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철쭉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황철쭉은 진달래과에 속하는 낙엽성 관목으로, 4~5월에 주황색 꽃을 피우는 식물이다. 구봉화 또는 양철쭉이라고도 불리며, 꽃말은 '정열'이다. 높이는 1~2m까지 자라며, 잎은 연록색에서 짙은 녹색으로 변하고 가을에는 노랗게 단풍이 든다. 고랭지 식물로 추위에 강하며, 배수가 잘 되는 부식질 토양에서 잘 자란다. 파종으로 번식하며, 관상 가치가 높아 정원수로 많이 활용된다. 식물체에 독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진달래속 - 산철쭉
산철쭉은 진달래과의 낙엽관목으로, 영산홍의 한 형태이며 대한민국 남부와 일본, 미얀마, 중국 등에 분포하는 두 가지 형태가 있다. - 진달래속 - 철쭉
철쭉은 한국을 포함한 동아시아에 자생하는 낙엽 관목으로, 4~5월에 다양한 색의 꽃을 피우며, 잎과 꽃에 독성이 있어 섭취에 주의해야 하고, 약재로도 사용되지만 그레이야노톡신 중독 위험이 있으며, 진달래 등과 유사하나 잎이 난 후 꽃이 피는 점과 독성 유무로 구별된다. - 나카이 다케노신이 명명한 분류군 - 개나리
개나리는 한반도 특산종으로 이른 봄에 노란색 꽃이 피고 열매는 약재로 사용되는 낙엽 활엽 관목이다. - 나카이 다케노신이 명명한 분류군 - 능금나무
능금나무는 한국과 중국 원산의 낙엽 활엽 과수로, 사과와 혼용되었으나 별개 종으로 분류되었으며, 독특한 열매 모양과 신맛, 떫은맛을 가진 열매를 맺고 관상용, 약재, 식용으로 이용되어 왔으나, 서양 사과 도입 후 재배가 감소하여 유전자원 보존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 원예 식물 - 석류나무
석류나무는 서남아시아와 중동 원산의 부처꽃과 낙엽성 소교목으로, 붉은 꽃과 식용 열매가 특징이며, 풍요와 다산의 상징으로 여겨져 왔고 전통 의학 및 염색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된다. - 원예 식물 - 국화속
국화속(Chrysanthemum)은 관상용 여러해살이풀로 두상화 형태의 꽃을 피우며, 다양한 색상과 크기를 가지고 동아시아 문화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황철쭉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황철쭉 |
학명 | Rhododendron japonicum for. flavum (Miyoshi) |
학명 명명자 | Nakai |
생물 분류 | |
계 | 식물계 |
미분류 문 | 속씨식물군 |
미분류 강 | 진정쌍떡잎식물군 |
미분류 목 | 국화군 |
목 | 진달래목 |
과 | 진달래과 |
아과 | 진달래아과 |
속 | 진달래속 |
종 | Rhododendron japonicum |
품종 | 황철쭉 |
2. 이름
한 봉우리에 9개 정도 피기 때문에 '''구봉화'''라고도 불린다. 길 잃은 어린 양이 황철쭉 꽃봉오리를 어미 젖인 줄 알고 먹은 후 죽어서 '''양철쭉'''이라고도 한다.[1] 황철쭉의 꽃말은 '정열'이다.
수술은 5개, 암술은 1개, 씨방에는 털이 있다. 나무껍질은 황갈색이다. 줄기의 높이는 1~2m 정도 자란다. 꽃줄기에 선모가 있고 화관은 퍼진 종처럼 생겼으며 지름은 5cm~7cm이다[2]. 포기로 곧게 자라지만 줄기가 총생하여 수형을 유지하며 가지는 굵은 편이다[3]. 잎은 연록색으로 피었다가 짙은 녹색이 되며 크고 엷으며 파상을 이루고 센털이 있는데 가을에는 노랗게 단풍이 든다[1]. 잎은 어긋나고 거꾸로 선 바소 모양이며 양 끝이 둔하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털이 있다. 잎 길이는 5cm~10cm, 너비는 1.5cm~3cm이다[4]. 꽃잎은 보통 주황색 바탕에 반점이 있다.
황철쭉은 고랭지 식물로서 추위에는 강하나, 여름철 고온과 서향 볕이 강한 곳은 피해야 한다[1]. 빈그늘이나 광선 아래에서 잘 자라며, 16~30℃에서 잘 자란다[2]. 배수가 잘 되면서도 보수력이 있는 부식질이 많은 흙이 좋다. 생장이 느린 편이다.
