힐란다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힐란다르는 그리스 아토스 산에 위치한 세르비아 정교회 수도원이다. 1198년, 비잔티움 황제 알렉시오스 3세는 힐란다르를 세르비아에 기증했고, 스테판 네마냐에 의해 설립되었다. 14세기에는 세르비아의 번영을 누렸으며, 중세 불가리아의 칙허장이 보관되어 있다. 17세기부터 19세기까지는 불가리아인이 주로 거주했으나, 1913년 이후 세르비아인의 참여가 커졌다. 힐란다르는 수많은 성물과 필사본을 소장하고 있으며, 2004년 화재로 일부가 파괴되었으나 재건 중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토스산의 수도원 - 이비론 수도원
이비론 수도원은 980년에서 983년 사이에 그루지야 수도사 이오안 이베리와 이오안 토르니케의 감독 하에 건설되었으며, 아토스 산의 20개 독립 수도원 중 세 번째로 순위가 높다. - 아토스산의 수도원 - 에스피그메누 수도원
에스피그메누 수도원은 아토스 산에 위치한 동방 정교회 수도원으로, 비잔틴 황제들의 후원을 받아 번성했으나 현재는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청과의 분쟁으로 수사들이 점거하고 있으며, 19세기 초에 건축된 카톨리콘을 중심으로 건축물들이 남아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힐란다르 | |
---|---|
개요 | |
![]() | |
공식 명칭 | 거룩한 제국 수도원 힐란다르 |
원어 명칭 | sr: Хиландар (힐란다르) grc: Χιλανδαρίου (힐란다리우) |
위치 | 그리스, 아토스산 |
종파 | 세르비아 정교회, 동방 정교회 |
수도 공동체 | 아토스산 수도 공동체 |
관할 대주교 | 콘스탄티노폴리스 세계 총대주교 |
설립 연도 | 1198년 |
설립자 | 성 사바, 성 시메온 (스테판 네마냐) |
봉헌 대상 | 세 손의 테오토코스(동정 마리아), 성모의 성전 입당 |
출입 제한 | 남성만 가능 |
웹사이트 | 힐란다르 공식 웹사이트 힐란다르 자료 |
명칭 | |
다른 표기 | (힐란더) |
발음 | (힐란다르) |
세르비아어 (키릴 문자) | (마나스티르 힐란다르) |
세르비아어 발음 | (힐란다르) |
그리스어 | (모니 힐란다리우) |
역사 및 문화적 중요성 | |
설립 배경 | 성 사바와 성 시메온이 세르비아 정교회를 위해 아토스산에 설립 |
추가 정보 | |
관리 | 아토스산 자치 관리 시스템에 따름 |
2. 역사
알렉시오스 3세 안겔로스 황제(1195년 ~ 1203년)는 1198년(1199년 2월 13일 전) "세르비아에게 영원한 선물로" 힐란다르 수도원의 전신인 ''헬란다리스''의 고대 수도실을 스테판 네마냐에게 증여했다.[33]
1426년, 알바니아 출신 존 카스트리오티와 그의 세 아들(그중 한 명은 스칸데르베그)은 마케도니아에 있는 로투샤와 트레비시테 두 마을과 성 마리아 성당에서 걷어지는 세금의 수입권을 힐란다르에 기증했다. 1431년 7월 25일, 카스트리오티의 아들 레포시가 힐란다르에서 은퇴 후 사망하자, 힐란다르의 성 게오르기예 탑은 알바니아의 탑(세르비아어 발음: 아르바나시키 피르그)으로 알려지게 되었다.[34][35]
중세 불가리아의 칙허장인 ''비르기노 인가서''와 ''오랴호브 인가서''는 힐란다르 도서관에 보관되어 있다. 오스만 제국 통치 하에 세르비아와 불가리아가 쇠퇴한 후, 마케도니아에서 온 불가리아인들의 지원으로 세르비아인 수사들의 유입이 감소하였다. 17세기부터 19세기까지 힐란다르에는 주로 불가리아인들이 거주했다. 1755년 러시아 순례자 바실리 바르스키는 힐란다르의 수사들이 모두 불가리아인이었다고 기록했다.[36] 일라리온 마카리오폴스키, 브라차의 소프로니우스, 마테이 프레오브라젠스키가 이곳에서 생활했으며, 힐란다르의 파이시우스는 이 수도원에서 ''슬라브계 불가리아의 역사''를 저술하기 시작했다. 1902년까지 이 수도원은 불가리아인들이 다수를 차지했다.[37]
1913년, 아토스 산에서 세르비아인의 영향력이 커지면서 프로토스는 힐란다르의 세르비아인 대표가 되었다.[38]
1970년, 그리스 정부는 아토스산의 모든 수도원에 송전선 설치를 제안했지만, 아토스산 성 의회는 이를 거절했다. 그 이후 대부분의 수도원들은 재생 에너지 자원에서 자체 발전을 얻고 있다. 1980년대 힐란다르 수도원의 전력은 주로 조명과 난방에 사용되었다.
