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흰머리솔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흰머리솔개는 머리와 가슴이 흰색이고 날개 끝은 검은색을 제외한 밤색 깃털을 가진 독특한 외형의 맹금류이다. 남아시아, 동남아시아, 호주 북부 등지에 널리 분포하며, 청소동물로서 죽은 물고기나 게를 주로 먹지만, 때때로 살아있는 먹이를 사냥하기도 한다. 4개의 아종이 있으며, 국제 자연 보전 연맹(IUCN)의 적색 목록에서 관심 필요종으로 분류된다. 인도네시아 자카르타의 마스코트이며, 말레이시아 랑카위 섬의 이름이 유래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783년 기재된 새 - 솔개
    솔개는 암갈색 몸과 제비 꽁지 모양 꽁지깃을 가진 매목 수리과 조류로, 유라시아 대륙 전역에 분포하며 썩은 고기나 죽은 물고기를 먹는 생태계 청소부이자 한국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나그네새 겸 텃새이다.
  • 1783년 기재된 새 - 청호반새
    청호반새는 등이 짙은 파란색이고 머리는 검은색이며 턱 밑과 목, 가슴 윗부분이 하얀색을 띠는 30cm 크기의 물총새목 물총새과 새로, 동아시아와 동남아시아에 분포하며 대한민국에서는 드물게 관찰되고 갑각류, 파충류, 양서류, 어류 등을 먹고 사는 나그네새이다.
  • 동남아시아의 새 - 쇠솔딱새
    쇠솔딱새는 몸길이 약 13cm의 작은 새로, 엷은 회갈색 몸 윗면과 흰색 눈테를 가지며, 인도, 인도네시아, 대한민국, 중화인민공화국, 일본 등지에 분포하고 곤충을 먹는 동물성 식성을 가진다.
  • 동남아시아의 새 - 뿔매
    뿔매는 머리 윗부분 깃털이 뿔처럼 보이는 대형 맹금류로, 히말라야에서 동아시아에 걸쳐 분포하며 다양한 동물을 사냥하지만, 서식지 감소로 개체수가 줄어 보호받고 있다.
흰머리솔개 - [생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케랄라, 인도
케랄라, 인도
스리랑카
스리랑카
학명Haliastur indus
명명자(Boddaert, 1783)
상태관심 필요
상태_기준IUCN3.1
상태_출처BirdLife International (2016). "Haliastur indus".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2016: e.T22695094A93489054. doi:10.2305/IUCN.UK.2016-3.RLTS.T22695094A93489054.en. 2021년 11월 11일에 확인함.
생물학적 분류
동물계
척삭동물문
조강
수리목
수리과
아과말똥가리아과
휘파람솔개속
흰머리솔개

2. 분류

1760년, 프랑스 동물학자 마투린 자크 브리송은 인도 퐁디셰리에서 수집한 표본을 바탕으로 그의 저서 『Oiseaux』 1권에서 흰머리솔개를 처음으로 묘사하고 삽화를 그렸다. 그는 프랑스어 이름 "L'aigle de Pondichery"를 사용했다.[2] 이후 프랑스의 박식가 조르주루이 르클레르크, 콩트 드 뷔퐁도 그의 저서 『Histoire Naturelle des Oiseaux』에 흰머리솔개를 포함시켰다.[3] 또한 뷔퐁의 글에 맞춰 에드메루이 도방통의 감독 아래 프랑수아니콜라 마르티네가 그린 손으로 채색된 판화가 『Planches Enluminées D'Histoire Naturelle』에 실리기도 했다.[4]

브리송과 뷔퐁은 이 새에 대한 학명을 부여하지 않았지만, 1783년 네덜란드 박물학자 피터 보데르트가 『Planches Enluminées』의 목록에서 이명법에 따라 ''Falco indus''라는 학명을 처음으로 만들었다.[5] 현재 흰머리솔개는 1840년 영국 박물학자 프라이도 존 셀비가 설정한 인 ''Haliastur''에 휘파람솔개와 함께 분류된다.[6][7] 총 4개의 아종이 알려져 있다.[7]

