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회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회개는 자신의 잘못을 뉘우치고 개선하려는 행위를 의미하며, 유대교, 기독교, 이슬람교, 힌두교, 불교, 하와이 원주민 종교 등 다양한 종교와 문화에서 중요한 개념으로 여겨진다. 유대교에서는 죄를 속죄하고 윤리적 자기 변혁을 이루는 것을 목표로 하며, 기독교에서는 죄로부터 돌아서는 구원의 과정으로, 로마 가톨릭과 개신교 간에 그 의미와 방법에 대한 차이가 존재한다. 이슬람교에서는 알라와의 관계에서 개인의 죄를 뉘우치는 '타우바'를 강조하며, 힌두교는 자기 성찰과 속죄를 통해 영적 성장을 추구한다. 불교에서는 자신의 죄를 고백하고 뉘우치는 참회(산게)를 수행의 중요한 부분으로 여긴다. 하와이 원주민 종교의 호오포노포노는 용서와 화해를 위한 의식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교리 - 조직신학
    조직신학은 성경적, 논리적 체계를 바탕으로 기독교 신학의 핵심 주제인 계시, 삼위일체, 인간, 그리스도, 구원, 교회, 종말 등을 다루는 학문이다.
  • 교리 - 동일본질
    동일본질은 니케아 공의회에서 그리스도의 존재론을 명확히 하기 위해 채택된 용어로, 삼위일체 교리에서 성부, 성자, 성령의 동일한 신적 본질을 나타내는 핵심 개념이다.
  • 죄 - 대한민국 형법 제17조
    대한민국 형법 제17조는 죄의 요소가 되는 위험 발생과 결과 사이의 인과관계에 대한 조항으로, 학계에서는 판례의 모호성과 객관성 결여를 비판하며 법 개정 논의가 제기되고 있지만 입법 여부는 불투명하다.
  • 죄 - 대죄
    대죄는 기독교 윤리학에서 신과의 관계를 끊거나 영적 죽음을 초래하는 심각한 죄를 의미하며, 가톨릭, 루터교, 동방 정교회 등 각 교파마다 다양한 관점으로 해석된다.
  • 신앙과 교리 - 믿음
    믿음은 정신적 표상에 대한 태도, 기능적 역할, 해석에 따라 다양한 개념으로 이해되며, 표상주의, 기능주의, 성향주의, 해석주의 관점에서 연구되고, 완전/부분적 신념, 신뢰, 'de dicto'/'de re' 구분, 집단 신념, 현재적/소질적 믿음, 내재주의/외재주의, 원자론/분자론/전체론 등 다양한 측면과 종교, 인식론, 심리학과 연관된다.
  • 신앙과 교리 - 신성 (종교)
    신성은 신에게 헌정되거나 신의 권능에 속하는 것을 의미하며, 종교적으로 존경받는 대상이나 영역을 신성화, 봉헌, 정화 등의 의식을 통해 표현하는 개념으로, 종교사와 사회학 등 다양한 학문 분야에서 탐구된다.
회개
위키백과 정보
정의자신의 행동을 되돌아보고 지은 죄나 잘못에 대해 뉘우치는 감정
관련 감정죄책감
후회
통회

2. 유대교

유대교에서 회개(תשובה|테슈바he)는 죄를 속죄하고 윤리적 자기 변화를 이루는 핵심적인 요소이다. 유대교는 모든 사람이 때때로 죄를 짓지만, 과거의 잘못을 회개함으로써 미래에 그러한 죄를 멈추거나 최소화할 수 있다고 본다.[2]

2. 1. 바알 테슈바

전통적으로 유대교에서 참회자는 ''바알 테슈바''(문자 그대로 "회개의 주" 또는 "돌아옴의 주") (בעל תשובה|발 테슈바he)로 알려져 있다. 여성형은 בעלת תשובה|바알라트 테슈바he이며, 복수형은 בעלי תשובה|바알레이 테슈바he이다. 또 다른 현대 용어로는 ''호제르 베테슈바'' (חוזר בתשובה|호제르 베테슈바he) (''문자 그대로'', "회개하며 돌아옴")가 있다. 할라카에 따르면, "바알레이 테슈바가 서 있는 곳에는" "완전히 의로운 자조차도 설 수 없다."[3]

