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1035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035년은 각국의 연호와 기년, 주요 사건, 출생 및 사망한 인물 등을 다루는 해이다. 고려는 정종 원년이었으며, 북송, 요, 일본, 서하, 리 왕조 등 여러 국가에서 각기 다른 연호를 사용했다. 주요 사건으로는 알폰소 5세의 레온 왕 즉위, 카누트 대왕의 잉글랜드 왕 즉위, 콘라트 2세의 이탈리아 왕 즉위 등이 있었으며, 노르망디 공작 윌리엄 1세가 즉위하고, 나바라 왕 산초 3세가 사망하여 왕국이 분열되었다. 또한, 크누트 대왕의 사망으로 북해 제국이 붕괴되었다. 이 해에는 교황 우르바노 2세, 크누트 대왕 등이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빈 문단이 포함된 문서 - 광주고등법원
    광주고등법원은 1952년에 설치되어 광주광역시, 전라남도, 전북특별자치도, 제주특별자치도를 관할하며, 제주와 전주에 원외재판부를 두고 있다.
  • 빈 문단이 포함된 문서 - 1502년
    1502년은 율리우스력으로 수요일에 시작하는 평년으로, 이사벨 1세의 이슬람교 금지 칙령 발표, 콜럼버스의 중앙아메리카 해안 탐험, 바스쿠 다 가마의 인도 상관 설립, 크리미아 칸국의 킵차크 칸국 멸망, 비텐베르크 대학교 설립, 최초의 아프리카 노예들의 신대륙 도착 등의 주요 사건이 있었다.
1035년
1035년
연대
1030년대1030년, 1031년, 1032년, 1033년, 1034년, 1035년, 1036년, 1037년, 1038년, 1039년
세기11세기
천년기2천년기
주요 사건
유럽신성 로마 제국 황제 콘라트 2세 사망
그의 아들 하인리히 3세가 황제 계승
아시아리 왕조의 태종 이퇉, 탕롱 천도
셀주크 제국이 페르시아를 점령하기 시작함
탄생
날짜 미상아이자크 1세 콤네노스, 비잔티움 제국 황제 (1061년 사망)
키릴 투로프스키, 동슬라브의 성인 (1130년 사망)
추정람페르트 폰 헤르스펠트, 독일 연대기 작가 (1085년 사망)
사망
2월 5일미에슈코 2세, 폴란드 왕
5월 26일마요르카의 성 베르나르도, 카탈루냐 주교
7월 3일로베르 2세, 노르망디 공작 (1000년 출생)
날짜 미상아이슬란드의 스칼드 시인인 군라우그 오름스퉁가
야흐야 이븐 알리 이븐 야흐야 알 하무디, 알안달루스의 아스트롤라베 제작자
콘라트 2세, 신성 로마 황제 (990년 출생)

2. 연호

3. 기년

4. 사건

4. 1. 한국

이 문단은 내용이 비어 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4. 2. 동아시아

10월 18일 - 나바라 왕 산초 3세 (대왕)가 사망했다. 그의 유산 분배로 나바라, 카스티야, 아라곤 각 왕국이 분열되었다.[1]

4. 3. 유럽


  • 7월 3일 - 윌리엄 1세가 노르망디 공작 로베르 1세가 니케아 (오늘날의 튀르키예)에서 순례 중 사망한 후 노르망디의 공작이 되었다. 로베르 1세의 죽음으로 윌리엄 1세가 아버지의 자리를 이어받기에는 너무 어려 노르망디에 불안정한 시기가 초래되었다. 이 지역의 노르만 귀족들은 묵은 분쟁을 해결하고 사재를 늘릴 기회를 잡았다.[1]
  • 10월 16일 - 콘라트 2세가 브레멘에서 최초의 프라이마르크트 축제를 개최할 권리를 부여받았다. 이 도시는 노르웨이 및 북부 네덜란드와의 교역을 증진했다.[2]
  • 11월 12일크누트 대왕이 샤프츠베리에서 사망하여, 그의 아들들인 하르다크누트와 헤럴드 1세 사이에서 잉글랜드 왕국의 통치권을 놓고 분쟁이 벌어졌다. 노섬브리아와 머시아의 백작들은 헤럴드 1세의 주장을 지지한 반면, 웨섹스의 백작 고드윈은 하르다크누트를 지지했다. 헤럴드 1세는 잉글랜드의 섭정 (또는 공동 통치자)으로 선출되었다. 크누트 대왕은 윈체스터 교구의 올드 민스터에 묻혔다.
  • 겨울 – 하르다크누트는 노르웨이의 국왕 마그누스 1세와 스웨덴의 국왕 아눈드 야코브의 침략 위협으로 덴마크 왕국에 머물러야 했기 때문에 잉글랜드에서 대관식을 거행할 수 없었다.

5. 탄생


  • 교황 우르바노 2세
  • 다르마 팔라, 팔라 왕조의 인도 통치자
  • 리처드 피츠 길버트, 노르만 귀족 (추정)
  • 부르고뉴의 앙리, 프랑스 귀족 (추정)
  • 헤레워드 더 웨이크, 잉글랜드 귀족 (추정)
  • 잘름의 헤르만, 독일 귀족 (추정)
  • 아이작 알바리아, 안달루시아 유대인 천문학자
  • 레오프윈 갓윈슨, 잉글랜드 귀족 (추정)
  • 렌의 마르보디우스, 프랑스 대주교 (추정)
  • 나단 벤 예히엘, 이탈리아 유대인 사전 편찬자
  • 로베르 1세, 프리슬란트의 플랑드르 백작 (추정)
  • 앙리 드 부르고뉴, 부르고뉴 공국의 공자
  • 장돈, 북송의 정치가
  • 후지와라노 사네스에, 헤이안 시대공경
  • 나탄 벤 예히엘, 로마 출신의 랍비
  • 미나모토노 도시후사, 헤이안 시대의 공경

6. 사망

참조

[1] 서적 The Gesta Normannorum Ducum of William of Jumièges, Orderic Vitalis, and Robert of Torigni Clarendon Press, Oxford
[2] 서적 Le Repubbliche Marinare. Amalfi, Pisa, Genova e Venezia Newton & Compton Editori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