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흰물떼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흰물떼새는 도요목 물떼새과의 조류로, 몸길이 10~17.5cm의 작은 해안 조류이다. 잿빛 갈색의 등과 흰색 배, 흰색 눈썹 반점, 검은색 부리를 가지며, 수컷은 번식기에 검은색 머리띠와 가슴띠를 띤다. 북반구 온대 지역에서 번식하고 남쪽으로 이동하여 월동하며, 한국에서는 나그네새로 관찰된다. 염전, 갯벌, 모래밭 등에서 서식하며 무척추동물을 먹는다. 3개의 아종으로 분류되며, 미에현의 현조로 지정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물떼새속 - 꼬마물떼새
    몸길이 약 16cm의 작은 물떼새인 꼬마물떼새는 뚜렷한 노란색 눈테가 특징이며 유라시아 대륙에서 번식하고 아프리카와 유라시아 대륙 남부에서 월동하는 철새로, 서식지 파괴와 환경 변화로 보호가 필요한 종이자 독특한 번식 행동과 문화적 상징성을 지닌다.
  • 물떼새속 - 흰목물떼새
    흰목물떼새는 몸길이 19-21cm의 물떼새과 조류로, 회갈색 등과 흰색 배, 노란색 눈 띠가 특징이며, 하천 등지에서 서식하며 곤충류 등을 먹고, 한국에서는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
  • IUCN 적색 목록 최소관심종 - 올빼미
    올빼미는 귀깃이 없고 야행성이며 작은 동물을 잡아먹고 사는 중형 올빼미로, 히말라야올빼미의 다른 이름이며, 세 가지 아종으로 분류된다.
  • IUCN 적색 목록 최소관심종 - 쇠황조롱이
    쇠황조롱이는 매목 매과에 속하는 소형 맹금류로, 전 세계에 9개의 아종이 존재하며, 민첩한 사냥 능력으로 소형 조류, 포유류, 곤충 등을 먹이로 하고, 서식지 파괴의 위협에 직면해 있지만 IUCN 최소관심종으로 분류된다.
  • 한국의 새 - 가마우지
    가마우지는 동아시아에 분포하며 녹색 광택이 나는 검은 깃털과 부리 기부 주변의 흰색, 노란색 피부가 특징인 바닷새로, 암초 해안에 서식하며 물고기를 잡아먹고, 일본에서는 우카이 어업에 이용되며 일부 지역에서 보호받고 있다.
  • 한국의 새 - 갈매기
    갈매기는 도요목 갈매기과에 속하는 바닷새의 총칭으로, 전 세계 연안과 하구 등에서 서식하며 잡식성으로 다양한 먹이를 섭취하고, 한국에서는 겨울철새이자 여러 지역의 상징 새이기도 하다.
흰물떼새 - [생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인도에서 촬영된 흰물떼새 수컷 (번식깃)
수컷 (번식깃), 인도
상태관심 필요
학명Anarhynchus alexandrinus
명명자(Linnaeus, 1758)
일반명흰물떼새
영어 이름Kentish plover
일본어 이름시로치도리 (白千鳥)
분포
흰물떼새 분포도
분포
아종
동의어
크기
참고자료
분류
동물계
척삭동물문
조강
도요목
물떼새과
치도리속

2. 생김새

흰물떼새는 뒷목이 흰색이고 다리는 분홍빛이 도는 흑갈색이다. 가슴 옆의 검은색 무늬가 앞가슴까지 오지 않는다. 수컷은 이마 위쪽이 검은색이고 머리 위가 적갈색이다. 암컷은 앞이마의 검은 무늬가 거의 없고 눈선이 갈색이다. 겨울깃은 정수리에 적갈색이 없고 몸윗면이 회갈색이며 몸윗면의 깃 가장자리가 색이 엷다. 어린새는 몸윗면이 비늘무늬를 이루고 가슴옆의 갈색 줄무늬가 짧다.