2. 1. 어원
"힐란다르"라는 이름은 비잔티움의 "헬란다리스"라고 불리던 선장의 수송선인 첼란디온에서 유래했다.[33] "힐란다르"의 어원적 의미는 그리스어 단어 ''켈란디온''(chelandion)에서 유래되었을 가능성이 높으며, 이는 비잔틴 제국의 수송선 종류를 의미하고, 이 배의 선장은 "''헬란다리스''"(helandaris)라고 불렸다.[10]2. 2. 설립
"힐란다르"라는 이름은 비잔티움의 "헬란다리스"라고 불리던 선장의 수송선인 첼란디온에서 유래했다. 1198년(1199년 2월 13일 전), 알렉시오스 3세 안겔로스 황제(1195년 ~ 1203년)는 "세르비아에게 영원한 선물로" ''헬란다리스''의 고대 수도실을 증여했고, 스테판 네마냐가 설립하여 이 수도원에 기증하였다.[33]아토스 산 수도 공동체의 요청에 따라, 비잔틴 제국 황제 알렉시우스 3세 앙겔로스(1195–1203)는 고대 수도원 "힐란다리스"를 "영원한 선물로 세르비아인에게..." 기증하는 금인 크리소불을 발행하여 이를 지정했다. "세르비아 혈통의 사람들이 수도원] 생활을 추구하기 위해 이 곳에 오도록 섬기기 위해,
2. 3. 네마니치 왕조와 비잔틴 제국 시대
"힐란다르"라는 이름은 비잔티움의 "헬란다리스"라고 불리던 선장의 수송선인 첼란디온에서 유래했다. 알렉시오스 3세 안겔로스 황제(1195년 ~ 1203년)는 "세르비아에게 영원한 선물로" ''헬란다리스''의 고대 수도실을 증여했고, 1198년(1199년 2월 13일 전)에 스테판 네마냐가 힐란다르 수도원을 설립하여 기증했다.[33]
1426년, 알바니아에서 온 존 카스트리오티와 그의 세 아들(그들 중 한 명은 스칸데르베그)이 마케도니아에 있는 두 마을(로투샤와 트레비시테)과 그곳들 중 한 곳에 있는 성 마리아 성당에서 걷어지는 세금의 수입권을 힐란다르에 기증했다. 그의 아들 레포시가 1431년 7월 25일에 힐란다르에서 은퇴하고 죽었는데, 그에 대한 경의로, 힐란다르의 성 게오르기예 탑이 알바니아의 탑(세르비아어 발음: 아르바나시키 피르그)으로 알려지게 되었다.[34][35]
제4차 십자군이 1204년 콘스탄티노폴리스를 약탈한 이후, 아토스 산은 라틴 점령 하에 놓이면서 전례 없는 약탈을 겪었다. 성 사바는 더 많은 자원과 수도원 지원을 확보하기 위해 세르비아로 여행했다. 그는 성지로 여행을 떠나 팔레스타인의 성 사바 성자 수도원을 방문했다. 거기서 그는 힐란다르가 가장 존경하는 유물인 성 다마스쿠스의 요한이 그린 세 손의 테오토코스(트로예루치차)의 기적적인 성상을 받았다. 