3. 기독교

기독교에서 회개는 단순히 잘못을 뉘우치는 것뿐만 아니라, 적극적으로 선을 행하는 것을 포함하는 이중적인 의미를 지닌다. 구약성경에서는 '나캄'(뉘우친다)과 '슈브'(돌아선다)라는 단어가, 신약성경에서는 '메타노이아'(마음의 변화)와 '에피스트로페'(행동의 변화)라는 단어가 사용되었다.[13] 회개한 사람은 죄악된 삶에서 벗어나 성령에 의한 변화된 삶을 살아간다(로마서 12장 1-2절).

회개는 죄인이 자신의 과거를 돌아보며 죄를 멀리하는 의식적인 변화라고 정의할 수 있다.[13] 기독교 구원의 한 단계로서 회개는 믿음 이전(일부 신학적 전통) 또는 이후(개혁주의 신학 전통)에 일어난다고 본다.[4] 로마 가톨릭 신학에서 회개는 고해의 일부이다.[5]

'참회'는 성공회 등에서 사용하는 용어이지만, 모든 교파에서 일상적으로 사용되는 표현은 아니다. 가톨릭교회에서는 고해성사, 정교회에서는 참회성사라고 불린다.

3. 1. 회개의 요소

회개는 지적, 감정적, 의지적 요소를 포함한다.[13]

  • 지적 요소: 과거의 생활이 죄와 오염, 그리고 절망을 안고 있는 죄의 생활이었음을 인식하는 것이다. (로마서 3:20)
  • 감정적 요소: 거룩하고 의로우신 하나님을 대항하여 범한 죄를 슬퍼하는 것이다. (고린도후서 7:9, 10)
  • 의지적 요소: 죄로부터의 내적인 전환과 죄를 용서받고 씻어 버리고자 하는 성향을 말한다. (로마서 2:4) 이는 회개의 가장 중요한 부분이다.


로마 가톨릭에서는 회개를 외적인 형벌에 대한 공포, 신부에게 하는 고백, 금식, 고행, 성지순례 등과 같은 고해성사의 외부적 행위로 이루어진다고 본다. 그러나 성경은 회개를 전적으로 죄에 대해 통회하는 내적인 작용으로 보며, 그 결과로 일어나는 생활의 변화와 혼동해서는 안 된다고 말한다.

3. 1. 1. 성경에서의 근거

구약성경에서는 '나캄'(뉘우친다)과 '슈브'(돌아선다)라는 용어가 사용되었고, 신약성경에서는 '메타노이아'(마음의 변화)와 '에피스트로페'(행동의 변화)라는 용어가 사용되었다.[13] 회개한 사람은 죄악된 삶에서 벗어나 성령에 의해 변화된 삶을 살아간다(로마서 12장 1-2절).

성경》의 역대기에는 다음과 같이 적혀 있다.

이사야서에는 다음과 같이 적혀 있다.

[ 사58:6~7 ]

잠언에 따르면, 회개의 과정을 거치지 않고 구원받을 수 있는 인간은 없으며(잠 29:1), 생명에 이르는 회개는 항상 하나님과의 관계에서만 가능하다( 51:4).

예수의 첫 번째 선교는 “이르시되 때가 찼고 하나님의 나라가 가까이 왔으니 회개하고 복음을 믿으라”(막 1:15)는 것이었다. 이는 회개가 예수 그리스도를 통한 하나님께 대한 응답임을 보여준다.

회개는 하나님이 주시는 선물이라고도 한다( 11:18, 딤후 2:25).

3. 2. 로마 가톨릭의 개념

로마 가톨릭은 회개를 외적인 관념으로 이해한다. 즉, 회개는 외적 형벌에 대한 두려움 때문에 생기는 개인적인 죄에 대한 슬픔이며, 죄를 용서할 수 있는 신부에게 고해성사를 하는 것이다. 또한, 금식, 고행, 성지순례 등 고해성사의 외부적 행위를 통해 죄를 갚아야 한다고 주장한다.[13]

3. 2. 1. 개신교의 비판

개신교는 로마 가톨릭의 회개 개념이 성경적이지 않다고 비판한다. 로마 가톨릭은 회개를 외적인 형벌에 대한 두려움에서 비롯된 슬픔, 신부에게 죄를 고백하는 것, 금식, 고행, 성지순례와 같은 외적인 행위로 이루어진다고 본다.[13] 반면 개신교는 회개를 죄에 대한 통회하는 내적인 태도로 보며, 그 결과로 삶의 변화가 나타난다고 강조한다. 즉, 회개는 내적인 변화와 그에 따른 삶의 변화를 모두 포함하는 것이다.

