효공인황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효공인황후는 청나라 강희제의 후궁이자 옹정제의 어머니이다. 본명은 말루이며, 정황기 출신으로 호군참령의 딸이다. 1673년 강희제의 후궁으로 입궁하여 덕빈, 덕비를 거쳐 덕비가 되었고, 옹정제가 즉위한 후 황태후로 추존되어 인수황태후가 되었다. 옹정 원년에 사망하여 효공인황후로 추봉되었으며, 경릉에 안장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우야 할라 - 장순황귀비
장순황귀비는 도광제의 후궁으로 세 아들과 딸 하나를 낳았으며, 여러 작위를 거쳐 최종적으로 장순황귀비가 되었고, 사망 후 황귀비 장순의 시호를 받아 목릉에 안장되었으며, 손자가 광서제로 즉위하여 제사를 받들었다. - 강희제의 황후 - 효성인황후
효성인황후는 강희제의 황후로, 색니의 손녀이며, 강희제와 혼인하여 내명부를 관장하고 두 아들을 낳았으며, 산후병으로 사망 후 황후로 추존되었다. - 강희제의 황후 - 효의인황후
효의인황후는 청나라 강희제의 황후이자 옹정제의 양모로, 귀비에서 황귀비를 거쳐 황후가 되었으나 자녀는 없었고 옹정제 교육에 힘썼으며, 옹정제 즉위 후 시호를 받고 태묘에 배향되었다. - 청나라의 황태후 - 서태후
서태후는 함풍제의 후궁으로 동치제를 낳았으며, 수렴청정을 통해 청나라 말기 정치에 막대한 영향력을 행사했고, 양무 운동 추진 및 의화단 지원 등 다양한 정치적 행보를 보였다. - 청나라의 황태후 - 효강장황후
효강장황후는 청나라 순치제의 후궁이자 강희제의 어머니이며, 강희제를 낳은 후 황태후가 되었으나 젊은 나이에 사망하여 효릉에 부장되었다.
효공인황후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칭호 | 황태후 인수 |
재위 기간 | 1722년 12월 27일 – 1723년 6월 25일 |
통치 기간 | 보유 |
이전 | 효혜장황후 |
이후 | 효성헌황후 중경 |
개인 정보 | |
출생일 | 1660년 4월 28일 (순치 17년 3월 19일) |
사망일 | 1723년 6월 25일 (옹정 원년 5월 23일) |
사망 장소 | 자금성, 영화궁 |
매장지 | 동릉, 경릉 |
배우자 | 강희제 |
자녀 | 옹정제 윤조 7번째 딸 화석온헌공주 12번째 딸 윤제, 순친왕 |
시호 | 효공선혜온숙정유자순흠목찬천승성인황후 (孝恭宣惠溫肅定裕慈純欽穆贊天承聖仁皇后) |
성씨 | 오야 (烏雅) |
부친 | 웨이우 |
모친 | 사이허리 부인 |
기타 | |
중국어 | 孝恭仁皇后 |
간체 | 孝恭仁皇后 |
병음 | Xiàogōngrén Huánghòu |
만주어 | ᡥᡳᠶᠣᠣᡧᡠᠩᡤᠠ ᡤᡠᠩᠨᡝᠴᡠᡴᡝ ᡤᠣᠰᡳᠨ ᡥᡡᠸᠠᠩᡥᡝᠣ |
만주어 로마자 표기 | Hiyoošungga Gungnecuke Hosin Hūwangheo |
2. 생애
1678년(강희 17년) 음력 10월에 훗날 옹정제가 되는 윤진(胤禛)을 낳았으며, 이듬해인 1679년(강희 18년)에 덕빈(德嬪)에 봉해졌다. 1681년(강희 20년)에는 덕비(德妃)로 진봉되었다.
옹정제 즉위 후 황태후에 책봉되었으나, 옹정제 원년(1723년)에 사망하였다. 친아들 옹정제와 사이가 좋지 못했는데, 이는 옹정제가 또 다른 친아들이자 동복 형제인 14황자를 정적으로 배척했기 때문이다. 같은 해 음력 9월 강희제의 경릉(景陵)에 합장되고 태묘에 부묘되었으며, 옹정제에 의해 '''효공인황후'''(孝恭仁皇后)로 추봉되었다.
2. 1. 가계와 초기 생애
효공인황후(孝恭仁皇后)의 이름은 말루(瑪琭)였다.[1] 그녀는 정황기(正黃旗) 보이아하(布衣阿哈) 출신으로, 1등 공신에 봉해진 정3품 무직경관 호군참령 위무(威武, 자금성 궁중 호위병들의 수장)의 딸이었다. 훗날 효공인황후가 된 그녀는 순치제(順治帝) 17년 3월 19일 (음력)(1660년 4월 28일)에 태어났다. 내무부 포의(包衣) 찬방총령(膳房總領) 액선(額森)의 손녀이기도 하다.강희제 12년(1673년), 우야씨는 후궁에 들어가 상재(常在, 신분이 낮은 빈)가 되었다. 1678년(강희 17년) 음력 10월에 훗날의 옹정제가 되는 윤진(胤禛)을 낳았으며, 이듬해인 1679년(강희 18년)에 덕빈(德嬪)에, 1681년(강희 20년)에 덕비(德妃)로 진봉되었다.
그녀의 가계는 다음과 같다.