성 다마스쿠스의 요한의 유언에 따르면, 그는 마르 사바 수도원 형제들에게 수도원 창립자 성 사바스 성자가 한 오래된 예언에 이 기적적인 성상을 더하도록 명령했다. 성 사바스 성자는 수세기 전에 자신의 수도승들에게 젖을 먹이는 테오토코스의 성상과 자신의 헤구멘 지팡이를 "머나먼 땅에서 온 왕족의 이름을 딴 수도승"에게 기증하라고 명령했는데, 그는 수도원 순례 중에 자신의 무덤 위에 고정된 지팡이가 성상을 경배하고 그 자리에서 기도하는 동안 바닥에 떨어지는 것을 경험할 것이다.[18]
세르비아인 왕 스테판 라도슬라프와 스테판 블라디슬라프는 성 사바의 조카들로, 수도원에 새로운 토지와 수익을 크게 기증했다. 십자군의 라틴 약탈의 결과를 효과적으로 처리하기 위해, 우로스 대왕은 그리스도의 변용의 이름을 딴 보호 탑과 함께 수도원을 둘러싼 대규모 요새를 건설했다. 드라구틴 왕 또한 수도원과 토지 또는 메토키온 수입에 대한 수익을 확대했다. 그는 방어 요새 개선 및 강화에 참여했다. 비잔티움의 이 지역에 대한 라틴 점령이 끝난 후, 새로운 약탈의 물결이 수도원 공화국을 강타했다. 14세기 초, 카탈루냐 대 회사의 해적 용병들은 성산을 반복적으로 약탈하면서 수많은 수도원을 약탈하고 약탈하고, 보물과 기독교 유물을 훔치고, 수도승들을 공포에 떨게 했다. 아토스 산의 300개 수도원 및 수도 공동체 중, 힐란다르는 14세기 첫 10년의 폭력에서 살아남은 35개 중 하나였다. 수도원은 당시 매우 경험이 많고 숙련된 부헤구멘이었던 다닐로에게 이 행운을 빚졌는데, 그는 나중에 세르비아 대주교 다닐로 2세가 되었다.[19]

세르비아의 밀루틴 왕은 힐란다르 수도원 단지를 재건하고 확장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1320년에 그는 테오토코스의 신전 입당의 주요 교회를 완전히 재건하여 힐란다르의 상징이 되었다. 수도원 단지는 새로운 수도원 건물과 요새를 포함하도록 북쪽으로 더 확장되었다. 그의 통치 기간 동안, 여러 탑이 완공되었는데, 특히 수도원의 부두와 동쪽 벽 사이에 위치한 밀루틴 탑과 해안에 위치한 흐루시아 또는 바실 탑이 있었다.[20] 밀루틴은 또한 성 니콜라스에게 헌정된 예배당이 있는 새로운 정문과 새로 세워진 수도원 식당을 추가했다. 밀루틴 시대에는 본당에서 식당을 거쳐 묘지 교회에 이르기까지 타의 추종을 불허하는 도상학 작업이 이루어졌다. 그 당시 세르비아 수도승의 수가 급증했고, 비잔틴 황제 안드로니코스 2세 팔레올로고스가 그리스에 있는 수도원 재산에 대규모 토지를 기증하면서 수도 생활이 더욱 번성했다.

