징주선
6. 3. 항공
황강시는 서쪽으로 우한 공항과 90km 떨어져 있으며, 동쪽으로는 장시성의 주장 공항과 160km 떨어져 있다.6. 4. 수상
황강시는 훌륭한 교통 인프라를 갖추고 있다. 우한 공항은 서쪽으로 90km 떨어져 있으며, 장시성의 주장 공항은 동쪽으로 160km 떨어져 있다. 양쯔강에 위치해 있어 우한의 주요 항구는 80km 떨어져 있으며, 황저우 구에는 소규모 벌크 처리 항구가 있다.
두 개의 다리가 황강을 양쯔강 건너 강 남쪽 둑의 어저우와 연결한다.
- 어황 대교는 황강의 주요 시가지와 어저우를 연결하며, 국도 106호선을 지난다.
- 어동 대교는 다칭-광저우 고속도로(G45)와 상하이-충칭 고속도로(G50)를 지난다.
황강 인근의 다른 강 통과 시설은 다음과 같다.
7. 문화
황강은 도방산의 석가모니 불교 조상당, 오조사, 창춘암, 동파 적벽 등 여러 중요한 역사적 문화 유적지를 품고 있다.[1]
7. 1. 문화 유산
황강은 도방산의 석가모니 불교 조상당, 오조사 및 창춘암, 동파 적벽과 같은 여러 중요한 역사적 문화 유적지를 품고 있다.7. 2. 교육
황강 사범 대학은 황강시에 있는 전일제 고등 교육 기관이다.8. 유명 인물
- 비승 - 송나라 때 활판인쇄술 발명가이다.
- 정이 - 고대 이상주의 철학자이다.
- 이시진 - 약초학자로 고대 의학 고전인 본초강목의 저자이다.
- 리쓰광 - 지질학자이다.
- 린뱌오 - 중국10대원수 중 한 명이었다.[11]
- 둥비우 - 중화인민공화국의 정치가이다.
- 원이둬 - 시인이다.
- 슝스리 - 현대 중국 철학자이다.
- 이선념 - 홍안현 출신이다.[12]
- 정호 - 송나라 신유학의 창시자, 철학자, 정치가이다.
- 진담추 - 중국 공산당(CCP)의 창립 멤버이다.
- 포혜승 - 중국 공산당(CCP)의 창립 멤버이다.
- 황간 - 중국 언어학자이다.
- 대의 도신 - 선불교의 4대 조사이다.
- 대만 홍인 - 선불교의 5대 조사이다.
황강은 유명한 정치적, 군사적 지도자를 많이 배출했다. 훙간현은 "장군의 현"으로 알려져 있다. 400명이 넘는 중국군 장군이 이곳에서 태어났으며 이것은 중국의 어떤 다른 현보다도 많은 것이다. 더욱이 예전에 군인이자 중국의 주석이었던 리셴녠이 훙간현에서 태어났다.[12]
참조
[1]
서적
Cihai (Sixth Edition)
Shanghai Lexicographical Publishing House
2009-09
[2]
웹사이트
China: Húbĕi (Prefectures, Cities, Districts and Counties) – Population Statistics, Charts and Map
http://www.citypopul[...]
[3]
서적
《湖北统计年鉴-2016》
http://www.stats-hb.[...]
中国统计出版社
2017-06-05
[4]
뉴스
http://www.xinhuanet[...]
2020-03-21
[5]
웹사이트
China's Top 10 Most Livable Cities
http://eng.hnloudi.g[...]
Hunan Loudi Official Government
2014-08-04
[6]
웹사이트
http://www.hg.gov.cn[...]
Huanggang People's Government
2018-01-04
[7]
웹사이트
http://www.xzqh.org/[...]
XZQH.org
2018-01-04
[8]
웹사이트
http://data.cma.cn/d[...]
Chin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23-06-11
[9]
웹사이트
Experience Template
https://experience.a[...]
Chin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23-05-28
[10]
웹사이트
http://qq.ip138.com/[...]
[11]
문서
Lin 164
[12]
웹사이트
http://www3.nmtl.gov[...]
National Museum of Taiwan Literature
2019-10-22
[13]
웹사이트
HUANGGANG DABIESHAN UNESCO GLOBAL GEOPARK (China)
https://en.unesco.or[...]
2022-10-20
[14]
웹사이트
湖北省 - 区划地名网
https://www.xzqh.org[...]
[15]
웹인용
http://data.cma.cn/d[...]
중국기상국
2023-06-11
[16]
웹인용
https://experience.a[...]
중국기상국
2023-05-2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