흰나비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흰나비과는 나비목 흰나비상과의 한 과로, 전 세계에 분포하며, 앞날개에는 3~5개의 방사상맥이 존재하고, 수컷과 암컷 모두 발달된 앞다리와 갈라진 발톱을 가진 것이 특징이다. 흰나비과는 완전변태를 거치며, 번데기로 월동하는 종, 어른벌레로 월동하는 종, 애벌레로 월동하는 종 등 다양한 월동 형태를 보인다. 애벌레는 배추과, 콩과 등 다양한 식물을 먹고, 배추흰나비, 큰줄흰나비, 대만흰나비 등은 배추과 식물을 먹어 사육이 용이하다. 흰나비과의 천적으로는 기생벌, 거미, 사마귀 등이 있으며, 사육 시에는 먹이와 환경 관리가 중요하다. 흰나비과는 일반적으로 4개의 아과, 즉 디스모르피나아, 피에리나아, 콜리아디나아, 슈도폰티나아로 분류된다. 한국에는 황색긴꼬리나비, 구름긴꼬리나비, 주황끝흰나비, 사이키나비 등이 서식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흰나비과 - [생물]에 관한 문서 | |
---|---|
분류 정보 | |
과 | 흰나비과 |
학명 | Pieridae |
명명자 | Swainson, 1820 |
다양성 | 76 속, 1,051 종 |
아과 | 기생나비아과 Pseudopontiinae 흰나비아과 노랑나비아과 |
![]() |
2. 형태
흰나비과는 앞날개의 방사상맥이 세 개 또는 네 개의 가지로 갈라지며, 드물게 다섯 개의 가지로 갈라지기도 한다. 앞다리는 네발나비과와 달리 수컷과 암컷 모두 잘 발달되어 있으며, 발목의 발톱은 파필리오나이데과와 달리 갈라져 있다.[3]
흰나비과의 나비들은 먹이식물에 알을 낳으면 애벌레가 허물을 벗으며 몸이 커지는 탈바꿈과 번데기 과정을 거치는 완전변태과정을 거쳐 어른벌레로 성장한다. 종에 따라 월동형태가 다르다.
흰나비과는 파필리오나이데과와 마찬가지로 번데기가 실띠로 각도를 유지하지만, 파필리오나이데과에서 볼 수 있는 가슴 부분의 실띠와 달리 첫 번째 배마디에 걸쳐 있다. 하지만 마드로네나비와 같이 이 과에 속하는 일부 종에서는 이러한 배 부분의 실띠가 나타나지 않는다.[4]
3. 생태
애벌레 먹이식물도 종류별로 다르다. 배추흰나비, 큰줄흰나비, 대만흰나비는 배추, 겨자, 무, 유채, 케일 등의 배추과 식물을 먹기 때문에 알과 애벌레 채집과 사육이 쉽다. 대만흰나비는 십자화식물인 콩다닥냉이를 먹이식물로 하므로, 봄에 대만흰나비가 콩다닥냉이를 날아다니며 알을 낳는다. 상제나비는 벚나무, 모과나무를 먹이로 하며, 노랑나비는 콩류, 토끼풀을, 갈구리나비는 유채등의 겨자과식물을 먹는다. 남방노랑나비는 차풀을, 끝분홍나비는 풍접초류를, 각시멧노랑나비는 갈매나무를, 극남노랑나비는 콩류를, 풀흰나비는 황새냉이를 먹이식물로 한다.
3. 1. 애벌레 먹이식물
흰나비과의 나비들이 먹이식물에 알을 낳으면 애벌레가 허물을 벗으며 몸이 커지는 탈바꿈과 번데기 과정을 거치는 완전변태과정을 거쳐 어른벌레로 성장한다. 종에 따라 월동형태가 다르다.
애벌레 먹이식물도 종류별로 다르다. 배추흰나비, 큰줄흰나비, 대만흰나비는 배추, 겨자, 무, 유채, 케일 등의 배추과 식물을 먹기 때문에 알과 애벌레 채집과 사육이 쉽다. 대만흰나비는 십자화식물인 콩다닥냉이를 먹이식물로 하므로, 봄에 대만흰나비가 콩다닥냉이를 날아다니며 알을 낳는다. 상제나비는 벚나무, 모과나무를 먹이로 하며, 노랑나비는 콩류, 토끼풀을, 갈구리나비는 유채등의 겨자과식물을 먹는다. 남방노랑나비는 차풀을, 끝분홍나비는 풍접초류를, 각시멧노랑나비는 갈매나무를, 극남노랑나비는 콩류를, 풀흰나비는 황새냉이를 먹이식물로 한다.