흰물떼새의 깃털 장식은 번식기의 진행과 강수량의 상호 작용, 번식 시스템과 성별 간의 상호 작용에 영향을 받는다. 강수량이 많은 지역에서는 번식기가 진행됨에 따라 수컷의 장식이 정교해지는 반면, 강수량이 적은 지역에서는 수컷의 장식이 옅어진다. 일부다처제 개체군에서는 성적 장식이 더 뚜렷하여 일부일처제 개체군보다 더 강한 성적 이형성을 보인다. 일부다처제 개체군에서는 수컷의 장식이 더 어둡고 작으며, 일부일처제 개체군에서는 수컷이 더 밝고 큰 장식을 가진다. 이는 장식의 크기와 강도 사이의 상충 관계의 결과로 보인다.[20]

2. 1. 형태

전장 10–17.5cm, 날개 펼침 42–45cm이다. 윗면은 잿빛 갈색, 아랫면은 흰색 깃털로 덮여 있다. 이마는 흰 깃털로 덮여 있으며, 눈 위쪽에 들어가는 눈썹 모양의 반점(눈썹 반점)은 흰색이다. 부리에서 눈 부위를 지나 뒤통수로 이어지는 반점(눈 뒤 선)이 있다.[20][21] 가슴 측면에 반점이 들어가며, 좌우 반점이 가슴에서 연결되는 개체도 있다. 날갯짓 깃털에 흰 반점이 있으며, 비행 시에는 띠 모양으로 보인다. 부리는 검은색이다. 뒷다리는 검은색이나 검은 갈색이다.

어린 새는 윗면 깃털의 바깥 테두리(깃털 가장자리)가 옅은 갈색이다. 여름 깃털은 눈 뒤 선이나 가슴 측면의 반점이 검은색이지만, 겨울 깃털은 눈 뒤 선이나 가슴 측면의 반점이 갈색으로 불명확하다. 수컷의 여름 깃털은 정수리가 검은색, 뒤통수가 주황색 깃털로 덮여 있다. 암컷이나 수컷의 겨울 깃털은 정수리가 잿빛 갈색 깃털로 덮여 있다.[20][21]

흰물떼새는 성체의 경우 약 40g 정도의 작은 해안 조류이다. 수컷과 암컷 모두 검은색 부리와 어두운 색 다리를 가지고 있지만, 성조는 깃털에 성적 이형성을 보인다. 번식기 동안 수컷은 검은색 가로 머리 띠, 가슴 양쪽에 불완전한 검은색 가슴 띠 두 개, 검은색 귓깃, 적갈색 목덜미와 정수리를 가지고 있으며(번식 개체군 사이에 약간의 차이가 있음), 암컷은 이 부위가 더 옅고 어두운 무늬가 없다. 이른 번식기에는 장식이 매우 뚜렷하여 수컷과 암컷을 구별하기 쉽지만, 번식기가 진행됨에 따라 두 성별 간의 차이가 줄어든다. 또한, 수컷은 암컷보다 더 긴 부척과 더 긴 옆구리 깃털을 가지고 있다.[21][22] 더 긴 옆구리 깃털은 깃털의 질이 보온과 관련이 있으므로 포란 및 육아에 유리한 것으로 생각된다.[23]

흰물떼새


암컷 흰물떼새


수컷 흰물떼새


번식깃을 가진 수컷, 나라라, 잠나가르, 인도

3. 생태

흰물떼새는 북반구의 온대 지역에서 번식하고 남쪽으로 내려가 월동하는 철새이다. 한국에서는 흔한 나그네새이며, 일부는 번식하기도 한다.[9] 유라시아아프리카온대·열대 광역에 서식하며, 일본에서는 여름에 번식을 위해 날아오거나(여름새), 혼슈 이남에 연중 서식하거나(텃새), 난세이 제도에서는 겨울을 나기 위해 찾아온다(겨울새).[5]

3. 1. 서식지

흰물떼새는 모래사장, 갯벌, 중류역의 하천 부지, 호수, 연못, 등 물과 인접한 지역이나 염습지에서 서식한다.[5][25] 번식기가 아닐 때는 수십 마리 규모의 무리를 형성하지만, 때로는 수백 마리에 달하는 대규모 무리를 형성하기도 한다.[5][25] 내륙 개체군은 알칼리성 또는 염호, 연못, 저수지 근처에서 발견될 수 있다. 해안 지역에 서식하는 개체군은 반사막 서식지, 즉 황량한 해변, 석호 근처, 해변이나 사구의 모래 채취 지역에서 발견될 수 있다.[5][25]

마요, 카보베르데의 흰물떼새 서식지인 살리나 두 포르토 잉글레스

3. 2. 먹이

흰물떼새는 동물성 먹이를 먹으며, 물에 사는 곤충, 절지동물, 갯지렁이 등을 먹는다. 지그재그로 이동하며 멈추기를 반복하며 빠르게 먹이에 접근하여 포식한다.[46] 주요 먹이는 곤충 및 유충(딱정벌레, 메뚜기, 파리 등), 연체동물, 갑각류, 거미, 그리고 바다 벌레와 같은 작은 수생 및 육상 무척추동물이다.[46] 시각에 의존하여 먹이를 찾으며, 무척추동물이 풍부한 습한 토양 지역의 호수, 석호 또는 연못의 해안선에서 주로 먹이를 찾는다.[48] 먹이를 찾기 위해 쳐다보고, 멈추거나 달리다가 쪼아서 먹이를 잡지만, 모래를 찔러 먹이를 찾거나, 입을 벌려 파리를 잡기도 한다.[49]