3. 형태
4. 생육 환경 및 재배
4. 1. 재배
4~5월에 꽃이 피고 묵은가지 끝에 4~5개씩 옆을 향하여 핀다. 고랭지 식물로서 추위에는 강하나, 여름철 고온과 서향 볕이 강한 곳은 피한다[1]. 빈그늘이나 광선 아래에서 잘 자라며 16~30도에서 잘 자란다[2]. 배수가 잘 되면서도 보수력이 있는 부식질이 많은 흙이 좋다. 생장이 느린 편이며 높이 1~3m로 자란다. 전정은 하지 않으며 옮겨심기는 가능하다. 3~4월 싹트기 전이나 가을 낙엽이 진 후 옮겨심기를 할 수 있으나, 중부지방에서는 봄에 하는 것이 안전하다. 심는 요령은 다른 철쭉류와 비슷하다. 여름 가뭄 시 지표에 짚을 덮어 지온 상승을 막고 물을 주어 서늘하게 한다[1]. 2000년 기준 철쭉 재배면적은 321.4ha이며, 생산액은 112억원으로 매년 증가 추세이다[5].
4. 2. 번식
주로 파종으로 번식시킨다. 채종할 때 교잡이 생겨 황색 종자의 씨에서 주황이나 빨간 꽃이 필 때도 많으므로 주의한다. 파종 적기는 봄 3~4월이 좋으며, 온실에서는 가을에 채종하여 바로 심어도 된다. 얕은 파종분이나 깊이 7cm 정도의 상자에, 밑에는 왕모래를 깔고 물이끼나 피트모스를 사용하여 파종한다. 물이끼는 가급적 새것을 5cm 폭으로 썰어서 파종 상자에 채우고 가볍게 누른 다음 흩뿌림하여 흙을 덮지 않는다. 파종 후에는 파종분을 물에 넣어 아래에서 물을 주고 위에는 유리판을 덮어 건조를 방지하며, 따뜻한 반그늘에 둔다. 빠르면 2주일, 늦어도 1개월이면 발아하므로 싹이 트면 유리판을 벗기고 차차 볕에 내놓아 웃자람을 방지한다. 본 잎이 2~3장일 때 한 차례 옮겨 심어 충실한 것만 남긴다. 모종이 3cm쯤 자랐을 때 이식한다. 이때 쓰는 흙은 '''부엽토'''와 피트모스를 섞은 흙을 사용하며, 다음 해 봄에 노지에 심는다. 파종하여 꽃이 필 때까지 약 4~5년이 걸린다. 육묘 도중에 입고병이 걸리기 쉬우므로 건조하지 않게 관리하며, 산성 토양을 좋아하므로 알칼리성이 되지 않게 하고 우스풀룬을 뿌려준다.[1]
5. 품종
꽃의 색은 여러 가지가 있는데 황색인 것은 황철쭉, 흰색인 것은 '''흰철쭉'''이다. 주황색이 도는 것을 일본에서는 가바렌게라고 한다[2]. 붉은 꽃이 피는 것은 흔히 홍철쭉이라고 통용되며, 노란 꽃이 피는 것도 있는데 모두 황철쭉의 변종들이다. 황색 꽃이 피는 것이 가장 진귀하다[1].
6. 쓰임새
황철쭉은 관상 가치가 매우 높아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낙엽성 철쭉이다.[5] 고급 정원수로 정원, 공원, 유원지 등에 군식(群植)이나 단식(單植)해도 좋으며 낙엽수와 혼식(混植)해도 좋다. 꽃 빛깔이 화려하여 양식 정원에 더 잘 어울린다. 다른 화목만큼 널리 보급되지는 못했으며, 최근에 와서 수급이 활발해진 철쭉 중 하나이다. 아름다우면서도 보급이 활발하지 못한 이유는 식물체에 독성이 있어 살충 효과가 있고,[2] 꺾꽂이가 불가능하여 번식이 쉽지 않으며 생육이 느리기 때문이다.[1]
참조
[1]
서적
관상수 재배 기술
오성출판사
2007-05-05
[2]
웹사이트
충북농원
http://www.cbfarm.co[...]
[3]
웹사이트
대성농원
http://www.daesungs.[...]
[4]
웹사이트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
http://www.nature.go[...]
[5]
논문
황철쭉(R. japonicum for. flavum)의삽목묘양성을위한삽수조제방법및발근촉진제처리효과
[6]
논문
골프장에서주황긴다리풍뎅이(Ectinohopliarufipes)의 신 기주 식물
2008-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