2. 1. 아종

다음과 같이 4개의 아종이 인식된다:[7]

이미지아종분포
Haliastur indus indus
Haliastur indus indus (보데르트, 1783)남아시아
Haliastur indus intermedius
Haliastur indus intermedius 블라이스, 1865말레이 반도, 대순다 열도, 소순다 열도, 술라웨시 및 필리핀
Haliastur indus girrenera
Haliastur indus girrenera (비유, 1822)뉴기니, 비스마르크 제도 및 호주 북부
Haliastur indus flavirostris 컨던 & 아마돈, 1954솔로몬 제도


3. 형태

흰머리솔개는 독특하게 대조되는 색상을 가진다. 머리와 가슴은 흰색이며, 날개 끝은 검은색이고 나머지 깃털은 밤색이다. 어린 개체는 전체적으로 더 갈색을 띠지만, 아시아에 서식하거나 이동하는 검은솔개 종과 비교했을 때 더 창백해 보이고 날개가 짧으며 꼬리가 둥글다는 점에서 구별된다. 날개 아랫면 손목 부분에 있는 창백한 반점은 사각형 모양인데, 이는 ''말똥가리속''(Buteo)에 속하는 말똥가리들과 구별되는 특징이다.

크기는 검은솔개(Milvus migrans)와 비슷하다. 날개를 약간 굽힌 채 나는 전형적인 솔개의 비행 모습을 보이지만, 꼬리 모양은 다르다. 붉은솔개나 검은솔개와 같은 ''솔개속'' 새들은 꼬리 끝이 갈라져 있지만, 흰머리솔개의 꼬리는 둥근 모양이다.[9] 하지만 흰머리솔개가 속한 속과 솔개속은 유전적으로 매우 가깝다.[8]

울음소리는 "키유"(keeyew) 하고 운다.[9]

4. 분포 및 서식지

흰머리솔개는 스리랑카, 네팔, 인도, 이란, 파키스탄, 방글라데시, 동남 아시아의 하늘에서 흔히 볼 수 있으며, 남쪽으로는 오스트레일리아뉴사우스웨일스주까지 널리 분포하며 서식한다. 이들은 서식지 일부 지역에서 강우량과 관련된 계절적 이동을 하기도 한다.[10]

주로 평원에서 관찰되지만, 때로는 히말라야 산맥에서 약 1524.00m 이상에서도 발견된다.[11]

국제 자연 보전 연맹(IUCN)의 적색 목록에서는 관심 필요종으로 평가받고 있다. 그러나 자바와 같은 일부 지역에서는 개체 수가 감소하고 있다.[12]

5. 생태

주로 습지과 같은 물가 환경에서 서식하며, 죽은 물고기나 게 등을 먹는 청소동물의 특성을 보인다.[17] 하지만 때때로 살아있는 작은 동물을 사냥하거나[18][19] 다른 새의 먹이를 빼앗는 약탈 기생 행동을 하기도 한다.[20]

번식 시기나 방식, 먹이 활동, 놀이 행동, 사회성 등 구체적인 생태 정보는 아래 세부 문단에서 자세히 다룬다.

5. 1. 번식

남아시아에서는 12월부터 4월까지 번식한다.[17] 호주 남부와 동부에서는 8월에서 10월, 북부와 서부에서는 4월에서 6월에 번식한다.[13]

둥지는 작은 나뭇가지와 막대기로 만들며, 안쪽은 잎으로 덮인 그릇 모양이다. 주로 맹그로브를 포함한 다양한 나무 위에 둥지를 튼다.[2] 매년 같은 장소에 둥지를 트는 경향이 강하며, 드물게 나무 아래 땅에 둥지를 짓는 경우도 관찰되었다.[14][15]

한 번에 흐릿한 흰색 또는 푸르스름한 흰색의 타원형 알을 2개 낳으며, 크기는 약 52mm x 41mm이다. 둥지 건설과 새끼에게 먹이를 주는 일은 암수 모두 하지만, 알을 품는 것은 암컷만 하는 것으로 보인다. 알을 품는 기간(포란 기간)은 약 26일에서 27일 정도이다.[16]