3. 3. 번식

모래 바닥에 얕은 웅덩이를 파서 둥지를 만들고, 작은 돌이나 조개 껍데기 등을 깐다. 한국에서는 4–7월에 한 번에 3개의 알을 낳는다.[9] 암수가 교대로 알을 품으며, 포란 기간은 23–29일이다. 어미는 둥지에 외적이 접근하면 날개를 펴고 몸을 굽혀 상처 입은 척(의상)을 하여 둥지에서 멀리 떨어뜨려 외적의 주의를 끈다. 그동안 새끼는 가만히 움직이지 않는데, 보호색 때문에 주변의 작은 돌과 구별하기 어렵다. 새끼는 부화 후 27–31일 만에 날 수 있게 되며, 그 후에 독립한다. 생후 1–2년 만에 성적으로 성숙한다.[44]

4. 분류

흰물떼새는 1758년 스웨덴의 칼 폰 린네가 그의 저서 《자연의 체계》 10판에서 이명 'Charadrius alexandrinus'로 공식 기재했다.[12][13] 린네는 1757년에 출판된 스웨덴의 프레드릭 하셀크비스트가 이집트에서 관찰한 새에 대한 설명을 근거로 삼았다.[12][14] 1801년 조류학자 존 래덤은 이 종에 'Charadrius cantianus'라는 이명을 부여했으며(현재는 이명임), 그의 표본이 켄트의 샌드위치 근처에서 사살되었기에 영어 이름 "Kentish plover"를 도입했다.[15]

2022년 분자 계통 연구에 따르면 ''Charadrius''는 측계통군으로 밝혀져, 흰물떼새를 포함하는 분지를 부리굽이만 포함했던 ''Anarhynchus'' 속으로 옮겼다.[16][19] 2009년 연구에서는 북미의 눈물떼새가 별개의 종으로 취급될 만큼 충분히 다르다는 것이 밝혀졌다.[17] 2023년에는 남부 인도와 스리랑카의 아종 'seebohmi'를 하누만 신화에 기반하여 하누만물떼새라는 이름으로 종 지위 승격을 제안했다.[18]

4. 1. 아종

현재 3아종으로 분류하고 있다. 과거에는 ''dealbatus''를 흰물떼새의 아종으로 분류했으나 최근에는 흰얼굴흰물떼새(''A. dealbatus'')라는 별개의 종으로 분류하고 있다. 기존에는 물떼새속이었으나 ''Anarhynchus''속으로 변경되었다.[62]

과거에는 북아메리카남아메리카의 흰털발이와 동종인지 별종인지에 대한 논쟁이 있었다. 흰털발이는 처음에는 Taxonomist|Cassin|캐신영어 (1858)에 의해 별종으로 기술되었지만, Harry Church Oberholser|해리 처치 오버홀서영어 (1922)에 의해 통합되었고, 그 후에도 논쟁이 계속되었다. 흰이마물떼새나 붉은목물떼새(연구자에 따라서는 더 나아가 자바검은목물떼새)와 상위 분류군을 구성한다는 설도 나왔다.

그러나 물떼새는 흰털발이보다 아프리카의 흰이마물떼새와 더 가깝다는 것이 밝혀졌고, 흰털발이는 재분리되었다.[60]

광의의 (물떼새+흰털발이)는 총 6~10 아종으로 나뉜다. 6 아종으로 나눌 경우, 3 아종이 물떼새, 나머지가 흰털발이가 된다.[60]

5. 인간과의 관계

미에현에서 현조로 지정되었다. (1972년 6월 20일)[61] 멸종 위기 II류에 속한다.