관계 | 이름 |
---|---|
아버지 | 위무(威武) (3품 무관인 호군참령(護軍參領)을 지냈고, 일등공(一等公) 작위를 받았다.) |
외조부 | 액선(額森) |
외조모 | 과얼가씨(瓜爾佳氏) |
어머니 | 사이허리씨(塞和裡氏) |
언니 | 알링아(阿靈阿)의 부인 |
남동생 | 박기(博啟) (산직대신(散秩大臣)을 지냈고, 일등공(一等公) 작위를 받았다.) |
2. 2. 강희제 후궁 시절
1678년(강희 17년) 음력 10월에 훗날의 옹정제가 되는 윤진(胤禛)을 낳았으며, 이듬해인 1679년(강희 18년)에 '''덕빈'''(德嬪)에 봉해졌다.[1] 1681년(강희 20년)에 '''덕비'''(德妃)로 진봉되었다.[1]
1673년 2월 또는 3월, 우야씨(Lady Uya)는 자금성에 들어가 강희제의 궁녀가 되었다.[2] 1679년 11월 15일, 덕빈(Concubine De)이라는 칭호를 받았다.[2] 1680년 3월 5일, 강희제의 여섯 번째 아들인 윤조(Yinzuo)를 낳았으나, 윤조는 1685년 6월 15일에 요절하였다.[2]
1682년 1월 28일, 덕비(Consort De)로 봉해졌다.[2] 이후 강희제의 일곱 번째 딸(1682년 7월 5일 출생, 1682년 9월 요절),[2] 아홉 번째 딸인 문헌공주(1683년 11월 10일 출생),[2] 열두 번째 딸(1686년 6월 14일 출생, 1697년 2월 또는 3월 요절)을 낳았다.[2] 1688년 2월 10일에는 열네 번째 아들인 운티(Yunti)를 낳았다.[2]
2. 3. 옹정제 즉위와 갈등
옹정제가 즉위하자 황태후에 책봉되었으나, 옹정제 원년(1723년)에 사망하였다.[2] 구자탈적이라 불리는 정쟁에서, 우야씨(옹정제)의 두 아들은 자주 다투었다. 우야씨는 어린 아들인 윤제를 가장 사랑했기에, 장남인 윤진이 즉위하자 놀라움과 큰 불만을 느꼈다고 한다. 우야씨는 자살을 암시하며 황태후의 칭호를 한 차례 거부했다고 한다.2. 4. 죽음
1723년(옹정 원년) 음력 5월 23일 64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그녀의 친아들 옹정제는 또 다른 친아들이자 동복 형제인 14황자를 정적으로 배척하여, 옹정제와는 사이가 좋지 못했다.[2] 같은 해 음력 9월 강희제의 경릉(景陵)에 합장되고 태묘에 부묘되었으며, 옹정제에 의해 '''효공인황후'''(孝恭仁皇后)로 추봉되었다.[2]일부 자료에 따르면, 효공인황후는 남편과 합장되기 위해 자살을 원했으나 아들 옹정제가 허락하지 않았다고 한다. 이후 효공인황후는 병에 걸려 치료를 거부한 채 사망하였다.[2]
3. 자녀
효공인황후는 강희제와의 사이에서 3남 3녀를 낳았으나, 윤진과 윤제, 고륜온헌공주를 제외한 나머지 1남 2녀는 일찍 세상을 떠났다.
이름 | 출생 | 사망 | 비고 |
---|---|---|---|
윤진(胤禛) | 1678년 | 1735년 | 청나라 제5대 황제 |
윤조(胤祚) | 1680년 | 1685년 | |
황7녀 | 1682년 | 1682년 | 이름이 남아있지 않음 |
고륜온헌공주 | 1683년 | 1702년 | 동국유(佟國維)의 손자이자 효의인황후의 조카인 동가 순안안(佟佳 舜安顏)에게 하가 |
황12녀 | 1686년 | 1697년 | 이름이 남아있지 않음 |
윤제(胤禵) | 1688년 | 1756년 | 초명 윤정(胤禎), 옹정제 즉위 후 개명 |
4. 기타
효공인황후는 여러 미디어 매체에서 등장인물로 다루어졌다.
4. 1. 드라마
- 오인린(Au Yin-lin)이 《청궁(The Rise and Fall of Qing Dynasty)》(1987)에서 효공인황후 역을 맡았다.
- 천이선(Sally Chen)이 《옹정황제(Legend of YungChing)》(1997)에서 효공인황후 역을 맡았다.
- 시젠란(Shi Jianlan)이 《옹정왕조(Yongzheng Dynasty)》(1999)에서 효공인황후 역을 맡았다.
- 우첸첸(Wu Qianqian)이 《황태자비시(Huang Taizi Mishi)》(2004)에서 효공인황후 역을 맡았다.
- 류시시(Leanne Liu)가 《궁》(2011), 《후궁(Empresses in the Palace)》(2011), 《궁2(Palace II)》(2012)에서 효공인황후 역을 맡았다.
- 대춘롱(Dai Chunrong)이 《보보경심(Scarlet Heart)》(2011)에서 효공인황후 역을 맡았다.
- 오천련(Vivian Wu)이 《궁(The Palace)》(2013)에서 효공인황후 역을 맡았다.
- 로잔느 루이(Rosanne Lui)가 《금빛 젓가락(Gilded Chopsticks)》(2014)에서 효공인황후 역을 맡았다.
- 뤄미(Luo Mi)가 《화룡전설(Legend of Dragon Pearl)》(2017)에서 효공인황후 역을 맡았다.
- 류설화가 드라마 《궁정의 쟁이녀》(宮廷の諍い女)에서 황태후 역을 맡았다.
참조
[1]
서적
Shanghai Academy of Social Sciences Press
[2]
서적
[3]
문서
康熙十八年 十月 十三日
[4]
문서
康熙二十年 十二月 二十日
[5]
문서
康熙六十一年 十一月 十三日
[6]
문서
雍正元年 八月
[7]
문서
雍正帝により正黄旗に抬旗された。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