5. 2. 행동

먹이를 먹는 흰머리솔개, 카비니 저수지, 인도


남아시아에서는 12월부터 4월까지 번식한다.[17] 호주 남부와 동부에서는 8월에서 10월, 북부와 서부에서는 4월에서 6월에 번식한다.[13] 둥지는 작은 나뭇가지와 막대기로 만들고 안쪽은 그릇 모양이며 잎으로 덮는다. 주로 맹그로브와 같은 다양한 나무에 둥지를 튼다.[2] 해마다 같은 지역에 둥지를 틀며 상당한 장소 충실도를 보인다. 드물게 나무 아래 땅에 둥지를 트는 모습이 관찰되기도 했다.[14][15] 알은 흐릿한 흰색 또는 푸르스름한 흰색의 타원형이며 크기는 52mm x 41mm 정도이고, 보통 2개를 낳는다. 부모 모두 둥지 건설과 먹이 공급에 참여하지만, 알은 암컷만 품는 것으로 보인다. 알을 품는 기간은 약 26~27일이다.[16]

주로 청소동물이며, 특히 습지와 늪지에서 죽은 물고기와 게를 주로 먹는다.[17] 때때로 토끼나 박쥐와 같은 살아있는 먹이를 사냥하기도 한다.[18][19] 또한 약탈 기생을 통해 다른 새의 먹이를 빼앗기도 한다.[20] 메콩강에서는 이라와디돌고래가 물고기를 수면으로 몰아붙이면 이를 이용해 먹이를 잡는 모습도 기록되었다.[21] ''Apis florea'' 벌집에서 꿀을 먹는 드문 사례도 기록되었다.[22] 인도에서는 사람들이 공물로 남긴 쌀이나 조리된 음식을 먹기도 한다.[23]

어린 새들은 나뭇잎을 떨어뜨리고 공중에서 다시 잡으려고 시도하는 등 놀이 행동을 하기도 한다.[24] 물 위에서 낚시를 하다가 물에 빠지는 경우도 있지만, 큰 어려움 없이 헤엄쳐서 다시 날아오를 수 있다.[25]

크고 외딴 나무에서 무리 지어 잠을 자며, 한 장소에서 600마리나 관찰된 기록도 있다.[26]

수리와 같은 더 큰 맹금류를 공격하기도 한다. 하지만 흰머리솔개가 황갈색수리(''Aquila rapax'')를 공격하다가 오히려 공격을 받아 부상을 입거나 죽기도 했다.[27]

''Kurodaia'', ''Colpocephalum'', ''Degeeriella'' 속에 속하는 여러 종류의 외부 기생충인 새 이가 보고되었다.[28]

6. 문화

자바섬에서는 Elang Bondol|엘랑 본돌id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네시아의 수도 자카르타의 공식 마스코트이다. 또한 힌두교에서는 비슈누 신이 타고 다니는 신성한 새인 가루다를 현대적으로 표현한 새로 여겨지기도 한다.

말레이시아랑카위 섬 이름은 흰머리솔개에서 유래했다. '랑카위'의 '카위'는 도자기를 장식하는 데 쓰이는 황토색 돌을 뜻하는데, 이는 흰머리솔개의 주요 깃털 색과 비슷하다. 말레이시아 사라왁 주 라장 지역 상류에 사는 이반족은 흰머리솔개를 '싱갈랑 부룽'이라는 신의 화신으로 여긴다. 싱갈랑 부룽은 매우 뛰어나고 강력한 능력을 지닌 최고의 신이자 전쟁의 신으로 알려져 있다.[29]

중앙 부건빌 섬에는 흰머리솔개와 관련된 우화가 전해진다.[30] 한 어머니가 밭일을 하러 가며 아기를 바나나 나무 아래에 두었는데, 아기가 하늘로 날아가 울면서 흰머리솔개 '카아낭'으로 변했고, 아기가 하고 있던 목걸이는 새의 깃털이 되었다는 이야기이다.[31]

