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회 LG배 세계기왕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7회 LG배 세계기왕전은 2012년에 개최된 바둑 기전이다. 32강부터 결승까지의 주요 대국이 진행되었으며, 결승에서는 스웨 9단이 원성진 9단을 2:0으로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스웨 9단은 이 대회에서 세계대회 첫 우승을 달성했고, 원성진 9단은 처음으로 LG배 결승에 진출했다.
2. 대회 정보
구분 일정 장소 통합예선 4월 18일 ~ 4월 24일 한국기원 개막추첨식 6월 17일 곤지암 리조트 본선 32강전 6월 18일 곤지암 리조트 본선 16강전 6월 20일 곤지암 리조트 본선 8강전 11월 5일 엘도라도 리조트 준결승전 11월 7일 엘도라도 리조트 결승전 2013년 2월 18일 ~ 2월 20일 365세이프타운
2. 1. 대회 일정
wikitable
구분 | 일정 | 장소 |
---|---|---|
통합예선 | 4월 18일 ~ 4월 24일 | 한국기원 |
개막추첨식 | 6월 17일 | 곤지암 리조트 |
본선 32강전 | 6월 18일 | 곤지암 리조트 |
본선 16강전 | 6월 20일 | 곤지암 리조트 |
본선 8강전 | 11월 5일 | 엘도라도 리조트 |
준결승전 | 11월 7일 | 엘도라도 리조트 |
결승전 | 2013년 2월 18일 ~ 2월 20일 | 365세이프타운 |
2. 2. 참가 선수 및 대진
32강전 | |||
---|---|---|---|
스웨 | 승 | 유키 사토시 | |
이세돌 | 승 | 쿵제 | |
나현 | 승 | 당이페이 | |
장웨이제 | 승 | 장쉬 | |
강동윤 | 승 | 멍타이링 | |
펑리야오 | 승 | 사카이 히데유키 | |
리캉 | 승 | 요다 노리모토 | |
이창호 | 승 | 류싱 | |
원성진 | 승 | 탄샤오 | |
최기훈 | 승 | 뉴위톈 | |
이영구 | 승 | 리쉬안하오 | |
샤오정하오 | 승 | 저우허양 | |
최철한 | 승 | 셰허 | |
구리 | 승 | 박승화 | |
롄샤오 | 승 | 퍄오원야오 | |
박정환 | 승 | 우광야 |
16강전에서는 여러 한중일, 그리고 대만 선수들 간의 대결이 펼쳐졌다.
- 스웨 九단은 이세돌 九단을 꺾고 8강에 진출했다.
- 나현 三단은 장웨이제 九단을 상대로 승리했다.
- 강동윤 九단은 펑리야오 五단을 이기고 8강에 올랐다.
- 리캉 六단은 이창호 九단을 꺾었다.
- 원성진 九단은 최기훈 四단을 이겼다.
- 이영구 九단은 샤오정하오 九단을 꺾고 8강에 진출했다.
- 최철한 九단은 구리 九단을 상대로 승리했다.
- 롄샤오 七단은 박정환 九단을 이기고 8강에 합류했다.
준결승전에서는,
스웨 九단이 강동윤 九단을 상대로 승리했다.
원성진 九단은 최철한 九단을 상대로 승리했다.
결승전에서는,
스웨 9단이 원성진 9단을 상대로 2-0으로 승리하며 LG배 첫 우승을 차지했다. 스웨 9단은 당시 세계대회 첫 결승 진출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원성진 9단을 완벽하게 제압하며 우승컵을 들어올렸다. 특히 스웨 9단은 공격적인 기풍과 뛰어난 수읽기를 바탕으로 원성진 9단을 압도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반면, 원성진 9단은 결승전에서 제 기량을 발휘하지 못하고 무기력하게 패배하며 준우승에 머물렀다.
2. 2. 1. 32강전
대진 | ||||
---|---|---|---|---|
스웨 | 승 | 유키 사토시 | ||
이세돌 | 승 | 쿵제 | ||
나현 | 승 | 당이페이 | ||
장웨이제 | 승 | 장쉬 | ||
강동윤 | 승 | 멍타이링 | ||
펑리야오 | 승 | 사카이 히데유키 | ||
리캉 | 승 | 요다 노리모토 | ||
이창호 | 승 | 류싱 | ||
원성진 | 승 | 탄샤오 | ||
최기훈 | 승 | 뉴위톈 | ||
이영구 | 승 | 리쉬안하오 | ||
샤오정하오 | 승 | 저우허양 | ||
최철한 | 승 | 셰허 | ||
구리 | 승 | 박승화 | ||
롄샤오 | 승 | 퍄오원야오 | ||
박정환 | 승 | 우광야 |
2. 2. 2. 16강전
16강전에서는 여러 한중일, 그리고 대만 선수들 간의 대결이 펼쳐졌다.- 스웨 九단은 이세돌 九단을 꺾고 8강에 진출했다.
- 나현 三단은 장웨이제 九단을 상대로 승리했다.
- 강동윤 九단은 펑리야오 五단을 이기고 8강에 올랐다.
- 리캉 六단은 이창호 九단을 꺾었다.
- 원성진 九단은 최기훈 四단을 이겼다.
- 이영구 九단은 샤오정하오 九단을 꺾고 8강에 진출했다.
- 최철한 九단은 구리 九단을 상대로 승리했다.
- 롄샤오 七단은 박정환 九단을 이기고 8강에 합류했다.
2. 2. 3. 8강전
wikitext
2. 2. 4. 준결승전
스웨 九단이 강동윤 九단을 상대로 승리했다.원성진 九단은 최철한 九단을 상대로 승리했다.
2. 2. 5. 결승전
wikitext스웨 9단이 원성진 9단을 상대로 2-0으로 승리하며 LG배 첫 우승을 차지했다. 스웨 9단은 당시 세계대회 첫 결승 진출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원성진 9단을 완벽하게 제압하며 우승컵을 들어올렸다. 특히 스웨 9단은 공격적인 기풍과 뛰어난 수읽기를 바탕으로 원성진 9단을 압도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반면, 원성진 9단은 결승전에서 제 기량을 발휘하지 못하고 무기력하게 패배하며 준우승에 머물렀다.
2. 3. 특이사항
스웨 9단은 이번 대회를 통해 세계대회 및 LG배에서 처음으로 우승을 차지했다. 원성진 9단은 처음으로 LG배 결승에 진출하였다. 롄샤오 9단은 8강에서 폐질환으로 인해 기권하였다. 일본 대표팀은 32강에서 전원 탈락하는 수모를 겪었다. 장웨이제 9단은 16강에서 탈락하여 LG배에서 '연속 우승 불가' 징크스가 이어졌다. 이창호 9단은 17회 연속으로 LG배 본선에 진출하는 대기록을 세웠다. 중국은 이번 대회 우승으로 LG배 5연속 우승을 달성하며 강세를 이어갔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