3. 3. 분류

회개는 다음과 같이 분류된다.[13]

  • 급진적 회개: 다메섹 도상에서 예수의 목소리를 듣고 회개하여 기독교인이 된 바울의 경우가 대표적이다. 회심자 중 약 3~5%가 이에 해당한다.
  • 점진적 회개: 회심하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여기에 해당한다. 순례자처럼 배회하다가 정착하는 유형으로, 회심자 중 80%가 여기에 해당한다.
  • 무의식적 회심: 모태신앙 형태로, 회심적 환경에서 성장하다가 자기신앙고백을 하게 되는 경우이다.
  • 재통합적 회심: 뒤늦게 깨달아 확실한 신앙을 갖는 경우이다. 재세례파 운동 등이 이에 해당한다.
  • 계획된 회심: 부흥회 등을 통해 회심하는 경우이다. 인위적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 있다. 장로교 설교자 마틴 로이드 존스사도행전 이야기인 《승리하는 기독교》에서 부흥회는 인간의 감정을 자극하여 일시적 회심자를 만들어낼 뿐이라고 비판했다.[13]

4. 이슬람

타우바는 와 잘못을 저지른 것에 대해 알라께 회개하는 이슬람의 개념이다. 이는 개인과 알라 사이의 직접적인 문제이므로 중재는 없다. 이슬람에는 원죄가 없다.[6][7][8] 타우바는 자신의 잘못을 뉘우치고, 속죄하며, 다시는 잘못을 저지르지 않겠다는 강한 결심을 갖는 행위를 의미한다. 다른 사람에게 죄를 지었다면 배상이 필요하다.[9]

4. 1. 타우바의 중요성

타우바는 알라가 금지한 것을 버리고 그가 명령한 것으로 돌아가는 것을 의미한다.[9]

5. 힌두교

다르마 샤스트라와 베다는 자기 성찰, 참회(파스차타파) 및 속죄(프라야쉬치타)를 권장한다. 아자밀라 이야기와 같이, 가장 악한 죄인이라도 신의 은총으로 용서받을 수 있다는 내용이 있다.[10]

6. 불교

불교에서 '''참회'''(懺悔, 산게)란 자신의 과거 죄악을 부처, 보살, 스승 앞에서 고백하고 뉘우치는 것이다. 본래 산스크리트어로 "인내"를 의미한다. 반달마다 행해지는 포살에서는 지역 승려가 범한 죄를 고백하고 참회하는 것 외에도, 자자라는 승려들끼리 서로 죄를 고백하는 행사도 있었다.[11]

대승 불교에서 성찰을 위해 사용되는 가장 일반적인 참회 구절 중 하나는 보현의 참회 게송으로, 화엄경 40장에서 발췌한 것이다.

참회문이라는 게송이 있으며, 산악 수행에서는 등산할 때 "참회, 참회, 육근청정"이라고 외친다.[11]

'''회과'''(けか)는 참회하는 의식이다. 『일본서기』 사이메이 천황 원년(642년) 6월 25일 조에 회과를 행한 기록이 있는데, 기우제를 위해 소와 말을 제물로 바쳤지만 효과가 없어서 부처의 가르침에 따라 회과를 하고 기우제를 지냈다는 것이다. (이는 도교적 의례에서 불교적 의례를 채택한 형태이다).[11]

6. 1. 참회 수행의 중요성

붓다는 잘못에 대한 수치심(팔리어: ''hiri'')과 잘못된 행동의 결과에 대한 두려움(팔리어: ''otappa'')을 악행에 빠지는 것을 막는 필수적인 방어 수단으로 여겼으며, 나아가 정화의 길에서 매우 유용하다고 보았다. 또한 다른 사람들과 더 큰 그림에 비추어 자신의 행동에 대해 정기적으로 자기 평가 또는 현명한 성찰(팔리어: ''yoniso manasikara'')을 하는 것을 권장했다.[11]

6. 2. 천태종의 참법

천태종의 참법은 스스로 알게 모르게 지은 여러 악행을 참회하고, 마음속의 탐욕, 분노, 어리석음의 삼독(三毒)을 제거하여 자신의 마음을 더욱 고요하고 깨끗하게 하는 의식이다.[11] 12세기 중반에는 궁중 행사 중 하나이기도 했다.