6. 보전 상태

흰물떼새는 매우 넓은 분포 범위를 가지고 있어 멸종 위기 관심으로 분류된다.[53] 전 세계 개체수는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지만, 일부 개체군의 추세는 알려져 있지 않다. 유럽 개체수는 43,000~70,000마리로 추정되며, 이는 전 세계 개체수(100,000~500,000마리로 추정)의 약 15%를 차지한다.[54]

흰물떼새 새끼가 형제 및 알과 함께 부화하는 모습


이 종의 주요 위협은 서식지 손실과 교란이다. 관광객, 오염, 도시화와 같은 인간 활동은 둥지를 파괴할 수 있다. 물떼새 개체수는 어부들이 보호된 물떼새 번식지를 걸어 다니며 많은 수의 개를 데리고 다니는 경우와 같이 시골에서의 인간 활동의 영향도 받는다.[55] 번식하는 새들은 개가 있을 때 인간의 방해에 과도하게 반응하는데,[56] 이는 포식의 위험이 더 큰 맥락에서 해석되기 때문이다.

자연 포식자 또한 문제인데, 카보베르데 마이오 섬에서는 갈색목까마귀, 사우디아라비아에서는 흰꼬리몽구스, 알 와스바 습지 보호구역에서는 회색왕도마뱀과 같이 많은 포식자들이 물떼새 번식지에서 비정상적으로 잘 번성하는 것으로 보인다.[57][54][58] 이러한 포식자에게 많은 먹이가 제공되는 것이 번식지로 끌어들이는 것으로 생각되며, 이는 '꿀단지' 효과라고 불린다.

지구 온난화와 기후 변화 또한 물떼새가 번식하고 서식할 수 있는 지역의 감소에 영향을 미친다. 흰물떼새는 물가 근처의 낮은 고도의 땅에 둥지를 짓는 것을 선호하며, 해수면 상승은 이러한 낮은 위치의 둥지에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할 것으로 예상된다.[8][59]

미에현에서는 1972년 6월 20일에 현조(県の鳥)로 지정되었다.

6. 1. 보전 조치

흰물떼새는 현재 (EU) 조류 지침 부속서 I과 베른 협약 부속서 II에 등재되어 있다.[54]

이 종을 보호하기 위해 제안된 보전 조치에는 번식지에 보호 구역을 조성하거나 확대하여 자연 서식지를 보존하는 것이 포함된다. 이는 오염, 간척 및 도시화를 막는 데 필수적이다. 인간의 간섭은 통제하고 최소한으로 유지해야 한다.