세르비아 왕이자 두샨 황제 시대에, 아토스 산 전체가 그의 주권 하에 놓였다. 이 시기는 힐란다르의 가장 큰 번영기였다.[20] 황제는 수도원을 크게 지원하고 세르비아와 그리스에 여러 토지를 기증했다. 그의 통치(14세기) 이후 지금까지 힐란다르는 아토스 산 전체 토지의 5분의 1을 소유하고 있다.[21] 황제 외에도 두샨의 귀족들도 수도원을 지원했다. 1347년 두샨 황제는 유럽을 휩쓴 역병 대유행을 피해 힐란다르에서 피난처를 찾았다. 그는 또한 아내 옐레나 황후를 데려와, 여성의 아토스 산 출입을 금지하는 엄격한 "아바톤" 전통을 위반했다. 구전에는 황후가 힐란다르에 머무는 동안 수행원의 호위를 받으며 아토스 땅에 발을 디딜 수 없었다고 전해진다. 두샨 황제의 방문을 기념하기 위해, 힐란다르 수도승들은 그를 환영했던 곳에 큰 십자가를 세우고 "황실 올리브 나무"를 심었다. 세르비아 황제는 또한 약 1350년에 성 대천사 교회를 짓고 수도원의 병원을 확장했으며, 옐레나 황후는 힐란다르에 속한 카리에스의 성 사바에게 헌정된 수도원 건물을 기증했다. 힐란다르와 아토스 산은 이미 세르비아에서 엄청난 존경을 받고 있었는데, 수도원의 부헤구멘 사바가 세르비아 총대주교 사바 4세가 되었기 때문이다. 1355년 두샨 황제의 사망 이후, 수도원은 더욱 번성했다. 두샨의 아들인 세르비아 황제 우로스 5세 외에도, 라자르 흐레벨랴노비치 공과 같은 강력한 귀족들이 힐란다르를 지원했는데, 그는 1380년에 테오토코스의 신전 입당 교회의 서쪽 옆에 나르텍스를 건설했다. 14세기 말까지 힐란다르는 세르비아 귀족의 수많은 구성원들에게 피난처 역할을 했다.
2. 4. 오스만 제국과 근대
오스만 제국이 15세기에 비잔티움 제국을 정복하면서, 힐란다르 수도원이 위치한 아토스 산도 오스만 제국의 지배를 받게 되었다. 아토스 수도사들은 오스만 술탄과 원만한 관계를 유지하려 노력했고, 1430년 무라드 2세가 테살로니키를 점령한 후에는 그에게 복종을 맹세했다.[33] 무라드 2세는 아토스 산의 자치를 허용하고 기존의 특권을 인정했으며, 힐란다르는 배후지의 재산권과 자율성을 유지했다.[33] 1453년 콘스탄티노폴리스 함락 이후 1457년, 술탄 메흐메트 2세는 이를 재확인하고 보장하여 아토스 수도사들의 독립성을 어느 정도 보장했다.15세기 후반, 힐란다르는 아토스 수도원 내에서 세 번째로 높은 위치에 올랐으며, 분쟁을 피해 온 세르비아 수도사들의 피난처 역할을 했다. 1459년 세르비아 전제군주국이 오스만 투르크에 멸망하면서 힐란다르는 주요 후원자를 잃었고, 수도원 공동체는 다른 곳에서 지원을 찾아야 했다.[33] 마라 브란코비치(세르비아 전제군주 Đurađ Branković의 딸)의 주도로 블라흐가 한동안 수도원을 후원했다.[33] 1503년, 세르비아 스테판 브란코비치 전제군주의 아내 세르비아의 앤젤리나 성녀는 모스크바 대공국의 바실리 3세에게 수도원 보호를 요청했다. 1550년, 부수도원장 파이시오스는 세 명의 수도사와 함께 모스크바를 방문하여 러시아 차르 이반 4세에게 도움과 보호를 요청했고,[33] 이반 4세는 힐란다르를 개인적으로 보호하고 새 수도사 방을 지었다. 1556년 3월, 이반 4세(외할머니는 세르비아 야크시치 귀족 가문 출신 아나 야크시치, 부계 증조모는 비잔틴 황후 헬레나)는 힐란다르 수도원에 크렘린 근처 모스크바 땅(필요한 모든 건물을 갖춘)을 기증했다.[22] 16세기, 수도원은 이 지역에서 상당한 부동산을 확보하며 아토스 산에서의 입지를 굳혔다.[33]
17세기 들어 세르비아 수도사 수가 감소하고 1722년 화재로 쇠퇴했다. 1745년, 러시아 순례자 바실리 바르스키는 힐란다르가 불가리아 수도사들에 의해 운영되고 있다고 기록했지만, 세르비아 수도사들도 존재했다고 언급했다.[23] 일라리온 마카리오폴스키, 브라차의 소프로니우스, 마테이 프레오브라젠스키가 이곳에서 생활했으며, 힐란다르의 파이시우스는 이곳에서 혁명적인 ''슬라브 불가리아 역사''를 저술하기 시작했다. 19세기 후반까지 수도원은 불가리아인들이 주도했다.[24]
1913년, 아토스 산에서 세르비아인의 영향력이 커지면서, 아토스 수도원 ''프로토스''(수도원의 직책)는 힐란다르의 세르비아 대표가 되었다.[25]
2. 5. 현대
1913년 아토스산에 세르비아인의 참여가 상당히 커졌고, 프로토스는 힐란다르의 세르비아인 대표였다.[38]
1970년 그리스 정부는 아토스산의 모든 수도원에 송전선 설치를 제안했지만, 아토스산 성 의회는 이를 거절했다. 이후 모든 수도원은 대부분 재생 에너지 자원에서 자체 발전을 얻는다. 1980년대에 힐란다르 수도원은 전력을 주로 조명과 난방에 사용했다.
