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37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037년은 북송 경우 4년, 요 중희 6년, 일본 조겐 10년/조랴쿠 원년, 서하 대경 2년, 대리국 정치 11년, 리 왕조 통투이 4년, 간지 정축에 해당한다. 주요 사건으로 돌궐의 일부 부족이 셀주크 투르크 제국을 건국했고, 노르웨이의 마그누스 1세가 덴마크 왕위를 주장했으며, 투그룰 베이가 바그다드를 점령하고 부와이흐 왕조를 몰아냈다. 또한, 알폰소 6세가 레온 왕국의 왕이 되었고, 카스티야 왕 페르난도 1세가 레온 왕국을 정복했다. 야로슬라프 1세는 키예프에 성 소피아 대성당을 건립했으며, 일본에서는 테이시 내친왕이 고스자쿠 천황의 중궁이 되고 후지와라 겐시가 중궁이 되었다. 주요 인물로는 소식(소동파)이 탄생했고, 이븐 시나, 베르무도 3세, 오도 2세 등이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037년 | |
|---|---|
| 연도 정보 | |
| 해당 연도 | 1037년 |
| 로마 숫자 | MXXXVII |
| 달력 | |
| 율리우스력 | 1037년 |
| 주요 사건 | |
| 발생 | 5월 30일 - 투르네 전투: 프랑스 왕국의 앙리 1세가 신성 로마 제국의 황제 콘라트 2세를 패배시키다. 그레고리오 6세가 교황이 되다. 스코틀랜드의 맥베스 왕이 덩컨 1세를 패배시키고 왕위에 오르다. |
| 탄생 | |
| 출생 | 수순, 중국의 학자이자 작가 (1009년 출생). 베아트릭스 1세 (신성 로마 제국), 신성 로마 제국의 여제 (1043년 사망). |
| 사망 | |
| 사망 | 아비센나, 페르시아의 박식가 (980년 출생). 덩컨 1세, 스코틀랜드의 왕. 조지 1세 (조지아), 조지아의 왕. |
2. 연호
3. 사건
- 돌궐의 일부 부족이 셀주크 투르크 제국을 건국하였다.[1]
- 노르웨이의 마그누스 1세가 덴마크의 왕위를 주장하였다.[1]
- 오스만 제국의 투그룰 베이가 바그다드를 점령하고 부와이흐 왕조를 몰아냈다.[1]
- 알폰소 6세가 레온 왕국의 왕이 되었다.[1]
- 봄 – 북부 이탈리아에서 밀라노 대주교 아리베르트가 반란을 일으켰다. 신성 로마 제국 황제 콘라트 2세의 맏아들인 헨리 3세는 이를 진압하기 위해 알프스 산맥 남쪽으로 이동하였다.[1]
- 2월 – 파비아에서 열린 제국 의회에서 아리베르트는 신성 로마 제국에 반란을 선동한 혐의로 기소되고, 콘라트는 그의 체포를 명령하였다.[1]
- 5월 – 콘라트 2세는 파비아의 지원을 받아 로마나 문을 통해 밀라노를 포위하였지만, 도시는 저항하였다. 로마에서 교황 베네딕토 9세는 아리베르트를 대주교직에서 해임하였다.[1]
- 5월 28일 – 콘라트 2세는 Constitutio de Feudis를 제정하여 롬바르디아 (현재 이탈리아)의 발바소르 (기사 및 도시의 부르주아)의 권리를 보호하였다.[1]
- 여름 – 조지 마니아케스가 이끄는 비잔틴 원정대가 시칠리아에 상륙하여 지리 왕조를 격파하였다. 마니아케스는 섬을 재정복하기 위한 캠페인을 시작하였다.[1]
- 9월 4일 – 타마론 전투: 페르디난드 1세가 매형 베르무도 3세를 격파하고 죽였다. 페르디난드는 카스티야 왕국과 레온 왕국 (현대 스페인)의 왕이 되었다.[1]
- 11월 15일 – 바르르륌 전투: 블루아 백작 오도 2세가 로렌 공국을 침공하다가 고젤로 1세에게 충성하는 군대와의 전투에서 사망하였다.[1]