참조

[1] 간행물 "''Haliastur indus''" 2016
[2] 서적 "Ornithologie, ou, Méthode Contenant la Division des Oiseaux en Ordres, Sections, Genres, Especes & leurs Variétés" https://biodiversity[...] Jean-Baptiste Bauche
[3] 서적 Histoire Naturelle des Oiseaux De L'Imprimerie Royale
[4] 서적 "Planches Enluminées D'Histoire Naturelle" De L'Imprimerie Royale
[5] 서적 "Table des planches enluminéez d'histoire naturelle de M. D'Aubenton : avec les denominations de M.M. de Buffon, Brisson, Edwards, Linnaeus et Latham, precedé d'une notice des principaux ouvrages zoologiques enluminés" https://biodiversity[...]
[6] 서적 "A Catalogue of the Generic and Sub-Generic Types of the Class Aves, Birds, Arranged According to the Natural System" https://biodiversity[...] T. and J. Hodgson
[7] 웹사이트 Hoatzin, New World vultures, Secretarybird, raptors https://www.worldbir[...] International Ornithologists' Union 2019-07-17
[8] 서적 Raptors at Risk http://www.uni-heide[...] WWGBP/HancockHouse
[9] 서적 Birds of South Asia: The Ripley Guide. Volume 2 Smithsonian Institution and Lynx Edicions
[10] 논문 Heralders of the monsoon https://archive.org/[...]
[11] 논문 "Extension of the habitat of the brahminy kite (''Haliastur indus'')" https://biodiversity[...]
[12] 논문 "Decline of the Brahminy Kite ''Haliastur indus'' on Java"
[13] 서적 Australian Birds: Their Nests and Eggs self
[14] 논문 "Site-fidelity to the unusual nesting site of Brahminy Kite ''Haliastur indus'' (Boddaert)" https://biodiversity[...]
[15] 논문 "Unusual nesting site of Brahminy Kite ''Haliastur indus''" https://biodiversity[...]
[16] 서적 Handbook of the birds of India and Pakistan Oxford University Press
[17] 서적 Popular Handbook of Indian Birds https://archive.org/[...] Gurney and Jackson
[18] 논문 "Brahminy Kite ''Haliastur indus'' (Boddaert) preying on bats" https://biodiversity[...]
[19] 논문 "Bats as prey of diurnal birds: a global perspective"
[20] 논문 Kleptoparasitism by Brahminy Kite on Purple Herons https://archive.org/[...]
[21] 논문 "Brahminy Kites ''Haliastur indus'' fishing with Irrawaddy dolphins ''Orcaella brevirostris'' in the Mekong River" http://orientalbirdc[...]
[22] 논문 Brahminy Kite feeding on honey from an active bees hive https://archive.org/[...]
[23] 기타 V. Sitaram (2020) http://www.indianatu[...]
[24] 논문 "Juvenile Brahminy Kites (''Haliastus indus'') learning things the modern way" https://biodiversity[...]
[25] 논문 "Brahminy Kite ''Haliastur indus'' swimming" https://biodiversity[...]
[26] 논문 "A congregation of Brahminy Kites ''Haliastur indus''" https://biodiversity[...]
[27] 논문 "Eastern Steppe Eagle ''Aquila rapax nipalensis'' Hodgson killing mobbing Brahminy Kite ''Haliastur indus'' (Boddaert) at Pt. Calimere Wildlife Sanctuary, Tamil Nadu" https://biodiversity[...]
[28] 논문 "Notes on Philippine Mallophaga. I. Species from Ciconiiformes, Anseriformes, Falconiformes, Galliformes, Gruiformes and Charadriiformes" https://archive.org/[...]
[29] 기타 Sutlive & Sutlive (eds.), 2001, The Encyclopaedia of Iban Studies, Tun Jugah Foundation, volume 2, p. 938
[30] 서적 "Birds and Bird Lore of Bougainville and the North Solomons" Dove Publications
[31] 기타 Hadden, p. 244
[32] 간행물 "''Haliastur indus''" 2013-11-26
[33] 웹인용 열대조류‘흰머리솔개’국내도 있었다 http://news.donga.co[...] 동아일보 2003-03-2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