3. 2. 천적
기생벌인 배추벌레고치벌과 배추벌레금좀벌은 배추흰나비 애벌레, 즉 배추벌레의 천적이다. 배추벌레고치벌은 배추벌레의 몸에 알을 낳고, 애벌레는 숙주의 체액을 빨아먹다가 빠져나와 노란색 고치를 만들어 우화할 준비를 한다. 체액이 빨린 숙주는 탈진해서 죽는다. 배추벌레금좀벌은 배추흰나비나 호랑나비 애벌레에 알을 낳는데, 숙주가 번데기가 되면 그 속을 먹어치운 뒤 어른벌레가 되어서 빠져나온다. 알에 기생하는 알벌도 있는데, 곤충학자들은 알벌이 배추흰나비의 페로몬을 알아내서 산란 장소를 알아내는 것으로 추정한다. 그래서 나비가 알을 낳는 동안 옆에서 자신의 알을 낳는다.
어른벌레도 곤충을 잡아먹는 거미, 사마귀 등에 의해 수가 조절되는데, 몸이 느려지는 더운 날씨에는 활동을 중단하는 것으로 천적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한다.
4. 사육
흰나비과 나비들인 배추흰나비, 대만흰나비, 큰줄흰나비의 애벌레들은 배추, 갓, 무, 케일처럼 구하기 쉬운 먹이를 먹으므로 도시 사람들도 알과 애벌레 채집과 키우기를 쉽게 할 수 있다. 배추흰나비 암컷은 여름과 가을에 이들 식물에 노란 옥수수 모양의 알을 낳기 때문에, 관심을 가지고 지켜보면 알이나 애벌레 채집은 물론이고, 배추흰나비가 와서 알을 낳는 모습도 볼 수 있다.
배추흰나비가 알을 낳은 식물은 모종삽으로 채집하여 화분에 옮겨심어두면 저절로 알에서 깨어나 애벌레가 자란다. 애벌레를 채집하여 반찬통에 먹이와 같이 넣어두거나 먹이식물을 심은 화분, 무청에 올려두어도 잘 자란다. 반찬통에서 키울 때는 습기나 배설물로 쉽게 오염되기 때문에 매일 청소해주어야 한다. 간혹 나비애벌레가 웅크릴 때가 있는데 몸이 자라서 껍질을 벗거나 번데기가 될 준비를 하는 것이다. 나뭇가지를 넣어주면 번데기가 될 준비를 하는데, 번데기가 된 후에는 조용히 놔두어야 한다. 번데기에서 나온 나비는 날개가 젖어 있어서 건드리면 그대로 굳어버린다. 화분에서 키울때는 본능에 따라 안전한 화분 틈에 들어가서 번데기가 되는데, 이 시기에는 만지거나 스트레스를 주어서는 안 된다. 스트레스를 받는 경우에는 우화부전 확률 높아지기 때문이다.
5. 분류
- 디스모르피나아(Dismorphiinae) (6속): 대부분 신열대구에 분포하며, 여러 가지 의태 종을 포함한다. 기주식물은 콩과(Fabaceae)에 속한다.[1]
- 피에리나아(Pierinae) (55속): 흰나비, 노랑나비, 주황 끝나비 등이 포함되며, 많은 종들이 강한 이동성을 보인다. 기주식물은 양귀비과(Capparidaceae), 십자화과(Brassicaceae), 겨우살이과(Santalaceae), 그리고 꼬리겨우살이과(Loranthaceae)에 속한다.[1]
- 콜리아디나아(Coliadinae) (14속): 노랑나비류이며, 많은 종들이 성적 이형을 보인다. ''콜리아스(Colias)''와 같은 일부 종들은 자외선 하에서만 보이는 날개 무늬를 가지고 있다.[1]
- 슈도폰티나아(Pseudopontiinae)는 ''슈도폰티아(Pseudopontia)'' 속만을 포함하며, 이전에는 단형으로 여겨졌다. 이 아과의 유형종이자 이전에는 유일한 종이었던 ''슈도폰티아 파라독사(Pseudopontia paradoxa)''는 서아프리카 고유종이다.
Braby 외 (2005)[5]의 분자 계통 발생 연구에 따르면, 흰나비과 아과 간의 자매군 관계는 ((Dismorphiinae + Pseudopontiinae) + (Coliadinae + Pierinae))이다.
흰나비과는 4개의 아과로 나뉜다. 참고로, 나비의 일반명은 마지막의 "~나비"를 생략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흰나비는 "~나비"를 붙인다.