2004년 3월 4일, 힐란다르 수도원에 큰 화재가 발생하여 벽 구조 건물 단지의 거의 50%가 파괴되었다. 제과점을 포함한 북쪽 벽 구조 건물 단지의 절반이 손상되었으나, 도서관과 수도원의 많은 역사적인 성화상들은 보존되거나 손상되지 않았다.[27]
현재 힐란다르 수도원은 과거의 영광을 되찾기 위한 대규모 재건 운동이 진행 중이다.
1990년, 힐란다르는 이디로스믹 수도원에서 공동생활 수도원으로 전환되었다.[26]
3. 성물
수도원에는 귀중하게 여겨지는 수많은 성유물들이 있다. 그 중에는 1월 12일(현대의 그레고리력으로는 1월 25일)에 축일을 기념하는 "아카티스트의" 테오토코스의 기적을 행하는 이콘이 있다. 아토스산에서는 전통적인 율리우스력을 사용하기 때문에 1월 12일은 그레고리력의 1월 25일에 해당한다.[28]
또한 성 요한 다마스케네의 기적적인 치유와 관련된 세 개의 손을 가진 성모(그리스어: ''트리케루사'', 세르비아어: Тројеручицa) 이콘도 보유하고 있다. 717년 경, 성 요한은 예루살렘 외곽에 있는 마르 사바스 수도원의 수사가 되었고, 이 이콘을 그 곳 수도원 공동체에 주었다. 나중에 이콘은 세르비아의 성 사바에게 제공되었고, 그는 그것을 힐란다르에 기증했다. 1661년에는 이 이콘의 사본이 러시아로 보내져 러시아 정교회에서 크게 공경받게 되었다. 이 성화상에는 두 번의 축일이 있는데, 6월 28일(7월 11일)과 7월 12일(7월 25일)이다. 스테판 두샨 황제의 검도 수도원 보물에 보관되어 있다.
수도원의 도서관은 181권의 그리스어 필사본과 809권의 슬라브어 필사본, 그리고 약 20,000권의 인쇄된 책들을 보유하고 있다. 약 1200개의 슬라브어 필사본과 중세 시대의 그리스 문서 172점과 세르비아 문서 154점이 아카이브에 포함되어 있으며, 이를 통해 그 시대의 경제 및 사회 구조를 엿볼 수 있다.[21] 필사실 덕분에 수도원에서 고대 교회 슬라브어의 세르비아어 변종이 발전했다.
4. 도서관
주어진 소스에는 힐란다르 문서의 "도서관" 섹션에 대한 내용이 없기 때문에, 내용을 작성할 수 없습니다. 원본 소스에 ``와 `` 템플릿만 존재하며, 이는 도서관 섹션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따라서 이전 출력과 동일하게 유지합니다.