6. 2. 1. 법화참법

법화경을 읽고 의식을 행하는 참법이다. 천태종 참법도 이 분류에 들어간다.

6. 2. 2. 기타 참법

천태종의 법요 의식에는 '''참법'''(懺法)이라는 것이 있다. 참법이란 스스로 알게 모르게 지은 여러 악행을 참회하여, 서로의 마음속에 있는 "탐욕, 분노, 어리석음"의 삼독을 제거하고 자신의 마음을 더욱 고요하고 깨끗하게 하는 의식이다. 12세기 중반에는 궁중 행사 중 하나이기도 했다.[11]

아즈마카가미의 기술에는, 12세기 말 쇼지 2년(1200년) 2월 2일 조에, 요리토모 사후, 장군가 호조 마사코가 법화당에서 법화참법을 시작했다는 기사가 보인다. 무가의 정치가 시작되고 약 15년 후에는 참법이 행해지고 있었다는 것이다.[11]

참법의 종류는 다음과 같다.

  • 법화참법 - 법화경을 읽고 의식을 행한다. 천태종 참법도 이 분류에 들어간다.
  • 관음참법 - 관세음보살을 본존으로 하여 의식을 행한다.
  • 아미타참법
  • 길상참법

6. 3. 수험도

수험도에서도 불교의 영향을 받아 참회가 수행의 일환으로 행해진다. 참회 대상이 직접적이며, 수행의 일환이기도 하다(이 점에 있어서 불교와 기독교와는 다르다).[11]

7. 하와이 원주민 종교

호오포노포노는 하와이 종교에서 화해와 용서를 위한 고대 관습으로, 기도와 결합된 형태이다. 유사한 용서 의식은 사모아, 타히티, 뉴질랜드를 비롯한 남태평양의 여러 섬에서 행해졌다. 전통적으로 호오포노포노는 신체적으로 아픈 사람의 가족 구성원들 사이에서 치유 사제인 *카후나 라파ʻ아우*가 행했다.[1]

7. 1. 호오포노포노의 현대적 적용

현대에는 가족 내 갈등 해결이나 개인의 심리 치료를 위해 호오포노포노가 활용되기도 한다.

8. 한국 사회와 회개

한국 사회에서 회개는 개인의 윤리적 성찰뿐만 아니라, 사회적 갈등 해소와 공동체 회복을 위한 중요한 과제이다.

참조

[1] 서적 Justice for All: How the Jewish Bible Revolutionized Ethic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Nebraska Press
[2] 서적 A Code of Jewish Ethics: Volume 1 - You Shall Be Holy Bell Tower
[3] 서적 Koren Talmud Bavli: Berakhot 34b Koren Publishers Jerusalem
[4] 서적 The Cross and Salvation: The Doctrine of Salvation Crossway
[5] 서적 The Cross and Salvation
[6] 웹사이트 Tawbah - Oxford Islamic Studies Online https://web.archive.[...] 2018-08-25
[7] 웹사이트 Repentance - Oxford Islamic Studies Online https://web.archive.[...] 2018-08-25
[8] 뉴스 Islam {{!}} religion https://www.britanni[...] 2018-08-25
[9] 서적 Beyond Secularism and Jihad?: A Triangular Inquiry Into the Mosque, the Manger, and Modernity https://books.google[...] University Press of America
[10] 웹사이트 Regret and Repentance https://www.krishna.[...] 2024-01-25
[11] 웹사이트 City of 10,000 Buddhas - Sutra Texts - The Avatamsaka Sutra 40 http://cttbusa.org/a[...] 2018-08-15
[12] 간행물 懺悔考・女郎考 吉川弘文館
[13] 서적 한눈에 보는 성경조직신학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