- 국왕 하랄드 1세가 이복 형제 하르다크누트로부터 잉글랜드 왕국의 왕위를 찬탈하였다. 그의 어머니 노르망디의 엠마는 플랑드르 백국(현 벨기에)의 브뤼헤로 피신하였다.[2]
- 야로슬라프 현공이 키예프에 성 소피아 대성당을 건립하였다.[1]
3. 1. 세계
- 셀주크 투르크 제국 건국[1]
- 오스만 제국의 투그룰 베이가 바그다드를 점령하고 부와이흐 왕조를 몰아냄[1]
- 노르웨이의 마그누스 1세가 덴마크의 왕위를 주장[1]
- 알폰소 6세가 레온 왕국의 왕이 됨[1]
- 여름 – 조지 마니아케스가 이끄는 비잔틴 원정대가 시칠리아에 상륙하여 지리 왕조를 격파하고 섬을 재정복하기 위한 캠페인을 시작[1]
- 9월 4일 – 타마론 전투: 페르디난드 1세가 매형 베르무도 3세를 격파하고 죽임. 페르디난드는 카스티야 왕국과 레온 왕국 (현대 스페인)의 왕이 됨[1]
- 11월 15일 – 바르르륌 전투: 블루아 백작 오도 2세가 로렌 공국을 침공하다가 고젤로 1세에게 충성하는 군대와의 전투에서 사망[1]
- 카스티야 왕 페르난도 1세가 레온 왕국을 정복[1]
3. 2. 동아시아
- 돌궐의 일부 부족이 셀주크 투르크 제국을 건국하였다.[1]
- 간지: 정축[1]
- 일본
- 장원 10년, 장력 원년[1]
- 황기 1697년[1]
- 중국
- 북송: 경우 4년[1]
- 요: 중희 6년[1]
- 서하: 대경 2년[1]
- 대리국: 정치 11년[1]
- 고려[1]
- 베트남
- 리 왕조: 통서 4년[1]
- 3월 2일 (조겐 10년 2월 13일) - 테이시 내친왕이 고스자쿠 천황의 중궁이 되었다.[1]
- 3월 20일 (조겐 10년 3월 1일) - 후지와라 요리미치의 양녀 후지와라 겐시(겐시 여왕)가 중궁이 되고, 중궁 테이시 내친왕은 황후가 되었다.[1]
- 5월 9일 (조겐 10년 4월 21일) - 조랴쿠로 개원하였다.[1]
- 중국 송 시대에 운서인 《집운》이 출판되었다.[1]
4. 탄생
5. 사망
- 이븐 시나, 페르시아의 철학자이자 의학자. '아비센나'로도 알려져 있다.
- 9월 4일 - 베르무도 3세, 레온의 국왕.
- 11월 15일 - 블루아 백작 오도 2세, 프랑스 귀족 (* 983년)
- 아불 하산 미야르 알-다일라미, 페르시아 시인.
- 아부 만수르 알-바그다디, 페르시아 샤피이 학자.
- 바바 쿠히 오브 시라즈, 페르시아 수피 신비주의자 (* 948년)
- 볼레슬라프 3세, 보헤미아 공작.
- 딩 웨이, 송나라의 재상.
- 파루키 시스타니, 페르시아 시인 (또는 1038년)
- 데바르의 요한, 불가리아 성직자 및 주교.
- 무함마드 알-바그다디, 페르시아 수학자.
- 무이르기스 우어 쿠 케난, 우이 디아르마타의 왕.
- 루앙의 로베르 2세, 프랑스 고위 성직자 및 대주교.
- 슈타데 백작 지크프리트 2세, 독일 귀족 (* 956년)
- 기욤 3세, 프랑스 귀족.
- 강감찬, 고려의 문관, 무관 (* 943년)
- 정위, 북송의 정치가, 문인 (* 966년)
참조
[1]
서적
World History
https://archive.org/[...]
Dorling Kindersley Limited
2010
[2]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the British Monarchy
https://books.google[...]
Scarecrow Press
20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