5. 탑
이름 | 건설 시기 |
---|---|
성 사바 타워 | 12세기 |
성 게오르기 타워 | 12세기 |
밀루틴 타워 | 13세기 |
아르바나스키 타워 | 15세기 |
참조
[1]
서적
The Blackwell Companion to Eastern Christianity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2010-05-10
[2]
서적
The Art of Ajanta and Sopoćani: A Comparative Study : an Enquiry in Prāṇa Aesthetics
https://books.google[...]
Motilal Banarsidass
1994-01-01
[3]
웹사이트
The administration of Mount Athos
http://www.mountatho[...]
2016-04-06
[4]
서적
The Byzantine Empire: A Historical Encyclopedia
https://books.google[...]
ABC-CLIO
2019-09-09
[5]
서적
The A to Z of the Orthodox Church
https://books.google[...]
Scarecrow Press
2010-04-06
[6]
서적
Eastern Europe: An Introduction to the People, Lands, and Culture - Volume 1
https://books.google[...]
Bloomsbury Publishing
2004-12-22
[7]
서적
The Orthodox Church: An Introduction to Its History, Doctrine, and Spiritual Culture
https://books.google[...]
Wiley
2010-12-13
[8]
서적
Religious Separation and Political Intolerance in Bosnia-Herzegovina
https://books.google[...]
Texas A&M University Press
2003
[9]
웹사이트
Hilandar – The Blackwell Dictionary of Eastern Christianity
http://www.blackwell[...]
[10]
문서
Charters of the Serbian rulers related to Kosovo and Metochia
[11]
웹사이트
За спас душе своје и прибежиште свом отачеству
http://www.srpsko-na[...]
2016-04-05
[12]
서적
The Encyclopedia of Eastern Orthodox Christianity, 2 Volume Set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2010-12-15
[13]
웹사이트
Хиландарски поседи и метоси у југозападној Србији (Кособу и метохији)
http://www.hilandar.[...]
hilandar.info
2015-07-21
[14]
서적
The Entry of the Slavs Into Christendom: An Introduction to the Medieval History of the Slavs
https://books.google[...]
[15]
웹사이트
The Monastery of Hilandar
http://slovo-aso.cl.[...]
2016-04-04
[16]
문서
1997
[17]
문서
1997
[18]
웹사이트
Miraculous Icon - The Virgin with three hands (Bogorodica Trojeručica)
http://www.hilandar.[...]
hilandar.info
2016-04-21
[19]
서적
Cumans and Tatars: Oriental Military in the Pre-Ottoman Balkans, 1185–1365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5-03-24
[20]
웹사이트
Chilandar Monastery
http://www.ortodoxia[...]
[21]
서적
The Oxford Dictionary of Byzantium
Oxford University Press
1991
[22]
문서
Ivan the Terrible
Rowman & Littlefield
2002
[23]
웹사이트
Chilandari
http://www.mountatho[...]
Mount Athos
2008-10-09
[24]
웹사이트
Хилендарски манастир
http://www.pravoslav[...]
Православието
2008-10-09
[25]
문서
To Agion Oros
Patriarchal Institute of Patristic Studies, Epopteia ed.
1987
[26]
학위논문
Hesychasm, the Jesus Prayer and the contemporary spiritual revival of Mount Athos
https://theses.ubn.r[...]
Radboud University
2017-08-28
[27]
학회자료
Consequences of a Wrong Decision: Case Study of Chilandar Monastery Fire
https://www.research[...]
2014
[28]
서적
The Oxford Handbook of Mary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9
[29]
서적
Obnova Hilandara
[30]
서적
Obnova Hilandara
[31]
서적
Obnova Hilandara
[32]
웹사이트
Hilandar – The Blackwell Dictionary of Eastern Christianity
http://www.blackwell[...]
[33]
문서
Charters of the Serbian rulers related to Kosovo and Metochia
[34]
서적
http://books.google.[...]
2011-11-28
[35]
서적
2008년
[36]
웹인용
Chilandari
http://www.mountatho[...]
Mount Athos
2011-11-28
[37]
웹인용
Хилендарски манастир
http://www.pravoslav[...]
Православието
2011-11-28
[38]
서적
To Agion Oros
Patriarchal Institute of Patristic Studies, Epopteia ed., Athens
198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