참조

[1] IUCN Charadrius alexandrinus 2020-01-02
[2] 보고서 Practical guide for investigating breeding ecology of Kentish plover Charadrius alexandrinus University of Bath
[3] 서적 HBW and BirdLife International Illustrated Checklist of the Birds of the World Lynx Edicions BirdLife International
[4] 서적 Field guide to the waders of Europe, Asia and North America Christopher Helm Publishers
[5] 서적 Kentish Plover Charadrius alexandrinus Wetlands International
[6] 논문 Breeding ecology of Kentish Plover Charadrius alexandrinus in an extremely hot environment
[7] 웹사이트 Focus on: Kentish Plover https://www.birdguid[...] 2022-01-05
[8] 논문 Use of remote sensing to identify suitable breeding habitat for the Kentish plover and estimate population size along the western coast of Saudi Arabia
[9] 논문 Do kentish plovers regulate the amount of their nest material? An experimental test
[10] 웹사이트 Kentish Plover (Charadrius alexandrinus) European birds online guide http://www.avibirds.[...] 2017-01-16
[11] 논문 Availability of Kentish Plover (Charadrius alexandrinus) prey on a Central Hungarian grassland
[12] 서적 Systema Naturae per regna tria naturae, secundum classes, ordines, genera, species, cum characteribus, differentiis, synonymis, locis https://www.biodiver[...] Laurentii Salvii
[13] 서적 Check-List of Birds of the World https://www.biodiver[...] Harvard University Press
[14] 서적 Iter Palæstinum eller Resa til Heliga landet : förrättad ifrån år 1749 til 1752 : med beskrifnigar, rön, anmärkingar, öfver de märkvärdigaste naturalier, på Hennes Kongl. Maj.ts befallning https://www.biodiver[...] Trykt på L. Salvii kåstnad 1757
[15] 서적 Supplement II to the General Synopsis of Birds https://www.biodiver[...] Leigh & Sotheby
[16] 논문 Comprehensive taxon sampling and vetted fossils help clarify the time tree of shorebirds (Aves, Charadriiformes) 2022
[17] 논문 Kentish versus Snowy plover: Phenotypic and genetic analyses of Charadrius alexandrinus reveal divergence of Eurasian and American subspecies 2009
[18] 논문 Systematic revision of the 'diminutive' Kentish Plover (Charadriidae: Charadrius) with the resurrection of Charadrius seebohmi based on phenotypic and genetic analyses 2023
[19] 웹사이트 Buttonquail, thick-knees, sheathbills, plovers, oystercatchers, stilts, painted-snipes, jacanas, Plains-wanderer, seedsnipes https://www.worldbir[...] International Ornithologists' Union 2023-12-00
[20] 논문 Geographic variation in breeding system and environment predicts melanin-based plumage ornamentation of male and female Kentish plovers
[21] 논문 Brood desertion in Kentish plover: Sex differences in remating opportunities
[22] 논문 Sexually dimorphic breast-feathers in the Kentish plover Charadrius alexandrinus
[23] 논문 The role of plumage in heat transfer processes of birds
[24] 논문 Geographic variation in the carotenoid plumage pigmentation of male house finches (Carpodacus mexicanus)
[25] 논문 Local Environment but Not Genetic Differentiation Influences Biparental Care in Ten Plover Populations
[26] 웹사이트 OzAnimals https://www.ozanimal[...]
[27] 웹사이트 BirdLife http://www.birdlife.[...]
[28] 서적 Kentish Plover Charadrius alexandrinus Wetlands International
[29] 논문 The function of habitat change during brood-rearing in the precocial Kentish plover Charadrius alexandrinus
[30] 웹사이트 Breeding biology of a Kentish Plover (Charadrius alexandrinus) population in an inland saline lake http://www.ardeola.o[...]
[31] 논문 Mate change by Kentish Plovers Charadrius alexandrinus
[32] 논문 Genetic similarity between mates and extra-pair parentage in three species of shorebirds
[33] 논문 Courtship behavior differs between monogamous and polygamous plovers
[34] 논문 Deceiving predators: linking distraction behavior with nest survival in a ground-nesting bird https://academic.oup[...] 2017
[35] 관찰 pers. obs.
[36] 서적 The Birds of the Western Palearctic, Volume 1: Non-Passerines Oxford University Press
[37] 논문 Dual function of egg-covering in the Kentish plover ''Charadrius alexandrinus''
[38] 서적 Nest scrape design and clutch heat loss in pectoral sandpipers (Calidris melanotos)
[39] 서적 Importance and evolution of incubation in avian reproduction Oxford University Press
[40] 논문 Using a transponder system to monitor incubation routines of snowy plovers
[41] 논문 Daily changes in body mass of incubating Kentish Plovers
[42] 논문 Mate and nestling desertion in colonial little egrets
[43] 간행물 Why do birds get divorced? NERC News
[44] 웹사이트 feign https://www.saygaome[...]
[45] 논문 The significance of voice in the behaviour of the Little Ringed and Kentish plovers
[46] 서적 Handbook of the Birds of the World, vol. 3: Hoatzin to Auks Lynx Edicions
[47] 서적 The Birds of Africa, Volume II Academic Press
[48] 논문 Invertebrate response to moist-soil man- agement of playa wetlands
[49] 웹사이트 European birds online guide http://www.avibirds.[...] 2017-01-16
[50] 논문 The occurrence and adaptive significance of nocturnal habits in waterfowl
[51] 논문 Comparison of rod/cone ratio in three species of shorebirds having different nocturnal foraging strategies
[52] 논문 Eye size, foraging methods and the timing of foraging in shorebirds
[53] 간행물 Waterbird Population Estimates – Fourth Edition Wetlands International
[54] 웹사이트 Species factsheet: ''Charadrius alexandrinus'' http://www.birdlife.[...]
[55] 논문 Four-legged foes: dogs disturb nesting plovers more than people do on tourist beaches
[56] 논문 Nest Site Selection by Kentish Plover Suggests a Trade-Off between Nest-Crypsis and Predator Detection Strategies 2014-09-10
[57] 논문 Breeding ecology of the Kentish Plover, ''Charadrius alexandrinus'', in the Farasan islands, Saudi Arabia
[58] 보고서 Breeding ecology of Kentish Plover ''Charadrius alexandrinus'' in Maio, Cape Verde University of Bath
[59] 논문 Integrating spatial data and shorebird nesting locations to predict the potential future impact of global warming on coastal habitats: A case study on Farasan islands, Saudi Arabia
[60] 논문 Kentish versus Snowy Plover: Phenotypic and genetic analyses of Charadrius alexandrinus reveal divergence of Eurasian and American subspecies
[61] 웹사이트 【鳥類】環境省第4次レッドリスト(2012)<分類群順> https://www.env.go.j[...] 環境省 2012-08-28
[62] 웹사이트 Taxonomic Updates – IOC World Bird List https://www.worldbir[...] 2024-08-2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