훈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훈허는 "진흙/탁류의 강"을 의미하며, 중화인민공화국 랴오닝성에 위치한 강이다. 첸산 산맥에서 발원하여 다훠팡 저수지로 흘러 들어가며, 선양, 푸순 등 여러 도시에 식수를 공급한다. 1958년까지는 타이쯔강, 와이랴오허와 합류하여 랴오허를 이루었으나, 하천 공사로 인해 랴오허와 분리되어 독립적인 수계가 되었다.
훈허(渾河중국어)라는 이름은 "진흙/탁류의 강"을 의미한다. 이 이름은 훈허의 빠른 유속과 높은 퇴적물 부하로 인해 강이 탁하게 보이는 것에서 유래했다.
창바이산맥의 서부 지류인 첸산 산맥에서 시작되며, 나루강(纳噜水중국어) 또는 홍강()으로도 불린다. 5437km3 규모의 다훠팡 저수지(大伙房水库)로 흘러 들어가는데, 이곳은 랴오닝성 선양, 푸순, 랴오양, 안산, 판진, 잉커우, 다롄 주변 도시에 식수를 공급한다.[1]
창바이산맥의 서부 지류인 첸산 산맥에서 발원하는 훈허는 나루강(纳噜水중국어) 또는 홍강()으로도 불리며, 5437km3의 다후오팡 저수지( 大伙房水库중국어)로 흘러 들어간다. 이 저수지는 선양, 푸순, 랴오양, 안산, 판진, 잉커우, 다롄 주변 도시에 식수를 공급한다.
쑤쯔허
훈강
[1]
서적
清實錄
中華書局
2008
2. 명칭
역사적으로 훈허는 소요수(小辽水중국어)라고도 불렸다. 강의 중류는 예전에는 심수(瀋水중국어)라고도 불렸다. 강의 중류 북쪽에 위치한 수도 심양은 강의 북쪽, 즉 "양" 쪽에 위치해 있기 때문에 그 이름을 따서 지어졌다. 하류는 합려하(蛤蜊河중국어)라고도 불린다.
3. 지리
4. 역사
1958년까지 훈허는 타이쯔허(太子河) 및 하이청 근처의 와이랴오허(外遼河)와 합류하여 랴오허(遼河)를 이루었다. 1958년, 잉커우 인근 해안 지역의 홍수 조절을 위해 하천 공사가 실시되어 훈허와 타이쯔허는 랴오허 본류와 분리, 독립적인 수계가 되었다.[1]
4. 1. 1958년 이전의 랴오허 수계
1958년까지 훈허는 타이쯔강과 하이청 근처의 와이랴오강(당시 랴오허의 좌측 및 주 분배기)과 합류했다. 이들은 함께 랴오둥 만으로 물을 내보내는 랴오허를 형성했다. 세 강이 합류하는 지점은 "삼지강"으로 알려졌다.[1]
1958년, 잉커우 인근 해안 지역의 홍수 조절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하천 공사 프로젝트가 실시되었다. 류젠팡의 와이랴오강 상류가 차단되어 랴오허가 솽타이쯔강으로 우회되었다. 이로 인해 훈허와 타이쯔강은 랴오허 본류 시스템과 효과적으로 분리되었다. 1958년 이후 훈허와 타이쯔강은 자체적인 독립적인 강 시스템으로 간주되며, 더 이상 랴오허 시스템의 일부가 아니다.[1]
4. 2. 1958년 이후의 독립 수계
1958년 잉커우 인근 해안 지역의 홍수 조절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하천 공사 프로젝트가 실시되었다. 류젠팡의 와이랴오허 상류가 차단되어 랴오허가 솽타이쯔허로 우회되었다. 이로 인해 훈허와 타이쯔허는 랴오허 본류 시스템과 효과적으로 분리되었다. 1958년 이후 훈허와 타이쯔허는 자체적인 독립적인 강 시스템으로 간주되며, 더 이상 랴오허 시스템의 일부가 아니다.[1]
5. 지류
6. 같이 보기
참조
[2]
서적
滿洲實錄·上函(卷一)
遼寧省檔案館, 遼寧教育出版社
2012
[3]
서적
御制增訂清文鑑·卷十·人部一·人類一·滿洲
紀昀
1771
[4]
웹사이트
Hun - uMap
http://u.osmfr.org/m[...]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