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주 황보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황주 황보씨는 황해도 황주를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다. 시조는 후고구려 패강진 호족 출신으로 고려 태조 때 태위를 지낸 황보제공이며, 그의 딸 신정왕태후는 고려 태조의 왕비이다. 황주 황보씨는 고려 왕실과 인척 관계를 맺으며 세력을 확장했으며, 내사문하평장사 황보유의, 대상 황보금산 등 고려 시대에 다양한 관직을 역임한 인물들을 배출했다. 2000년 대한민국 인구조사에서 258명이 황주 황보씨로 확인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황주 황보씨 - [성씨/가문]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황주 황보씨 |
한자 표기 | 黃州 皇甫氏 |
로마자 표기 | Hwangju Hwangbossi |
종류 | 한국의 본관 |
기원 | 황해도 황주군 |
시조 | 황보제공 |
본가 | 황해북도 황주군 인교면 인제리 |
연결된 인물 | 신정왕후 황보유의 황보금산 황보위광 황보광겸 황보영 황보양 황보허 |
웹사이트 | 황주 황보씨 |
참고 사항 | 1930년경 122가구가 거주했음 |
통계 정보 | |
2000년 조사 | 79가구, 258명 |
2. 역사
황주 황보씨(黃州皇甫氏)의 시조는 고려 태조 때 태위를 역임한 황보제공이다. 황보제공은 후고구려 패강진 일대의 호족이었으며, 그의 딸은 태조의 왕비 신정왕태후가 되었다. 황주 황보씨의 본관인 황주(黃州)는 황해도 황주군 일대의 지명으로, 고구려 때부터 여러 이름으로 불리다가 고려 시대에 황주로 바뀌었다. 조선 시대에는 평양부와 황해도에 속했으며, 1937년 황주면이 읍으로 승격되었다.
2. 1. 시조
황보제공은 후고구려 패강진 일대의 호족이었으며, 고려 태조 때 태위를 역임했다. 그의 딸은 고려 태조의 왕비 신정왕태후이다.2. 2. 본관
황주(黃州)는 황해도 중앙 북단에 위치하는 황주군 일대의 지명이다. 고구려 때는 동홀(冬忽) 또는 동어홀(冬於忽)이라 불렸고, 757년(신라 경덕왕 16)에 취성군(取城郡)으로 개칭되었다. 고려 건국 전 태봉 무렵에 황주(黃州)로 바꾸었고 983년(성종 2) 황주목이 되었고, 993년(성종 12)에는 절도사(節度使)를 두었으며 천덕군(天德郡)이라 부르며 관내도(關內道) 관할로 두었다. 1012년(현종 3) 안무사(安撫使)를 두었다가 다시 목으로 개편하여 서해도(西海道)에 예속하였고 1217년(고종 4)에 지고령군(知固寧郡)으로 강등되었다. 1269년(원종 10) 원(元)나라의 동녕부(東寧府)에 속하였고, 1290년(충렬왕 6) 서북면으로 관을 옮겼으며 1356년(공민왕 5)에 다시 황주목(黃州牧)으로 환원되면서 서해도에 이관되었다. 조선 세조 때에 진(鎭)을 두어 2도호부, 6군, 5현 등을 관할하였다. 1895년(고종 32) 지방제도 개정으로 평양부 황주군이 되었다가, 1896년 황해도 황주군으로 개편되었다. 1937년 황주면이 읍으로 승격하였다.3. 고려 왕실과의 인척 관계
고려 태조의 왕비 신정왕태후는 황주 황보씨(黃州皇甫氏) 시조인 황보제공(皇甫悌恭)의 딸이다.[1] 아버지는 태위 삼중대광(太尉三重大匡)을 지냈으며 충의공(忠義公)에 추증되었다.[1]
신정왕태후의 고향 황주는 신라 패강진(浿江鎭) 지역으로, 신라 국경 수비 육군이 집중되어 있던 곳이다.[1] 태조는 이러한 요충지 호족(豪族)의 딸을 왕비로 맞이하여 자신의 지원 세력을 강화했을 것이다.[1] 실제로 태조 사후 왕실 간 세력 다툼에서 황보씨계 왕자와 왕녀는 신명왕후(神明王后) 유씨계(劉氏系)와 혼인 관계를 맺으며 왕실 내 유력한 세력으로 부상하였다.[1]
신정왕태후는 태조와의 사이에 왕자 대종 욱(旭)과 대목왕후(大穆王后)를 낳았다.[1] 외손은 경종(景宗)이며, 친손은 성종(成宗)이다.[1] 성종은 어려서 어머니를 여의고 할머니인 신정왕후 밑에서 자랐다.[1]
4. 인물
고려 시대 인물로는 황보유의(내사문하평장사 역임), 황보금산(고려 태조 때 대상 역임), 황보위광(고려 광종 때 좌윤 역임), 황보광겸(고려 광종 때 재상 역임), 황보영(고려 정종 때 평장사 역임), 황보양(고려 문종~고려 인종 때 어사잡단 역임), 황보허(고려 예종 때 전중시어사 역임) 등이 있다. 신정왕태후는 고려 태조의 왕후이자 황주 황보씨의 시조이다.[6][7]
조선 시대에는 황보찬이 고종 재위 4년(1867)에 삼등으로 근무한 기록이 있다.
4. 1. 고려
- 황보유의 : 내사문하평장사를 역임하였다.[6][7]
- 황보금산 : 고려 태조 때 대상을 역임하였다.[6][7]
- 황보위광 : 고려 광종 때 좌윤을 역임하였다.[6][7]
- 황보광겸 : 고려 광종 때 재상을 역임하였다.[6][7]
- 황보영 : 고려 정종 때 평장사를 역임하였다.[6][7]
- 황보양 : 고려 문종~고려 인종 때 어사잡단을 역임하였다.[6][7]
- 황보허 : 고려 예종 때 전중시어사를 역임하였다.[6][7]
- 신정왕태후 : 고려 태조의 4번째 부인이자 즉위 후 두 번째 왕후로, 충의공의 딸이며 황주 황보씨의 시조이다.[6][7]
4. 2. 조선
조선시대 황주 황보씨에 대한 기록은 없다.4. 2. 1. 고려 문과
고려 예종 1년(1106년) 병술방 을과 1위로 황보허(皇甫許)가 급제하였다.[1]4. 2. 2. 무과
황보규(皇甫珪) |
황보빈(皇甫贇) |
황보상(皇甫尙) |
황보영(皇甫嶸) |
황보준(皇甫峻) |
황보흥(皇甫興) |
5. 집성촌
6. 인구
2000년 기준으로 황보(皇甫)씨는 9,148명이다. 영천 황보씨는 2,806가구 8,877명, 황주 황보씨는 79가구 258명이다.[1]
참조
[1]
문서
[2]
웹사이트
고려시대 신정왕태후 황보씨의 위상 변화 - 왕실 근친혼과 관련하여
https://www.dbpia.co[...]
2021-06-30
[3]
서적
History Of Korea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2
[4]
웹사이트
황보 성씨의 유래
https://m.blog.naver[...]
Naver
2021-06-30
[5]
서적
국영증보문헌비고: 제계고
https://books.google[...]
"[[Sejong University|Sejong University Publisher]]"
1979
[6]
문서
[7]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