- 애기흰나비(실잠자리흰나비)아과 Dismorphiinae (6속)
- 애기흰나비속 ''Leptidea''
- 애기흰나비 ''L. amurensis''
- 긴꼬리흰나비아과 Pseudopontiinae (1속)
- 흰나비아과 Pierinae (55속)
- 깊은산흰나비속 ''Aporia''
- 깊은산흰나비 ''A. hippia''
- 애호랑나비속 ''Anthocharis''
- 애호랑나비 ''A. cardamines''
- 호랑나비 ''A. scolymus''
- 호랑나비속 ''Delias''
- 붉은띠흰나비속 ''Hebomoia''
- 붉은띠흰나비 ''H. glaucippe''
- 띠흰나비속 ''Pereute''
- 띠흰나비 ''P. callinira''
- 흰나비속 ''Pieris''
- 배추흰나비 ''P. melete''
- 큰줄흰나비 ''P. napi''
- 흰나비 ''P. rapae''
- 노랑나비아과 Coliadinae (14속)
- 노랑나비속 ''Eurema''
- 노랑나비(남쪽노랑나비) ''E. hecabe''
- 북쪽노랑나비 ''E. mandarina''
- 애호랑노랑나비 ''E. laeta''
- 갈구리나비속 ''Catopsilia''
- 갈구리나비 ''C. pomona''
- 남방갈구리나비 ''C. pyranthe''
- 노랑나비속 ''Colias''
- 노랑나비 ''C. erate''
- 각시멧노랑나비속 ''Gonepteryx''
- 각시멧노랑나비 ''G. aspasia''
- 멧노랑나비 ''G. rhamni''
긴꼬리제비나비와 산제비나비는 흰나비와 매우 닮았지만, 호랑나비과에 분류된다. 과거에는 흰나비과에 분류되었지만, 흰나비과는 발톱이 두 갈래로 갈라지는 특징이 있다. 단, 네발나비과의 검은점박이푸른부전나비와 흰점박이푸른부전나비는 예외적으로 발톱이 두 갈래로 갈라진다.
5. 1. 아과
흰나비과는 일반적으로 네 개의 아과로 나뉜다.[1]- 디스모르피나아(Dismorphiinae) (6속): 대부분 신열대구에 분포하며, 여러 가지 의태 종을 포함한다. 기주식물은 콩과(Fabaceae)에 속한다.[1]
- 피에리나아(Pierinae) (55속): 흰나비, 노랑나비, 주황 끝나비 등이 포함되며, 많은 종들이 강한 이동성을 보인다. 기주식물은 양귀비과(Capparidaceae), 십자화과(Brassicaceae), 겨우살이과(Santalaceae), 그리고 꼬리겨우살이과(Loranthaceae)에 속한다.[1]
- 콜리아디나아(Coliadinae) (14속): 노랑나비류이며, 많은 종들이 성적 이형을 보인다. ''콜리아스(Colias)''와 같은 일부 종들은 자외선 하에서만 보이는 날개 무늬를 가지고 있다.[1]
- 슈도폰티나아(Pseudopontiinae)는 ''슈도폰티아(Pseudopontia)'' 속만을 포함하며, 이전에는 단형으로 여겨졌다. 이 아과의 유형종이자 이전에는 유일한 종이었던 ''슈도폰티아 파라독사(Pseudopontia paradoxa)''는 서아프리카 고유종이다.
Braby 외 (2005)[5]의 분자 계통 발생 연구에 따르면, 흰나비과 아과 간의 자매군 관계는 ((Dismorphiinae + Pseudopontiinae) + (Coliadinae + Pierinae))이다.
애기흰나비아과에는 애기흰나비(''L. amurensis'')가, 흰나비아과에는 깊은산흰나비(''A. hippia''), 애호랑나비(''A. scolymus''), 붉은띠흰나비(''H. glaucippe''), 배추흰나비(''P. melete''), 큰줄흰나비(''P. napi''), 흰나비(''P. rapae'')가 속한다. 노랑나비아과에는 노랑나비(남쪽노랑나비)(''E. hecabe''), 북쪽노랑나비(''E. mandarina''), 갈구리나비(''C. pomona''), 노랑나비(''C. erate''), 각시멧노랑나비(''G. aspasia'') 등이 있다.
긴꼬리제비나비와 산제비나비는 흰나비와 매우 닮았지만, 호랑나비과에 분류된다. 과거에는 흰나비과에 분류되었지만, 흰나비과는 발톱이 두 갈래로 갈라지는 특징이 있다. 단, 네발나비과의 검은점박이푸른부전나비와 흰점박이푸른부전나비는 예외적으로 발톱이 두 갈래로 갈라진다.
5. 2. 한국 서식 주요 종
- 황색긴꼬리나비 (''Gonepteryx rhamni'')
- 구름긴꼬리나비 (''Colias croceus'')
- 주황끝흰나비 (''Anthocharis cardamines'')
- 사이키나비 (''Leptosia nina'')
6. 기타
참조
[1]
서적
The Encyclopaedia of Biodiversity
Academic Press
[2]
서적
Butterflies and Moths
[3]
서적
An Introduction to the Study of Insects
Saunders College Publishers
[4]
논문
The natural history, sociobiology, and ethnobiology of Euchira socialis Westwood (Lepidoptera: Pieridae), a unique and little-known butterfly from Mexico
http://agris.fao.org[...]
1991
[5]
논문
Provisional checklist of genera of the Pieridae (Lepidoptera: Papilionida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