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황금고양이속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황금고양이속(Catopuma)은 고양이과에 속하는 속으로, 아시아황금고양이와 보르네오고양이 2종을 포함한다. 1858년 니콜라이 세베르초프가 모르무스고양이를 종으로 지정하여 제안했다. 아시아황금고양이는 멸종 위기 근접, 보르네오고양이는 멸종 위기 종으로 분류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고양이아과 - 퓨마
    퓨마는 아메리카 대륙에 서식하며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는 대형 고양잇과 동물로, 넓은 분포와 뛰어난 적응력을 가지며 단독 생활을 하는 사냥꾼이지만, 서식지 감소와 인간 활동으로 위협받고 있고 여러 문화에서 상징적인 의미를 지닌다.
  • 고양이아과 - 카라칼
    아프리카와 아시아에 분포하는 중형 고양잇과 동물인 카라칼은 검은 귀털이 특징적이며, 아프리카황금고양이와 함께 카라칼속을 형성하고 서식지 파괴와 가축 습격으로 위협받고 있다.
황금고양이속 - [생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황금고양이]] (C. temminckii) 와 [[보르네오황금고양이]] (C. badia)
황금고양이 (C. temminckii) 와 보르네오황금고양이 (C. badia)
학명Catopuma
명명자Severtzov, 1858
모식종Felis temminckii
모식종 명명자(Vigors & Horsfield, 1827)
이명Badiofelis Pocock, 1932
분류
동물계
척삭동물문
포유강
식육목
고양이과
아과고양이아과
종 목록보르네오황금고양이 (C. badia)
황금고양이 (C. temminckii)
계통 발생
분기 시기940만 년 전
속 분기 시기316만 년 전

2. 하위 종

1858년 니콜라이 세베르초프는 브라이언 호튼 호지슨이 기술한 ''Felis moormensis''를 타입종으로 하여 속명 ''Catopuma''를 제안했다.[7][8][16][17] 황금고양이속에는 다음 두 종이 속한다.

종명이미지아종IUCN 적색 목록 상태분포
아시아황금고양이
(C. temminckii)
(비고스 & 호스필드, 1827)[9][13]
--취약근접 (NT)[4][18]
아시아황금고양이 분포도
보르네오황금고양이
(C. badia)
(그레이, 1874)[10][19]
--(아종 없음)위기 (EN)[20]--


3. 분포

황금고양이속(''Catopuma'')은 니콜라이 세베르초프가 1858년에 ''Felis moormensis'' (브라이언 호튼 호지슨이 기재)를 기준종으로 하여 처음 제안되었다.[16][17]

종명아종적색 목록 및 분포
아시아황금고양이 (C. temminckii) 비고스 & 호스필드, 1827[13]취약근접종 (NT)[18]
보르네오고양이 (C. badia) 그레이, 1874[19](아종 없음)위기종 (EN)[20]


4. 보전 상태

[13]취약근접 (NT)[18]보르네오고양이 (C. badia)
[19]없음위기 (EN)[20]


5. 계통 분류

1858년 니콜라이 세베르초프는 브라이언 호튼 호지슨이 기술한 모르무스고양이를 종 지정으로 하여 속명 ''Catopuma''를 제안했다.[7][8] 황금고양이속에는 다음 두 종이 속한다.

'''황금고양이속 (''Catopuma'') 종 목록'''
이름학명이미지명명자분포 지역분포도IUCN 상태아종
아시아황금고양이C. temminckii[9]--비고스 & 호스필드, 1827스리랑카, 네팔, 인도, 파키스탄, 방글라데시, 동남아시아취약근접(NT)[4]
보르네오황금고양이C. badia[10]--그레이, 1874보르네오 섬--위기(EN)[4]없음


5. 1. 고양이과 내 계통

고양이과는 크게 표범아과고양이아과로 나뉜다.[25] 황금고양이속은 고양이아과에 속하며, 유전적으로 마블고양이속과 가장 가까운 관계이다.[25] 황금고양이속에는 아시아황금고양이보르네오황금고양이 두 종이 포함된다.

참조

[1] 논문 A revised taxonomy of the Felidae: The final report of the Cat Classification Task Force of the IUCN Cat Specialist Group https://repository.s[...]
[2] 논문 Two species of Southeast Asian cats in the genus ''Catopuma'' with diverging histories: an island endemic forest specialist and a widespread habitat generalist 2016
[3] 논문 Recognition of coat pattern variation and broken tail phenomenon in the Asiatic Golden Cat (''Catopuma temminckii'') 2022
[4] 간행물 ''Catopuma temminckii'' 2015
[5] 간행물 ''Catopuma badia'' 2017
[6] 논문 The Late Miocene Radiation of Modern Felidae: A Genetic Assessment http://home.ncifcrf.[...]
[7] 논문 Notice sur la classification multisériale des Carnivores, spécialement des Félidés, et les études de zoologie générale qui s'y rattachent https://archive.org/[...]
[8] 논문 Some Account of a new Species of Felis https://archive.org/[...]
[9] 논문 Descriptions of two species of the genus ''Felis'', in the collections of the Zoological Society https://archive.org/[...]
[10] 논문 Description of a new Species of Cat (''Felis badia'') from Sarawak https://archive.org/[...]
[11] 저널 世界哺乳類標準和名目録 https://doi.org/10.1[...] 日本哺乳類学会
[12] 논문 A revised taxonomy of the Felidae: The final report of the Cat Classification Task Force of the IUCN Cat Specialist Group https://repository.s[...]
[13] 논문 Descriptions of two species of the genus ''Felis'', in the collections of the Zoological Society https://archive.org/[...]
[14] 서적 Evolutionary Theory and Process: Modern perspectives. Papers in Honour of Eviatar Nevo Kluwer Academic Publishing
[15] 논문 The Late Miocene Radiation of Modern Felidae: A Genetic Assessment http://home.ncifcrf.[...]
[16] 논문 Notice sur la classification multisériale des Carnivores, spécialement des Félidés, et les études de zoologie générale qui s'y rattachent https://archive.org/[...]
[17] 논문 Some Account of a new Species of Felis https://archive.org/[...]
[18] 간행물 ''Catopuma temminckii'' 2015
[19] 논문 Description of a new Species of Cat (''Felis badia'') from Sarawak https://archive.org/[...]
[20] 간행물 ''Catopuma badia'' 2017
[21] 문서 MSW3 Wozencraft
[22] 서적 Wild cats of the World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3] 서적 Evolutionary theory and processes: Modern perspectives, Essays in honour of Eviatar Nevo Kluwer Academic Publishing
[24] 웹인용 The late miocene radiation of modern felidae: A genetic assessment. http://home.ncifcrf.[...] 2010-05-27
[25] 저널 The Evolution of CATS http://sehrg.at.ua/_[...]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